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222A -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222A
KR20030093222A KR10-2003-7011424A KR20037011424A KR20030093222A KR 20030093222 A KR20030093222 A KR 20030093222A KR 20037011424 A KR20037011424 A KR 20037011424A KR 20030093222 A KR20030093222 A KR 2003009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 cylinder
bearing
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홀트 마토퍼
미르코 알렉산더 뢰링
루디 쾰레
마르틴 린트마이어
랄프 렌호프
우도 바밧츠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10982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109825B4/de
Priority claimed from DE1010982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109824B4/d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9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22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65Operating modes; Transformable to different operating modes
    • E05B63/0069Override systems, e.g. allowing opening from inside without the key, even when locked from out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10Hydraulic or pneuma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1Retractable or flush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 잠금 장치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어를 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잠금 장치는 잠금 위치로 전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잠금 위치에서는 핸들 작동이 효과가 없다. 상기 잠금 장치의 전환은 로크 실린더(60)의 열쇠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로크 실린더(60)는 적어도 핸들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로 위치(60.1)와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작동은 작동 레버(30)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회전은 종동부(45)로 전달된다. 구조를 간소화하고 플렉시블하게 만들기 위해서 제어 부재(50)가 사용됨으로써, 상기 종동부(45)의 운동이 상기 핸들의 작동 레버(30)에 전달된다. 상기 작동 레버(30)는 조정가능한 베어링 지점(31, 11 또는 32, 12)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 지점은 제어 부재(50)의 로크 실린더(60)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결정된다. 그럼으로써 변속 레버(30)의 변속비(34.1:33.1 또는 34.2:33.2)가 잠금 장치쪽으로 가이드되는 연결 장치(40)에 대해 변동된다. 핸들의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라도 상기 잠금 장치(40)에서 상이한 작용 행정(36)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이한 작용 행정(36)이 잠금 장치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상이한 기능들이 작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OPERATING A LOCK ON DOORS, FLAPS OR SIMILAR, IN PARTICULAR ON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에는 잠금 해체 위치가 존재할 때 도어를 열기 위해 작동시 핸들이 사용된다. 로크 실린더는 회전시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 로크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해야만 한다. 즉 상기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도어를 열기 위한 핸들 작동이 효과가 없다; 잠겨진 도어는 계속 잠겨진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로크를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서 최근의 전기 공학적인 열쇠(key) 및 해당 잠금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수단, 즉 무선 키의 경우 제공되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가 사용된다. 따라서 자동차에서 전기적 부품 또는 전기 전원 장치가 고장날 경우와 같은 비상시에만 기계적 열쇠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수동 작동을 위해 두 개의 상이한 작동 수단, 즉 한편으로는 핸들을, 다른 한편으로는 로크 실린더에 고정될 열쇠를 갖는다.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와 같은 경우에는 로크 실린더와 열쇠가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열쇠를 꽂고 뺄 필요가 없다.
DE 44 45 320 A1에 공지된 상기 방식의 장치의 경우에는 두 개의 작동 수단과 도어 로크 사이에 두 개의 별도의 링크 체인(link chain)이 필요하다. 핸들이 도어 로크로 가이드되는 제 1 연결 장치와 연결된 작동 레버에 작용하여, 핸들 작동시 도어에 있는 래치(latch)와 도어 프레임에 있는 폐쇄 부재와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상기 로크 실린더의 출력부에는 또 다른 링크 체인이 연결되며, 상기 링크 체인은 열쇠 작동에 따라 도어 로크를 잠금 위치 및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한편으로는 두 개의 링크 체인을 갖는 공지된 장치 및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 로크는 이중 공간을 필요로 하고 도어 내에서 서로에 대해 정해진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위치들은 자동차 타입이 상이할 경우 매우 다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각각의 자동차 타입에 따라서 두 개의 연결장치의 특성을 고려한 고유의 장치가 제공되어야만 했다. 공지된 장치들이 일체형 타입의 자동차에 설치될 경우에 발생하는 허용공차로 인해 이미 조립에 있어서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도어 로크의 두 개의 연결 장치가 한편으로는 로크 실린더에 대해 갖는 위치와 다른 한편으로는 핸들측 작동 레버에 대해 갖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힘든 보정이 수반되어야만 했다.
