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197A -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 Google Patents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197A
KR19990031197A KR1019970051819A KR19970051819A KR19990031197A KR 19990031197 A KR19990031197 A KR 19990031197A KR 1019970051819 A KR1019970051819 A KR 1019970051819A KR 19970051819 A KR19970051819 A KR 19970051819A KR 19990031197 A KR19990031197 A KR 1999003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ead
tightened
loosened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하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101997005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197A/ko
Publication of KR1999003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19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 수 없도록 고안한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부(1)는 둥근머리 또는 둥근접시머리 등과 같은 각지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1)의 하부에는 일정 부위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기둥부(2)가 체합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기둥부(2)의 하단면에는 드라이버(11)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십자 또는 일자형상의 홈부(5) 또는 다각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 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본 발명은 볼트 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 수 없도록 고안한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랫치(latch)등 잠금장치가 달려있는 부품을 조립하고 삽입한 쪽에서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하는데 유용한 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용도로 개발된 볼트는 도 1에서와 같이 볼트의 머리부(1)의 아래 부위에 사각기둥부(10)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 나사기둥부(2)를 형성하여, 프레임(3)에 볼트를 결합할시에 상기 사각기둥부(10)가 프레임(3)의 사각구멍(3a)에 끼워지도록 하여, 나사기둥부(2)에 너트(4)를 나합할 동안에 나사가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너트(4)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볼트는 볼트 그 자체도 사각기둥부(10)때문에 제작하기 힘들뿐 아니라 프레임(3)에 사각구멍(3a)을 뚫는 작업도 단순한 드릴작업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제작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원가 상승요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로서는 랫치등 잠금장치가 달려있는 부품을 조립할 경우에도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을 하여 볼트머리 쪽에서 풀 수 있기 때문에 잠금장치가 의미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볼트 구멍은 기존과 같이 드릴작업으로 뚫고 볼트의 형상도 기존의 형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볼트머리 쪽에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하던 사각 기둥부가 있는 볼트형상과 이에 연결되는 프레임의 형상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나사 기둥부가 생략된 일부 생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머리부가 생략된 일부 생략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도5a)는 볼트 체결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5b)는 볼트 체결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머리부 2 : 나사기둥부
3 : 프레임 4 : 너트
5 : 홈부 11 : 드라이버
12 : 스패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나사 기둥부가 생략된 일부 생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머리부가 생략된 일부 생략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볼트의 머리부(1)는 밖에서 풀수 없어야 하므로, 기존과 같이 십자홈이나 일자홈 등의 홈이 있어서는 안되며, 또 육각형 등의 각이 져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도 3에서 예를 든 것처럼 둥근머리 또는 둥근접시머리 등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머리부(1)의 하부에는 일정부위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기둥부(2)가 결합되는데, 너트(4) 체결시 그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십자형상의 홈부(5a) 또는 일자형상의 홈부(5b)등 기존 볼트에서 사용하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볼트체결시 상기 홈부(5)가 변형되어 직경이 커짐에 따라 너트(4)로 부터 볼트의 해체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홈부(5)가 위치하는 나사기둥부(2) 하단의 외경은 상기 나사기둥부(2)의 나머지 부위에서의 외경보다 충분히 작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사기둥부(2)의 하단에 형성된 홈부(5) 대신에 소켓렌치나 스패너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다각형상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나사기둥부(2)의 암나사부에 나합되어 있던 너트(4)가 분리 용이하도록 상기 다각형상부의 직경은 나사기둥부(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도5a)는 볼트 체결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5b)는 볼트 체결중인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볼트를 프레임(3)에 체결하려면 먼저 상기 프레임(3)에 종래와 같이 드릴작업을 통하여 원형 구멍(3b)을 뚫고 볼트의 나사기둥부(2)를 끼워 넣은후 너트(4)를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나사기둥부(2) 하단에 형성된 홈부(5)를 드라이버(11)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한 상기 너트(4)를 스패너(12)등으로 돌려 체결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를 사용하면 종래의 사각기둥 형상의 볼트에 비하여 프레임(3)에 볼트 구멍을 뚫을 때 드릴작업으로 간단히 작업을 할 수 있고, 볼트 제조비용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보안이 필요한 곳에 잠금장치를 장착할 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트는 나사기둥부(2)에 사각기둥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볼트 제조원가가 크게 경감되며, 프레임(3)의 볼트구멍도 일반 드릴을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볼트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머리부(1)는 둥근머리 또는 둥근접시머리 등과 같은 각지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1)의 하부에는 일정 부위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기둥부(2)가 체합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기둥부(2)의 하단면에는 드라이버(11)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십자 또는 일자형상의 홈부(5)가 형성되거나, 소켓렌치나 스패너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각형상부가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5) 또는 다각형상부가 위치하는 나사기둥부(2) 하단의 외경은 상기 나사기둥부(2)의 나머지 부위에서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 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KR1019970051819A 1997-10-09 1997-10-09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Ceased KR19990031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819A KR19990031197A (ko) 1997-10-09 1997-10-09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819A KR19990031197A (ko) 1997-10-09 1997-10-09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197A true KR19990031197A (ko) 1999-05-06

Family

ID=6604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819A Ceased KR19990031197A (ko) 1997-10-09 1997-10-09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1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83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멤버 체결구조
KR102279933B1 (ko) 2021-01-27 2021-07-21 (주) 진테크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의 접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183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멤버 체결구조
KR102279933B1 (ko) 2021-01-27 2021-07-21 (주) 진테크 모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의 접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7842A1 (en) Fastening structure
KR920009598B1 (ko)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KR19990031197A (ko) 볼트머리쪽에서 풀거나 조일수 없도록 제작된 볼트
KR102324647B1 (ko) 렌치 탭핑 스크류 볼트
KR100422126B1 (ko) 렌치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JP3874857B2 (ja) ネジ式固定具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GB2313168A (en) Security fasteners
KR200335772Y1 (ko) 조립식앵글용 볼트와 너트
KR200413711Y1 (ko) 보울트 조립구조
JP2002061135A (ja) フエンス
KR200381417Y1 (ko)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KR200233603Y1 (ko) 렌치볼트
KR200271410Y1 (ko) 볼트
JPH06280842A (ja) 緩み止め用ねじ部品
KR100613125B1 (ko) 레벨푸트 및 이의 조립방법
JP2002372013A (ja) 締結装置
JP4363945B2 (ja) 柱脚金物
JP3342675B2 (ja) 物品締付け装置
JPH0423141Y2 (ko)
KR20040040680A (ko) 볼트
KR200309465Y1 (ko) 체결볼트
KR200227752Y1 (ko) 록크너트 체결용 툴
KR19990025480U (ko) 풀림 방지용 볼트와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0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0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909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9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