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999U -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999U
KR20000014999U KR2019980028378U KR19980028378U KR20000014999U KR 20000014999 U KR20000014999 U KR 20000014999U KR 2019980028378 U KR2019980028378 U KR 2019980028378U KR 19980028378 U KR19980028378 U KR 19980028378U KR 20000014999 U KR20000014999 U KR 200000149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n
lid
fasten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5070Y1 (ko
Inventor
최지호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80028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0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070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조립체(32)에 고정된 고정블록(52), 조립체에 뚜껑(30)이 체결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52)에 삽입되는 고정핀(50), 상기 고정블록(52)에 고정핀(50)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체결유지부(6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없이 조립체에 뚜껑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
본 고안은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장치에는 여러 가지 부품을 사용하며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체결수단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주로 나사,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류 또는 래치와 같은 화스너(fastener)류가 사용되었는데 상기의 체결수단은 특별한 용구를 사용해야 하고 분해 및 조립에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분해 및 조립을 빈번히 해야 하는 조립체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체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체결수단이 풀어지거나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종래 나사 및 1/4 턴(turn) 구성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조립체(12)에 뚜껑(10)이 나사(14)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나사(14)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수단이다. 나사(14)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조립체(12)에 뚜껑(10)을 끼운 후, 나사(14)를 나사체결부에 집어넣고 드라이버로 돌려 체결한다.
일반적인 체결류로 볼트와 너트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하는 방식도 상기와 거의 유사하다. 즉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조립체 및 뚜껑 체결부에 동시에 삽입하고, 볼트에 너트를 끼우고 스패너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여야 한다.
그런데, 조립체(12)에 따라서는 분해 및 조립을 빈번히 하여야 하는 것도 있는데, 그런 조립체(12)를 나사(14)로 체결하는 경우, 분해 및 조립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나사(14)의 나사산이 손상될 수 있어 조립체에 대한 뚜껑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체(12)에서 뚜껑(10)을 분해 및 조립할 때마다,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14)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분해 및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고 반드시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분해 및 조립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조립체(12)에 진동 및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나사(14)가 풀어지는 경우도 있어 조립체(12)에 대한 뚜껑(10)의 체결력에도 문제가 있다.
도 2a, 2b는 1/4를 회전시키면 체결되는 화스너(20)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체결한 상태도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화스너(20)를 이용하여 조립체(12')에 뚜껑(1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조립체(12')에 뚜껑(10')을 끼운 후, 화스너 체결부에 화스너(20)를 삽입하고 1/4 원 만큼 회전시켜 조립체(12')에 뚜껑(10')을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스너에 의한 조립체의 체결의 경우에는 나사에 비해 체결이 용이하기는 하나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체를 신속,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는 종래 나사에 의해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2a, 2b는 종래 1/4 턴(turn)에 의해 조립체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뚜껑을 체결한 상태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 압축전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c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의 압축상태의 측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정블록에 고정핀이 삽입되기 전과 후의 상태도.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해 체결되기 전의 조립체 평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체결순서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분해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뚜껑 31 : 홈
32 : 조립체 50 : 고정핀부
52 : 고정블록 54 : 통과공
56,66 : 핀 58,72 : 나사
60 : 체결유지부 62, 64 : 블록
65 : 링 68 : 압축스프링
