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560Y1 -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 Google Patents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560Y1
KR200317560Y1 KR2019980019854U KR19980019854U KR200317560Y1 KR 200317560 Y1 KR200317560 Y1 KR 200317560Y1 KR 2019980019854 U KR2019980019854 U KR 2019980019854U KR 19980019854 U KR19980019854 U KR 19980019854U KR 200317560 Y1 KR200317560 Y1 KR 200317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pc
link
active
board
redu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227U (ko
Inventor
이유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9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5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7Redund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의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IPC 데이터율 변환장치(110,210), 2.5M IPC 클럭 발생장치(120,220), IPC 링크에서의 경보를 나타내는 IPC 링크 경보 발생장치(130,230),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240,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선을 통해 수신한 IPC 데이터를 시스템의 IPC 보드로 링크하여 IPC 보드에서 스텐바이와 액티브의 상태를 선택하게 하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100,200)에 있어서,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액티브측의 IPC데이터 출력을 디스에이블 시키고, 스텐바이 측이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 시키는 IPC 링크 이중화 제어수단(140,240)이 상기 이중화된 두 IPC 보드에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스텐바이 측의 신속한 액티브 상태로의 절체로 인해 IPC 링크의 중계선부분의 이상발생으로 인한 IPC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액티브상태의 IPC 블록은 안정적인 IPC 통신을 유지하게 되어 모국과 자국간의 IPC 링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화된 아이피씨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
본 고안은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도록 동작하여 스텐바이 IPC 링크 보드의 실탈장과 링크의 경보가 액티브측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스텐바이 측의 신속한 액티브상태로의 절체로 인해 안정적인 IPC 통신을 유지하여 모국과 자국간의 IPC 링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모국과 자국간의 데이터 통신에는 프로세서간 통신( IPC :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 IPC라 칭함)망이 이용되고 있다. 즉, 모국과 자국간에 중계선을 통해 전달받은 IPC 데이터를 IPC 링크 보드를 통해 링크하여 시스템 내부의 IPC 블록으로 전달하고 있다. 안정적인 IPC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국과 자국간의 IPC 링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이중화된 IPC블럭을 사용하여 스텐바이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게 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IPC 보드내의 IPC송신회로가 도시된다.
IPC 링크보드는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해서 A측과 B측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A측을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PC 링크 보드내에서 IPC 데이터를 송신하는 IPC 링크 보드의 IPC송신회로는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의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시켜 주는 IPC 데이터율 변환장치(11)와 2.5M IPC 클럭 발생장치(12) , IPC 링크에서의 경보를 나타내는 IPC 링크 경보발생장치(13)와 차동(Differential) 라인 드라이버(14,15)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IPC 링크 보드(10,20)는 IPC 링크 보드 A 측과 B 측자체에서 이중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된 것이 아니라 IPC 블록의 A 측과 연결된 차동 라인 드라이버(14,15)를 통해 송신하면 IPC 블록(16,26)에서 IPC 클럭에 의거하여 IPC 데이터를 추출하고 링크 경보에 의거하여 IPC 데이터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IPC 링크 보드의 경우 IPC 데이터를 공급하는 IPC 링크 보드의 중계선 라인에서 링크 경보, IPC 링크보드의 기능 경보(Function Alarm)이 발생하여 IPC 데이터를 유실한 경우 해당 IPC 링크보드(A측 또는 B측)는 잘못된 IPC 데이터를 계속해서 IPC 블록(16,26)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 IPC 블록(16)은 링크 경보를 감시하여 링크 경보, IPC 링크보드의 기능 경보(Function Alarm)이 발생한 해당 IPC 링크보드를 차단하고 정상적인 IPC 데이터를 링크하는 링크 보드측으로 절체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꾀하고 있다. 즉, IPC 링크 보드의 A측과 B측이 모두 액티브되는 상태에서 IPC 블록에서 스텐바이와 액티브 상태의 선택적인 절체가 이루어지며, IPC 링크 보드 자체에서 스텐바이와 액티브의 이중화에 관련된 절체 및 관리를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A 측과 B측으로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도록 동작하여 스텐바이 IPC 링크 보드의 실탈장과 링크의 경보가 액티브측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스텐바이 측의 신속한 액티브상태로의 절체로 인해 IPC 링크의 중계선부분의 이상발생으로 인한 IPC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여 액티브상태의 IPC 블록은 항상 안정적인 IPC 통신을 유지하여 모국과 자국간의 IPC 링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의 연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의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d 는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의 상세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210) : IPC 데이터율 변환기 120(220) : IPC 클럭 발생기
