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381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381B1
KR100597381B1 KR1020040061096A KR20040061096A KR100597381B1 KR 100597381 B1 KR100597381 B1 KR 100597381B1 KR 1020040061096 A KR1020040061096 A KR 1020040061096A KR 20040061096 A KR20040061096 A KR 20040061096A KR 100597381 B1 KR100597381 B1 KR 10059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lock device
members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414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잠그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잠그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잠그미
Priority to KR102004006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38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며, 그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가지는 도어록 본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에 왕복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된 때에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져 걸리는 삽입부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A 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는 데 필요한 부분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이동부재가 분리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10...도어록 본체
12...커버 14...핸들
16...보조판 18...모티스
20...데드볼트 30...하우징
40...손잡이 50...이동부재
52...브라켓 54...탄성부재
60...회전부재 62...샤프트
100...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 120...내측보조판
130...외측보조판 140...축위치결정부재
150...축 152...위치조절부
154...피니언 172...고정홈
190...고정로드 192...랙
301...걸림부 501...결합부
502...홈부 601...삽입부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비와 설치비가 줄어들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과,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과,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를 가지는 모티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 하우징에는 손잡이가 그 실외측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손잡이의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하여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또한, 손잡이와 유사하게, 상기 실외측 하우징에도 핸들이 결합되어 있어, 그 핸들의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하여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최근에는 전기,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는 실외측 하우징에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입력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모티스를 설치하기 위한 모티스설치구멍이 표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티스에는 그 모티스를 관통하는 한 쌍의 표준구멍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공개특허공보 제2003-488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종래의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110)를 모티스설치구멍에 끼워 넣은 후, 나사결합에 의해 도어(180)에 장착한다. 그 후에, 외측보조판(130)을 도어의 실외측에 위치시킨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110)에 형성된 표준구멍(112)들에 축(150)들을 각각 끼운다. 이와 같이 축(150)들을 끼워 넣어 외측보조판(130)을 도어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외측보조판(130)의 네모서리에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외측보조판(130)을 도어(180)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내측보조판(120)을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에, 내측보조판(120)의 네모서리에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내측보조판(120)을 도어(18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외측보조판(130)과 내측보조판(120)이 도어에 설치된 후에, 실외측 하우징(170)을 외측보조판(130)의 테두리(132)에 삽입시켜 가조립한다. 이와 같은 가조립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50)을 회전시켜 축의 피니언(154)과 치합되어진 랙(192)을 가지는 고정로드(190)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실외측 하우징(170)에 형성된 고정홈(172)들에 끼워지게 한다. 그 후에, 축(150)의 각형의 위치조절부(152)를 각형 구멍(142)이 형성된 축위치결정부재(140)에 끼운다. 이와 같이 위치조절부(152)가 축위치결정부재(140)에 끼워진 후, 그 축위치결정부재(140)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내측보조판(120)에 고정시켜, 축(150)의 충격력 등에 의한 임의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실외측 하우징(170)을 설치한 후에, 실내측 하우징(160)을 내측보조판(120)의 테두리(122)에 삽입시켜 도어에 밀착한 후에, 스크류에 의해 내측보조판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축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축위치결정부재가 필요하며, 축에는 각형의 위치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어 봉 형상의 표준품을 한 번 더 가공해야하므로, 도어록 장치의 생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의 충격력 등에 의한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결합에 의해 축위치결정부재를 고정시키는 공정이 추가로 발생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가 4개 구비되어, 그 조립비용과 조립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적은, 생산비와 설치비가 줄어들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일반인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며, 그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가지는 도어록 본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에 왕복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된 때에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져 걸리는 삽입부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는 도어록 본체(10)와, 하우징(30)과, 손잡이(40)와,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록 본체(10)는 도어(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커버(12)와, 핸들(14)과, 모티스(18)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도어(1)에 나사 결합된 보조판(16)을 매개체로 그 보조판(16)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도어(1)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핸들(14)은 상기 커버(12)에 설치된 것이다. 그 핸들(14)은 상기 커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모티스(18)는 데드볼트(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0)에 설치된다. 