이러한 조정 작업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도어 로크와의 연결 장치로서 보덴 와이어(bowden wire)를 핸들에 사용한다는 사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보덴 와이어는 도어 로크를 도어 내에 배치시킬 때 핸들과는 별도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때 도어 로크와 로크 실린더 사이에 배치된 제 2 링크 체인을 조정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부측에서 로크 실린더와 도어로크 간의 카던식 조인트(cardan joint)를 갖는 커플링 로드를 입력 부재로서 사용한다는 사실이 EP 0 722 028 B1에 공지되어 있긴 하지만, 이러한 조치들도 두 개의 작동 수단에 대해 장치를 자유롭게 배치시키는 것에 있어서 한계를 나타낸다.
DE 196 40 595 A1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핸들과 도어 로크 쪽으로 가이드되는 연결 장치 간의 변속 부재를 갖지 않는 다른 타입의 장치의 경우에는 핸들과 도어 로크 사이에 보덴 와이어가 배치되고, 상기 보덴 와이어 내부에 로크 실린더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보덴 와이어는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케이블을 구비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 단부의 한 쪽이 변속 부재의 삽입없이 핸들에 직접 연결된다. 케이싱의 한 쪽 단부는 로크 실린더와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다른 쪽 단부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크 실린더의 회전 작동시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있는 케이블과 함께 움직인다. 상기 보덴 와이어는 U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로크 실린더의 회전시 그것의 양 측 U 아암의 길이가 변동된다. 이와 같은 U 아암의 길이 변동으로 인해 제 2 케이블 단부의 위치가 바뀜으로써, 거기에 연결된 레버 시스템이 회전 운동 및 부분적으로는 이동을 실행한다. 이러한 레버의 복귀를 위해서는 보덴 와이어와는 별도로 제공된 공기 압축적인 또는 전기적인 작동 장치가 필요하며, 상기 작동 장치는 로크 실린더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장치도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단점들을 갖지 않는,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제시된 타입의 확실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달성되며, 이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언급한 바와 같이 장치가 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작동 수단, 즉 한편으로는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핸들과 다른 한편으로는 열쇠를 작동시킬 수 있는 로크 실린더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단 하나의 링크 체인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 로크와 장치 간의 연결 장치가 단 하나만 필요하기 때문에 도어 로크와 상기 장치를 도어 내에 설치하는 것이 쉬워진다.
연결 장치로서 보덴 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도어 내에 실제적으로 도어 로크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장치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타입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일체형 타입의 장치는 작동 수단 및 도어 로크가 매우 다른 위치에 있는 경우의 자동차에서도 잘 사용될 수 있다. 허용공차는 더 이상 신경쓸 필요가 없다. 일체형 구조 타입은 매우 많은 수의 부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매우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크 실린더가 핸들 및 변속 부재로 형성된 유니트를 통해 공통의 핸들-링크 체인에 작용하고 상기 핸들-링크 체인에서 상기 로크 실린더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이한 작용 행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매우 단순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상기 도어 로크는 이러한 상이한 작용 행정에 의해 핸들만 작동했는지 아니면 로크 실린더의 전환이 이루어졌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상이한 작용 행정에 상응하여 도어 로크에서 상이한 기능들이 작동된다. 예컨대 정상 작동시 도어 로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하면 짧은 작용 행정에 의해 잠금 장치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비상시에 도어 로크가 안전 장치에 있으면열쇠를 이용하여 로크 실린더를 다른 회전 위치로 전환시킴으로써 핸들-링크 체인에서 큰 작용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큰 작용 행정에 의해 도어 로크는 즉시, 또는 늦어도 제 2 핸들 작동 후에 도어가 열리게 된다.
로크 실린더의 출력이 변속 부재 또는 유니트의 핸들에 작용함에 따라, 특별한 장점들을 갖는 상이한 가능성들이 제시된다.
