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29B1 -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Google Patents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629B1 KR102228629B1 KR1020200081122A KR20200081122A KR102228629B1 KR 102228629 B1 KR102228629 B1 KR 102228629B1 KR 1020200081122 A KR1020200081122 A KR 1020200081122A KR 20200081122 A KR20200081122 A KR 20200081122A KR 102228629 B1 KR102228629 B1 KR 102228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indoor mobile
- mobile device
- smart indoor
- elev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양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의 실내에서 노인의 일상생활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승하강시키는 경우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이 설정된 하우징과, 실내이동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메인 바퀴 및 전복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을 지지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로서, 등받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움직이는 구동력이 부여되는 후륜; 상기 후륜 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후륜과 함께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지지하는 전륜; 및 상기 시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상기 시트가 지면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도 시트에 착석하기 용이하며, 시트에 착석한 뒤에는 시트를 승강시켜서 편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로서, 등받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움직이는 구동력이 부여되는 후륜; 상기 후륜 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후륜과 함께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지지하는 전륜; 및 상기 시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상기 시트가 지면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도 시트에 착석하기 용이하며, 시트에 착석한 뒤에는 시트를 승강시켜서 편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요양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의 실내에서 노인의 일상생활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65세 이상 인구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에 11%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30년에는 24.3%로 초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2060년에는 40.1%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85세 이상 인구는 2010년 0.7%에서 2060년 10.2%로 10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며, 고령자의 케어에 요구되는 사회적 비용 또한 매우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요양병원 및 노인요양시설의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러한 시설들에서의 환자 안전사고가 빈번히 보고됨에 따라 서비스 품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요양병원,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안전사고에 취약한 80세 이상의 환자가 증가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및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노인 인구 중 대다수는 고혈압, 고지혈, 당뇨, 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따라서, 요양노인인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일상생활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생활지원용 보조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요양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의 실내에서 노인의 일상생활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에 의해 제안되는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는, 사용자를 승하강시키는 경우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이 설정된 하우징과, 실내이동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되는 메인 바퀴 및 전복을 방지하도록 하우징을 지지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로서, 등받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움직이는 구동력이 부여되는 후륜; 상기 후륜 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후륜과 함께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지지하는 전륜; 및 상기 시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상기 시트가 지면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도 시트에 착석하기 용이하며, 시트에 착석한 뒤에는 시트를 승강시켜서 편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을 포함하며, 회전봉은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회전봉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시트가 승강 또는 하강하고, 회전봉이 멈추면 시트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트가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에는 승하강 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시트가 승하강 부재에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 부재에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는 승하강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승하강 가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은 상기 시트가 상승하면서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후방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륜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본체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회전체의 회전축은 본체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는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전륜의 바퀴 본체가 회전하고,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회전할 때에는 전륜의 본체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기 전륜은 이격된 복수의 회전체가 설치된 본체 2개가 한쌍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체가 서로 엇갈려 위치하도록 2개 본체를 배치하여, 2개의 본체 중에 어느 하나는 회전체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에 의하면, 요양시설의 실내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실내에서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요양 시설의 실내에 위치한 이동 기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도 시트에 착석하기 용이하며, 시트에 착석한 뒤에는 시트를 승강시켜서 편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가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서 승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시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전륜의 바퀴 본체가 회전하고,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회전할 때에는 전륜의 본체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체가 회전하여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기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단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발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전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승하강 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서 시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승하강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승하강 가이드에 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사용된 전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기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단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발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전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승하강 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서 시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승하강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승하강 가이드에 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사용된 전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들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해당 기술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상세히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는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시트를 위쪽 방향으로 상향시키거나 아래쪽 방향으로 하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는 하우징(110), 시트(120), 후륜(130), 전륜(2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지지하며, 이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착석하거나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부상이나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동작 방식, 행동 패턴에 최적화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120)는 하우징(110) 상에 수납되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부분이다. 시트(120)는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석 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시트(120)는 하우징(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120)는 분리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물류 및 이송(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시트(120)는 케어자의 편의를 위해, 신체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후륜(130)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륜(13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360도 회전함으로써,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륜(210)은 후륜(130)과 함께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지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전륜(210)에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회전시킬 경우에 회전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바퀴(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위치나 동작 상태 및 안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모니터링 된 상태를 외부의 이동 단말(미도시)에 전송하거나 이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기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기구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기구 프레임(200)은 소정 체중을 가진 사용자를 수직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 프레임은 130kg의 체중을 가진 사용자나 물체를 550mm까지 승하강 하는 경우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설계될 수 있다.
기구 프레임(200)의 하단에는 후륜(130)과 전륜(210)이 부착된다. 이 경우, 후륜(130)은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륜(210)은 사용자의 승하강 시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중심을 지지함으로써,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1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기구 프레임의 무게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구 프레임(200)은 사용자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승하강 높이에 따른 무게중심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구 프레임(200)은 중간에 무게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기구 프레임(200)의 전장길이는 무게중심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기구 프레임(200)의 전장길이는 975mm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하단 뒷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하단 뒷부분에는 후륜(130)과 보조 바퀴(300)가 부착된다.