상기 데드볼트(20)는 상기 도어(1)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데드볼트(20)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도어(1)는 록킹 및 록킹 해제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도어(1)의 일측,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1)의 실외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에는 걸림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01)는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상측 내면과 하측 내면에 각각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하우징(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30)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4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20)에 연결되어 있어, 그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상기 데드볼트(20)가 상기 모티스(18)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1)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상기 핸들(14)도 상기 손잡이(40)와 마찬가지로 상기 데드볼트(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도어(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이동부재(50)와, 회전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은 상기 도어(1)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52)을 매개체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브라켓(52)에 형성된 돌출부(521)들과 브라켓의 절곡부(522)에 형성된 슬롯들에 끼워져 상기 도어(1)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0)들 한 쌍은 후술하는 상기 회전부재(60)들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에는 결합부(501)와 홈부(5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01)는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에 복수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은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각각 걸려서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도어(1)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후술하는 상기 회전부재(60)의 회전중심축, 즉 샤프트(62)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결합위치와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재(50)들의 왕복이동은 상기 돌출부(521)들과 상기 절곡부(522)의 슬롯들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결합위치는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상기 결합부(501)들이 걸려서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에 결합되는 위치이다. 상기 분리위치는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상기 결합부(501)들이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이다. 상기 이동부재(50)들은 한 쌍의 탄성부재(54)들에 의해 상기 분리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상기 홈부(502)는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이동부재(50)의 홈부(502)들 각각은 상기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50)의 홈부(502)들 각각과 서로 마주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60)는 상기 도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도어(1)에 설치된 것으로서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60)들 각각은 그 외주면이 상기 이동부재(50)들과 접촉하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60)는 샤프트(62)와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62)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샤프트(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2)에 끼워져, 상기 도어(1)와 모티스(18)와 보조판(16)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60)는 상기 샤프트(62)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회전에 연 동되어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즉, 상기 회전부재(60)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50)들은 서로 반대방향, 예컨대 하나의 이동부재(50)는 상방으로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50)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회전부재(60)들 각각에는 삽입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601)는 상기 회전부재(6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부분이다. 상기 회전부재들 각각의 삽입부(601)들은 상기 이동부재(50)들의 서로 마주하는 홈부(502)들에 동시에 끼워져 걸린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60)들의 삽입부(601)들이 상기 홈부(502)들에 걸리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60)들의 충격력 등에 의한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이동부재(50)들과 회전부재(60)들은, 상기 회전부재(60)들 각각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521)들을 덮는 시트들(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5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를 도어에 설치하는 방법과 설치된 도어록 장치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록 장치(100)를 도어(1)에 설치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모티스(18)를 도어(1)에 형성되어 있는 모티스설치구멍에 끼워 넣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도어(1)에 고정시킨다. 모티스(18)를 설치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2)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부재(50)들과 한 쌍의 회전부재(60)들과 한 쌍의 샤프트(62)들을 도어(1)의 실외측면에 위치시킨 다음에,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62)들을 모티스(18)의 표준구멍들에 끼운다. 그 후에, 브라켓(52)을 나사를 이용하여 도어(1)의 실외측면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52)이 설치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16)을 도어(1)의 실내측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보조판(16)과 브라켓(52)을 장착하게 되면, 샤프트(62)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의 실내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샤프트(62)들을 적절하게 회전시켜, 이동부재(50)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의 결합부(501)들이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이탈하는 분리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내면을 브라켓(52)의 절곡부(522)에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도어(1)의 실외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이 도어(1)의 실외측면에 밀착된 후에, 회전부재(60)들을 일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부재(60)들은 그 외주면이 이동부재(50)들과 접촉하고 있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회전부재(60)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부재(50)들은 그 회전부재(60)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60)의 상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상방으로, 하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상기 상측의 이동부재(50)와는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탄성부재(54)들은 탄성변형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60)가 회전하여 도 6의 상태에서 약 9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탄성부 재(54)들이 탄성변형이 된 상태에서, 이동부재(50)들은 각각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0)들 각각의 한 쌍의 결합부(501)들은 하우징(30)의 상측과 하측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301)들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501)들이 걸림부(301)들에 걸리게 되어 하우징(30)은 도어(1)의 실외측면에 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60)들 각각의 한 쌍의 삽입부(60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의 서로 마주하는 홈부(502)들에 끼워져 걸리게되어, 샤프트(62)의 충격력 등에 의한 임의의 회전이 방지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탄성부재(54)들 각각이 이동부재(50)들 각각을 분리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삽입부(601)들의 홈부(502)들에의 걸림 현상은 샤프트(62)의 충격력 등에 의한 