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292Y1 - 주방용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292Y1
KR200312292Y1 KR20-2003-0002921U KR20030002921U KR200312292Y1 KR 200312292 Y1 KR200312292 Y1 KR 200312292Y1 KR 20030002921 U KR20030002921 U KR 20030002921U KR 200312292 Y1 KR200312292 Y1 KR 2003122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protrusions
cooking vess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
Priority to KR20-2003-0002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2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2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2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용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의 구이나 조리시 음식물이 눋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열원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가열이 신속하게 하고, 또한 열효율이 높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용기(10)를 구성하는 본체(20)의 바닥(21)에 등간격으로 돌출부(22)를 돌출구성되게 하므로서 상대적으로 바닥 저면에는 요입부(23)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리용기{Cooker}
본 고안은 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 조리용기의 바닥구조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 상면에 돌출부를 구성하므로서 상대적으로 바닥 저면에 요입부가 형성되게 한 것으로서 조리시 음식물이 쉽게 눌어붙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열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열효율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는 구이용이나 튀김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의 바닥 내면에는 평면형태이거나 미세한 엠보싱이 형성된 것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조리용기는 조리중 음식물이 쉽게 눌어붙게 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열기가 바닥면을 정체하지 않고 빠져나가 버리게 되고, 또한 가열면적이 평면적이므로 열효율이 좋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구성외에도 조리용기의 바닥부에 비교적 길게 구성된 만곡돌출부와 요입부를 교호로 형성되게 한 제품들이 제공된 바 있으나 돌출과 요입의 정도가 얕고 완만할 뿐 아니라 길게 구성되어 있어 돌출부와 요입부의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구이를 하거나 튀김을 할 때 음식물이 바닥에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용기의 본체 바닥부를 저면에서 프레스작업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부가 돌출되게 하므로서 바닥부 저면에는 요입부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때 용기의 본체 바닥부에 돌출되는 돌출부의 형태는 원형이나 타원형, 사각등 다양한 형태로 돌출구성되게 할 수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구성도
도 6 : 본 고안 타실시예의 평면구성도
도 7 :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조리용기 (20)--본체
(21)--바닥 (22)--돌출부
(23)--요입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리용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구성도로서 조리용기(10)의 본체(20)를 구성하는 바닥(21) 내면에 등간격으로 돌출부(22)를 구성하므로서 바닥(21) 저면에는 요입부(23)가 형성되게 한다.
이때 바닥(21)에 돌출구성되는 돌출부(2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도 5에서와 같이 돌출부(22)의 직경(A)는 약3~8mm정도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높이(B)는 약0.5~5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돌출부(22)와 돌출부(22)의 바닥 간격(C)은 직경의 0.3~1.5배정도의 거리가 적합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조리용기(10)는 후라이팬 뿐만 아니라 남비등 음식물조리를 위한 모든 주방용기의 바닥에 적용가능하며 돌출부(20)의 형태도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 사각, 삼각등 여러형태의 돌출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바닥부(21)에 돌출구성되는 돌출부(22)는 도 7에서와 같이 테두리부분의 돌출부는 조금 낮게 구성하고, 중앙의 돌출부는 조금 높게 구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중앙은 높고 테두리부는 낮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바닥부(21)에 돌출구성되는 돌출부(22) 사이에 도 6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길게 구성된 돌출부(22')를 등간격으로 배시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30)은 식용유, (31)은 음식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리용기(10)를 이용하여 음식물(31)의 구이등 조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조리용기(10)의 바닥(21)에 먼저 일정량의 식용유(30)를 부어 돌출부(22) 상면에 식용유(30)가 도포되게 하면서 바닥(21)에 식용유(30)가 깔려지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조리용기(10)를 가열기구에 얻고 본체(20)의 저면을 가열하게 되면 바닥(21)과 돌출부(22)가 가열된다.
이때 본체(20)의 바닥(21) 상면에는 등간격으로 돌출부(22)가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저면에는 요입부(23)가 구성되고, 따라서 요입부(23)가 형성된만큼 본체(20)의 저면 표면적이 넓게 되므로 넓어진 표면적만큼 가열면적 또한 넓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뿐만아니라 본체(20)의 바닥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입부(23)가 구성되어 있어 열기가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고 머물게 되므로 열효율이 높게 된다.
