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834Y1 - 간판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간판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834Y1
KR200290834Y1 KR2020020020509U KR20020020509U KR200290834Y1 KR 200290834 Y1 KR200290834 Y1 KR 200290834Y1 KR 2020020020509 U KR2020020020509 U KR 2020020020509U KR 20020020509 U KR20020020509 U KR 20020020509U KR 200290834 Y1 KR200290834 Y1 KR 200290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ed
signboard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녀
Original Assignee
최상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녀 filed Critical 최상녀
Priority to KR2020020020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834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간판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판(10)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1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43)와 수평상으로 절곡되어 상·하부 수평지지대(14)(15)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 고정부(44), 그리고 상기 프레임 고정부(43)로부터 수직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대 고정부(44)가 접촉하는 수평지지대의 다른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지지대 고정부(45)가 형성되어 상·하부 수평지지대(14)(15)와 간판 프레임(11)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간판용 고정구{Signboard mounting bracke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는 간판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판이 고정되어 건물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대에 간판을 고정함에 있어서, 간판이 풍력 등과 같은 외력과 자중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간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돌출간판으로 불리어지는 간판의 외관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이러한 간판(1)은 고정대(2)에 의하여 건물의 외벽(W)에 고정된다.
도 2는 이러한 간판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간판(2)내부에는 조명장치(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되고, 조명장치는 간판(1)을 구성하는 프레임(3)과 함께 간판 지지대(4)에 의하여 설치되어 간판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간판 지지대(4)는 간판(1)을 종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4a)와 건물 외벽(W)쪽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수평지지대(4b) 및 하부 수평지지대(4c)로 구성된다.
상부 수평지지대(4b) 및 하부 수평지지대(4c)는 한쪽 측면의 프레임(3)에 형성된 사각홈(5)(5a) 밖으로 노출되어 고정대(2) 내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융착 고정되고, 사각홈(5)(5a)주변과도 융착 된다.
상기 고정대(2)는 한쪽이 인서트 보울트(6)(6a)에 의하여 건물 외벽(W)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수직지지대(4a)와 상부 수평지지대(4b) 및 하부수평지지대(4c)는 간판(1)의 프레임(3)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융착 고정되어 왔다.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간판은 대부분 보행자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구조적 결함에 의한 부분적인 파손에 의하여 간판이 낙하하게 되면 보행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가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간판에서 구조적으로 가장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하는 부분은 설치된 상태의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간판의 구조에서는 안전성을 신뢰할 수 없다. 이는 간판의 프레임(3)과 간판 지지대(4)의 상부 수평지지대(4b)(4c)에서의 고정 구조가 취약하게 되는 데에서 기인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간판(1)의 프레임(3)으로부터 노출되는 상부 수평지지대(4b)와 하부 수평지지대(4c)는 모두 프레임(3)과 고정대(2)에 용접에 의하여 융착되는데, 고정대(2)의 내측면에 융착되는 상부 수평지지대(4b)와 하부수평지지대(4c)는 비교적 고정대(2)와의 접촉 면적이 많아서 충분한 용접작업에 의하여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3)과의 접촉부위에서는 상부 수평지지대(4b)와 하부수평지지대(4c)를 프레임(3) 외부로 관통시키기 위하여 프레임(3)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홈(5)(5a) 내부에 상부 수평지지대(4b)와 하부 수평지지대(4c)가 위치하여 사각홈(5)(5a) 주변에 국한된 용접을 하게 됨으로써 융착 부위가 비교적 작아서 강도가 취약하게 된다.
특히 프레임(3)의 사각홈(5)(5a) 부위에 형성되는 용접부는 간판(1)의 회전우력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는 곳으로 강도상 가장 큰 취약성을 나타내는 곳이다. 따라서 설치 후 용접 부위에서 부식이 진행되거나 강한 바람에 의하여 간판(1)이 고정대(2)로부터 이탈할 경우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간판 지지대(4)와 프레임(3) 및 고정대(2)가 모두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분의 부품이 파손되거나 녹이 스는 등의 부식이 발생하면 간판 전체를 철거해야 함으로 비경제적이다.
