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210B1 - 셀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셀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210B1
KR100395210B1 KR10-2001-0054035A KR20010054035A KR100395210B1 KR 100395210 B1 KR100395210 B1 KR 100395210B1 KR 20010054035 A KR20010054035 A KR 20010054035A KR 100395210 B1 KR100395210 B1 KR 10039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rack
latching
pair
la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628A (ko
Inventor
정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Priority to KR10-2001-005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2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4Frames or mounting racks for selector switches; Accessories therefor, e.g. frame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02Details of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장비인 랙 내부의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장착된 한 쌍의 랙 컬럼; 랙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랙 슬라이드에 삽입되어 랙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셀프 가이드가 좌우측면에 형성된 셀프 어셈블리; 및 상기 셀프 어셈블리의 전면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각각 체결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과 각각 기밀되게 결착되는 래칭 수단이 내부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셀프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을 최대한 확보해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셀프 고정 장치{SHELF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셀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장비에 장착되는 셀프 어셈블리를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셀프 핸들에 장착된 래칭 수단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구없이 통신 장비에 장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셀프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프 고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비인 랙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랙 슬라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셀프 어셈블리(12)의 좌우측에 형성된 셀프 가이드(14)를 삽입하고, 이후 랙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셀프 어셈블리(12)를 밀어 넣은 후 랙 내부의 좌우측에 장착된 한 쌍의 랙 컬럼(11)과 마주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스크류(13)를 이용하여 상기 셀프 어셈블리(12)를 체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셀프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셀프 어셈블리를 통신 장비에 장탈착시키고자 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만약 이러한 공구가 없는 경우에는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셀프 어셈블리와 랙 컬럼을 체결한 스크류의 (+),(-)가 마모된 경우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랙 컬럼과 셀프 어셈블리를 다수개의 스크류를 통해 체결함에 따라 다수개의 스크류가 통신 장비의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통신 장비의 고급화를 지향하는 장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셀프 어셈블리를 통신 장비로부터 용이하게 장탈착하고, 작업시의 번거로움을 줄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셀프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셀프 고정 장치는, 통신 장비인 랙 내부의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장착된 한 쌍의 랙 컬럼;
랙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랙 슬라이드에 삽입되어 랙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셀프 가이드가 좌우측면에 형성된 셀프 어셈블리; 및
상기 셀프 어셈블리의 전면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각각 체결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과 각각 기밀되게 결착되는 래칭 수단이 내부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셀프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셀프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랙 컬럼을 제거한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의 전면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의 부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셀프 핸들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이 셀프 핸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이 랙 컬럼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이 랙 컬럼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랙 컬럼 101 : 체결 구멍
200 : 셀프 어셈블리 201 : 셀프 가이드
300 : 래칭 수단 310 : 래칭 몸체
311 : 제 1 고정핀 구멍 312 : 나사공
313 : 삽입 구멍 320 : 스윙 핸들
321 : 착탈 돌기 322 : 스프링 고정 돌기
323 : 제 2 고정핀 구멍 330 : 고정핀
