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927Y1 -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927Y1
KR200319927Y1 KR20-2003-0010781U KR20030010781U KR200319927Y1 KR 200319927 Y1 KR200319927 Y1 KR 200319927Y1 KR 20030010781 U KR20030010781 U KR 20030010781U KR 200319927 Y1 KR200319927 Y1 KR 20031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eat
shaped body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to KR20-2003-0010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체 내의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륜을 회전시키고,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 및 그 양측의 팔받이가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를 가지는 봉형상체와, 상기 봉형상체가 끼워넣어지는 삽입공을 가지며, 그 상단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틀체와, 상기 지지틀체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봉형상체의 수직이동을 규제하는 조절노브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seat high-low control structure for electric wheel chair}
본 고안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seat) 높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휠체어는 신체장애자나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통상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휠을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키는 수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팔에 장애가 있거나 노약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체 내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이용자의 직접적인 힘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방식의 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방식의 휠체어로서,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35456 호나 제 293419 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를 이루는 프레임 상에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양측에 구동륜과 보조륜이 장착되고, 또한 손잡이와 팔받이, 발판 등에 의해 휠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팔받이 일측에 마련된 레버를 이용자가 조작시킴에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차체 상단에 설치되는 시트는, 통상적으로 프레임 상에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완전히 고정 설치되거나, 혹은 등받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 높낮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편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휠체어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높이 조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 구성부품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 휠체어 2 : 차체
3 : 시트(seat) 4 : 손잡이
5 : 등받이 6 : 구동륜
7 : 전방 보조륜 8 : 후방 보조륜
9 : 조작레버 10 : 팔받이
11 : 지지바 12 : 발판
13 : 고정판 14 : 유지부재
14a : 관통공 14b : 플랜지
15 : 봉형상체 15a : 플랜지
16 : 프레임 17 : 지지틀체
17a : 삽입공 17b : 나사공
18 : 조절노브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차체 내의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륜을 회전시키고,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 및 그 양측의 팔받이가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를 가지는 봉형상체와, 상기 봉형상체가 끼워넣어지는 삽입공을 가지며, 그 상단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틀체와, 상기 지지틀체의 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봉형상체의 수직이동을 규제하는 조절노브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그 측면도로서, 전동 휠체어(1)를 구성하기 위한 차체(2)의 프레임 상에 시트(3)와 한쌍의 손잡이(4)를 가지는 등받이(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차체(2)의 양측 하단부에 한쌍의 구동륜(6)이 장착되어 있고, 이 구동륜(6)의 전, 후에는 각각 전방 보조륜(7)과 후방 보조륜(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3)의 좌, 우 양측에는 한쪽에 조작레버(9)를 가지는 한쌍의 팔받이(1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전방부의 차체(2)에 장착된 지지바(11)의 끝단부에 발판(1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3)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차체(2) 내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륜(6)을 회전시키고, 상기 팔받이(10) 일측에 마련된 레버(9)를 조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동 휠체어(1)는 전후, 좌우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높이 조절구조는, 상기 시트(3) 및 그 양측의 팔받이(10)가 안착되는 고정판(13)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고정판(13)의 하부면에는 중앙에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13)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14b)를 가지는 유지부재(14)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지부재(14)의 관통공(14a) 저면에는 봉형상체(15)에 형성된 플랜지(15a)가 고정되며, 상기 봉형상체(15)의 하단부는 차체(2)를 이루는프레임(16)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 지지틀체(17) 중앙의 삽입공(17a)에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틀체(17)의 삽입공(17a) 상단에 형성된 나사공(17b)에는 조절노브(18)가 체결되어 상기 봉형상체(15)의 수직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트(2)가 안착되는 고정판(13)의 저면에 유지부재(14)가 고정 설치되고, 이 유지부재(14)에 형성된 관통공(14a)으로 봉형상체(15)의 상단부가 끼워넣어짐과 동시에 플랜지(15a)가 밀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봉형상체(15)의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16) 상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틀체(17)의 삽입공(17a)으로 수직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상기 지지틀체(17)의 상측에 마련된 조절노브(18)에 의해 이동을 규제받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시트(2)가 안착된 고정판(1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봉형상체(15)가 지지틀체(17)의 삽입공(17a)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지지틀체(17)의 상측에 마련된 조절노브(18)를 조여줌에 따라 봉형상체(15)를 완전히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에 세워져 설치된 지지틀체의 삽입공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봉형상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편하고 안정된 상태에서의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 내의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구동에 의해 구동륜을 회전시키고,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2) 및 그 양측의 팔받이(10)가 안착되는 고정판(13)과,
    상기 고정판(13)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14b)를 가지며, 그 중앙에 관통공(14a)이 형성된 유지부재(14)와,
    상기 유지부재(14)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는 플랜지(15a)를 가지는 봉형상체(15)와,
    상기 봉형상체(15)가 끼워넣어지는 삽입공(17a)을 가지며, 그 상단 일측에 나사공(17b)이 형성되어 프레임(16)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틀체(17)와,
    상기 지지틀체(17)의 나사공(17b)에 체결되어 상기 봉형상체(15)의 수직이동을 규제하는 조절노브(18)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KR20-2003-0010781U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KR200319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81U KR200319927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781U KR200319927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927Y1 true KR200319927Y1 (ko) 2003-07-18

Family

ID=4941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781U KR200319927Y1 (ko) 2003-04-09 2003-04-09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9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313A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상하높이 조절이 되는 전동형 시트
KR20220071028A (ko) 2020-11-23 2022-05-3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313A (ko)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상하높이 조절이 되는 전동형 시트
KR20220071028A (ko) 2020-11-23 2022-05-3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6060A1 (en) Wheelchair with two-stage tilt
US7331632B2 (en) Footrest for wheelchairs or the like
JP2000175974A (ja) 多機能ベッド
JPH1170146A (ja) 車椅子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KR200319927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JP3482471B2 (ja) 障害者用自動車運転補助ペダル
KR200311341Y1 (ko)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JP2000005236A (ja) 車椅子用頭部等の支持装置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3227598B2 (ja) 車椅子装置
KR200319930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전방 보조륜 장착구조
CN211633961U (zh) 一种具有可调脚踏组件的轮椅
JPH10127697A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構造
JP4147569B2 (ja) 車椅子
KR200319928Y1 (ko)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 회전구조
JP2001161752A (ja) 分離合体型車椅子
JP3884224B2 (ja) 車椅子
JPH11197189A (ja) 車椅子
JP3533628B2 (ja) 車椅子
KR200355554Y1 (ko) 휠체어 등받이 및 발받침 각도조절장치
KR200370097Y1 (ko) 화장실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
KR200274464Y1 (ko) 전동휠체어의 안전발판
JP4996374B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の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