청구항 2항에 제시된 제 1 가능성에서는 로크 실린더의 출력이 변속 부재에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로크 실린더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변속 부재의 변속비가 변동된다. 이때 상기 핸들의 작동 각도는 변동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상기 변속 부재의 변속비에 따라 링크 체인의 작용 행정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로크는 전체 작용 행정 동안 로크 실린더의 제어 펄스가 제공되었는지 핸들의 제어 펄스가 제공되었는지를 분명히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비상시에 도어 로크가 일반적으로 핸들 작동이 효과가 없는 잠금 위치에 있으면 로크 실린더의 열쇠 작동 및 제 1 핸들 작동에 의해 제어 펄스가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펄스에 의해 도어 로크가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된다. 따라서 핸들이 동일한 각도 만큼 한 번 더 회전하게 되면, 변속 부재가 동일한 링크 체인을 통해 도어를 여는 작용 행정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가능성에서는 핸들의 회전 운동시 출력에 의해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실린더의 한 회전 위치에서는 단지 작은 각도 만큼의 회전이 달성될 수 있고 다른 회전 위치에서는 큰 각도 만큼 핸들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링크 체인의 상이한 작용 행정에서 나타나는데, 첫번째 경우에는 작은 작용 행정이, 두 번째 경우에는 큰 작용 행정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는 도어 로크가 이미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로크 실린더에 의해 예컨대 핸들이 작은 회전 운동 경로를 가지므로, 이에 상응하혀 링크 체인의 작은 작용 행정이 수행됨으로써 도어 로크가 바람직하게 열리게 된다. 그러나 비상시에 예컨대 리모트 콘트롤 키에 의한 도어 로크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로크 실린더의 열쇠 작동에 의해 출력 부재가 핸들의 작동을 위한 큰 회전 각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링크 체인에 대해 큰 작용 행정이 수행되므로, 도어가 열리게 된다.
청구항 2항 및 3항에 따른 두 개의 작동 방법에 대한 또다른 추가 조치들과 장점들이 종속항에 제시되며, 이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두 가지 작동 방법을 설명하는 부품들의 블록선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을 3개의 상이한 단계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상기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도어의 윤곽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되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여기서 도어는 생략되며,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장치를 수평으로 잘라낸 부분의 세부사항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여기서 핸들과 본 장치에 속한 변속 레버 사이에 있는 벨 크랭크(bell crank)는 빗금으로 표시되며, 상기 핸들과 벨 크랭크를 당겼을 때의 위치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되고,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가장 중요한 부품들의 배면도이며, 이때 로크 실린더는 제로 위치, 핸들은 정지 위치, 도어 로크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으며, 상기 부품들의 배치를 위해 사용되는 지지부는 상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생략되지만, 이러한 생략된 지지부의 윤곽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며,
도 7 및 도 8은 도 6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정상 작동시, 즉 핸들의 완전 작동 위치(도 5) 및 그 이후 핸들의 정지 위치(도 6)에서 상기 장치의 두 개의 추가 작동 단계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부품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핸들은 정지 위치에 있지만, 도어 로크의 잠금 위치가 존재하고 로크 실린더가 열쇠 또는 회전 핸들에 의해 릴리스 위치에 이미 제공됨으로써 상기 장치의 "비상 작동"이 개시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를 시작점으로 해서 비상 작동의 두 개의 추가 단계, 즉 핸들의 부분 작동 위치(도 10) 및 완전 작동 위치(도 11)를 도시하며, 이때 로크 실린더는 반동 스프링에 의해 릴리스 위치로부터 다시 제로 위치로 자동 복귀된 상태이며,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을 시작점으로 해서 핸들의 복귀 운동시 달성되는 상기 부품들의 위치, 즉 중간 위치(도 12) 및 핸들의 정지 위치에 상응하는 단부 위치(도 13)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도 6에 상응하는 상기 부품들을 도시하며, 이때 로크 실린더는 제로 위치, 핸들은 정지 위치, 도어 로크는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하며,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도 7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2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달성되는 작동 단계, 즉 핸들이 완전 작동 위치에 존재할 경우를 도시하며,
도 16은 제 1 실시예의 도 9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때 핸들은 아직 정지 위치에 있지만 도어 로크는 잠금 위치가 존재하고 열쇠 등을 이용하여 로크 실린더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로크 실린더가 릴리스 위치에 제공됨으로써 로킹된 장치의 비상 작동이 개시될 수 있으며,
도 17은 도 11과 유사한 제 1 실시예로서 도 16에 따라 달성되는 추가 작동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핸들은 작동 위치에 있으며,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2 작동 방법에 따른 기본 원리를 5개의 상이한 작동 단계로 매우 간단하게 도시하며,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두 개의 상이한 작동 단계, 즉 정지 위치(도 19a) 및 비상 작동 위치(도 19b)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블록선도로 도시한다. 도어 외측에 배치된 핸들(20) 뒤에는 맨 먼저 변속 부재(93)가 연결되며, 상기 변속 부재(93)는 핸들-링크 체인(handle-link chain)(96)과 함께 작동한다. 상기 핸들-링크 체인(96) 뒤에는 맨 먼저 도어 로크(102)가 배치되는데, 상기 도어 로크(102)는 예컨대 도 16a에서 더 자세히 볼 수 있을 것이다. 도어 핸들(20) 및 변속 부재(93)는 하나의 유니트(100)로 결합된다. 도어 내부에서 상기 유니트(100)에는 로크 실린더(95)가 배치되며, 상기 로크 실린더(95)는 해당 열쇠(94)에 의해 도어 외측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로크 실린더(95)는 열쇠(94)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고 출력(97)에 의해 유니트(100)와 함께 작동한다. 상기 로크 실린더(95)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니트(100)는 출력(97)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때 제 1 작용 행정(119)이 링크 체인(96)을 거쳐서 도어 로크(102)에 이른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 상기 도어 로크(102)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작용 행정, 즉 앞서 언급한 작용 행정(119) 및 뒤에 자세히 기술될 작용 행정(115)에 반응할 수 있으며 이에 적합한 상이한 기능들을 작동시킨다.