후륜(130)은 메인 휠로서,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륜(130)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바퀴 모터로 인한 공간의 제한을 해소할 수 있다.
보조 바퀴(300)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보조 바퀴(300)은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구동 시에 사용자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바퀴(300)는 항상 바닥에 접촉할 수도 있다. 또한, 평소에는 바닥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쪽에 설치되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는 경우에 바닥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발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하우징 발판 구조를 도시하고, 도 4b는 사용자의 승차 시 발판 구조 형상을 도시한다.
하우징(11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 구조(400)가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부착되는 시트(120)는 승하차가 가능하면서, 지면까지 내려오는 구조를 가진다. 발판 구조(400)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트(120)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발판 구조(400)는 보조 바퀴(210) 위에 놓여지는 곡선 형태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주행 중에 사용자의 발이 떠 있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전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륜(210)은 옆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옴니휠 구조이다. 전륜(210)은 별도의 바퀴 프레임의 회전 보조장치 없이 기구 프레임과 회전축의 직접 결합을 통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륜(210)은 360˚회전이 가능하다.
전륜(210)은 최대한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에 진입하는 경우, 앞바퀴의 진입 높이가 높아서 사용하기가 불편한 점을 개선할 수 있다.
전륜(210)은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를 지지하는데 최적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승하강 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시트 (120)는 지면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시트(120)는 소정 높이까지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는 소정 범위 내에서 승하강 할 수 있게 하는 승하강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 스트로크는 650 mm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서 시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승하강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승하강 가이드에 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는 기구 프레임에 승하강 구동장치(220)와 승하강 가이드(230) 및 승하강 부재(240)를 구비한다.
승하강 구동장치(220)는 시트(120)를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력을 가하는 부분으로서,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 액추에이터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구동장치(220)는 시트(120)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으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이 설치되고, 승하강 구동장치(220)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봉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회전봉의 나사산에 연결된 승하강 부재(240)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 부재(240)가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봉이 정지하면 승하강 부재(24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승하강 구동장치(220)에 포함된 모터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시트(120)의 승하강 움직임과 정지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봉의 길이를 선택하여 시트가 승하강 하는 거리인 스트로크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1000mm의 스트로크에도 충분한 승하강 이동 특성을 보인다.
승하강 부재(240)는 시트(120)에 연결되어 승하강 구동장치(220)에 의해서 승강과 하강을 하는 구성이다. 승하강 부재(240)는 시트(12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승하강 부재(240)에 시트(12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시트(120)와 승하강 구동부의 관리가 더욱 용이해진다.
승하강 가이드(230)는 승하강 부재(24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성으로서, 승하강 구동장치(220)의 회전봉을 가운데 두고 양 옆에 한쌍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하강 부재(240)에 롤러(242)를 설치하고, 롤러(242)가 승하강 가이드(230)에 설치된 홈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승하강 가이드(230)가 승하강 부재(24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도록 하였다.
특히, 승하강 부재(240)에 연결된 시트(120)가 지면에 대한 수직선 상에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고, 후방 경사진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구동장치(220)의 회전봉과 승하강 가이드(230)가 같은 각도로 후방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후방 경사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승하강 부재(240)의 롤러(242)가 단순히 이동 방향만을 가이드 하는 것이 아니고, 시트(120)의 승하강 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는 동시에 승하강 부재(240)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소음과 진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시트(120)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시트(120)에 착성하기에 용이하며, 시트(120)가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100)의 중심부로 이동하게되어 안정감이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에 사용된 전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륜(210)은 바퀴 본체(212a, 212b)와 회전체(213a, 213b)로 구성된다.
바퀴 본체(212a, 212b)는 기구 프레임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일반적인 바퀴의 본체(212a, 212b)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 본체(212a, 212b)의 외주면에 복수의 회전체(213a, 213b)가 설치되며, 회전체(213a, 213b)가 바닥에 접촉된다. 회전체(213a, 213b)는 바퀴 본체(212a, 212b)에 회전축으로 연결되며, 바퀴 본체(212a, 212b)에 연결되는 회전축의 방향은 기구 프레임에 바퀴 본체(212a, 212b)를 연결하는 회전축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결국, 회전체(213a, 213b)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전후 방향이 아닌 좌우측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체(213a, 213b)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전하지 않지만,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좌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할 경우에는 바퀴 본체(212a, 212b)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좌측 후륜과 우측 후륜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자리에서 회전을 할 수도 있다.
