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028A -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028A
KR20220071028A KR1020200158219A KR20200158219A KR20220071028A KR 20220071028 A KR20220071028 A KR 20220071028A KR 1020200158219 A KR1020200158219 A KR 1020200158219A KR 20200158219 A KR20200158219 A KR 20200158219A KR 20220071028 A KR20220071028 A KR 2022007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height
electric cylinder
insertion h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우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1028A/ko
Publication of KR2022007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의 높이조절은 물론, 높이가 조절된 해당 휠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조절수단 또는 회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휠체어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휠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실린더 및 상부는 상기 전기실린더 하부에 체결되되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WHEEL CHAIR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의 높이조절은 물론, 높이가 조절된 해당 휠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동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지체 장애인이 생산 활동 및 사회 활동에 독립적인 참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맞춰진 생활 패턴을 장애 없이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보조 기구가 필요하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장애인의 이동 수단으로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휠체어라 할 수 있겠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휠체어(Wheel chair)는 바퀴가 달린 의자로써, 통상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장애인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동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돌리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차량 탑승 시에는 휠체어가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차량의 탑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휠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휠체어 자체적으로 가지는 수동식 이동과, 이동로에 대한 공간상의 제약, 그리고 휠체어의 높이에 따른 낮은 눈높이 생활 등으로 인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되는 전동식 휠체어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전동식 휠체어는 전동 구동은 물론 계단을 오르며, 일반인과의 대화 시 눈 높이를 맞추어 주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식 휠체어는 수동식 휠체어에 비하여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병원이나 혹은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들이 구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동식 휠체어 구조를 이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시트의 상승 기능을 제공하는 휠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실용 제20-0319927호(공고일:2003.07.18.) 국내등록특허 제10-0904137호(공고일:2009.06.24.) 국내공개특허 제10-2016-142548호(공개일:2016.12.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 상태에 따라 휠체어 시트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 상태의 해당 휠체어를 회전시켜 사용의 편의성의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조절수단 또는 회전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휠체어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휠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실린더 및 상부는 상기 전기실린더 하부에 체결되되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휠체어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관통하는 체결수단과 체결되어 상기 휠체어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와, 상기 설치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되 시트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재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실린더 상부가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관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관 외면에는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전기실린더 외면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이 상기 고정관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면접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과 근접하게 제2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지지판과, 상기 상부가 상기 제2삽입공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축이 양방향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모터 및 한 쌍이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구비되되 어느 하는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기실린더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휠체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휠체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상기 휠체어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수단을 통해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휠체어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대한 높이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대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높이조절수단에 회전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프레임(11)과 탈착 가능한 연결고리(330)가 구비되되 후술하는 높이조절수단(100)이나 회전수단(200)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310)로 구성된 배터리(320)를 통해 필요전원을 인가받는 통상의 제어판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타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원치 않는 스위치(310)의 온/오프(ON/OFF)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회전가능한 덮개(340)의 개폐를 통해 상기 스위치(310)의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3 참조)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는 크게 제어부(300) 이외에 높이조절수단(100) 또는 회전수단(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은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통해 휠체어(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브라켓부(110), 전기실린더(120) 및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예컨대 브라켓부(110)는 휠체어(10)에 구비된 시트(12)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전기실린더(120)의 승강에 의해 휠체어(10)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플레이트(111), 쿠션재(113) 및 고정관(115)을 포함한다.
설치플레이트(111)는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금속재질 등으로 성형되되 외면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P)을 통해 상기 휠체어(10)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쿠션재(113)는 설치플레이트(111)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상면이 시트(12) 하면과 면접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되어 휠체어(1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상기 시트(12)와 함께 흡수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며, 나아가서는 전기실린더(120)가 승강시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한다.
쿠션재(113)는 내부에 솜 등이 구비된 통상의 쿠션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연성의 성질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관(115)은 설치플레이트(111) 하면과 이어지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하면은 전기실린더(120) 상부가 삽입될 수 있게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P)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고정관(115)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전기실린더(120) 외면을 그 끝단이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기실린더(1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로드(121)가 승강할 수 있는 통상의 실린더(Cylinder)를 의미한다. 물론, 기압이나 유압 등의 실린더도 적용 가능하다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별도의 기압이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물(예를 들어, 배관이나 탱크 등)이 휠체어(10)에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인가된 전기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실린더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전기실린더(120)는 휠체어(10)에 구비된 배터리(320)를 통해 필요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케이블 등에 의해 결선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는 로드(121) 하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술한 설치플레이트(111)와 동종의 재질을 갖는 판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30)는 상부에 체결수단(P)을 통해 로드(121)와 고정 결합하기 위한 삽입관(131)이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드(121)가 상기 삽입관(131)에 삽입되어 상술한 고정관(115)과 동일 방식으로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2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통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의 휠체어(10)를 정방향(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지지판(210), 회전모터(220) 및 기어(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회전지지판(210)은 전체적으로 금속재질로 성형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술한 설치플레이트(111) 하면에 용접 또는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회전지지판(210)에는 설치플레이트(111)와 이어지게 형성된 고정관(115)이 관통 삽입되는 제1삽입공(213) 및 회전모터(220)가 삽입 설치되는 제2삽입공(215)이 서로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관(115)과 설치플레이트(111) 간의 결합은 회전수단(200)이 미 설치시에 상기 고정관(115)과 상기 설치플레이트(111)가 서로 이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회전수단(200)이 설치시에는 상기 고정관(115)의 양방향 회전을 위해 상기 설치플레이트(111)는 물론, 제1삽입공(213)을 통해 회전지지판(210) 내부로 관통된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설치플레이트(111) 외면에는 제1삽입공(213)과 동일 형상을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고정관(115)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고정관(115)이 관통 삽입된 제1삽입공(213) 및 설치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삽입공 내면에는 상기 고정관(115) 외면과 면접하는 베어링(21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관(115)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회전모터(220)는 구동축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그 상부가 제1삽입공(213)에 삽입되어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회전모터(220)는 배터리(320)와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어(230)는 회전모터(220)의 회전력을 전기실린더(120)에 전달하여 고정관(115)과 함께 상기 전기실린더(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회전모터(220)의 구동축에 결합하는 제1기어(231) 및 상기 제1기어(231)와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게 상기 전기실린더(120) 외면에 형성된 제2기어(2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모터(220)의 구동축이 회전하여 제1기어(231)가 회전하면 상기 제1기어(231)와 나사 결합등으로 결합한 제2기어(233)가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기어(233)의 회전을 통해 지지플레이트(130)가 바닥면(또는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기실린더(120)가 회전하여 휠체어(1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통해 동작하는 높이조절수단(100)을 통해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휠체어(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상기 휠체어(1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수단(200)을 통해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휠체어(10)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높이조절수단
110: 브라켓부 111: 설치플레이트
113: 쿠션재 115: 고정관
120: 전기실린더 121: 로드
130: 지지플레이트 131: 삽입관
200: 회전수단
210: 회전지지판 211: 베어링
213: 제1삽입공 215: 제2삽입공
220: 회전모터 230: 기어
231; 제1기어 233: 제2기어
300: 제어부
310: 스위치 320: 배터리
330: 연결고리 340: 덮개
10: 휠체어
11: 프레임 12; 시트
P: 체결수단