언급한 바와 같이 로크 실린더(95)가 제 1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에 도어 로크(102)는 소위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해야만 한다. 핸들(20)이 작동(26)하게 되면서 제 1 작용 행정(119)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도어 로크(102)가 개방된다. 로크 실린더(95)가 다른 회전 위치에 있으면, 상기 도어 로크(102)는 소위 "잠금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핸들 작동(26)은 불가능해진다. 열쇠(94)를 로크 실린더(95) 내부에 꽂아서 상기 로크 실린더(95)를 다른 회전 위치로 전환시키게 되면, 상기 로크 실린더의 출력(97)에 의해 유니트(100)가 링크 체인(96)에 제 2 작용 행정(115)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제 2 작용 행정(115)은예컨대 앞서 언급한 제 1 작용 행정 보다 크다. 이러한 제 2 작용 행정(115)이 도어 로크(102)에 의해 검출되고 나서, 핸들(20)이 작동될 때 도어 로크(102)가 잠금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 로크가 개방된다. 이런 방식으로 비상시에 도어가 열릴 수 있다.
도입부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두 개의 상이한 작동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두 개의 작동 방법은 도 1의 블록선도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제 1 작동 방법에서는 로크 실린더(95)의 두 개의 회전 위치가 유니트(100)의 변속 부재(93)에 작용하며, 이러한 작용은 도 1에서 점선(98)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경로(98) 상에서 변속 부재(93)의 변속비가 변동된다. 핸들(20)이 두 개의 회전 위치에서 동일하게 작동(26)될 때 한 회전 위치에서는 변속 부재(93)의 작은 변속비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링크 체인(96)에 대해 앞서 언급한 작은 제 1 작용 행정(119)이 수행된다. 로크 실린더(95)가 다른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작용 결합(98)에 의해 변속 부재(93)에 큰 변속비가 발생함으로써, 큰 작용 행정(115)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도 2a 내지 2c에 우선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3개의 실시예, 즉 도 3 내지 도 13의 장치의 제 1 실시예(01), 도 14 내지 도 17의 제 2 실시예(02),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19a 및 도 19b의 제 3 실시예(03)에서 상세하게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작동 방법에서는 로크 실린더(95)의 출력(97)이 도어 외부 핸들(20)에 작용하며, 이러한 작용은 도 1의 블록선도에서 점선(99)으로표시된다. 제 1 회전 위치에서 핸들(20)은 단지 짧은 구간(26) 만큼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간(26)을 통해 변속 부재(93)에 의해 제 1의 짧은 작용 행정(119)이 나타난다. 상기 도어 로크(102)가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작동(23)만으로도 도어 로크(102)를 충분히 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로크(102)가 잠금 위치에 존재할 경우에는 이러한 작동(23)은 효과가 없다; 상기 도어 로크(102)는 잠겨진 채로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로크 실린더(95)가 열쇠(94)에 의해 다른 회전 위치로 전환되면 비로소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장치의 제 2 작동 원리에서 핸들(20)의 큰 작동 경로(26')가 달성된다. 이러한 큰 작동 경로(26')에 의해 변속 부재(93) 뒤에 다시 제 2 작용 행정(115)이 나타난다. 따라서 도어 로크(102)는 잠금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원리의 구체적인 예는 도 18a 내지 도 18e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유니트(100)에 의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2a는 21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20)의 "정지 위치"가 도시되며, 이는 보조선(20.1)으로 표시된다. 로크 실린더(95)는 열쇠(94)를 뺐을 때 제 1 회전 위치에 존재하며, 이러한 회전 위치는 연결된 변속 부재(93)의 제 1 변속비에 작용한다.