340 : 스프링 350 : 래칭 커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셀프 고정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셀프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셀프 고정 장치는 한 쌍의 랙 컬럼(100), 셀프 가이드(201)가 형성된 셀프 어셈블리(200), 래칭 수단(300), 및 셀프 핸들(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랙 컬럼(100)은 'ㄹ'자 또는 역 'ㄹ'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래칭 수단(300)이 결착될 수 있도록 'ㄴ'자 또는 역 'ㄴ'자 형상의 체결 구멍(101)이 형성되며, 통신 장비인 랙 내부의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셀프 어셈블리(200)는 랙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랙 슬라이드에 삽입되어 랙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셀프 가이드(201)가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장비의 내부에 탈실장 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칭 수단(300)은 상기 랙 컬럼(100)의 체결 구멍(101)을 통해 랙 컬럼(100)과 기밀되게 결착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래칭 수단(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몸체(310), 스윙 핸들(320), 고정핀(330), 스프링(340), 및 래칭 커버(3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칭 몸체(310)는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 1 고정핀 구멍(311)이 형성되고, 그 제 1 고정핀 구멍(311)이 형성된 인접한 길이 외측면으로 2개의 나사공(312)이 형성되며, 몸체의 길이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3개의 삽입 구멍(313)이 형성되고, 그 3개의 삽입 구멍(313) 사이로 4개의 나사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윙 핸들(320)은 상기 래칭 몸체(31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구멍(313)을 통해 끼워지는 한 쌍의 착탈 돌기(321)가 형성되고, 그 래칭 몸체(310)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 구멍(313)을 통해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 돌기(322)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 몸체(310)의 제 1 고정핀 구멍(311)과 일치되는 제 2 고정핀 구멍(3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330)은 상기 래칭 몸체(310)의 제 1 고정핀 구멍(311) 및 상기 스윙 핸들(320)의 제 2 고정핀 구멍(323)에 일체로 삽입되는 길이가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340)은 상기 래칭 몸체(3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 구멍(313)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링 고정 돌기(322)에 삽입되어, 상기 스윙 핸들(320)의 회전시 복원 가능한 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칭 커버(350)는 상기 래칭 몸체(310)의 4개의 나사공(312)이 형성된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나사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몸체(310)에 상부로부터 씌워진 후 스크류를 통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셀프 핸들(400)은 상기 셀프 어셈블리(200)의 전면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각각 체결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100)과 각각 기밀되게 결착되는 래칭 수단(300)을 내부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셀프 핸들(400)은, 상기 래칭 수단(300)이 내장될 수 있도록 중심위치에 상기 래칭 수단(300)의 크기 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그 래칭 수단(300)이 내장된 외측면에 스크류를 통해 상기 래칭 수단(300)과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랙 컬럼(10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어셈블리(200)가 통신 장비인 랙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100)과 상기 셀프 핸들(400)에 장착된 상기 래칭 수단(300)이 결착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에서 한 쌍의 랙 컬럼(100)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사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핸들(400)에 장착된 래칭 수단(300)을 하부로 당기게 되면 상기 래칭 수단(300)의 한 쌍의 착탈 돌기(321)가 상기 랙 컬럼(100)의 체결 구멍(101)으로 부터 분리되며, 이후 운용자가 상기 셀프 어셈블리(200)을 전방향으로 잡아 당김에 따라 통신 장비로부터 상기 셀프 어셈블리(200)가 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래칭 수단(300)이 상기 랙 컬럼(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이 도 11에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상기 래칭 수단(300)이 상기 랙 컬럼(100)의 체결 구멍(101)을 통해 상기 랙 컬럼(100)에 체결된 상태의 개략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래칭 수단(3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상기 래칭 수단(300)의 전면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며, 또한, 도 7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래칭 수단(300)의 부품을 분리한 상태로 배열한 부품도가 도시된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중 셀프 핸들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핸들에 상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래칭 수단(300)이 장착된 상태의 개략도가 도시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핸들(400)에 장착되는 상기 래칭 수단(300)은 스크류를 통해 서로 기밀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프 고정 장치는, 통신 장비에 장착되는 셀프 어셈블리를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신 장비에 장탈착이 가능하고, 스크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음에 따라 미감이 향상된 고급형의 통신 장비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셀프 고정 장치에 의하면, 통신 장비에 장착되는 셀프 어셈블리를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셀프 핸들에 장착된 래칭 수단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구없이 통신 장비에 장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을 최대한 확보해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셀프 어셈블리의 장탈착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통신 장비인 랙 내부의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장착된 한 쌍의 랙 컬럼;
