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543Y1 -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 Google Patents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543Y1
KR200334543Y1 KR20-2003-0027809U KR20030027809U KR200334543Y1 KR 200334543 Y1 KR200334543 Y1 KR 200334543Y1 KR 20030027809 U KR20030027809 U KR 20030027809U KR 200334543 Y1 KR200334543 Y1 KR 200334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il
lift arm
opening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원
Original Assignee
이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원 filed Critical 이덕원
Priority to KR20-2003-0027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5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물인 코일의 생산에서 부터 창고 및 차량 등 입,출고시에 최소의 공간에 많은량의 코일 적재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하며, 슈의 개폐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프트 본체(10)에는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아암(1)이 양측 하향으로 장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아암(1)의 선단측 내부에는 슈(2)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슈(2)를 회전축(3)을 중심으로 직각방향으로 회동시켜 개폐동작을 수행키 위한 개폐수단이 리프트아암(1) 내부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OPEN AND CLOSE TYPE COIL LIFTER}
본 고안은 코일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된 강판을 두루마리 유지 형태로 말은 상태의 중량코일을 들어올려 이동 및 적재시키는 장치인 코일리프터의 사용 안전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슈 개폐형 코일리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 리프터는 제철설비에서 냉연강판, 열연강판의 코일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및 하역장치로서 여러겹의 강판이 말려져 있어 무거운 중량체를 이루고 있는 코일을 들어올려 위치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작업현장의 천정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 코일리프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프터본체(120)의 양측으로 리프트아암(110)이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리프트아암(110)의 하단부에는 러그(111)가 상호 대향되는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고, 리프트아암(110)의 간격조절을 위한 구동모터(112)가 상측에 장착되어져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13은 리프터에 코일 측면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터치바를 나타낸다.
그리고, 리프터본체(120)의 상부에는 이동후크(101)의 체결이 가능한 지지핀(102)이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종래의 코일리프터(100)에 있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리프터의 러그(111) 부분을 코일(C)의 내경 중앙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112)를 작동시키면 리프트아암(110)이 오무려지면서 하단의 러그(111) 부분이 코일(C)의 내주면에 걸리게 되고, 이후 크레인(미도시) 작동으로 이동후크(101)를 들어올려 코일(C)을 원하는 이동지점으로 운반시키는 작업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코일리프터(100)는 러그(111) 부분이 항시 노출된 상태를 이루고 있음으로 인한 위험성과 사각지역 발생에 다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이와 함께 코일을 손상시키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적재시 리프트아암(110)의 수평이동 거리만큼의 간격이 필요함으로 인해 많은량의 코일을 적재할 수 없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리프트아암의 선단부에 코일을 들어올리기 위해 장착되어지는 슈를 개폐식으로 구비함으로서 작업 안전성과 물류 보관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리프터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의 전체 구조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체인 구동방식 슈 개폐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방식 슈 개폐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코일리프터의 하강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코일리프터의 슈 열림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프트아암 2 : 슈
3 : 회전축 4 : 구동모터
7 : 로드핀 7a: 로드핀 센서
8a,8b : 포토센서 9a,9b : 개폐감지센서
10 : 리프트 본체 11 : 구동모터
12 : 구동스프로켓 12': 피동스프로켓
13 : 전동체인 14 : 장력조절기어
18 : 터치바 19 : 터치바 센서
21 : 유압실린더 22 : 실린더로드
23 : 래크기어부 24 : 완충 코일스프링
