KR20100011591U -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 Google Patents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591U
KR20100011591U KR2020090006081U KR20090006081U KR20100011591U KR 20100011591 U KR20100011591 U KR 20100011591U KR 2020090006081 U KR2020090006081 U KR 2020090006081U KR 20090006081 U KR20090006081 U KR 20090006081U KR 20100011591 U KR20100011591 U KR 201000115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nel
interior
exterio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신호
Original Assignee
남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신호 filed Critical 남신호
Priority to KR2020090006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591U/ko
Publication of KR20100011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5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외장재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별도의 횡방향연결보강재가 설치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는,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과, 상기 외장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과,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내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와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고 그 타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와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는 내외장연결구 또는 서로 겹쳐진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들을 일체로 체 결하는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와, 상기 외장패널들과 상기 내장패널들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외장패널, 내장패널, 하단체결구, 상단체결구, 내외장연결구,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 콘크리트

Description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WALL WITH INTERIOR AND EXTERIOR PANEL}
본 고안은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면에는 외장재가 일체로 구비되고 그 내측면에는 내장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체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킨 다음 거푸집을 해체시켜 벽체구조물을 형성한 다음, 그 외측면에 예를 들어 석재패널과 같은 외장재를 부착하고 그 내측면에 내장재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의 경우에는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벽체구조물의 완성 후에 별도로 외장재와 내장재를 부착하여야 하는 바, 이 또한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벽체의 경우에는 그 내부에 별도의 보강재가 구비되지 않아 강도적인 면에서 불안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외장재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체 내에 별도의 횡방향연결보강재가 설치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과, 상기 외장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과,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내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와,그 일측은 서 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와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고 그 타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와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는 내외장연결구와, 상기 외장패널들과 상기 내장패널들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과, 상기 외장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과,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와,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내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와, 서로 겹쳐진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들을 일체로 체결하는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와, 상기 외장패널들과 상기 내장패널들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는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1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1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2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2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1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고,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2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외장연결구는 그 양측의 체결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에 제 1 장공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 2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그 전후 가장자리에는 안내가이드가 절곡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에 의하면, 내외장재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하단체결구와 제 1 상단체결구의 서로 대응되는 제 1 상향절곡부와 제 1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고 제 2 하단체결구와 제 2 상단체결구의 서로 대응되는 제 2 상향절곡부와 제 2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될 수 있어 벽체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는, 내외장재를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10)과, 외장패널(10)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20)과,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30)와,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외장패널(10)에 결 합된 제 1 하단체결구(30)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40)와,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50)와,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내장패널(20)에 결합된 제 2 하단체결구(50)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60)와, 그 일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에 체결되고 그 타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 체결되는 내외장연결구(70)와,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장패널들(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외측벽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콘크리트(80)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개가 다열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외장패널(10)은 석재패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외장패널들(10)의 타측에는 다수의 내장패널(20)이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데, 이 내장패널들(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내측벽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콘크리트(80)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의 타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장패널(1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다열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내장패널(20)은 외장패널(10)에 상호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상호 대등되게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재패널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외장패널(10)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 1 하단체결구(30)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제 1 하단체결구(30)는 차후에 설명될 제 1 상단체결구(40)와 함께 내장패널(20)에 대한 외장패널(10)의 이격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하단부 일면에 체결나사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그 타측은 차후에 설명될 내외장연결구(70)의 연결을 위해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된다.
제 1 하단체결구(30)는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는 금속구조물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내외장연결구(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1)이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외장패널(10)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 1 상단체결구(40)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제 1 상단체결구(40)는 전술한 제 1 하단체결구(30)와 함께 내장패널(20)에 대한 외장패널(10)의 이격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상단부 일측에 체결나사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차후에 설명될 내외장연결구(70)의 연결을 위해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외장패널(10)에 결합된 제 1 하단체결구(30)에 대면접촉된다.