130(230) : IPC 링크 경보 발생기 140(240) : IPC 링크 이중화 제어기
150(250) : Tx 라인 드라이버 160(260) : Tx 라인 드라이버/리시버
170(270) : IPC 보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는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의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IPC 데이터율 변환장치, 2.5M IPC 클럭 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선을 통해 수신한 IPC 데이터를 시스템의 IPC 보드로 링크하도록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에 있어서,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액티브측의 IPC데이터 출력을 디스에이블 시키고, 스텐바이 측이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 시키는 IPC 링크 이중화 제어수단이 상기 이중화된 두 IPC 보드에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스텐바이 상태에서만 동작하되, 액티브 측의 IPC 링크 경보 발생기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를 디스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를 인에이블 시켜서 액티브 IPC링크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는 IPC 링크 보드의 IPC 송신회로내에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의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IPC 데이터율 변환장치(110), 2.5M IPC 클럭 발생장치(120), IPC 링크에서의 경보를 나타내는 IPC 링크 경보 발생장치(130),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의 링크 경보를 감시하여 이중화 절체를 제어하여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액티브측의 IPC데이터 출력을 디스에이블 시키고, 스텐바이 측이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 시키는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에 의해 디스에이블되거나 인에이블되어 중계선을 통해 수신한 IPC 데이터를 시스템의 IPC 보드로 링크하는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와, 차동 드라이버/리시버(150)로 구성된다.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는 스텐바이 상태에서만 동작하되, 액티브 측의 IPC 링크 경보 발생기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를 디스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를 인에이블 시켜서 액티브 IPC링크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IPC 링크 보드는 A(100)측과 B측(200)으로 이중화 되어 있는바 편의상 이하 A측(100)에 한정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B측(200)의 구성 및 동작은 A측(100)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IPC 링크 보드의 액티브(Active) 감시 이중화장치의 동작은 IPC 클럭에 동기를 맞추어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하여 링크 경보와 같이 IPC 블록의 A 측과 B 측과 연결된 차동 라인 드라이버(150,160)를 통해 송신한다. IPC 링크 보드 A 측과 B 측에서의 링크 경보를 감시하는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30)에서는 해당보드가 스텐바이(Standby) 상태인 경우 액티브 상태인 상대측 보드의 링크 경보를 수신하여 매 프레임마다 경보여부를 감시하고 있다가 링크 경보가 경보의 발생을 표시하면 스텐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알람이 발생된 다음 프레임부터는 정상적인 IPC 데이터가 IPC 블록(170)으로 송신된다.
IPC 블록(170)에서는 IPC 링크보드(100)에서의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되어도 다음 프레임에서는 정상적인 IPC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IPC 링크보드의 실장시에는 스텐바이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하여 액티브 상태의 보드의 동작을 확인하여 IPC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액티브 상태인 IPC 링크보드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에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A측 IPC 링크 보드(100)의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의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만일 중계선 라인으로부터 라인 알람, IPC 링크보드의 기능 알람(Function Alarm)이 발생되는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알람, IPC 링크보드의 기능 알람중의 한 입력이 있는 경우(하이신호) 그에 의하여 클리어 신호가 발생된다(로우 신호). 그 클리어신호는 도 3b의 플립플롭의 클리어 단자에 입력됨에 따라 IPC 디스에이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그 IPC 디스에이블 신호는 상기 Tx 라인 드라이버(150)과 Tx 라인 드라이버/리시버(160)를 디스에이블 시켜서 IPC 데이터가 출력되지 못하게 하고, 경보가 발생했음을 B측 IPC 링크보드(200)의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240)에 알려준다. 