70 : 커버 74 : 나사 체결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조립체에 고정된 고정블록부; 상기 조립체에 체결되는 부품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부에 체결되는 고정핀부; 상기 고정블록부에 고정핀부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체결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체결될 부품을 조립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누른 후 일측으로 밀기만 하면 조립체의 고정블록에 부품의 고정핀이 삽입되기 때문에 조립체에 부품을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하면 간단하게 조립체에서 부품을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수단은, 상부로부터 힘을 받는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과 연동되는 핀; 상기 핀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블록; 상기 핀의 외주연에 끼워져 핀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압축 스프링이 장착된 체결유지수단을 누른 후 고정블록과 고정핀을 체결하기 때문에, 체결후 부품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체결유지수단은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부품의 홈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고정블록에 고정된 고정핀이 부착된 부품의 우측면은 상기 체결유지부에 걸려서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어 부품은 조립체에서 용이하게 분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체에 부품이 강력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조립체에서 부품을 분해할 때에는 고정블록에서 고정핀을 분리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부품이 상방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조립체에서의 분해가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는 크게, 조립체(32)에 고정된 고정블록(52), 조립체에 뚜껑(30)이 체결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블록(52)에 삽입되는 고정핀(50), 상기 고정블록(52)에 고정핀(50)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체결유지부(6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4b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유지부(60)의 전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c는 상기 체결유지부(60)의 압축스프링(68)이 압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체결유지부(60)는, 힘을 받는 상부블록(64), 상기 상부블록(64)과 연동되는 핀(66), 상기 핀(66)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블록(62), 상기 핀(66)의 외주연에 끼워져 핀(66)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8), 상기 하부블록(62)을 조립체에 고정하는 고정부(7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블록(64)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받는 부분으로, 상부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상부블록(64)의 하측에 삽입되어 고정된 핀(68)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을 조립체에 체결할 때 체결되는 뚜껑에 의해 일부분이 걸쳐져 눌릴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ㄴ"자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66)의 상단은 상부블록(64)에 삽입, 고정되어 있어 상부블록(64)과 핀(66)은 연동한다. 그리고 핀(66)의 하부는 하부블록(6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블록(62)은 좌우측으로 돌출된 고정부(74)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고정부(74)에는 나사체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체에 체결유지부(6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압축 스프링(68)은 상기 핀(66)의 하부에 끼워져 있는데, 상기 압축 스프링(68)의 하단은 하부블록(62)의 하단 커버(7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핀(66)에 끼워진 링(65)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핀(66)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핀(66) 외주면에 끼워진 링(65)과 하부블록 하단 커버(70)사이에서 스프링(68)이 압축되게 된다.
상기 커버(70)는 하부블록(62)의 하단에 나사(72)로 고정되어 스프링(6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커버(70)에는 핀(66)의 직경과 동일한 핀(66) 통과공이 구비되어 핀(66)는 통과하나, 핀(66)보다 직경이 큰 스프링(68)의 하단은 통과하지 못하고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체결유지부(60)는 조립체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어, 뚜껑이 체결될 때 뚜껑에 의해 상기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이 눌려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블록(64)에 그 일단이 삽입, 고정된 핀(66)이 하방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핀(66)이 하방으로 운동하게 되면, 핀(66)의 하부 외주면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68)이 핀의 링(65)과 하부블록(62) 하단의 커버(70)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스프링(68)이 압축시키면서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하기 때문에, 뚜껑(30)이 조립체(32)에 일단 체결되면 상기 체결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자세한 것은 동작설명에서 한다.
또한, 체결유지부(60)는, 조립체(32)에서 뚜껑(30)이 분해될 때 분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에 대해서도 동작설명에서 한다.
도 5a, 5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의 고정블록(52)에 고정핀(50)이 체결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상기 고정블록(52)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면, 고정블록(52)은 나사(58)에 의해 조립체(32)에 고정되는 하부와, 고정핀(56)이 삽입되는 통과공(54)이 구비된 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50)은 나사(58)에 의해 뚜껑(30)의 하면에 고정되는 상부와 상기 고정블록(52)에 끼워지는 핀(56)이 설치된 하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블록(52)은 조립체의 4개소에 설치되어, 고정핀(5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정핀(50)은 조립되는 뚜껑(30)의 하면 4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록(52)에 끼워져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52)의 통과공(54)에 고정핀(50)의 핀(56)이 삽입되면 고정블록(52)이 장착된 조립체와 고정핀(50)이 장착된 뚜껑이 체결되게 된다.