제 1 상단체결구(40)도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는 금속구조물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내외장연결구(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41)이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내장패널(20)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 2 하단체결구(50)가 각각 결합되 는데, 이 제 2 하단체결구(50)는 차후에 설명될 제 2 상단체결구(60)와 함께 외장패널(10)에 대한 내장패널(20)의 이격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하단부 일면에 체결나사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그 타측은 차후에 설명될 내외장연결구(70)의 연결을 위해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된다.
제 2 하단체결구(50)는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는 금속구조물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내외장연결구(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51)이 관통형성된다.
전술한 내장패널(20)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 2 상단체결구(60)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제 2 상단체결구(60)는 전술한 제 2 하단체결구(50)와 함께 외장패널(10)에 대한 내장패널(20)의 이격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연결고정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상단부 일측에 체결나사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차후에 설명될 내외장연결구(70)의 연결을 위해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내장패널(20)에 결합된 제 2 하단체결구(50)에 대면접촉된다.
제 2 상단체결구(60)도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는 금속구조물로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내외장연결구(7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61)이 관통형성된다.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과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은 내외장연결 구(70)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이격고정되는데, 이 내외장연결구(70)는 외장패널(10)과 내장패널(20)을 상호 이격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일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에 체결나사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그 타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 체결나사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내외장연결구(70)는 직사각형 형태의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과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 대한 체결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에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제 1 장공(71)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제 2 장공(7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전후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과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내가이드(75)가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외장연결구(70)에 의해 이격고정된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 사이에는 콘크리트(80)가 충전되어 양생되는데, 이 콘크리트(80)는 실제 벽체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거푸집으로서 작용하는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에 의해 벽체형상으로 성형된다.
전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이 각각 수직방향으로는 상호 연결되 지만 횡방향으로는 서로 연결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부분이 있는데, 이를 위해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이 각각 횡방향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콘크리트(80) 내에서 보강재로서 작용하는 별도의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 1 하단체결구(30)의 타측에는 제 1 상향절곡부(33)가 형성되고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에는 제 1 상향절곡부(33)에 대응되는 제 1 하향절곡부(43)가 형성됨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제 1 상향절곡부(33)와 제 1 하향절곡부(43)의 내측으로는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90a)가 관통결합되며, 제 2 하단체결구(50)의 타측에는 제 2 상향절곡부(53)가 형성되고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는 제 2 상향절곡부(53)에 대응되는 제 2 하향절곡부(63)가 형성됨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제 2 상향절곡부(53)와 제 2 하향절곡부(63)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90b)가 관통결합된다.
제 1 상향절곡부(33), 제 1 하향절곡부(43), 제 2 상향절곡부(53) 및 제 2 하향절곡부(6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도 절곡형성될 수 있으나, 제 1 및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90a 및 90b)의 단면형상에 상응하게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단면구조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는, 내외장재를 거 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10)과, 외장패널(10)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20)과,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30)와, 그 일측은 외장패널(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내장패널(2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외장패널(10)에 결합된 제 1 하단체결구(30)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40)와,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50)와, 그 일측은 내장패널(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외장패널(10)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내장패널(20)에 결합된 제 2 하단체결구(50)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60)와, 서로 겹쳐진 제 1 하단체결구(30), 제 1 상단체결구(40), 제 2 하단체결구(50) 및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들을 일체로 체결하는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70')와,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서로 대면접촉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과,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내외장연결구(70)에 의해 연결고정되는 구성이 가지는 데 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서로 대면접촉 된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과, 서로 대면접촉된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70')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는 점만 상이할 뿐, 외장패널(10), 내장패널(20), 제 1 하단체결구(30), 제 1 상단체결구(40), 제 2 하단체결구(50), 제 2 상단체결구(60) 및 콘크리트(80)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제 1 하단체결구(30), 제 1 상단체결구(40), 제 2 하단체결구(50) 및 제 2 상단체결구(60)는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와 동일하고, 제 1 하단체결구(30)의 타측에 제 1 상향절곡부(33)가 형성되고 제 1 상단체결구(40)의 타측에 제 1 상향절곡부(33)에 대응되는 제 1 하향절곡부(43)가 형성되며, 제 2 하단체결구(50)의 타측에 제 2 상향절곡부(53)가 형성되고 제 2 상단체결구(60)의 타측에 제 2 상향절곡부(53)에 대응되는 제 2 하향절곡부(63)가 형성되는 구성도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와 동일하며, 서로 대응되는 제 1 상향절곡부(33)와 제 1 하향절곡부(43)의 내측으로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90a)가 관통결합되고, 서로 대응되는 제 2 상향절곡부(53)와 제 2 하향절곡부(55)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90b)가 관통결합되는 구성도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벽체임에 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의 경우에는 두께가 비교적 얇은 벽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1, 1')의 경우에는 외장패널(10)과 내장패널(20)을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내외장재를 벽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벽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제 1 하단체결구(30)와 제 1 상단체결구(40)의 서로 대응되는 제 1 상향절곡부(33)와 제 1 하향절곡부(43)의 내측으로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90a)가 관통결합되고 제 2 하단체결구(50)와 제 2 상단체결구(60)의 서로 대응되는 제 2 상향절곡부(53)와 제 2 하향절곡부(63)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90b)가 관통결합될 경우에는 외장패널들(10)과 내장패널들(20)이 각각 횡방향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콘크리트(80) 내부에 보강재로 작용함에 따라 벽체 전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본 고안에 따른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10 : 외장패널
20 : 내장패널
30 : 제 1 하단체결구
40 : 제 1 상단체결구
50 : 제 2 하단체결구
60 : 제 2 상단체결구
70 : 내외장연결구
70' : 내외장연결용 체결부재
80 : 콘크리트
90a :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
90b :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