만약, 스텐바이 상태에서 중계선 라인에서 라인 경보, IPC 링크보드의 기능 경보(Function Alarm)의 발생이 없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측 IPC 링크 경보 장치(230)로부터 발생된 경보신호가 상기 Tx 라인 드라이버/리시버(160)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Tx 라인 드라이버(150)과 Tx 라인 드라이버/리시버(160)를 인에이블 시켜서 IPC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상기 A측의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140)는 스텐바이에서만 동작하여만 하므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x 라인 드라이버(150)를 통해 IPC 데이터를 출력할 때인가 그렇지 않을 때인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8K출력에 의거하여 스텐바이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여 동작하므로 스텐바이 IPC 링크 보드의 실탈장과 링크의 경보가 액티브측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스텐바이 측의 신속한 액티브상태로의 절체로 인해 IPC 링크의 중계선부분의 이상발생시 IPC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액티브상태의 IPC 블록은 항상 안정적인 IPC 통신을 유지하여 모국과 자국간의 IPC 링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IPC 보드에서만 스텐바이와 액티브의 절체를 가능하게 하던 것을 본 고안에 의한 경우에는 IPC 링크 보드의 IPC 링크 이중화 제어장치에 의해 자체적으로 스텐바이인 경우와 액티브인 경우를 판별하게 하여 선택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하고, IPC 보드에서도 스텐바이와 액티브의 절체를 가능하게 하여 실제적인 시스템의 안정성의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IPC 블록의 이중화 회로는 두 개의 IPC 링크가 동시에 막히지 않는 상태에서는 IPC 링크 보드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IPC 블록의 이중화된 상대편을 감시하면 되어 이중화와 관련된 부하를 줄 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중계선으로부터 수신된 2M의 IPC 데이터를 2.5M의 IPC 데이터로 변환시켜주는 IPC 데이터율 변환장치(110,210), 2.5M IPC 클럭 발생장치(120,220), IPC 링크에서의 경보를 나타내는 IPC 링크 경보 발생장치(130,230),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240,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선을 통해 수신한 IPC 데이터를 시스템의 IPC 보드로 링크하여 IPC 보드에서 스텐바이와 액티브의 상태를 선택하게 하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100,200)에 있어서,
    이중화된 두 IPC 링크 보드중 스텐바이 상태의 IPC 링크 보드에서 액티브 상태의 IPC 링크 보드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이상 발생시 액티브측의 IPC데이터 출력을 디스에이블 시키고, 스텐바이 측이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 시키는 IPC 링크 이중화 제어수단(140,240)이 상기 이중화된 두 IPC 보드에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PC 링크 이중화 제어수단(140,240)은, 스텐바이 상태에서만 동작하되, 액티브 측의 IPC 링크 경보 발생기를 감시하여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를 디스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액티브 측의 IPC 링크 보드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차동 라인 드라이버(140,150)를 인에이블 시켜서 액티브 IPC링크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된 IPC 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
KR2019980019854U 1998-10-16 1998-10-16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KR200317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54U KR200317560Y1 (ko) 1998-10-16 1998-10-16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54U KR200317560Y1 (ko) 1998-10-16 1998-10-16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27U KR20000008227U (ko) 2000-05-15
KR200317560Y1 true KR200317560Y1 (ko) 2003-10-17

Family

ID=4933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854U KR200317560Y1 (ko) 1998-10-16 1998-10-16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5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115B1 (ko) * 1999-10-28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씨 링크 이중화 제어 장치
KR100448218B1 (ko) * 2001-12-27 2004-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화 보드 시스템 및 그의 이중화 보드 절체 방법
KR100854869B1 (ko) * 2002-12-10 2008-08-28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중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27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53938A (ja) ル−プバック制御装置
EP0494695B1 (en) Loop mode transmission system with bus mode backup and a method of maintaining continuity thereof
KR200317560Y1 (ko)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JP3908632B2 (ja) 回線切替システム及び方法
JP4095413B2 (ja) 電子連動装置
KR015042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티버스 감시 및 중계 장치
JP2006067239A (ja) 伝送装置、その障害通知方法および伝送システム
JP3279068B2 (ja) 二重化制御装置
JPH071870Y2 (ja) 光中継器の警報指示信号送出回路
WO2024034064A1 (ja) 端局装置、通信装置及び切替制御方法
KR200236879Y1 (ko) Ipc이중화경로구조
KR100194983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JPS6335020A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H10271042A (ja) 無線機の切替方式
KR10032428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버스 이중화시 오동작 방지방법
JP2664925B2 (ja) 回線切替方式
JPH0213034A (ja) 伝送路切替回路
JPH0528411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光リピータ装置
KR100439240B1 (ko) 디지털 회선분배 장치의 절체구조 및 그 운용방법
JPH0312854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669926A (ja) 相互監視システム
KR20000006473U (ko) 에이티엠교환기에서 에스티엠-4급 물리계층 보드이중화 장치
JPH07202988A (ja) 自動系選択方法およびその通信システム
KR20000039875A (ko) 프로세서간 통신장치의 스탠바이 링크 테스트 방법
JPH04192941A (ja) Lan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