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43Y1 - 솥뚜껑 구이판 - Google Patents

솥뚜껑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43Y1
KR200330943Y1 KR20-2003-0022912U KR20030022912U KR200330943Y1 KR 200330943 Y1 KR200330943 Y1 KR 200330943Y1 KR 20030022912 U KR20030022912 U KR 20030022912U KR 200330943 Y1 KR200330943 Y1 KR 200330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t lid
oil
outer periphery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우
Original Assignee
손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우 filed Critical 손재우
Priority to KR20-2003-0022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고안은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잡이가 돌설된 중앙부에서 외주연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외주연부의 내측 하단부가 함몰된 걸림턱이 형성된 상단판과; 상기 상단판의 걸림턱이 내주연부에 걸쳐지고, 상기 상단판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하단판과; 상기 하단판 최하단 외주연부로 이 보다 낮고 다소 둥글고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위치로 기름배출구가 관통된 기름유입부와; 상기 하단판 외주연부가 거치되어 상기 상단판 및 하단판을 지지하는 받침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단판과 하단판이 분리가능하여 솥뚜껑 구이판을 교체 또는 운반시 소요되는 힘을 분산시켜 용이하게 교체 또는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솥뚜껑 구이판 {Plate for meat roasted using cover of a cauldron}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 및 야외 등에서 고기를 구워 먹을 때 사용되는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단판과 하단판으로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하단판 상부로 다른 구이판을 적층시켜 사용가능한 솥뚜껑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직접 화기에 닿지 않고 익을 수 있도록 화기 위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고기를 굽도록 한 것이 고기 구이판으로서, 가정이나 야외 등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의 고기 구이판을 화기 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고기를 올려 놓으면 화기에 의해 구이판이 가열되어 그 열에 의해 고기가 익게 되어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구인판은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쇠 재질의 가마솥 뚜껑을 이용한 구이판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데, 이는 그 재질이 무쇠로 되어 있는 특성상 고기가 쉽게 타거나 눌러 붙지 않으며, 열 전도 효과가 뛰어나며, 한국인의 정서에 잘 부합하여 고기 구이판으로서의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 솥뚜껑 고기 구이판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은 고기가 올려지는 고기 구이판(2)의 중앙부로 손잡이(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3)를 중심으로 표면 둘레면으로 고기 구이판(2)의 강도를 보강하고 무늬를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환돌조(4)가 여러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기 구이판(2)의 가장자리가 중앙부에 화염유도구(8)가 형성된 받침부재(5)의 지지환턱(6)에 적층되며, 상기 지지환턱(6) 하방으로 기름받이홈(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환돌조(4)에 의해 저지되어 기름의 흐름을 방해를 받아 항상 기름이 고기 구이판(2)에 잔존하게 되어 기름기가 많이 묻어 있는 고기를 먹게 되어 건강에도 불유익하고 굽는 과정에서도 기름이 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었으며, 기름이 하부 가장자리로 흘러내려온다고 해도 상기 고기구이판(2)의 가장자리가 지지환턱에 적층되어 밀폐시키는 상태가 되어 고기구이판(2)의 가장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고, 상기 지지환턱의 틈새로 기름이 기름받이홈(7)으로 낙하한다고 해도 그 낙하정도가 아주 미미하여 필요에 따라 기름종이 등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기름을 제거하면서 고기를 구워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은 그 재질이 무쇠이고 두께와 면적을 포함하여 그 무게가 상당히 무거워 가정이나 음식점 및 야외 등에서 고기를 구워먹기 위하여 제반 준비를 위한 과정이나 상기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을 운반하고, 고기를 구워먹은 후에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을 세척하는 과정 또는 화염을 피우기 위해 솥뚜껑 구이판을 들어야 할 경우 솥뚜껑 고기 구이판(1)의 손잡이(3)를 사용하여 교체하고 운반하여야 하는데 그 무게로 인하여 준비 및 세척 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과중한 힘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솥뚜껑 구이판을 교체 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솥뚜껑 구이판을 상단층과 하단층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토록 함과 아울러 상기 상단층과 하단층의 경사도를 달리 하여 고기 굽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솥뚜껑 구이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단판을 분리한 후, 하단판에 다른 구이판을 적층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솥뚜껑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솥뚜껑 고기구이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솥뚜껑 구이판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도 2의 분리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솥뚜껑 구이판 22: 상단판
24: 하단판 26: 기름유입부
28: 손잡이 30: 걸림턱
32: 기름배출구 40: 받침턱부
