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735B1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735B1
KR100629735B1 KR1020040067092A KR20040067092A KR100629735B1 KR 100629735 B1 KR100629735 B1 KR 100629735B1 KR 1020040067092 A KR1020040067092 A KR 1020040067092A KR 20040067092 A KR20040067092 A KR 20040067092A KR 100629735 B1 KR100629735 B1 KR 10062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lock device
coupl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620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잠그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잠그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잠그미
Priority to KR102004006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7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록 장치를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하며, 그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는 비용과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이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록 장치{A door lock device}
도 1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는 데 필요한 중요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이동부재가 분리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 11...모티스
12...커버 13...핸들
14...보조판 15...나사
20...데드볼트 30...하우징
40...손잡이 50...이동부재
52...브라켓 60...탄성부재
70...회전부재 71...샤프트
100...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
301...걸림부 501...결합부
502...랙부 521...돌출부
522...절곡부 701...피니언 기어부
본 발명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제조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줄어들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1)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80)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커버(160)와, 도어(180)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70)과, 도어(18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데드볼트(113)를 가지는 모티스(1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데드볼트(113)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상기 도어(180)는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상기 하우징(170)에는 손잡이(171)가 그 하우징(17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7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113)에 연결되어 있어, 그 손잡이(171)를 회전시키면 상기 데드볼트(113)가 상기 도어(18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180)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71)와 유사하게, 상기 커버(160)에는 핸들(161)이 결합되어 있어, 그 핸들(161)의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113)가 이동하여 도어(180)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최근에는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는 하우징(170)에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180)를 개폐할 수 있는 입력부분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티스(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모티스(110)를 관통하는 한 쌍의 표준구멍(112)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1)를 도어(18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110)를 도어(180)에 끼워 넣은 후 스크류를 사용하여 도어(180)에 고정시킨다. 그 후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0)들과 이동부재(190)들이 결합된 브라켓(130)을 도어(180)의 실외측에 위치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티스(110)에 형성된 표준구멍(112)들에 샤프트(150)들을 각각 끼운다. 이와 같이 샤프트(150)들을 끼워 넣어 브라켓(130)을 도어(180)의 외측면에 밀착시킨 후, 브라켓(130)의 네모서리에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브라켓(130)을 도어(180)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보조판(12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8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에, 보조판(120)의 네모서리에 스크류를 체결함으로써 보조판(120)을 도어(18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130)과 보조판(120)이 도어(180)에 설치된 후에, 하우징 (170)을 브라켓(130)의 테두리(132)에 삽입시켜 가조립한다. 이와 같은 가조립 상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0)를 회전시켜 샤프트의 피니언(154)과 치합되어진 랙부(192)를 가지는 이동부재(190)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하우징(170)에 형성된 걸림부(172)들에 끼운다. 그 후에, 샤프트(150)의 각형의 위치조절부(152)를 각형 구멍(142)이 형성된 축위치결정부재(140)에 끼워서, 샤프트(150)가 축위치결정부재(140)와 상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위치조절부(152)를 축위치결정부재(140)에 끼운 후, 그 축위치결정부재(140)를 스크류를 이용하여 보조판(120)에 고정시켜, 충격력 등에 의한 샤프트(150)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70)을 설치한 후에, 커버(160)를 보조판(120)의 테두리(122)에 삽입시켜 도어(180)에 밀착시킨다. 그 후에, 하우징(170)을 스크류에 의해 보조판(120)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각형의 위치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봉 형상의 표준품을 한 번 더 가공해야하며, 샤프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형 구멍이 형성된 축위치결정부재가 필요하므로, 도어록 장치의 생산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력 등에 의한 샤프트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축위치결정부재를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는 공정이 추가로 발생하여 설치비용과 설치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제조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줄어들며 전문가의 도움 없이 일반인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수단의 요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는 데드볼트(20)와, 하우징(30)과, 손잡이(40)와, 결합수단과, 회전부재(70)를 구비한다.
상기 데드볼트(20)는 도어(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데드볼트(20)는 모티스(11)에 설치되고 그 모티스(11)가 상기 도어(10)에 설치됨으로써 그 도어(10)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1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드볼트(20)가 문설주에 형성된 데드볼트 수용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록킹 및 록킹 해제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도어(10)의 일측,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도어(10)의 실외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10)의 타측,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의 실내측에는, 커버(12)가 그 도어(10)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커버(12)는, 상기 도어(10)에 나사 결합된 보조판(14)을 매개체로 그 보조판(1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도어(10)에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하우징(3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4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2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상기 데드볼트(20)가 상기 도어(10)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10)가 록킹 및 록킹해제된다. 한편, 상기 커버(12)에는 핸들(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핸들(13)은 상기 커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핸들(13)도 상기 손잡이(40)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 (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도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걸림부(301)와, 이동부재(50)와, 탄성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301)는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301)는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상측 내면과 하측 내면에 각각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은 후술하는 회전부재(70)들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은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에 나사 결합된 브라켓(52)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도어(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2)에 형성된 돌출부(521)들과 브라켓의 절곡부(522)에 끼워져 상기 브라켓(52)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50)에는 결합부(501)와 랙부(5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501)는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에 복수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은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각각 걸려서 상기 하우징(30)을 상기 도어(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후술하는 상기 회전부재(70)의 회전중심축, 즉 샤프트(71)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위치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의 왕복이동은 상기 돌출부(521)들과 상기 절곡부(522)들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결합위치는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상기 결합부(501)들이 걸려서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0)에 결합되는 위치이다. 상기 분리위치는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상기 결합부(501)들이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0)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이다.
