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930Y1 -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930Y1
KR200319930Y1 KR20-2003-0010784U KR20030010784U KR200319930Y1 KR 200319930 Y1 KR200319930 Y1 KR 200319930Y1 KR 20030010784 U KR20030010784 U KR 20030010784U KR 200319930 Y1 KR200319930 Y1 KR 200319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heel
vehicle body
electric wheelchair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to KR20-2003-0010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9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휠체어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체의 수평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요구에 맞추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체 내의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륜을 가지며, 이 구동륜의 전, 후위치에 전방 보조륜 및 후방 보조륜이 각각 장착되어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조륜이 장착되는 U자형상의 브래킷 끝단부 양측에 체결부재로서 전방 보조륜을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구멍의 수평방향 중심에서 아래쪽으로의 간격이 14∼16mm 떨어지고, 그 수직방향의 중심에서 간격이 5∼6mm 이동한 위치에 보조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 보조륜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front supporting wheel free- attached structure for electric wheel chair}
본 고안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휠체어의 전방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체의 수평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요구에 맞추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통상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팔에 장애가 있거나 노약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체 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이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방식의 휠체어로서,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35456 호나 제 293419 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 구동륜과 보조륜이 장착되고, 또한 손잡이와 팔받이, 발판 등에 의해 휠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팔받이 일측에마련된 레버를 이용자가 조작시킴에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차체 전방에 장착되는 보조륜은, 통상적으로 차체의 프레임 하단부에 장착된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는 U자형상의 브래킷 끝단에 끼워넣고 체결부재로 장착하여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보조륜은 항상 그 높이를 유지하게 되고, 차체 자체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트에 앉아 장시간에 걸쳐 전동 휠체어를 운행하는 경우에 운전자로서는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에 장착되는 전방 보조륜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체의 수평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운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큰 무리가 따르지 않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 휠체어 2 : 차체
3 : 시트(seat) 4 : 손잡이
5 : 등받이 6 : 구동륜
7 : 전방 보조륜 8 : 후방 보조륜
9 : 조작레버 10 : 팔받이
11 : 지지바 12 : 발판
13 : 케이싱 14 : 브래킷
14a : 결합구멍 14b : 보조구멍
15 : 연결축 15a : 고정부재
16a : 볼트 16b : 너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체 내의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륜을 가지며, 이 구동륜의 전, 후위치에 전방 보조륜 및 후방 보조륜이 각각 장착되어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조륜이 장착되는 U자형상의 브래킷 끝단부 양측에 체결부재로서 전방 보조륜을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구멍의 수평방향 중심에서 아래쪽으로의 간격이 14∼16mm 떨어지고, 그 수직방향의 중심에서 간격이 5∼6mm 이동한 위치에 보조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 보조륜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그 측면도로서, 전동 휠체어(1)를 구성하기 위한 차체(2)의 프레임 상에 시트(3)와 한쌍의 손잡이(4)를 가지는 등받이(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차체(2)의 양측 하단부에 한쌍의 구동륜(6)이 장착되어 있고, 이 구동륜(6)의 전, 후에는 각각 전방 보조륜(7)과 후방 보조륜(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3)의 좌, 우 양측에는 한쪽에 조작레버(9)를 가지는 한쌍의 팔받이(1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전방부의 차체(2)에 장착된 지지바(11)의 끝단부에 발판(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3)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차체(2) 내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륜(6)을 회전시키고, 상기 팔받이(10) 일측에 마련된 레버(9)를 조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동 휠체어(1)는 전후, 좌우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a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는, 상기 차체(2)의 프레임 전방부 상에 케이싱(13)이 장착되어 있고, 이 케이싱(13)의 하단부에는 U자형상의 브래킷(14)이 연결축(15) 및 이 연결축(15)끝단의 고정부재(15a)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14)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전방 보조륜(7)을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구멍(14a)의 수평방향 중심에서 아래쪽으로의 간격(D)이 14∼16mm 떨어진 위치에 보조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구멍(14b)은 그 수직방향의 중심이 상기 결합구멍(14a)의 중심으로부터 간격(d)이 5∼6mm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16a)와 너트(16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 보조륜(7)의 장착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체형이나 요구에 맞추어 상기 전방 보조륜(7)을 브래킷(14) 상의 보조구멍(14b)에 맞추어 볼트(16a) 및 너트(16b)에 의해 장착하는 경우, 전방 보조륜(7)이 그 만큼 상승한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차체(2)의 전방쪽은 높아지고 후방쪽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트(3)에 앉게 되면, 그 무게중심이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시트(3) 후방에 위치한 등받이(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전동 휠체어(1)의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에 의하면, 차체에 장착되는 전방 보조륜의 위치를 변경시켜 차체의 수평각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트에 밀착된 상태로 편안한 자세에서 운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큰 무리가 따르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 내의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륜을 가지며, 이 구동륜의 전, 후위치에 전방 보조륜 및 후방 보조륜이 각각 장착되어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조륜(7)이 장착되는 U자형상의 브래킷(14) 끝단부 양측에 체결부재로서 전방 보조륜(7)을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구멍(14a)의 수평방향 중심에서 아래쪽으로의 간격(D)이 14∼16mm 떨어지고, 그 수직방향의 중심에서 간격(d)이 5∼6mm 이동한 위치에 보조구멍(14b)을 형성하여 상기 전방 보조륜(7)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KR20-2003-0010784U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KR200319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84U KR200319930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84U KR200319930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930Y1 true KR200319930Y1 (ko) 2003-07-16

Family

ID=493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84U KR200319930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9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893B1 (en) Wheelchair
JP2000175974A (ja) 多機能ベッド
CN107468438B (zh) 折叠式电动轮椅车
KR200319930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KR200319927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JP4375504B2 (ja) 移乗装置
JP4606446B2 (ja) 車いす用車体フレーム
KR200311341Y1 (ko)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JP4147569B2 (ja) 車椅子
JP4214552B2 (ja) 組立て式電動車いす及び電動車いすの組立て方法
JP3530713B2 (ja) 走行式座椅子
JP3072462B2 (ja) 車椅子
JP2000051279A (ja) 電動車椅子
JPH05115509A (ja) 障害者用車椅子
KR200319928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 회전구조
JP7352185B2 (ja) 車両構造、および車椅子と車両との連結構造
JP3207907B2 (ja) 障害者用車椅子
JP7352186B2 (ja) 車椅子
JP6235826B2 (ja) 車椅子
JP2857036B2 (ja) 姿勢変更機能を有する椅子
JP2560174Y2 (ja) 電動三輪車
JP4003074B2 (ja) チルト機構を有するリクライニング式介護用車椅子
JP2524070Y2 (ja) 電動車両の足載せ装置
JPH11197189A (ja) 車椅子
JPH0866429A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