42: 화염유도구 50: 화염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솥뚜껑 구이판은 손잡이가 돌설된 중앙부에서 외주연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외주연부의 내측 하단부가 함몰된 걸림턱이 형성된 상단판과; 상기 상단판의 걸림턱이 내주연부에 걸쳐지고, 상기 상단판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하단판과; 상기 하단판 외주연부로 이 보다 낮고 다소 둥글고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위치로 기름배출구가 관통된 기름유입부와; 상기 하단판 외주연부가 거치되어 상기 상단판 및 하단판을 지지하는 받침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인 솥뚜껑 구이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도 2에 따른 분리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솥뚜껑 구이판(20)은 고기를 올려놓고 굽는 상단판(22)과 상기 상단판(20)과 결합 및 분리되는 하단판(24), 상기 상단판(22) 및 하단판(24)을 지지하는 받침턱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판(22)은 고기를 올려 놓고 구울 수 있는 부분으로, 최상단 중앙부로 교체시에나 운반시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28)가 일체로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8)로부터 외주연부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단판(22)의 두께보다 다소 작고, 소정의 폭을 갖는 걸림턱(30)이 상기 상단판(22)의 외주연부의 내측 주연부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상단판(22)의 하향 경사진 소정의 각도는 고기를 올려놓고 구울 경우, 고기로부터 배출되는 기름이 외주연부로 쉽게 흘러 내리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판(24)은 상기 상단판(22)의 하향 경사진 소정의 각도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로 형성되되, 내주연부의 상단부는 상단판(22)의 걸림턱(3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걸림턱(30)의 폭만큼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하단판(24)을 이루는 상부 둘레에는 기름의 낙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분 또는 전체로 기름 유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하단판(24)의 외주연부는 기름유도부(26)로 기름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름 유도부는 다소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하단판의 기름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모양을 형성한 것으로, 원주와 직교 방향으로 일정하게 방사형으로 방사형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와 직교 방향으로 일정하게 방사형으로 방사형돌출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소정 높이를 갖는 다양한 모양으로 다수 개 돌출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민무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기름 유도부는 본 고안인 솥뚜껑 구이판의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하단판(24)의 외주연부에는 기름유입부(26)의 일측이 결합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름유입부(26)는 하단판(24)보다 낮고 둥글고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단판(24)과 일체로 형성된 기름 유입부(26)의 타측으로는 하단판(24)이 형성된 높이보다 다소 높게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최하단부의 소정 위치에 상기 상단판(22) 및 하단판(24)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기름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기름 배출구(32)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기름 배출구(3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름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외부에서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기름 유입부의 소정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기름받이부(미도시)를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하단판(24)이 적층되는 받침턱부(40)는 직접적으로 바닥면(예를 들면, 화염통이 하측으로 천공되어 있는 탁자)에 닿는 부분으로 하단 중앙부로
화염통(50 )으로부터 화기를 본 고안인 솥뚜껑 구이판(20)에 전달될 수 있도록화염 유도구(42)가 천공되어 있으며,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다소 작은 직경에 소정 두께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최상단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돌기(44)가 주연부 둘레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염 유도구(42)는 화염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44)와 상기 하단판(24)의 기름유입부(26)가 일체로 절곡형성된 내측 하단부와 맞닿아 하단판(24)을 고정시키며, 상기 하단판(24)에 적층되는 상단판 (22)까지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염유도구(42)를 통해 화기가 강하게 전달되는 상단판(22)은 고기를 얹어 구워먹고, 상기 상단판(22)보다 다소 약한 화기가 전달되는 하단판(24)은 쉽게 익을 수 있는 야채 등을 구워먹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솥뚜껑 구이판(20)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솥뚜껑 구이판(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염통(50)의 상부로 화염유도구(42)가 있는 받침턱부(40)를 적층되게 얹고, 상기 받침턱부(40) 상부로 하단판(24)을 적층하는데, 상기 하단판(24)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턱부(40)의 돌출형성된 돌기(44)에 하단판(24) 외주연부와 일체로 형성된 기름유입부(26) 사이의 절곡형성된 부위가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하단판(24)의 내주연부에 상기 상단판(22)의 걸림턱(30)이 거치되도록 밀착되게 고정한 다음 상기 상단판(22)의 손잡이(28)를 잡고 들어올려 분리한 후, 화염통(50)에 숯과 같은 화염을 넣어 피운 후, 상단판(22)에 고기를 올려 놓고 하단판(24)에는 야채를 올려 놓은후 화염에 의한 화기에 의해 구워 먹으며, 상단판(22)의 기울어진 경사에 의해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단판(24)으로 흘러내리며, 상기 하단판(24)의 기름 유도부에 의해 기름 유입부(26)를 거쳐 상기 기름 유입부에 관통형성된 기름배출구(32)를 통해 최종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이 잘 흐르도록 구성된 솥뚜껑 구이판(20)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하지 않은 지방질로 되어 있는 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영양가 있는 고기를 먹을 수가 있는 것이다.
