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863Y1 - 고온 압력 조리기 - Google Patents

고온 압력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863Y1
KR200361863Y1 KR20-2004-0017238U KR20040017238U KR200361863Y1 KR 200361863 Y1 KR200361863 Y1 KR 200361863Y1 KR 20040017238 U KR20040017238 U KR 20040017238U KR 200361863 Y1 KR200361863 Y1 KR 200361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hamber
oil
outlet
high temperatu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20-2004-0017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Integrated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의 찜과 튀김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도록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열챔버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며 가열챔버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고 위험압력에 대한 안전장치와 유 수증기의 수거와 배출수단을 구비한 고온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기름받침통이 설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50);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열용히터(60)가 설치되며, 일측벽 상부에 증기배출구(13)가 형성되며, 하면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4)가 형성되는 가열챔버(10); 상기 가열챔버(10)의 일측에 고정되며, 내면 테두리에 실링재(25)가 형성된 덮개(20); 잠금장치(19); 가열챔버(10)의 압력제어부; 상기 본체(5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용히터(60)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1); 상기 증기배출관(42)과 수동밸브(45)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부에 배출구(31)가 다수개 형성되며, 다수개의 작은 홀이 형성되는 거름망(32)이 내부에 설치되는 집증통(30); 상기 가열챔버(10)와 집증통(30)의 하부에 각각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기름받침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온 압력 조리기{ A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oking machine }
본 고안은 고온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의 찜과 튀김이 동시에 가능하게 하도록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열챔버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며 가열챔버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고 위험압력에 대한 안전장치와 유 수증기의 수거와 배출수단을 구비한 고온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 오리, 거위 같은 가금을 조리하는 방식은 불에 굽거나 식용유에 튀기는 것인데, 종래의 구이장치를 이용한 가금 육을 조리하는 방법은 가금육을 몸통, 다리 날개, 내장, 껍질등의 각 부위별로 절단하거나 통째로 구울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가열원으로 가스나 장작불 또는 전기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잘 알려진 전기구이 통닭은 전기 히터가 통닭을 가열하여 굽는 방식이며 가열온도나 시간의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다.
위와 같은 구이방식 이외에는 기름에 넣고 튀기는 방식이 자주 사용 되는데, 기름의 온도가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부위별로 절단하여 넣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의 튀김 음식물 조리기는 단순히 기름을 가열하여 끓여 음식물을 튀겨 조리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피조리물을 단순히 가열에 의하여 익혀주는 정도에 그칠 뿐 육질 내부 깊숙하게 작용하여 맛좋고 연하게 조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전체적으로 맛있게 튀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피조리물인 가금 육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로서 튀김과 찜의 장점을 동시에 취할 수 있으며, 기름에 튀기면서 압력을 가하여 고온 고압으로 이루어진 가열챔버의 환경으로 인하여 피조리물의 육질 내부 깊은 곳까지 연하게 조리할 수 있어 맛있게 튀겨지는 고온 압력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름을 사용하여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있어서, 내부에 기름받침통이 설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가열용히터가 설치되며, 일측벽 상부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며, 하면에 형성된 기름배출구가 형성되는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내면 테두리에 실링재가 형성된 덮개; 상기 가열챔버와 덮개를 고정하는 잠금장치; 상기 가열챔버의 증기배출구와 증기배출관으로 연결되는 압력제어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용히터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증기배출관과 수동밸브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부에 배출구가 다수개 형성되며, 다수개의 작은 홀이 형성되는 거름망이 내부에 설치되는 집증통; 상기 가열챔버와 집증통의 하부에 각각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기름받침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가열챔버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핸들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볼트부의 