상기 목적은, 리프트 본체에는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아암이 양측하향으로 장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아암의 선단측 내부에는 슈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리프트아암에는 슈의 회전축에 직각방향 회동력을 전달하여 슈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개폐형 코일리프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체인 구동방식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실린더 구동방식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를 나타낸 것이며, 도 5 및 6은 본 고안 코일 리프터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일리프터의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리프트 본체(10)에는 구동모터(4) 작동에 의해 상호간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는 리프트아암(1)이 양측에서 하향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리프트아암(1)의 선단측 내부에는 슈(2)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슈(2)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열림감지센서(9a) 및 닫힘감지센서(9b)가 근접거리에 구성되어짐과 함께 양측 리프트아암(1)에는 상호 대향방향으로 높이차를 두어 상,하 포토센서(8a,8b)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리프트아암(1)의 내측에는 코일(C)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터치바(18) 및 터치바센서(19)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슈(2)의 상면부에는 로드핀(7)이 돌출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에는 로드핀(7)에 가압력 작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로드핀 센서(7a)가 내장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3)에 직각방향 회동력을 전달하여 슈(2)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으로는 리프트아암(1)의 내부에 구동모터(1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모터축(16)으로 부터 회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7) 일단에는 구동 스프로켓(12)이 장착되어져 있으며, 상기 구동축(17)에는 개폐수단의 이상 작동시나 슈(2)가 다른 물체에 의한 충격 또는 전기적인 충격 발생시 다른 연결 부품에 과부하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상의 축부하 방지장치(15)가 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구동 스프로켓(12)과 슈의 회전축(3)에 설치된 피동 스프로켓(12')을 전동체인(13)으로 연결하며, 중단에는 상기 전동체인(1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장력조절기어(14)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슈(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2실시예로는 전기적인 작동원리를 갖는 유압펌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프트아암(1)의 내부에 유압실린더(21)를 내장하고, 실린더로드(22)의 선단에는 래크기어부(23)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래크기어부(23)와 치합되어지는 구동기어부(3')를 슈의 회전축(3)상에 형성시켜 구성하되, 실린더로드(22)와 래크기어부(23)간 연결부위에는 완충 코일스프링(24)을 내장시켜 과부하 방지 및 원활한 직선운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이동후크이고, 6은 지지핀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코일 리프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제1실시예의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부 크레인 이동후크(5)에 거치된 코일 리프터본체(10)를 자동제어에 의하여 코일(C)이 놓여져 있는 위치에 정지시킨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코일 중앙을 향하여 리프터본체(10)를 하향으로 천천히 권하한다.
이때, 코일(C)의 폭은 프로그램상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각각 양측에 있는 리프트아암(1)의 슈가 닫혀져 있는 상태로 코일폭에 따른 아암(1) 상호간의 너비는 이미 정해진 회로에 의하여 구동모터(4)가 동작되어 자동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리프트아암(1)의 권하하는 과정에서 양측의 대향 위치에 구성되어져 있는 2개의 상,하 포토센서(8a,8b)가 차례로 코일(C)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코일의 권취부에 의해 상호간의 신호검출이 막혀 있다가 코일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하 포토센서(8a,8b)에서 신호가 감지되는 순간 개폐수단이 동작하여 슈(2)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열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리프트아암(1) 내부에 설치되어져 있는 구동모터(11)의 동작에 의한 회동력이 모터축(16)과 구동축(17)을 거쳐 구동스프로켓(1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동체인(13)에 의해 연결되어진 피동스프로켓(12')이 회전되어짐에 따라 회전축(3)을 회전시킴으로 슈(2)의 90도 회전 동작이 이루어져 도 3에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며, 이는 열림감지센서(9a)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부 구동모터(4)의 동작에 의해 양측 리프트아암(1)이 코일(C)을 향하여 진행하게 되는데, 코일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양측리프트아암(1)은 각각의 터치바(18)가 코일폭을 정밀 감지하여 터치바센서(19)가 감지하게 되면 리프트아암(1)의 진행이 멈추게 되고 이동후크(5)에 의해 서서히 권상되게 된다.
이때에는 상호간의 신호검출이 이루어졌던 상부 포토센서(8a)는 코일에 의해 다시 가려진 상태를 이루고, 양측 슈(2)에 돌출되어져 있는 로드핀(7)은 코일의 내경부에 닿게 되어 눌려짐으로서 로드핀 센서(7a)가 이를 감지하게 됨으로서 제어부에서는 정상적인 권상작업이 진행되어지게 된다.
