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73Y1 -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73Y1
KR0135873Y1 KR2019950050831U KR19950050831U KR0135873Y1 KR 0135873 Y1 KR0135873 Y1 KR 0135873Y1 KR 2019950050831 U KR2019950050831 U KR 2019950050831U KR 19950050831 U KR19950050831 U KR 19950050831U KR 0135873 Y1 KR0135873 Y1 KR 0135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frame
front cabinet
television
coupling structur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264U (ko
Inventor
박상덕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50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73Y1/ko
Publication of KR970048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텔레비전의 전면캐비넷에 샤시프레임을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재료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샤시프레임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전면캐비넷에 샤시프레임이 결합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전면 캐비넷(100)에 샤시프레임(200)을 결합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 캐비넷(100)의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재(104A)(104B)중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104B)의 후방 단에는 상기 전면 캐비넷(100)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걸림 편(1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A)(206B)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부(206B)에는 오목 홈(204)이 형성되어, 상기 샤시프레임(200)이 상기 안내부재(104A)(104B)를 따라 상기 전면 캐비넷(100)과 결합될 때 상기 걸림 편(110)은 탄력에 의해 상기 오목 홈(204)에 끼워지게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체결수단 없이도 탄성력을 이용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의 전면캐비넷과 샤시프레임의 조립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수리시에도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제1도는 종래의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주기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서 탄성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면캐비넷 102 : 샤시고정축
104A,104B : 안내부재 106A,106B : 걸림편
108 : 걸림 턱 110 : 걸림 편
200 : 샤시프레임 202 : 관통공
204 : 오목 홈
본 고안은 텔레비전의 전면캐비넷에 고정시키는 샤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재료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샤시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의 전면캐비넷(10)의 하부 내측에 샤시프레임(20)의 좌우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수개의 샤시고정부재(12)가 서로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샤시프레임(20)을 전면캐비넷(10)에 고정 장착시키기 위해 내부에 암나사부를 갖는 2개의 보스부재(14)가 각각 바깥 쪽 샤시고정부재(12)들의 외측에 그들과 평행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시프레임(20)의 전방부에는 전면캐비넷(10)의 샤시고정부재(12)들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수개의 걸림구멍(22)이 형성되고, 샤시프레임(20)의 전방부의 양 단에는 각각, 전면캐비넷(10)의 보스부재(14)의 암나사부와 연통될 수 있는, 나사공(24)을 갖는 연장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면캐비넷(10)의 하부 양측에는 샤시프레임(20)의 분해 결합시 샤시프레임(20)의 연장부(26)를 안내하기위한 2개의 안내부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서는 전면캐비넷(10)의 샤시고정부재(12)들이 샤시프레임(20)의 걸림구멍(22)들에 각각 끼워지도록, 안내부재(16)를 따라 전면캐비넷(10)의 내측으로 샤시프레임(20)을 이동시킨 후 체결나사(28)를 샤시프레임(20)의 나사공(24)과 전면캐비넷(10)의 암나사부에 체결시킴으로써, 샤시프레임(20)은 전면캐비넷(10)에 고정되었다. 또한 텔레비전의 고정 수리 등을 위해 샤시프레임(20)을 전면캐비넷(10)으로 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체결나사(28)를 풀고 샤시프레임(20)을 전면캐비넷(10)으로 부터 이탈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시프레임 지지 구조는 작업자가 상기 전면캐비넷과 샤시프레임을 조립한 후에 각각의 체결나사를 일일이 상기 나사공에 체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수리시 상기 전면캐비넷과 샤시프레임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드라이버로 상기 체결나사의 체결을 각각 해체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뿐만 아니라 조임정도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가 찌그러져 전면캐비넷에서 샤시프레임을 해체하는 데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샤시프레임과 전면캐비넷이 맞 닿는 부분에 재질의 탄성력을 이용한 결합장치를 형성시켜 나사등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샤시프레임과 전면캐비넷을 결합시킴으로써 조립공정을 간소화시킴은 물론 수리시 간편하게 해체할 수 있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서는, 전면캐비넷에 샤시프레임을 결합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 캐비넷의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의 후방 단에는 상기 전면 캐비넷의 저면과 이격되도록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시 프레임의 측방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부에는 오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샤시 프레임이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상기 전면 캐비넷과 결합될 때 상기 걸림 편은 탄력에 의해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 편은 대체로 상기 안내 부재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성되는 가느다란 제1요동부, 상기 제1요동부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 턱 및 제1요동부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요동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2요동부의 내측면은 외측방으로 굴곡되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 턱이 탄력에 의해 상기 오목 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를 보여 주기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100은 텔레비전의 전면 캐비넷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00은 전면캐비넷(100)의 저면에 장착되는 샤시 프레임을 나타낸다. 전면 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은 일반적으로 강도 및 탄성이 뛰어난 HIPS(High Impact PolyStylene)로 제조된다.