반면, 솥뚜껑 구이판(20)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단판(22)을 분리한 후, 하단판(24) 상부로 다른 구이판을 적층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솥뚜껑 구이판(20)의 상단판(22)과 하단판(24)은 전통방식의 무쇠(선철)주물로 제조됨에 있어 고기가 쉽게 타지 않고 맛이 담백하며 늘어붙지 않고 기름이 쉽게 튀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원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 고안의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거하여 정의되는 본원 고안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들에 의하여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솥뚜껑 구이판의 상단판과 하단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있어 교체하거나 운반함에 있어 솥뚜껑 구이판의 무게를 분산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교체 또는 운반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이 무쇠(선철)주물로, 구이시에 발생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화기의 열기가 화염유도구를 통하여 솥뚜껑 구이판의 내측 하단면에 직접 접근되어 부드럽고 맛좋은 양질의 고기를 맛 볼 수 있으며 재질의 특성상 늘어붙지 않으며 벗겨질 염려가 없고 기름이 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솥뚜껑 구이판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솥뚜껑 구이판의 상단판을 분리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구이판을 하단판에 적층한 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손잡이가 돌설된 중앙부에서 외주연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며, 상기 외주연부의 내측 하단부가 함몰된 걸림턱이 형성된 상단판과;
    상기 상단판의 걸림턱이 내주연부에 걸쳐지고, 상기 상단판보다 다소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기름 유도부가 형성된 하단판과;
    상기 하단판 외주연부로 이 보다 낮고 다소 둥글고 오목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 위치로 기름배출구가 관통된 기름유입부와;
    상기 하단판 외주연부가 거치되어 상기 상단판 및 하단판을 지지하는 받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판은 부분 또는 전체로 다수 개 형성된 기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도부는 원주와 직교 방향으로 일정하게 함몰 형성된 방사형홈부 또는 원주와 직교 방향으로 일정하게 돌출 형성된 방사형돌출부, 서로 다른 소정의높이로 형성된 돌출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판과 상단판은 무쇠주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뚜껑 구이판.
KR20-2003-0022912U 2003-07-15 2003-07-15 솥뚜껑 구이판 KR200330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12U KR200330943Y1 (ko) 2003-07-15 2003-07-15 솥뚜껑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12U KR200330943Y1 (ko) 2003-07-15 2003-07-15 솥뚜껑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43Y1 true KR200330943Y1 (ko) 2003-10-22

Family

ID=4933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12U KR200330943Y1 (ko) 2003-07-15 2003-07-15 솥뚜껑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26Y1 (ko) 2019-08-19 2021-01-20 김경수 구이판
KR102251555B1 (ko) * 2020-12-23 2021-05-12 이주희 직화구이가 가능한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026Y1 (ko) 2019-08-19 2021-01-20 김경수 구이판
KR102251555B1 (ko) * 2020-12-23 2021-05-12 이주희 직화구이가 가능한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JPH08228923A (ja) 延長可能な側面及び調節可能な部分を備えた重ね式鍋
KR102145070B1 (ko) 이종조리 구조를 가진 석쇠
KR200330943Y1 (ko) 솥뚜껑 구이판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20077885A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207366Y1 (ko) 화덕용 구이판
CN208725521U (zh) 一种使用方便的空气炸锅
KR200369879Y1 (ko) 중앙부 탈부착이 가능한 고기구이불판
US20060005714A1 (en) Grill with base assembly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CN218044744U (zh) 一种多功能料理机蒸锅组
US20210386241A1 (en) Stuffed waffle utensil
CN211022170U (zh) 一种电火锅
CN208987967U (zh) 一种户外烧烤桌
JPS608815Y2 (ja) 料理鍋
KR200377867Y1 (ko) 착탈식 2단 고기 구이판
US20230142557A1 (en) Device and kit for cooking with frame and insert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CN215016282U (zh) 烹饪器具
KR200309213Y1 (ko) 구이판
KR200233209Y1 (ko) 다용도 불고기판
CN208447279U (zh) 一种电饭煲的蒸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