또한 조리용기(10)의 본체(20) 내면에 채워진 식용유(30)도 바닥(21)과 돌출부(22)의 측면과 접하게 되므로 그만큼 가열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따라서 식용유(30)의 가열도 신속히 되고, 바닥(21)에 채워진 식용유(30)는 끓으면서 위로 솟아오르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식용유(30)가 접하지 않는 돌출부(22)의 표면에도 식용유(30)가 도포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이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본체(20)의 바닥에 얹으면 도 4에서와 같이 음식물(31)이 돌출부(22) 상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면서 얹혀지게 되고, 바닥(21)과는 접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음식물의 대부분이 바닥(21) 혹은 돌출부(22)와 접하지 않고 가열되어 조리되므로 음식물이 눋는 현상이 없고, 또한 직접가열이 아닌 공간에 의한 간접가열방식이므로 음식물이 부드럽게 조리되면서 맛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식용유(30)와 직접 접하지 않게 되므로 식용유의 간접섭취를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음식물(31)의 조리, 즉 구이중에도 바닥(21)에 채워진 식용유(30)는 가열이 되면서 위로 솟아오르게 되고, 따라서 지속적으로 돌출부(22)의 표면으로 식용유를 도포시키게 되므로 돌출부(22)와 접하는 부위에도 음식물(31)이 쉽게 눋지 않는다.
특히 돼지고기와 같은 기름기가 많이 있는 음식물의 조리, 즉 구이시에는 고기에 함유된 기름이 바닥(21)으로 흘러내려 고이게 되므로 고기에는 불필요한 기름이 빠진 상태의 구이가 되므로 고기맛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의 바닥(21)에 구성되는 돌출부(22)를 테두리부분에는 낮게 하고, 중앙에는 높게 구성하므로서 음식물 조리시 음식물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게 경사위치하게 되므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음식물의 구이나 조리시 음식물의 일부가 바닥에 떨어져 위치하게 되더라도 바닥에는 식용유와 같은 기름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눋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후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를 구성하는 바닥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돌출부를 구성하여 음식물의 구이나 조리시 음식물이 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조리되거나 구이되는 직접가열방식이 아닌 간접가열방식으로 조리되게 하므로서 음식물이나 고기의 눋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맛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고, 또한 신속한 가열과 함께 열효율이 높게 되며, 특히 음식물이 바닥에 눌어붙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세척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음식물 조리를 위한 조리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리용기(10)의 본체(20)를 구성하는 바닥(21) 상에 등간격으로 돌출부(22)를 돌출구성하고, 상기 돌출부(22) 저면에는 요입부(23)가 형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21) 상에 구성되는 돌출부(22)의 직경(A)은 3~8mm이고, 높이(B)는 0.5~5mm, 돌출부(22)와 돌출부(22)의 바닥 간격(C)은 직경(A)의 0.3~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KR20-2003-0002921U 2003-01-29 2003-01-29 주방용 조리용기 KR2003122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21U KR200312292Y1 (ko) 2003-01-29 2003-01-29 주방용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21U KR200312292Y1 (ko) 2003-01-29 2003-01-29 주방용 조리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974A Division KR20040069545A (ko) 2003-01-29 2003-01-29 주방용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292Y1 true KR200312292Y1 (ko) 2003-05-12

Family

ID=4933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921U KR200312292Y1 (ko) 2003-01-29 2003-01-29 주방용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2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17Y1 (ko) 2013-05-15 2014-01-03 박성국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17Y1 (ko) 2013-05-15 2014-01-03 박성국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3453A (en) Overflow cooking pot assembly
US8955426B2 (en) Efficient reversible grill
US20070295224A1 (en) Reversible grill
CN101014271A (zh) 烹饪蛋的器具
US3427957A (en) Frying pan insert
KR200312292Y1 (ko) 주방용 조리용기
KR100847603B1 (ko) 조리기구용 보조판
KR20040069545A (ko) 주방용 조리용기
JP2011101723A (ja) 調理器具とそれを備えた加熱装置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US20080105139A1 (en) Container Comprising an Arched Bottom for Receiving Cooking Goods
KR200233209Y1 (ko) 다용도 불고기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JP3082334U (ja) 調理用具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0239007Y1 (ko) 다용도 불고기판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JPH1014779A (ja) 焼肉用鍋
KR200339232Y1 (ko) 고기 구이판
JP3216553U (ja) 調理具
KR20110000010U (ko) 기름 배출구조를 갖는 구이판
JP3083674U (ja) ホットケーキ用ホットプレート
KR100817530B1 (ko) 기름배출구조를 갖는 돌 구이판
JP3055427U (ja)
JPH05408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