본 고안은 간판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대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와 간판 프레임이 별도의 고정용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게 하여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 간판에서 내재되어 있는 설치 후 안전성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간판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용 구조물이 고정대와 수평 지지대에 용접, 또는 보울트 및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완전 고정 방식이나 분리 가능한 방식 등과 같이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 간판에서 내재되어 있는 사용상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간판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간판은 통상적인 구조와 같이 프레임이 간판 지지대에 고정되어 일정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간판지지대는 수직지지대와 상부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로 구성되어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 및 하부 수평지지대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결합되어 간판이 설치될 수 있게 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본 고안의 고정구가 결합되여 간판을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를 고찰하는 중에 본 고안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간판이 설치된 상태의 입체도
도 2는 종래 간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간판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간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간판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전개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조립 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입체도
도 8은 도 7의 브라켓에 의하여 간판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간판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 상태 종단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간판 고정구는: 간판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절곡되어 수평지지대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로부터 수직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대 고정부가 접촉하는 수평지지대의 다른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 고정부를 간판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제1지지대 고정부 및 제2지지대 고정부를 수평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간판의 프레임과 수평지지대에 고정된다.
본 고안은 간판의 프레임과 건물 외벽에 고정되는 고정대에 고정되는 두개의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견고한 고정력으로써 설치 후의 안정성을 만족시켜줄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고찰되면서 더 완전하고 구체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다음에서 본 고안이 구체화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7 내지 도 9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간판의 주요부를 절개한 간판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일반적으로 돌출간판으로 불리어지는 간판(10)이 고정대(20)에 의하여 건물의 외벽(W)에 고정된 상태에서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를 절개한 정면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간판(10) 내부에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도시되지 아니한 조명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조명장치는 간판(10)을 구성하는 프레임(11)과 함께 간판 지지대(12)에 의하여 설치된다.
상기 간판지지대(12)는 또한 종래의 구조와 같이 간판(10)을 종방향으로 지지하고 조명장치의 구조를 우한 수직 지지대(13)와 건물 외벽(W)쪽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수평지지대(14) 및 하부 수평지지대(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부 수평지지대(14)가 관통하는 사각홈(16)과 하부수평지지대(15)가 관통하는 또하나의 사각홈(17)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대(20)에 보울트(30)(31)(30a)(31a)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울트 관통공(18)(19)(18a)(19a)이 형성되어 있다.
보울트 관통공(18)(19)(18a)(19a)은 고정대(20)의 플랜지(21)(22)에 형성되는 보울트 관통공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부 수평지지대(14) 및 하부 수평지지대(14)는 한쪽 측면의 프레임(11)에 형성된 사각홈(16)(17) 밖으로 노출되어 건물 외벽(W)에 인서트 보울트(22)(23)로 고정되는 고정대(20) 내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용접에 의하여 융착 고정되며, 프레임(11)의 안쪽에서 프레임(11)과 두개의 상·하부 수평지지대(14)(15)가 이루는 교차 지점에 상부 고정구(40)와 하부 고정구(40a)가 각각 고정된다.
도 4는 상기한 상부 고정구(40)와 하부 고정구(40a) 주변의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분리한 상태의 입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상·하부 고정구(40)(40a)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하부 고정구(40)(40a)는 대칭이 되는 형성으로 형성되어 상부 수평지지대(14)와 하부 수평지지대(15)에 각각 고정되는데, 다음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상부수평지지대(14)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구(40)에 대하여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부 고정구(40)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고 보울트(30)(31)가 삽입되는 보울트 관통공(41)(42)이 형성되어 간판 프레임(11)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프레임 고정부(43)가 형성된다.
한편 간판(10)의 프레임(11)은 비교적 얇은 강철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굽힘강도가 취약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강도 향상을 위하여 절곡되어 겹쳐지는 겹침부(11a)가 형성될 수 있는데, 프레임 고정부(43)는 이러한 겹침부(11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 고정부(43)가 절곡되어 한쪽이 개방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44)의 아래쪽으로는 프레임 고정부(43)가 절곡되어 일체로 되는제1 지지대 고정부(44)와 제2 지지대 고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제2 지지대 고정부(44)(45)는 나사(50)(51)가 삽입되는 나사 관통공(46)(4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대 고정부(44)와 제2 지지대 고정부(45)는 얇은 강판재가 절곡 성형되는 과정에서 수용부(46)가 형성되면서 아래쪽으로 형성되는 면적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고정구(40)가 설치되는 상태는 프레임고정부(43)의 보울트 관통공(41)(42)이 프레임(11)의 보울트 관통공(41)(42)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프레임(11)의 안쪽면에 접촉시키면 제1 지지대 고정부(44)는 상부수평지지대(14)의 상부면(100)에 접촉되고, 제2 지지대 고정부(45)는 상부 수평지지대(14)의 측면(101)에 접촉된다.