상기 랙부(502)는 상기 이동부재(50)에 그 이동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부분인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에 한 쌍씩 구비되어 있다. 하나의 이동부재(50)에 형성된 랙부(502)들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50)에 형성된 랙부(502)들 각각과 서로 마주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을 상기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인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에 대해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단은 상기 브라켓(52)에 접촉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50)에 접촉 지지된다.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이 상기 탄성부재(60)들에 의해 상기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충격력 등에 의해 후술하는 회전부재(70)들이 임의로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재(50)들이 상기 분리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60)들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이 상기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도어(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회전부재(70)는 상기 도어(10)에 설치된 것이며, 그 도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70)는 샤프트(71)와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71)에 대해 상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샤프트(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2)에 끼워져, 상기 도어(10)와 모티스(11)와 보조판(14)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70)에는 피니언 기어부(7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부(701)는 상기 회전부재(7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치형의 부분이다. 상기 피니언 기어부(701)와 상기 랙부(502)의 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50)와 회전부재(70)는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70)가 상기 샤프트(71)의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50)는 상기 결합위치와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부재(70)가 한 쌍이 구비되어 있고, 그 회전부재(70)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50)들은 서로 반대방향, 예컨대 하나의 이동부재(50)는 상방으로 다른 하나의 이동부재(50)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도어록 장치(100)를 도어(10)에 설치하는 방법과 설치된 도어록 장치(100)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록 장치(100)를 도어(10)에 설치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티스(11)를 도어(10)에 끼워 넣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도어(10)에 고정시킨다. 모티스(11)를 설치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2)에 결합된 한 쌍의 이동부재(50)들과 한 쌍의 회전부재(70)들과 한 쌍의 샤프트(71)들을 도어(10)의 실외측면에 위치시킨다. 그 후에, 종래 기술에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71)들을 모티스(11)의 표준구멍(미도시)들에 끼운다. 그 후에, 브라켓(52)을 나사를 이용하여 도어(10)의 실외측면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52)이 설치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14)을 도어(10)의 실내측면에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보조판(14)과 브라켓(52)을 장착하게 되면, 샤프트(71)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실내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이동부재(50)들은 탄성부재(60)들에 의해 그 결합부(501)들이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에 걸리는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10)의 실내측에 노출된 샤프트(71)들을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부재(50)들은 그 샤프트(71)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70)의 상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하방으로, 하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상기 상측의 이동부재(50)와는 반대방향인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을 이동시켜,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이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이탈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때,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탄성부재(60)들에 의해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고,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회전부재(70)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 가능하 므로, 이동부재(50)들이 결합위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샤프트(71)들을 잡아준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하도록 샤프트(71)들을 잡아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내면을 브라켓(52)의 절곡부(522)에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하우징(30)을 도어(10)의 실외측면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을 도어(10)의 실외측면에 밀착시킨 후에, 샤프트(71)들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60)들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70)들은 이동부재들을 분리위치에 위치시키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부재(50)들은 그 회전부재(70)의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부재(70)의 상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상방으로, 하측에 위치한 이동부재(50)는 상기 상측의 이동부재(50)와는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 각각이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이동부재(50)들 각각의 한 쌍의 결합부(501)들은 하우징(30)의 상측과 하측의 내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301)들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501)들이 걸림부(301)들에 걸리게 되어 하우징(30)은 도어(10)의 실외측면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이 도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부재(50)들은 탄성부재(60)들에 의해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샤프트(71)들이 충격력 등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샤프트(71)들을 인위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다면, 하우징(30)은 도어 (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을 도어(10)에 설치한 후에, 커버(12)를 도어(10)의 실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에 의해 보조판(14)에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커버(12)는 보조판(14)을 매개체로 하여 도어(10)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와는 달리 이동부재의 결합부가 하우징의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표준품인 탄성부재만 구비하면 되므로 도어록 장치를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부가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도어록 장치를 설치하는 비용과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면,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이 도어록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를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생산하고 그 일측에 복수의 결합부들을 마련함으로써,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서 4개의 고정로드를 설치하는 경우와 달리 생산 및 조립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카드입력, 지문인식, 번호입력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입력부분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고가의 