일단이 고정되며, 볼트부의 타단에는 압착부가 형성되는 고정핸들이 돌려끼워 고정되며, 덮개의 전면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사이에 상기 볼트부가 삽입되는 볼트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압력제어부는 증기배출관과 연결되는 1차안전변과 상기 1차안전변과 직렬로 연결되는 2차안전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증기배출구는 그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의 내부로 기름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중간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막이의 하측에 기름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집증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름받침통은 본체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기름통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2b는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의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하는 중간막이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하는 집증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가열챔버 11 : 중간막이
12 : 기름배출구 13 : 증기배출구
14 : 망 15 : 고정핸들
16 : 압착부 17 : 볼트부
18 : 고정핸들 고정부 19 : 잠금장치
20 : 덮개 21 : 걸림부
22 : 보강부 23 : 볼트부 삽입홈
24 : 손잡이 25 : 실링재
26 : 힌지부 30 : 집증통
31 : 배출구 32 : 걸름망
40 : 1차 안전변 41 : 2차 안전변
42 : 증기배출관 43 : 집증통연결관
44 : 압력계 45 : 수동밸브
50 : 본체 51 : 제어부
52 : 보조기름통 53, 56 : 기름받침통
54 : 기름배출구 55 : 드레인밸브
57 : 레일 58, 59 : 배출파이프
60 : 가열용히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는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을 압력과 고온을 동시에 구사하여 기름을 매개로 하여 조리하는 기계로서, 가열챔버(10)와 덮개(20)가 설치되는 본체(50), 가열챔버(10)에서 발생하는 소정 압력 이상의 압력을 배출하는 1차안전변(40) 2차안전변(41), 가열챔버(10)에서 배출되는 증기에서 기름을 수거하는 집증통(30), 가열챔버(10)의 압력을 누설시키지 않도록 고정 및 실링하는 구조를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테이블형 본체(50)의 상면 일측에 가열챔버(10)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챔버(10)의 하부는 본체(5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는 본체(50)의 상면위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가열챔버(10)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은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중앙에는 기름배출구를 형성한다. 상기 기름배출구에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 사용한 기름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열챔버(10)는 두께 10mm 이상의 내식성이 있는 스테인레스강으로 구성되고, 가열챔버의 내부에는 가열용 히터(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용 히터(60) 안쪽으로 망(14)을 설치하여 상기 가열용 히터를 보호하고, 튀겨지는 피조리물의 찌꺼기를 기름에 섞이지 않도록 걸러준다.
상기 가열챔버(10)의 일측벽 상부에 증기 배출구(13)를 형성하고, 상기 증기배출구(13)의 하측에 중간막이(11)를 설치한다. 상기 중간막이(11)는 가열챔버(10)에 상부를 제외한 부분이 고정되고, 가열챔버(10)의 측벽에 형성되는 증기배출구(13)를 감싸 기름이 증기배출구(13)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중간막이(11)의 하측에는 기름배출홀(12)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막이(11)의 내부로 들어간 기름을 아래로 다시 흘러내리게 한다.
상기 가열챔버(10)의 하부에는 기름배출구(54)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배출구(54)와 연통되는 배출호스에는 드레인밸브(55)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호스는 기름받침통(53)과 연결되어 기름을 교체할때 기름받침통(53)으로 배출시켜 밖으로 꺼낸다. 상기 기름받침통(53)은 본체(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열챔버(10)의 외측 전면에는 잠금장치(19)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장치(19)는 볼트부(17)와 고정핸들(15)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부(17)의 일단은 고정핸들 고정부(18)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는 고정핸들(15)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핸들(15)의 중앙 하부에 일체로 압착부(16)가 형성되어 고정핸들(15)을 회전시 볼트부(17)를 따라 아래로 내려와 덮개(20)에 형성되는 걸림부(21)의 상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핸들(15)과 압착부(16)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7)와 맞물려 돌아간다.
상기 가열챔버(10)의 상부 일측에 힌지부(26)로 덮개(20)를 고정하여 가열챔버(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덮개(20)의 전면 일측에 상기 볼트부(17)가 삽입되도록 볼트부삽입홈(23)이 형성된 걸림부(2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1)의 상면에는 보강을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보강부(22)를 덧대어 고정한다.
