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983B1 -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983B1
KR100194983B1 KR1019960066921A KR19960066921A KR100194983B1 KR 100194983 B1 KR100194983 B1 KR 100194983B1 KR 1019960066921 A KR1019960066921 A KR 1019960066921A KR 19960066921 A KR19960066921 A KR 19960066921A KR 100194983 B1 KR100194983 B1 KR 10019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ailure
circuit board
blocking
private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351A (ko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6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9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983B1/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켜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설교환기에서는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상황을 시스템 운용자에게 통보만 하여 주므로, 장애발생된 해당 회로보드가 교체되기 이전까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키므로 장애발생 회로보드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에 기인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켜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에는 다수의 회로보드를 구비하고 있는데, 해당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상황을 신속히 운용자에게 경보하여 주어 장애발생 회로보드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종래의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경보방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사설교환기(10)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보드가 구비되어 있는데,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사설교환기(10)는 자체에 설치된 경보표시부(20)의 램프를 점등하고 모니터(30)에 장애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장애발생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려주어 운용자가 장애발생된 해당 회로보드를 교체할 수 있게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사설교환기에서는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상황을 시스템 운용자에게 통보만 하여 주므로, 장애발생된 해당 회로보드가 교체되기 이전까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오동작을 유발하게 되어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킴으로써 장애발생 회로보드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에 기인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가 송,수신버스를 통해 주제어보드 측과 데이타를 주고받으면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자체에 장애가 발생되면 장애메세지를 상기 주제어보드측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에 주제어보드가 상기 장애메세지를 수신하고 해당 장애메세지를 분석하여 어느 보드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이후에 주제어보드가 자체에 저장된 장애발생정보의 출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장애발생정보를 경보표시수단 측에 송출하고, 장애 발생된 상기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 측에 블럭킹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이후에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가 상기 주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의거하여 상기 주제어보드에 접속된 데이타 송수신용의 송,수신버스를 차단시켜 블럭킹 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키므로 장애발생 회로보드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에 기인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도1은 종래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경보방식을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의 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주제어보드 41 : MPU
42 : 메모리부 43 : 경보제어부
44 : 버스 인터페이스부 50 : 경보표시부
60 : 가입자보드 61 : 알람감지부
62 : 버스 인터페이스부 70 : 서비스보드
71 : 알람감지부 72 : 버스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보드(40), 경보표시부(50), 가입자보드(60) 및 서비스보드(70)를 구비하여 이루어 진다. 주제어보드(40)는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과 송,수신버스(TX, RX)를 통해 데이타를 주고 받으면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의 동작을 제어하며,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에 장애가 발생되면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의 장애상태를 경보표시부(50)에 출력함과 동시에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에 블럭킹 메세지를 출력하여 송,수신버스(TX, RX)를 차단시킨다. 가입자보드(60)는 가입자를 수용하는 회로보드로서, 송,수신버스(RX, TX)를 통해 주제어보드(4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여 동작 수행하는 중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메세지를 주제어보드(40)측에 송신한후 주제어보드(40)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따라 송,수신버스(RX, TX)를 차단하여 주제어보드(40)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중단한다. 서비스보드(70)는 가입자에 대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로보드로서, 송,수신버스(RX, TX)를 통해 주제어보드(4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여 동작 수행하는 중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장애메세지를 주제어보드(40)측에 송신한후 주제어보드(40)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따라 송,수신버스(RX, TX)를 차단하여 주제어보드(40)와의 데이타 송수신을 중단한다. 또한, 경보표시부(50)는 모니터, 경보판넬, 중계대 시스템의 알람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주제어보드(40)로부터 인가되는 장애발생정보에 따라 해당 장애발생상황을 시스템 운용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주제어보드(40)는 MPU(41), 메모리부(42), 경보제어부(43) 및 버스 인터페이스부(44)를 구비한다. MPU(41)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4)를 통해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경보제어부(43)를 통해 장애메세지를 인가받아 인터럽트되어 장애발생정보를 경보제어부(43)를 통해 경보표시부(50)측에 출력함과 동시에 블럭킹 메세지를 경보제어부(43)를 통해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에 출력한다. 메모리부(42)는 장애발생정보의 출력에 관한 정보와 블럭킹 메세지를 저장하여 MPU(41)에 제공한다. 경보제어부(43)는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로부터 인가되는 장애메세지를 MPU(41)측에 인가하고, MPU(41)로부터 인가되는 장애발생정보를 경보표시부(50)측에 출력하고, MPU(41)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를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에 출력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44)는 송,수신버스(TX, RX)를 통해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에 접속되어, MPU(41)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에 출력하고,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를 MPU(41)측에 출력한다.
그리고, 가입자보드(60)는 알람감지부(61)와 버스 인터페이스부(62)를 구비한다. 알람감지부(61)는 자체의 장애발생을 감지하여 장애메세지를 주제어보드(40)측에 출력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62)는 송,수신버스(TX, RX)를 통해 주제어보드(40)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입출력하며, 주제어보드(40)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따라 송,수신버스(TX, RX)와의 연결을 차단하여 데이타의 송수신을 방지한다.
또한, 서비스보드(70)는 알람감지부(71)와 버스 인터페이스부(72)를 구비한다. 알람감지부(71)는 자체의 장애발생을 감지하여 장애메세지를 주제어보드(40)측에 출력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72)는 송,수신버스(TX, RX)를 통해 주제어보드(40)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입출력하며, 주제어보드(40)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따라 송,수신버스(TX, RX)와의 연결을 차단하여 데이타의 송수신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설교환기는 도3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한다.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주제어보드(40)의 MPU(41)는 버스 인터페이스부(44)를 통해 송,수신버스(TX, RX)를 경유하여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가동상태에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에 장애가 발생되어 알람감지부(61),(71)가 장애메세지를 주제어보드(40)측에 전송하면(스텝 ST10), 주제어보드(40)의 경보제어부(43)가 해당 장애메세지를 수신하여 MPU(41)측에 인가하고, 이때 MPU(41)는 인터럽트되어 해당 장애메세지를 분석하여 어느 보드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여(스텝 ST11), 메모리부(42)의 장애발생정보의 출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장애발생정보를 경보제어부(42)를 경유하여 경보표시부(50)측에 송출하고(스텝 ST14), 그와 동시에 경보제어부(43)를 경유하여 장애 발생된 해당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측에 블럭킹 메세지를 전송함으로써(스텝 ST12),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에 구비된 버스 인터페이스부(62),(72)의 버스 구동용 게이트(G)의 동작을 정지시켜 주제어보드(40)에 접속된 데이타 송수신용의 송,수신버스(TX, RX)를 차단시킴으로써 장애발생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를 블럭킹 시킨다(스텝 ST13). 이에따라, 장애발생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는 주제어보드(40)와의 데이타 송수신이 블럭킹되어 장애발생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애발생된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되어 시스템을 정상가동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주제어보드(40)에 1개의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1개 이상의 가입자보드(60)와 서비스보드(70)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구비된 회로보드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장애발생을 경보함과 동시에 장애발생된 회로보드의 송수신버스를 블럭킹시키므로 장애발생 회로보드가 시스템내의 제어부와 오류 데이타를 송수신함에 기인한 시스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장애발생된 회로보드가 시스템 운용상에 위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Claims (1)