Claims (7)

  1.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
    상기 외장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내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
    그 일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와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고 그 타측은 서로 대면접촉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와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는 내외장연결구; 및
    상기 외장패널들과 상기 내장패널들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는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1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1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2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2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1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고,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2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연결구는 그 양측의 체결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일측에 제 1 장공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 제 2 장공이 각각 형성되며, 그 전후 가장자리에는 안내가이드가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5. 일측에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외장패널;
    상기 외장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타측에 평행하게 적층 설치되는 다수의 내장패널;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1 하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외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내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외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1 상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 2 하단체결구;
    그 일측은 상기 내장패널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외장패널을 향해 수평연장됨과 동시에 그 상위의 상기 내장패널에 결합된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에 대면접촉되는 제 2 상단체결구;
    서로 겹쳐진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들을 일체로 체결하는 내외장연결용 체결부 재; 및
    상기 외장패널들과 상기 내장패널들 사이에 충전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 상기 제 1 상단체결구, 상기 제 2 하단체결구 및 상기 제 2 상단체결구는 각각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1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1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제 2 상향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상단체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에 대응되는 제 2 하향절곡부가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1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1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1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고,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상향절곡부와 상기 제 2 하향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2 횡방향연결보강재가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KR2020090006081U 2009-05-20 2009-05-20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KR201000115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1U KR20100011591U (ko) 2009-05-20 2009-05-20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081U KR20100011591U (ko) 2009-05-20 2009-05-20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591U true KR20100011591U (ko) 2010-11-30

Family

ID=4420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081U KR20100011591U (ko) 2009-05-20 2009-05-20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59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05A (ko)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20200134511A (ko)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05A (ko)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20200134511A (ko)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7134B2 (en) Manufactured building panel
DK178478B1 (da) System til konstruktion af en bygning
RU2710047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крепежная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CN108252513B (zh) 一种定型连接组件、铝框木模及模板施工工法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CN211646859U (zh) 一种装配式卫浴墙板的阴角拼接结构
JP2014190063A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5783762B2 (ja) 外断熱壁の構築方法
KR20100011591U (ko) 내외장재 일체형 벽체
JP6577757B2 (ja) 型枠構造物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20100007098U (ko) 가로바를 이용한 판넬 설치 유닛
KR200475755Y1 (ko) 프레임용 석재 판넬 고정 브라켓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20160043501A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120020648A (ko) 가변형 기둥폼
KR101404384B1 (ko) 욕실용 천정패널
KR101508898B1 (ko)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KR200454069Y1 (ko) 패널 보강부재를 구비한 패널식 이중벽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CN105735534A (zh) 一种用于塑造墙体的结构拉缝构件
KR10138641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와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유닛 및 그 제작방법
JP2015038276A (ja) 外壁用のパネル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