    랙 내부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랙 슬라이드에 삽입되어 랙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되는 셀프 가이드가 좌우측면에 형성된 셀프 어셈블리; 및
    상기 셀프 어셈블리의 전면 좌우측에 스크류를 통해 각각 체결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과 각각 기밀되게 결착되는 래칭 수단이 내부에 각각 장착된 한 쌍의 셀프 핸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랙 컬럼은, 'ㄹ'자 또는 역 'ㄹ'자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중심 위치에서 상기 래칭 수단이 결착될 수 있도록 'ㄴ'자 또는 역 'ㄴ'자 형상의 체결 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셀프 핸들은, 상기 래칭 수단이 내장될 수 있도록 중심위치에 상기 래칭 수단의 크기 보다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그 래칭 수단이 내장된 외측면에 스크류를 통해 상기 래칭 수단과 체결되며, 상기 한 쌍의 랙 컬럼이 용이하게삽입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고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수단은,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 1 고정핀 구멍이 형성되고, 그 제 1 고정핀 구멍이 형성된 인접한 길이 외측면으로 2개의 나사공이 형성되며, 몸체의 길이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3개의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그 3개의 삽입 구멍 사이로 4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래칭 몸체;
    상기 래칭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삽입 구멍을 통해 끼워지는 한 쌍의 착탈 돌기가 형성되고, 그 래칭 몸체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래칭 몸체의 제 1 고정핀 구멍과 일치되는 제 2 고정핀 구멍이 형성된 스윙 핸들;
    상기 래칭 몸체의 제 1 고정핀 구멍 및 스윙 핸들의 제 2 고정핀 구멍에 일체로 삽입되는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고정핀;
    상기 래칭 몸체의 중심에 위치하는 삽입 구멍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프링 고정 돌기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래칭 몸체의 4개의 나사공이 형성된 대응하는 위치에 4개의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래칭 몸체에 상부로부터 씌워진 후 스크류를 통해 체결되는 래칭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고정 장치.
KR10-2001-0054035A 2001-09-04 2001-09-04 셀프 고정 장치 KR100395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35A KR100395210B1 (ko) 2001-09-04 2001-09-04 셀프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035A KR100395210B1 (ko) 2001-09-04 2001-09-04 셀프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28A KR20030020628A (ko) 2003-03-10
KR100395210B1 true KR100395210B1 (ko) 2003-08-21

Family

ID=2772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035A KR100395210B1 (ko) 2001-09-04 2001-09-04 셀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66Y1 (ko) * 2012-12-07 2014-01-24 (주)디포그 통신장비 보관용 랙에 구비된 블랭크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628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10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90350320A1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KR100395210B1 (ko) 셀프 고정 장치
KR100448189B1 (ko) 컴퓨터
KR20050031546A (ko) 통신 랙의 가변 쉘프
KR200330994Y1 (ko) 케이블릴의 멀티콘센트
KR100535575B1 (ko) 체인지 레버부츠 결착구조
KR100242844B1 (ko) 스크류캡에 악세사리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KR200283196Y1 (ko) 단자대 착탈구조
KR200307048Y1 (ko) 기판보드어셈블리의 후크 방식의 전면판 착탈장치
KR200364232Y1 (ko)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JP2002151857A (ja) 機器収納箱
KR200184265Y1 (ko) 차량용 거치대 고정 장치
KR0135873Y1 (ko) 텔레비전의 샤시프레임 결합구조
US20070094678A1 (en) Detachable structure for disk drive
KR960006404Y1 (ko) 컴퓨터 본체케비넷의 카드홀더 고정장치
KR200377757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160160Y1 (ko) 통신기기의 하우징 고정장치
JP4274757B2 (ja) ユニット装置筐体
KR900005431Y1 (ko) 슬라이드 볼륨의 결착 장치
JP3131826U (ja) 自動車のインダッシュ装置
KR200172455Y1 (ko) 바홀더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악세사리바를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JP2002174215A (ja) 部材取付構造
KR910002299Y1 (ko) 차량용 무선기기의 상, 하 케이스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