제품이므로, 새로 이사갈 집에 장착하기 위해 이사시에 도어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0)에 설치된 도어록 장치(100)를 분리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100)가 도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12)와 보조판(14)을 결합시키고 있는 나사(15)를 풀어서, 핸들(13)이 결합되어 있는 커버(12)를 도어(10)의 실내측에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커버(12)를 분리한 후, 도어(10)의 실내측에 노출되어 있는 샤프트(71)들을 회전시켜, 이동부재(50)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그 이동부재(50)들 각각의 결합부(501)들이 하우징(30)의 걸림부(301)들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때,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탄성부재(60)들에 의해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고, 이동부재(50)들 각각은 회전부재(70)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71)들을 잡아준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50)들이 분리위치에 위치하도록 샤프트(71)들을 잡아준 상태에서, 하우징(30)을 도어(10)의 실외측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샤프트(71)들을 놓는다. 샤프트(71)들을 놓게 되면, 이동부재(50)들은 탄성부재(60)들에 의해 결합위치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12)와 하우징(30)이 분리된 상태에서, 나사를 풀어서 보조판(14)을 도어(10)로부터 분리한다. 보조판(14)을 도어(10)로부터 분리한 후에, 나사를 풀어서 브라켓(52)을 도어(10)로부터 분리한다. 이 때에, 한 쌍의 이동부재(50)들과 한 쌍의 회전부재(70)들과 한 쌍의 샤프트(71)들은 브라켓(52)과 일체가 되어서 도어(10)로부터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도어(10)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 모티스(11)를 도어(1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부재들 각각에는 한쌍의 탄성부재들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동부재들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상측에 배치된 이동부재에만 탄성부재들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측의 이동부재에만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랙부와 피니언 기어부가 기어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들은 모두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부가 하우징의 상·하측의 내면에 마련되고 이동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걸림부가 그 하우징의 좌·우측의 내면에 마련하고, 이동부재가 죄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외주면 전체에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회전부재의 외주면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동부재의 일측에는 그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부재가 샤프트의 회전중심에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의 결합부가 하우징의 걸림부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표준품인 탄성부재만 구비하면 되므로 도어록 장치 의 제조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반인이 도어록 장치를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를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생산하고 그 일측에 복수의 결합부들을 마련함으로써, 생산 및 조립에 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도어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노출되게 그 도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하우징에 설치되어 그 회전 시에 상기 데드볼트가 이동되도록 그 데드볼트에 연결된 손잡이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에 상기 결합부가 걸려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로부터 상기 결합부가 이탈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결합위치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도어에 설치되고, 그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에 왕복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재에 연결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그 외주면에 피니언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피니언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랙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재의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랙부의 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한 쌍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에는 상기 결합부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들 각각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이동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재들의 회전에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재들의 각 결합부들에 각각 걸리도록 그 하우징의 상측과 하측의 내면에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1020040067092A 2004-08-25 2004-08-25 도어록 장치 KR10062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92A KR100629735B1 (ko) 2004-08-25 2004-08-25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092A KR100629735B1 (ko) 2004-08-25 2004-08-25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20A KR20060018620A (ko) 2006-03-02
KR100629735B1 true KR100629735B1 (ko) 2006-09-28

Family

ID=3712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092A KR100629735B1 (ko) 2004-08-25 2004-08-25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09B1 (ko) * 2012-08-27 2014-04-14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63Y1 (ko) * 2017-07-21 2018-07-20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도어락 케이스의 장착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45B1 (ko)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45B1 (ko) 2002-02-25 2004-01-24 박지순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809B1 (ko) * 2012-08-27 2014-04-14 (주)에버넷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20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92B2 (en) Locking system having an electronic keeper
US10968661B2 (en) Locking system having an electronic deadbolt
US8434335B2 (en) Combination door latch and deadbolt assembly
KR101168835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AU2011257943B2 (en) A power source and/or control component housing primarily for door mounted devices
KR100629735B1 (ko) 도어록 장치
KR100597381B1 (ko) 도어록 장치
US3878585A (en) Hinge assembly
KR200492147Y1 (ko) 도어락의 핸들 조립구조체
EP3597843B1 (en) Electronically operated door lock
JP3783193B2 (ja) 管理室制御盤
KR100717688B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402217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KR102026443B1 (ko) 창호용 잠금핸들의 설치구조
KR200271060Y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CA3034096A1 (en) Electronic locking system having a deadbolt and keeper
KR20100005741U (ko) 도어록 장치
JPS6240041Y2 (ko)
KR102284741B1 (ko) 좌우수 변경이 가능한 핸들 구조체
JP6999998B2 (ja) 内外のハンドル部材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取付け方法
KR100611563B1 (ko) 도어록 장치
KR200336803Y1 (ko) 도어록 시스템의 모티스용 스페이서
JPS6224720Y2 (ko)
KR101807736B1 (ko) 시공 구조를 개선한 보조 도어 락 장치
CN115434579A (zh) 外置式电动门窗锁及具有所述门窗锁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