Claims (3)

  1. 휠체어(10)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10)는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조절수단(100) 또는 회전수단(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100)은
    상기 휠체어(10)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부(110);
    상기 브라켓부(110)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휠체어(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기실린더(120); 및
    상부는 상기 전기실린더(120) 하부에 체결되되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110)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휠체어(10)를 형성하는 프레임(11)을 관통하는 체결수단(P)과 체결되어 상기 휠체어(10)에 고정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111);
    상기 설치플레이트(111) 상부에 구비되되 시트(12)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하는 쿠션재(113);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111)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전기실린더(120) 상부가 삽입되어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관(115);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관(115) 외면에는 상기 회전수단(200)이 상기 전기실린더(120) 외면과 서로 치(齒)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00)은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211)이 상기 고정관(115)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면접하는 제1삽입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213)과 근접하게 제2삽입공(215)이 형성된 회전지지판(210);
    상기 상부가 상기 제2삽입공(215)에 삽입되어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축이 양방향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모터(220); 및
    한 쌍이 서로 치(齒) 결합하도록 구비되되 어느 하는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전기실린더(120)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휠체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1020200158219A 2020-11-23 2020-11-23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KR20220071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219A KR20220071028A (ko) 2020-11-23 2020-11-23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219A KR20220071028A (ko) 2020-11-23 2020-11-23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028A true KR20220071028A (ko) 2022-05-31

Family

ID=8178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219A KR20220071028A (ko) 2020-11-23 2020-11-23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102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927Y1 (ko) 2003-04-09 2003-07-18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KR100904137B1 (ko) 2007-08-30 2009-06-24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160142548A (ko)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927Y1 (ko) 2003-04-09 2003-07-18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의 시트높이 조절구조
KR100904137B1 (ko) 2007-08-30 2009-06-24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160142548A (ko)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8552A (en) Adjustable toilet seat
EP1310227B1 (en) Electric lifting cushion
US201002196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Lift Assistance
CN111888109B (zh) 一种用于辅助老人起身坐下如厕的轮椅
CN110115662B (zh) 一种瘫痪病人专用活动轮椅
KR20160142548A (ko)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JP2013508011A (ja) 昇降駆動モジュールがヒンジ結合された昇降椅子
US20200093665A1 (en) Assistive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ackrest Assembly
KR101988797B1 (ko) 양변기 사용자의 기립 보조 장치
KR20200021388A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WO2008092144A2 (en) Hydraulicly lifted toilet seat
CN111387868A (zh) 一种马桶助力装置
KR100722430B1 (ko) 다기능 휠체어
KR20220071028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US6003171A (en) Two-in-one chair lift and toilet seat
GB2063062A (en) Invalid seats
CN109481168A (zh) 一种多功能履带式电动爬楼轮椅
CN113197736A (zh) 一种具有床椅转移功能的轮椅
CN212591133U (zh) 一种多功能休闲座椅机械伸展装置
KR102228629B1 (ko)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CN217828257U (zh) 一种多功能轮椅床
KR20200019445A (ko) 사용 모드 선택이 가능한 휠 체어
KR101147330B1 (ko) 실내 이동용 휠체어
CN210696742U (zh) 一种智能躺椅
JP3202877U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