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709Y1 -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 Google Patents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709Y1
KR200322709Y1 KR20-2003-0016449U KR20030016449U KR200322709Y1 KR 200322709 Y1 KR200322709 Y1 KR 200322709Y1 KR 20030016449 U KR20030016449 U KR 20030016449U KR 200322709 Y1 KR200322709 Y1 KR 200322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constant velocity
velocity joint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6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전체적인 외관이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과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3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9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을 형성하여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발생되는 누유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등속 조인트의 내구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Boot for forbidding oil leakage for a constant velocity joint}
이 고안은 등속 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부트(boot)의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을 형성하여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발생되는 누유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등속 조인트의 내구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앞바퀴 구동 차량의 추진축에는 구동축과 수동축의 교차각이 커지더라도 등속으로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주기 위한 등속 조인트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는, 엔진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위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 (2)와, 상기한 드라이브 샤프트(2)에 연결되어 있는 스파이드 조립체(3)와, 상기한 스파이드 조립체(3)의 외부면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housing) (1)과, 상기한 하우징(1)과 드라이브 샤프트(2)의 연결부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1)과 드라이 샤프트(2)에 끝단이 각각 연결되는 부트(4)와, 상기한 부트(4)가 상기한 하우징(1)과 드라이브 샤프트(2)에 밀착되도록 조여주기 위한 클램핑 밴드(clamping band) (5, 6)와, 상기한 부트(4)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유(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등속 조인트 장치는, 차량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토오크(torque)가 드라이브 샤프트(2)를 통하여 스파이더 조립체(3)로 전달되고, 상기한 스파이더 조립체(3)가 하우징(1)으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변위에 따라 등속 조인트의 절각이 이루어지면서 바퀴측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하우징과의 연결상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용 부트(4)는 하우징(1)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3개 부위에 밀착용 돌출턱(41)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등속 조인트 장치는, 등속 조인트가 차량의 변위에 따라 절각되면서 토오크를 전달할 때 부트(4)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유(7)가 등속 조인트의 절각으로 인하여 인장 및 압축이 반복됨으로써 내부발열 및 내부압력 상승에 의해 반고체 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되고, 일정기간동안 사용하고 난 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부트(4)의 고유성질 저하와 클램핑 밴드(5)의 변형으로 인하여, 하우징(1)의 외표면과 부트(4)의 밀착용 돌출턱(41)의 사이에 틈새(8)가 발생하게 되어 윤활유(7)가 흘러나오게 되는 누유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등속 조인트의 내구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을 형성하여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발생되는 누유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등속 조인트의 내구 수명을 높일 수 있는,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하우징과의 연결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차량 등속 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평면도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2 : 드라이브 샤프트
3 : 스파이더 조립체 4, 9 : 부트
5, 6 : 클램핑 밴드 7 : 윤활유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4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구성은, 전체적인 외관이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과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3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9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등속 조인트 장치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토오크가 드라이브 샤프트(2)를 통하여 스파이더 조립체(3)로 전달되고, 상기한 스파이더 조립체(3)가 하우징(1)으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변위에 따라 등속 조인트의 절각이 이루어지면서 바퀴측으로 토오크를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속 조인트가 차량의 변위에 따라 절각되면서 토오크를 전달할 때, 부트(9)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유(7)가 등속 조인트의 절각으로 인하여 인장 및 압축이 반복됨으로써 내부발열 및 내부압력 상승에 의해 반고체 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되고, 일정기간 경과시 부트(9)의 고유성질 저하와 클램핑 밴드(5, 6)의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부트(9)의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누유방지용 돌출턱(91)에 의해서, 하우징(1)의 외표면과 부트(9)의 밀착용 돌출턱의 사이의 틈새(8)를 통해 윤활유(7)가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을 형성하여 부트의 밀착용 돌출턱과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발생되는 누유를 방지하여 줌으로써 등속 조인트의 내구 수명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전체적인 외관이 자바라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과 연결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3개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밀착용 돌출턱의 후면에 누유방지용 돌출턱(9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KR20-2003-0016449U 2003-05-27 2003-05-27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KR200322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49U KR200322709Y1 (ko) 2003-05-27 2003-05-27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449U KR200322709Y1 (ko) 2003-05-27 2003-05-27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709Y1 true KR200322709Y1 (ko) 2003-08-14

Family

ID=4933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449U KR200322709Y1 (ko) 2003-05-27 2003-05-27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7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03B1 (ko) 2012-04-09 2013-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용 부트
KR20180038208A (ko) 2016-10-06 2018-04-16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드라이브샤프트의 부트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03B1 (ko) 2012-04-09 2013-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용 부트
KR20180038208A (ko) 2016-10-06 2018-04-16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드라이브샤프트의 부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4122626A (ru) Поворотное сопло для рак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200322709Y1 (ko) 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 등속조인트 장치용 부트
BR0206089A (pt) Compressor
KR200322708Y1 (ko) 이중누유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등속조인트 장치
KR200341930Y1 (ko) 축력저감형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 조인트
KR100822573B1 (ko) 자동차 등속 조인트용 부트 장치
JP2007146960A (ja) シール構造
JP2006275161A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ブーツ、プロペラシャフト、プロペラシャフト用ブーツの取付方法及び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方法
KR100820405B1 (ko) 등속 조인트
JP2008025751A (ja) シール構造
JP3940869B2 (ja) オイルシール
JP2561144Y2 (ja) 動力伝達機構のシール構造
WO2010021185A1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用密封装置
JP2013087915A (ja) 等速自在継手
JP2020041661A (ja) ブーツバンド
KR101127244B1 (ko)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
JP5348404B2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用密封装置
JP4975341B2 (ja)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の取り付け構造
KR101960940B1 (ko) 등속조인트용 부트 클램핑 구조
KR100541145B1 (ko) 등속조인트의 부츠결합 구조
JP2008045675A (ja) 等速自在継手のブーツ装着構造
JP2009008144A (ja) 等速自在継手
JP2008101712A (ja) ブーツ取付構造
KR100476269B1 (ko) 벨트 장력 경고장치
JPH0972351A (ja) 等速自在継手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