전면 캐비넷(100)의 하부 내측에는 전면캐비넷(10)의 저면 과 소정 간격 상향 이격되며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샤시 고정축(102)이 전면캐비넷(100)과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샤시 고정축(102)의 내측 외주에는 서로 이격되고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106)가 형성된다. 전면캐비넷(100)의 저면의 양측에는 2개의 안내부재(104A)(104B)가 전면캐비넷(100)과 일체로 그리고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이들 안내부재(104A)(104B)의 사이에 상기의 샤시 고정축(102)들이 위치하게 된다. 안내부재(104A)(104B)는 대체로 길고 가느다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데, 이들 안내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 예컨대 안내부재(104B)의 후방 단에는 걸림편(110)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다. 걸림 편(110)은 대체로 안내 부재(104B)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성되는 가느다란 제1요동부(107), 제1요동부(107)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 턱(108) 및 제1요동부(107)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요동부(109)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2요동부(109)의 내측면은 외측방으로 굴곡되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3도 참고). 또한 걸림편(110)은 전면 케비넷(100)의 저면과 어느 정도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전면캐비넷(100)의 저면에 형성된 슬롯(103)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걸림편(110)이 외력이 가해졌을 때 걸림편(110)은 탄력적으로 좌우 요동할 수 있게 된다(제3도 참고).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 상부에 장착되어 전면캐비넷(100)과 결합되는 샤시프레임(200)은, 대체로 그 상면 및 저면형상이 두 개의 직사각형을 한 변이 공유되도록 결합시킨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샤시프레임(200)의 전방부(201)에는, 전면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이 결합되었을 때, 전면캐비넷(100)의 샤시 고정축(102)이 끼워지는 관통 공(202)이 샤시 고정축(102)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샤시프레임(200)의 양 측방부(206A)(206B) 중의 적어도 하나 예컨대 측방부(206B)의 외측에는, 전면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이 결합되었을 때, 전면캐비넷(100)의 안내부재(104B)이 걸림 턱(108)이 수용될 수 있는 오목 홈(204)이 형성된다.
지금까지는 전면캐비넷(100)의 2 개의 안내부재(104A)(104B)중 하나의 안내 부재(104B)에만 걸림편(110)이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하나의 안내 부재(104A)에도 걸림 편(110)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샤시프레임(200)의 다른 하나의 측방부(206A) 에도 오목 홈(204)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를 참조할 때, 작업자가 전면캐비넷(100)에 샤시프레임(200)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캐비넷(100)의 저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104A)(104B)의 내측면으로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A)(206B) 를 밀착시키고, 샤시프레임(200)을 전면캐비넷(100) 방향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샤시프레임(200)은 전면 캐비넷(100)의 저면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 때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살펴 보면, 먼저 샤시프레임(200)이 진입되면서,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B)의 전단부의 외측면이 안내부재(104B)의 걸림 편(110)의 제2요동부(109)의 내측 곡면을 외측 방향으로 밀고 연이어 걸림 턱(108)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 낸 후 계속 전면캐비넷(100)의 전방을 향하여 진입되는데 이 동안에 외측 방향으로 밀려 난 걸림 턱(108)의 내면은 이동중인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B)외측면과 맞닿아 있게 된다. 그 후 안내 부재(104B)의 걸림턱(108)이 이동 중인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B)의 오목 홈(204)에 탄력에 의해 끼워지게 됨과 동시에, 샤시프레임(200)의 전방부(201)의 다수의 관통 공(202)에는 전면 캐비넷(100)의 대응되는 샤시 고정축(102)이 각각 끼워져서 샤시프레임(200)은 전면 캐비넷(100)의 저면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캐비넷(100)의 안내부재(104B)에 걸림 편(1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B)에 오목 홈(204)이 형성됨으로써 고정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한 체결없이도 재질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전면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조립자는 