도 6a는 조립되기 전 조립체(32)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내부에는 체결유지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측 및 하측 내부 4개소에는 고정블록(52)이 체결되어 있다.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조립체(32)에 뚜껑(30)을 체결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체결될 뚜껑(30)을 조립체(32)의 우측에 위치한 체결유지부(60)에 얹어놓고 하방으로 누른다. 그러면, 뚜껑(30)이 체결유지부(60) 상부블록(64)의 "ㄴ"자 홈에 걸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블록(64)이 힘을 받음에 따라 핀(66)이 연동되고 스프링(68)이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핀(50)의 핀(56)이 고정블록(52)의 홈(54)에 끼워지도록 뚜껑(30)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민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핀(50)를 고정블록(52)에 체결한 후, 뚜껑(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체결유지부(60)는 스프링(68)의 복원력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상기 뚜껑(30)의 우측 중앙부, 체결유지부(6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좌측으로 홈(31)이 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유지부(60)가 뚜껑(30)의 홈(31)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고정블록(52)에 고정된 고정핀(50)이 부착된 뚜껑(30)의 우측면은 상기 체결유지부(60)에 걸려서 단단하게 고정되어 뚜껑(30)은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체결유지부(6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외부에서 조립체(32)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만으로는 뚜껑(30)이 조립체(32)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뚜껑(30)을 하방으로 누른 다음 좌측으로 밀면 아주 용이하고 신속하게 뚜껑(30)을 조립체(32)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해 조립체(32)에 뚜껑(3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서도 체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빈번한 조립 및 분해에도 소모되는 구성요소가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력도 우수하다.
한편, 도 7은 상기와 같이 체결된 뚜껑(30)을 조립체(32)에서 분해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홈(31) 외부로 돌출된 체결유지부(60)를 손으로 압축하면 뚜껑(30)의 우측면을 고정하고 있던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의 우측면이 제거되기 때문에, 뚜껑(30)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밀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블록(52)에서 고정핀(50)이 분리되고, 상기 뚜껑(30)의 우측면은 체결유지부(60)의 상부블록(64)의 "ㄴ"자 홈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체결유지부(60)의 스프링(68)의 탄성으로 뚜껑(30)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조립체(32)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에 의한 체결유지부(60)를 하방으로 누른 후, 조립체(32)에 체결된 뚜껑(30)을 우측으로 밀면 뚜껑(30)을 조립체(30)에서 아주 간단하고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미는 동작만으로 부품의 조립 및 분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력이 강화되어 조립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부품이 분리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조립체에 고정된 고정블록부;
    상기 조립체에 체결되는 부품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블록부에 체결되는 고정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부에 고정핀부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체결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지수단은,
    힘을 받는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과 연동되는 핀;
    상기 핀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블록;
    상기 핀의 외주연에 끼워져 핀의 일측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구조.
KR2019980028378U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KR200245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99U true KR20000014999U (ko) 2000-07-25
KR200245070Y1 KR200245070Y1 (ko) 2001-12-01

Family

ID=6950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78U KR200245070Y1 (ko) 1998-12-31 1998-12-31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0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45B1 (ko) *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100597381B1 (ko) * 2004-08-03 2006-07-20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45B1 (ko) *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KR100597381B1 (ko) * 2004-08-03 2006-07-20 주식회사 잠그미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070Y1 (ko)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420B1 (ko) 로킹와셔및이를이용한로킹장치
KR20000014999U (ko) 잠금장치
JP4222219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200391188Y1 (ko) 볼팅이 용이한 와셔볼트의 와셔 구조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JP2000249131A (ja) ボルトまたはナットの回り止め構造
US10899175B2 (en) Wheel lock key assembly and wheel lock key retention mechanism
KR20200039397A (ko) 풀림방지용 너트
KR200172774Y1 (ko) 맨홀뚜껑의 잠금 장치
KR200224746Y1 (ko) 파일양생용 몰드의 고정구
KR200377232Y1 (ko) 손수레의 캐스터 취부구조
GB2313168A (en) Security fasteners
KR200168140Y1 (ko) 구두 뒷굽
JPH1019013A (ja) 液晶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の脚固定具
KR200218360Y1 (ko) 냉간압연롤 그라인더 도그 장착장치
JPH0332825Y2 (ko)
KR19990031197A (ko)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JP2024038959A (ja) デッキプレート用インサート
KR100974495B1 (ko) 엔진 커버의 결합 구조
KR200150546Y1 (ko) 연료 분사펌프의 타이머 분리기
KR0128979Y1 (ko) 전자기기의 캐비넷 고정장치
KR100233596B1 (ko) 조임토크 설정형 윙볼트
KR200164835Y1 (ko) 잭 장착 렌치의 조작이 용이한 잭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JP2534544Y2 (ja) 自動車のホイールカバ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