임의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샤프트(62)를 회전시키지 않는다면, 하우징(30)은 도어(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을 도어(1)에 설치한 후에, 커버(12)를 도어(1)의 실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보조판(16)에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커버(12)는 보조판(16)을 매개체로 하여 도어(1)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는 회전부재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도어록 장치를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결합부가 걸림부에 걸림과 동시에 삽입부가 홈부에 끼워져 걸리므로,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는 비용과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 한,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면,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이 도어록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입력부분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고가의 제품이어서 이사 시에 도어로부터 분리하여 새로 이사가는 집에 장착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에 설치된 도어록 장치(100)를 분리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100)가 도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12)와 보조판(16)을 결합시키고 있는 나사(11)를 풀어서, 핸들(14)이 결합되어 있는 커버(12)를 도어(1)의 실내측에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커버(12)를 분리한 후,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어 있는 한 쌍의 샤프트(62)들을 회전시켜, 홈부(502)들에 끼워져 걸려있는 삽입부(601)들을 그 홈부(502)들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삽입부(601)들이 홈부(502)들에서 이탈된 후에는, 탄성부재(54)들에 의해 분리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던 이동부재(50)들 각각은 그 탄성력에 의해 분리위치에 위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그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이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30)을 도어(1)의 실외측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커버(12)와 하우징(30)이 분리된 상태에서, 나사를 풀어서 보조판(16)을 도어(1)로부터 분리한다. 보조판(16)을 도어(1)로부터 분 리한 후에, 나사를 풀어서 브라켓(52)을 도어(1)로부터 분리한다. 이 때에, 한 쌍의 이동부재(50)들과 한 쌍의 회전부재(60)들과 한 쌍의 샤프트(62)들은 브라켓(52)과 일체가 되어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도어(1)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 모티스(18)를 도어(1)로부터 분리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록 장치를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하며, 그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는 비용과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이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4)

  1. 도어에 설치되며, 그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가지는 도어록 본체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부와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하는 캠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에 왕복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에 위치된 때에 임의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홈부에 끼워져 걸리는 삽입부를 가지는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한 쌍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에는 상기 결합부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리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재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재들의 각 결합부들에 각각 걸리도록 그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의 내면에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에는 상기 홈부가 한 쌍씩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이동부재의 홈부들 각각은 상기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의 홈부들 각각과 서로 마주하고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각 회전부재의 삽입부는, 상기 이동부재들의 서로 마주하는 홈부들에 동시에 끼워져 걸리도록 그 회전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40061096A 2004-08-03 2004-08-03 도어록 장치 KR10059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096A KR100597381B1 (ko) 2004-08-03 2004-08-03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096A KR100597381B1 (ko) 2004-08-03 2004-08-03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414A KR20060012414A (ko) 2006-02-08
KR100597381B1 true KR100597381B1 (ko) 2006-07-20

Family

ID=3712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096A KR100597381B1 (ko) 2004-08-03 2004-08-03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3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243U (ko) * 1998-06-23 2000-01-25 김영환 통신시스템용 렉의 도어 잠금장치
KR20000014999U (ko) * 1998-12-31 2000-07-25 김종수 잠금장치
KR200238414Y1 (ko) 2001-03-27 2001-10-18 주식회사 지오텍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100415945B1 (ko)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243U (ko) * 1998-06-23 2000-01-25 김영환 통신시스템용 렉의 도어 잠금장치
KR20000014999U (ko) * 1998-12-31 2000-07-25 김종수 잠금장치
KR200238414Y1 (ko) 2001-03-27 2001-10-18 주식회사 지오텍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100415945B1 (ko)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414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92B2 (en) Locking system having an electronic keeper
US10968661B2 (en) Locking system having an electronic deadbolt
US8434335B2 (en)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KR101706037B1 (ko) 문 흔들림 방지용 도어락 스트라이커 조립체
US7708322B2 (en) Actuator for use in fenestration systems
KR100597381B1 (ko) 도어록 장치
KR100629735B1 (ko) 도어록 장치
US3878585A (en) Hinge assembly
KR100717688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CA3034096A1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having a deadbolt and keeper
KR100882419B1 (ko) 상, 하 잠금부를 갖는 미닫이문의 잠금부 동시 개폐장치
KR102026443B1 (ko)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KR101802481B1 (ko) 시공 구조를 개선한 보조 도어 락 장치
JP4320981B2 (ja) 電気機器盤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402217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CN220267415U (zh) 一种固定稳固的装配锁
CN220705413U (zh) 一种单侧开关的锁
EP3899172B1 (en) Kit and method for the realisation of doors or windows and door or window
RU2790634C2 (ru) Набор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ерей или окон и дверь или окно
KR200298207Y1 (ko) 단자함
KR200336803Y1 (ko) 도어록 시스템의 모티스용 스페이서
KR100910702B1 (ko)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KR20100005741U (ko)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