상기 덮개(20)의 내면 둘레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실링재(25)를 끼워 가열챔버(10)의 상단부 둘레와 맞물려 내부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상기 실링재(25)는 초고열에 견딜수 있는 실리콘등의 내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0)의 일측에는 뜨거운 덮개를 들기위한 손잡이(24)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4)는 단열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 가열챔버(10)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이 되지 않도록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 제어부는 1차안전변과 2차안전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챔버(10)의 증기배출구(13)와 연통되도록 증기배출관(42)을 형성하고, 상기 증기배출관(42)은 1차 안전변(40)과 집증통(30)에 연결된다. 상기 1차안전변(40)은 2차안전변(41)과 연결되어 1차안전변(40)이 작동하지 않을때 2차안전변(41)에 의하여 압력 배출이 되도록 한다.
사용압력은 0.08∼0.12 이며, 0.12 kg/cm2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압력이 빠지도록 제작된 1차안전변(40)이 설치되고, 상기 1차안전변(40)이 오작동할 경우를 대비하여 2차 안전변(41)을 직렬로 설치한다. 그리고 수동밸브(45)로 인위적으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물에 따라서는 인위적으로 압력을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증기배출관(42)과 집증통(30) 사이에는 수동밸브(45)가 형성되며, 조리가 끝난후 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수동밸브(45)를 열면 집증통(30)을 통하여 유 수증기가 배출된다.
상기 집증통(30)은 가열챔버(1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배기하는 과정에서 증발되는 기름과 수분을 모으는 통으로서, 스테인레스로 된 원형의 통으로 구성되며, 상면에 배출구(31)가 다수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거름망(32)이 형성된다. 상기 거름망(32)은 촘촘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유 수증기가 올라가서 거름망(32)에 1차로 부딪쳐 식은 기름등의 액체는 아래로 떨어져 기름받침통(56)이나 보조기름통(52)으로 모아진다. 상기 집증통(30)의 하부는 배출파이프(58)(59)가 연결되어 기름받침통(56)과 보조기름통(52)과 연결된다. 상기 집증통(3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배출파이프(58)(59)는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밸브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조기름통(52)이나 기름받침통(56)을 하나만 두어 집증통(30)과 바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기름받침통은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본체(50) 내부에서 외부로 끌어내기 편하게 한다.
상기 본체(50)의 측면에는 제어부(51)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51)에는 온도계, 전류계 3개, 전압계, 타이머, 표시램프, 전원공급 메인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류계는 가열용 히터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한다. 그리고 제어부의 내부에는 전력을 제어하는 주개폐스위치와 마그네틱 콘텍터 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1)에서 전술한 전류계, 표시램프 등의 구성요소는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을 기름을 넣은 가열챔버에 넣고, 덮개(20)를 덮어 고정핸들(15)을 잡아 수직으로 세워 돌리면, 상기 고정핸들(15)이 상기 볼트부(17)의 나사산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 압착부(16)도 따라 내려가고, 상기 압착부(16)가 덮개(20)에 형성된 걸림부(21)의 상면에 형성된 보강부(22)에 닿아 아래로 계속적으로 눌러 가열챔버(10)를 밀폐시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가열용 히터(60)를 제어부(51)에서 작동시켜 피조리물에 따라 정해진 소정의 온도와 압력으로 조리를 한다.
조리후에 가열챔버내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동밸브(45)를 통하여 집증통(30)으로 유 수증기를 배출한 후에 고정핸들(15)을 역으로 돌려 덮개(20)를 들어 피조리물을 꺼낸다.
사용한 기름을 교체할때는 가열챔버(10)의 하부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4)를 통하여 기름받침통(53)에 담아 외부로 꺼낸다.