전면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의 결합시에 나사를 체결하는 수고를 하지 않고도 전면 캐비넷(100)에 형성된 2개의 안내부재를 따라 샤시프레임(200)을 밀어 넣는 동작 만으로 전면캐비넷(100)과 샤시프레임(200)을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의 사용중 고장으로 인한 수리가 요망될 때에는 작업자가 안내 부재(104B) 의 걸림턱(108)을 샤시프레임(200)의 오목 홈(204)으로 부터 외측으로 약간 밀어내고 샤시프레임(200)을 전면 캐비넷(100)으로부터 빼내는 동작만으로 샤시프레임(200)을 여타의 도구없이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체결수단 없이도 탄성력을 이용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의 전면캐비넷과 샤시프레임의 조립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수리시에도 간편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 범위내에서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

  1. 전면 캐비넷(100)에 샤시프레임(200)을 결합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면 캐비넷(100)의 저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재(104A)(104B)중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부재(104B)의 후방 단에는 외력을 받았을 때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걸림 편(1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200)의 측방부(206A)(206B)중의 적어도 하나의 측방부(206B)에는 오목 홈(204)이 형성되어, 상기 샤시프레임(200)이 상기 안내부재(104A)(104B)를 따라 상기 전면캐비넷(100)과 결합될 때 상기 걸림편(110)은 탄력에 의해 상기 오목 홈(204)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편(110)은 대체로 상기 안내 부재(104B)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형성되는 가느다란 제1요동부(107), 상기 제1요동부(107)의 후방단으로부터 연이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 턱(108) 및 상기 제1요동부(107)의 후방 단으로부터 연이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2요동부(109)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제2요동부(109)의 내측면은 외측방으로 굴곡되는 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 턱(108)이 탄력에 의해 상기 오목 홈(204)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KR2019950050831U 1995-12-28 1995-12-28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KR0135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831U KR0135873Y1 (ko) 1995-12-28 1995-12-28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831U KR0135873Y1 (ko) 1995-12-28 1995-12-28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264U KR970048264U (ko) 1997-07-31
KR0135873Y1 true KR0135873Y1 (ko) 1999-05-01

Family

ID=1944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831U KR0135873Y1 (ko) 1995-12-28 1995-12-28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264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873Y1 (ko)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KR100484140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스크린 고정장치
KR95001053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바닥판 조립구조
KR200154834Y1 (ko) 회로기판 및 케이스의 고정받침장치
KR0138542Y1 (ko) 텔레비전용 회로기판 결합부재
KR950007821Y1 (ko) 박판 체결용 스프링
KR0137215Y1 (ko) A/v 단자부의 터미널 고정장치
KR950005200Y1 (ko) 컴퓨터 본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KR0137214Y1 (ko) A/v 단자부 고정장치
KR0128979Y1 (ko)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900010734Y1 (ko) 고정식 단자대의 커버 체결장치
KR930006991Y1 (ko) 모니터 본체의 베이스와 본체박스 체결장치
KR19980015937U (ko) 스피커 커버 체결구조
KR960008936Y1 (ko) 텔레비젼의 샤시프레임-단자판 체결구조
KR970004209Y1 (ko) 스피커의 조립구조
KR970007544B1 (ko) 전자제품의 받침조절장치
KR200153817Y1 (ko) Vcr의 데크 가이드 조립구조
KR0114103Y1 (ko) 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 고정장치
KR940001035Y1 (ko) 진공청소기의 전동기 방음 용기
KR0116005Y1 (ko) 테이프레코더의 회로기판 접지판
KR0137213Y1 (ko) 영상표시기의 보조커버장치
KR19990000150U (ko) 분해/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확장카드
KR930008440Y1 (ko) 전기전자 기기의 내장물 결합 장치
KR960009862Y1 (ko) 텔레비젼의 프레임-피씨비기판 고정장치
KR19980020954A (ko) 컴퓨터 덮개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