이후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울트(30)(31)를 각각 프레임고정부(43)의 보울트 관통공(41)(42)에 삽입시키면 보울트(30)(31)의 나사부는 프레임(11)의 보울트 관통공(41)(42)과 고정대(20)의 플랜지(21)(22)에 형성되어있는 통상적인 보울트 관통공을 통과하게 되어 고정대(20)의 플랜지(21)(22) 뒤쪽에서 너트(32)(33)를 체결하면 상부 고정구(40)와 프레임(11) 및 고정대(20)가 고정되며, 또한 나사(50)(51)를 나사 관통공(42)(47)을 통하여 제1 지지대 고정부(44)와 제2지지대고정부(45)를 상부 수평지지대(14)에 체결하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상부 고정구(40)는 프레임 고정부(43)가 프레임(11)과고정대(20)에 고정되면서 제1 지지대 고정부(44)와 제2 지지대 고정부(45)가 상부수평지지대(14)를 받쳐주게 되어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부 고정구(40)가 보울트(30)(31) 및 나사(50)(51)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체결용 요소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용접에 의하여 융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부고정부(40a)의 형상과 조립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인 생략되었지만, 그 형상은 상부 고정구(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조립되는 상태도 동일한 것으로 도면에 예시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과 관련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이 자명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변형된 고정구(400)는 프레임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401)로부터 수평상의 수평 절곡구(402)(402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절곡부(402)(402a)를 연결하는 제1 지지대 고정부(403), 제2 지지대 고정부(404) 및 제3 지지대 고정부(40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수평 절곡부(402a)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레임의 겹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0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구(40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수평지지대(140)와 하부 수평지지대(150)의 안쪽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체결용 요소나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하면 상부 수평지지대(140)와 하부 수평지지대(150)를 프레임(110)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과 수평지지대가 지접 용접이 되었던 종래의 고정 방법과는 달리 프레임에 고정되어 수평지지대를 지지하는 고정구에 의하여 간판의 고정 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설치된 간판이 강풍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거나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간판을 형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절곡되어 상·하부 수평지지대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 고정부;
    상기 프레임 고정부로부터 수직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대 고정부가 접촉하는 수평 지지대의 다른 한쪽 측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절곡부(402)(402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절곡부(402)(402a)를 연결하는 제1 지지대 고정부(403), 제2 지지대 고정부(404), 제3 지지대 고정부(40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간판용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고정부에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간판용 고정구.
KR2020020020509U 2002-07-09 2002-07-09 간판용 고정구 KR200290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09U KR200290834Y1 (ko) 2002-07-09 2002-07-09 간판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509U KR200290834Y1 (ko) 2002-07-09 2002-07-09 간판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834Y1 true KR200290834Y1 (ko) 2002-10-04

Family

ID=731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509U KR200290834Y1 (ko) 2002-07-09 2002-07-09 간판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8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79B1 (ko) 2008-11-04 2009-10-21 주식회사 유일컴 연립형 돌출간판
KR200468060Y1 (ko) 2011-07-26 2013-07-18 류원식 돌출형 간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779B1 (ko) 2008-11-04 2009-10-21 주식회사 유일컴 연립형 돌출간판
KR200468060Y1 (ko) 2011-07-26 2013-07-18 류원식 돌출형 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195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
US20200018464A1 (en) Lighting fixture with high structural integrity
KR200290834Y1 (ko) 간판용 고정구
JPH1117286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9243048A (ja) 建築用外装ルーバー
JP5715682B1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金具
CN214995049U (zh) 一种曲面铝板和幕墙立柱的连接节点
JP5004129B2 (ja) サイン表示用枠材
JP2017025574A (ja) 太陽光発電装置の固定部材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
KR20070011766A (ko) 방음벽
JP7411963B2 (ja) かん合パネル落下防止用ワイヤーロープの取付け金具
KR200397313Y1 (ko) 현수막 게시대용 지주대의 하측덮개
JP2018139984A (ja) 親綱支柱用治具
JP4082358B2 (ja) 建築構造物、及び組立建物
JP2008280717A (ja) 目隠しパネルの固定構造
US10234109B1 (en) Single-piece end cap
JP5047756B2 (ja) 支柱取付構造
CN108529400B (zh) 一种电梯设备的轿厢结构
JP6720811B2 (ja) 照明器具用架台
JPH0742291A (ja) 中空押出成形板の取付構造及び支持金物
KR200280656Y1 (ko) 가변고정구를 갖는 농구골대용 백보드판
JP2007192001A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け構造
TWM642384U (zh) 太陽能板安裝支架之改良結構
JP3972897B2 (ja) 天井パネルの連結構造
JP2741000B2 (ja) 接続枠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