본 고안의 고온 압력 조리기는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을 압력과 고온을 동시에 구사하여 기름을 매개로 하여 조리하므로 불필요한 지방질(불필요한 기름)을 충분히 제거하고 육질에 수분이 적당하게 보존되어 부드럽고 담백하며 촉촉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된 것은 따뜻한 상태이거나, 식은 상태에서도 육질의 부드러움과 촉촉함을 유지하여 3일이 지나도 딱딱해지지 않으며 가열물이 기름이므로 피조리물에 절여진 한약성분등이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름을 사용하여 오리, 닭, 삼겹살, 돼지통다리등 육고기와 생선류 등을 조리하는 조리기에 있어서,
    내부에 기름받침통이 설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50);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열용히터(60)가 설치되며, 일측벽 상부에 증기배출구(13)가 형성되며, 하면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4)가 형성되는 가열챔버(10);
    상기 가열챔버(1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며, 내면 테두리에 실링재(25)가 형성된 덮개(20);
    상기 가열챔버(10)와 덮개(20)를 고정하는 잠금장치(19);
    상기 가열챔버(10)의 증기배출구(13)와 증기배출관(42)으로 연결되는 압력제어부;
    상기 본체(50)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열용히터(60)와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51);
    상기 증기배출관(42)과 수동밸브(45)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상부에 배출구(31)가 다수개 형성되며, 다수개의 작은 홀이 형성되는 거름망(32)이 내부에 설치되는 집증통(30);
    상기 가열챔버(10)와 집증통(30)의 하부에 각각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기름받침통;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19)는 가열챔버(1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핸들고정부(18)에 회동가능하게 볼트부(17)의 일단이 고정되며, 볼트부(17)의 타단에는 압착부(16)가 형성되는 고정핸들(15)이 돌려끼워 고정되며, 덮개(20)의 전면 일측에 걸림부(21)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 사이에 상기 볼트부(17)가 삽입되는 볼트부 삽입홈(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증기배출관(42)과 연결되는 1차안전변(40)과 상기 1차안전변(40)과 직렬로 연결되는 2차안전변(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구(13)는 그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증기배출구(13)의 내부로 기름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중간막이(11)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막이(11)의 하측에 기름배출구(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증통(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름받침통은 본체(5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기름통(52)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 압력 조리기.
KR20-2004-0017238U 2004-06-18 2004-06-18 고온 압력 조리기 KR200361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238U KR200361863Y1 (ko) 2004-06-18 2004-06-18 고온 압력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238U KR200361863Y1 (ko) 2004-06-18 2004-06-18 고온 압력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863Y1 true KR200361863Y1 (ko) 2004-09-13

Family

ID=493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238U KR200361863Y1 (ko) 2004-06-18 2004-06-18 고온 압력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8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41B1 (ko) * 2009-02-25 2009-11-24 김용인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101151704B1 (ko) 2009-08-31 2012-06-15 한성만 물을 이용한 튀김 요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8861B1 (ko) 2011-08-09 2013-03-04 한성만 물을 이용한 튀김 요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4358B1 (ko) * 2017-07-27 2018-12-03 박홍균 크리스탈 유리를 이용한 튀김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41B1 (ko) * 2009-02-25 2009-11-24 김용인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101151704B1 (ko) 2009-08-31 2012-06-15 한성만 물을 이용한 튀김 요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238861B1 (ko) 2011-08-09 2013-03-04 한성만 물을 이용한 튀김 요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4358B1 (ko) * 2017-07-27 2018-12-03 박홍균 크리스탈 유리를 이용한 튀김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958B1 (en) Heat cooking/sterilizing device
US3610133A (en) Apparatus for cooking chicken
KR20100074539A (ko) 참숯 가마 형 오리 구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리방법
US3431835A (en) Cooking food under pressure
US20060021521A1 (en) Steam cooker
KR200361863Y1 (ko) 고온 압력 조리기
KR20100115097A (ko) 숯불을 이용한 구이장치
CN111771923B (zh) 烧烤机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101311863B1 (ko) 복합적 조리가 가능한 식품조리기
KR102039707B1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JP3645545B2 (ja) ゆで容器
CN111772497B (zh) 烧烤机
KR200412961Y1 (ko) 유수분리 육류 조리장치
KR100743248B1 (ko) 고온 고압을 이용한 급속 조리장치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100475583B1 (ko) 압력식 구이장치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CN115813193B (zh) 一种智能分区控温蒸烤箱
CN218165008U (zh) 一种在扒板上预开漏油口的扒炉
KR20100128126A (ko) 스팀 조리기
KR200285275Y1 (ko) 압력식 구이장치
KR100481040B1 (ko) 오리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