한편, 권상되어진 코일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적재코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크레인 리프터가 진행하여 흔들리지 않게 정지시킨 후 리프트본체(10)와 코일(C)을 서서히 권하시키게 되면, 먼저 코일(C)이 적재대에 내려져 안착하게 되고 리프터본체(10)의 리프트아암(1)과 슈(2)가 코일의 내경면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로드핀 센서(7a)가 로드핀(7)의 가압력 해제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트아암(1)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해 코일에 의해 가려져 있던 상부 포토센서(8a)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양측의 슈(2)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11)의 동작에 의해 전동체인(13)이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슈(2)가 상승 회동되어 리프트아암(1) 내부로 원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후크(5)에 의한 권상작업이 이루어지면 터치바(18)가 코일(C)의 옆면에 닿아있는 상태로서 코일이 상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의 구동모터(4)가 동작되어 리프트아암(1)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후 리프트본체(10)는 완전히 권상되면서 다음 공정에 대한 대기모드를 수행할 수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코일리프터를 사용하면 코일 적치대나 화차 및 카세트 적재시 코일간 간격(D)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되어 좁은 장소에서도 작업을 할 수 있게되며, 나아가서는 물류비용의 상당 부분을 줄일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코일 리프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동작 실시예에서는 슈의 개폐를 위한 동력전달이 구동모터 및 전동체인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개폐동력은 도 4에서와 같이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작동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코일 리프터 구조는, 코일의 이동 및 적재를 위한 리프터의 동작이 슈 개폐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함과 함께 보다 적은 면적에 많은량의 코일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슈의 개폐동작시 다수의 센서에 의해 위치 및 동작제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코일의 중앙 내경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슈가 열려지게 되어 동작중 코일손상 방지에 따른 리프터의 동작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리프트 본체(10)에는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트아암(1)이 양측 하향으로 장착되어져 있는 통상의 코일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아암(1)의 선단측 내부에는 슈(2)가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슈(2)를 회전축(3)을 중심으로 직각방향으로 회동시켜 개폐동작을 수행키 위한 개폐수단이 리프트아암(1) 내부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으로는 리프트아암(1)의 내부에 구동모터(1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축(17) 일단에 고정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12)과 슈의 회전축(3)에 고정 설치된 피동 스프로켓(12')을 전동체인(13)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동체인(13)의 중단에는 장력 조절을 위한 장력조절기어(14)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으로는 리프트아암(1)의 내부에 유압실린더(21)를 내장하고, 실린더로드(22)의 선단에는 래크기어부(23)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래크기어부(23)와 치합되어지는 구동기어부(3')를 슈의 회전축(3)상에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리프트아암(1)에는 슈(2)의 닫힘 및 열림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9a,9b) 및 코일(C)의 위치 감지를 위한 복수의 포토센서(8a,8b)가 각각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KR20-2003-0027809U 2003-08-29 2003-08-29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KR200334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09U KR200334543Y1 (ko) 2003-08-29 2003-08-29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809U KR200334543Y1 (ko) 2003-08-29 2003-08-29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543Y1 true KR200334543Y1 (ko) 2003-11-28

Family

ID=4934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809U KR200334543Y1 (ko) 2003-08-29 2003-08-29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5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554B1 (ko) * 2016-09-01 2018-04-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요 브레이크 이동장치
KR102635602B1 (ko) * 2023-10-12 2024-02-08 두텍 주식회사 Boom 양측면 설치형 캐트너리 트롤리 추락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554B1 (ko) * 2016-09-01 2018-04-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요 브레이크 이동장치
KR102635602B1 (ko) * 2023-10-12 2024-02-08 두텍 주식회사 Boom 양측면 설치형 캐트너리 트롤리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932A (en) Clamp assembly with automatic rotation control
KR100620600B1 (ko)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34543Y1 (ko) 슈 개폐형 코일 리프터
JP3205724B2 (ja) コンテナ段積み用スプレッダー
EP1033342A2 (en) Gripping lifter for transferring metal coils
CN211545668U (zh) 一种电动卧卷吊具
KR100558052B1 (ko)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JP6340020B2 (ja) コイルリフター
JP3092481B2 (ja) リフト装置
KR200182248Y1 (ko) 코일 및 간지 이송 겸용 리프트 장치
KR100941186B1 (ko) 밸런스머신
KR20140000050U (ko)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KR102352522B1 (ko) 화물차용 덮개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CN107601251B (zh) 一种自动倾倒集装箱吊具
KR100913047B1 (ko) 코일 선단부 고정패드 부착장치
KR200401958Y1 (ko) 연장된 로드 핀을 갖는 코일 리프터 아암
KR200401955Y1 (ko) 코일 리프터 아암
KR100642316B1 (ko) 코일 리프트의 그립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7735386B (zh) 一种轨道梁起重装置及起重方法
KR100744415B1 (ko) 원료 높이 감지스위치의 상승 및 하강장치
KR0152508B1 (ko) 스톡용 턴 테이블
KR200472059Y1 (ko) 하물 오적 감지 장치
KR101065298B1 (ko) 멀티타입 가변형 마그네틱 코일 리프터
KR200467011Y1 (ko) 호이스트의 과권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