  1.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가 송,수신버스를 통해 주제어보드 측과 데이타를 주고받으면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자체에 장애가 발생되면 장애메세지를 상기 주제어보드측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에 주제어보드가 상기 장애메세지를 수신하고 해당 장애메세지를 분석하여 어느 보드에서 장애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이후에 주제어보드가 자체에 저장된 장애발생정보의 출력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장애발생정보를 경보표시수단 측에 송출하고, 장애 발생된 상기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 측에 블럭킹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 이후에 가입자보드와 서비스보드가 상기 주제어보드로부터 인가되는 블럭킹 메세지에 의거하여 상기 주제어보드에 접속된 데이타 송수신용의 송,수신버스를 차단시켜 블럭킹 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KR1019960066921A 1996-12-17 1996-12-17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KR10019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21A KR100194983B1 (ko) 1996-12-17 1996-12-17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21A KR100194983B1 (ko) 1996-12-17 1996-12-17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51A KR19980048351A (ko) 1998-09-15
KR100194983B1 true KR100194983B1 (ko) 1999-06-15

Family

ID=6644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921A KR100194983B1 (ko) 1996-12-17 1996-12-17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9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5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3892A1 (en) Peer-to-peer redundancy control scheme with override feature
US200600879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dundancy protection in a Y-cable-based signal transmitter arrangement
JP2007067540A (ja) 二重系系切替装置
KR100194983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장애발생보드 블럭킹방법
JP2008288716A (ja) ディジタル電子装置
US66504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protection
KR200317560Y1 (ko)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JP3883285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960010879B1 (ko) 공통의 버스 자원을 공유한 다수 프로세서의 버스 이중화 제어 및 버스 이상 상태 발생시 복구 처리방법
JP2626484B2 (ja) 系切り替え試験方法
JP3883286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JP2000244520A (ja) 二重化ネットワークの異常診断方法
KR100274201B1 (ko) 교환기에 있어서 넘버 세븐 신호링크 자동 복구장치
KR200310455Y1 (ko) 교환기에서스탠바이버스시험회로
JPH11168502A (ja) 通信障害処理装置及び方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013553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시스템
JP3061691B2 (ja) 通話路装置
CN115529222A (zh) 一种基于级联交换机的双冗余网卡切换装置
CN115529223A (zh) 一种基于级联交换机的双冗余网卡切换方法
JPH1196088A (ja) デュープレックス二重化構成装置
JP2000295236A (ja) Atm伝送装置
JP3252307B2 (ja) 装置状態表示機能を有する通信システム装置
JP3427361B2 (ja) 二重化切替制御方式
JPH01303598A (ja) 防災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