이때, 회전체(213a, 213b)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원형인 바퀴 본체(212a, 212b)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하고, 회전체(213a, 213b)의 사이의 부분이 바닥에 접촉하거나 복수의 회전체(213a, 213b)가 바닥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회전체(213a, 213b)의 회전이 어려울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주면에 복수의 회전체(213a, 213b)가 설치된 바퀴 본체(212a, 212b) 한쌍을 함께 사용하면서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체(213a, 213b)가 서로 엇갈려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바퀴 본체(212a, 212b)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체가 지면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실내이동기기 110: 하우징
120: 시트 130: 후륜
200: 기구 프레임 210: 보조 바퀴
212a, 212b: 본체 213a, 213b: 회전체
220: 승하강 구동장치 230: 승하강 가이드
240: 승하강 부재 242: 롤러
300: 보조 바퀴 400: 발판 구조
120: 시트 130: 후륜
200: 기구 프레임 210: 보조 바퀴
212a, 212b: 본체 213a, 213b: 회전체
220: 승하강 구동장치 230: 승하강 가이드
240: 승하강 부재 242: 롤러
300: 보조 바퀴 400: 발판 구조
Claims (8)
-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로서,
등받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움직이는 구동력이 부여되는 후륜;
상기 후륜 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후륜과 함께 스마트 실내이동기기를 지지하는 전륜; 및
상기 시트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봉과 회전봉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따라서 승하강 하는 승하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승하강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하강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서 함께 움직임으로써, 회전봉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시트가 승강 또는 하강하고, 회전봉이 멈추면 시트의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승하강 구동장치는 상기 시트가 지면에 닿는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고,
상기 전륜은,
스마트 실내이동기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는 본체에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회전체의 회전축은 본체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는 스마트 실내이동기기의 좌우측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부재에는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는 승하강 부재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 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는 상기 회전봉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상기 시트가 상승하면서 뒤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후방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은 이격된 복수의 회전체가 설치된 본체 2개가 한쌍으로 결합되며,
외주면에 설치된 회전체가 서로 엇갈려 위치하도록 2개 본체를 배치하여, 2개의 본체 중에 어느 하나는 회전체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76332 | 2019-12-27 | ||
KR1020190176332 | 2019-12-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8629B1 true KR102228629B1 (ko) | 2021-03-17 |
Family
ID=7524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1122A KR102228629B1 (ko) | 2019-12-27 | 2020-07-01 |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862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637A (ko) * | 2021-11-23 | 2023-05-3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석 및 착석을 보조하는 주행 보조기구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7007Y1 (ko) * | 2001-06-09 | 2001-10-26 | 윤현선 | 무방향성 바퀴 |
KR100960094B1 (ko) * | 2009-10-14 | 2010-05-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
-
2020
- 2020-07-01 KR KR1020200081122A patent/KR1022286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7007Y1 (ko) * | 2001-06-09 | 2001-10-26 | 윤현선 | 무방향성 바퀴 |
KR100960094B1 (ko) * | 2009-10-14 | 2010-05-31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5637A (ko) * | 2021-11-23 | 2023-05-31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석 및 착석을 보조하는 주행 보조기구 |
KR102622991B1 (ko) | 2021-11-23 | 2024-01-09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입석 및 착석을 보조하는 주행 보조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61220A1 (en) | Aid robot for transporting | |
CN109938945B (zh) | 一种多功能轮椅床 | |
KR100960094B1 (ko) |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 |
US20210100705A1 (en) | User Controls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Low Height | |
US20120095777A1 (en) | Patient lift apparatus and patient lift service dispatch system | |
KR101965161B1 (ko) | 보조기구 부착 착좌장치 | |
JP2006305092A (ja) | 移乗支援装置 | |
KR20190132493A (ko) | 전동 륜 들것 시스템 | |
KR102423485B1 (ko) |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 |
KR102228629B1 (ko) | 생활 보조용 스마트 실내이동기기 | |
CN205459418U (zh) | 一种方便病人平移转运且背部自动升降的转运床装置 | |
KR102150594B1 (ko) | 휠체어 | |
US20130007957A1 (en) | Movable lift device including overturn preventing system | |
US10729606B2 (en) | Adaptive mobility lift | |
KR20030076330A (ko) |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 승강 제어방법 | |
JP4903000B2 (ja) | 立ち上がり支援装置 | |
US20230218462A1 (en) | Electronic lifting-lowering transfer machine | |
KR20120114559A (ko) |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침대, 휠체어 및 이를 채용한 장애인 보조 시스템 | |
JP2007090096A (ja) | 寝たきり老人(要介護者)の褥瘡及び介護労力軽減寝台 | |
JP2015192847A (ja) | 移動式トイレ装置 | |
JP2001187089A (ja) | 介助支援装置 | |
JP3173529U (ja) | 手摺昇降装置 | |
KR101147330B1 (ko) | 실내 이동용 휠체어 | |
JPH11178863A (ja) | ベッド | |
JP2015150403A (ja) | 移乗支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