도 2b에서 화살표(26)로 표시된 핸들 작동(26)의 경우 핸들(20)은 작동 위치(20.2)로 이르게 된다. 이로 인해 변속 부재(93)의 출력부에서 제 1 작용 행정(119)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작용 행정(119)은 핸들-링크 체인(96)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어 로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하게 되면서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 로크가 작용 행정(119)이 잠금 위치에 존재하면 핸들-링크 체인(96)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는 도 2c에 도시된 조치에 의해 변경된다. 도 2c에서는 삽입된 열쇠(94)에 의해 로크 실린더(95)가 제 2 회전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 2 회전 위치는 해당 변속 부재(93)에서 큰 변속비를 초래한다. 도 2a의 정지 위치(20.1)를 시작점으로 하여 핸들(20)이 다시 동일한 경로(26) 만큼 피벗 베어링(21)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하게 되면 변속 부재(93)의 출력부에서 큰 작용 행정(115)이 발생하며, 상기 작용 행정(115)은 핸들-링크 체인(96)을 거쳐서 도어 로크(102)에 전달된다. 이러한 큰 작용 행정(115)은 도어 로크에서 핸들 작동(26)시 도어 로크를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2a의 상황이 또다시 주어진다. 도 2b에 따라 동일한 작동 경로(26) 만큼 도어 핸들(2)이 재작동됨으로써 도어 로크가 열리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01)가 자세히 설명된다. 도 3에서 도어(1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되며,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장치(01)에 속한 지지부(11)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11)에는 상이한 부품들이 존재한다.
상기 지지부에는 우선 소위 "당김 핸들"로서 형성된 핸들(20)이 속하며, 상기 핸들(20)은 21에서 지지부(13)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맞은편에 놓인 자유 핸들 단부(22)에서는 벨 크랭크(25)-도 5에서 빗금으로 표시됨-의 아암(23)과 함께작동된다. 도 5에서는 핸들(20)의 정지 위치(20.1)가 도시된다. 상기 핸들(20)을 화살표(26)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핸들(20)이 작동 위치(20.2)-도 5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됨-로 이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벨 크랭크의 제 2 아암(24)에 의해 변속 레버(30)의 제 1 아암(33)이 붙들리는데, 상기 제 1 아암(33)을 앞으로 간략하게 "입력 아암"이라고 표기할 것이다. 핸들 작동(26)시 상기 입력 아암(33)은 도 4의 출발 위치(30.1)로부터 도 5의 작동 위치(30.2)로 전환된다. 핸들(20)과 변속 레버(30)가 지지부(13)에 설치된 유니트(100)를 형성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변속 레버(30)는 제 2 아암(34)을 가지며, 상기 아암(34)을 앞으로 "출력 아암"이라고 표기할 것이다. 상기 출력 아암(34)의 자유 단부에는 조인트(35) 위에 도어 로크-자세히 도시되지 않음-로 가이드되는 링크 체인이 있으며, 상기 링크 체인은 그 형태 때문에 연결 장치(40)라고 표기될 것이다. 이러한 연결 장치(40)는 본 발명의 경우 도 3에서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보덴 와이어(41)의 중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덴 와이어(41)의 케이싱(42)은 지지부(13)의 벨 크랭크(43)에 고정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정상적인 경우에는 변속 레버(30)에 의한 핸들 작동(26)에 의해 연결 장치(40)의 연결 지점(35)이 도 6의 정지 위치(35.0)에서 도 7의 작동 위치(35.1)로 전환되며, 상기 작동 위치(35.1)는 도 6에서도 도시된다. 이로 인해 화살표(36)로 표시된 연결 장치(40)의 작용 행정이 이루어진다.
도 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변속 레버(30)가 두 개의 베어링 저널(31, 32)을 갖는다는 것이 본 발명에서 특이한 점이다.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저널에는 도 6에서 볼 수있는 개방된 수용부(11, 12)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 장치(40)의 베어링 저널(31) 중 하나만이 존재한다; 연결 지점(35)은 작동 위치(35.1)로부터 정지 위치(35.0)로 다시 리턴된다.
도 6 및 도 8에서 저널(32)의 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30)가 그것의 제 1 베어링 저널(32)에 회전 지지되면 도 6의 출력 아암(34)과 입력 아암(33)의 아암 길이(30.1 및 34.1)가 변속 레버에서 달성된다. 이는 도 6에서 화살표(51)로 표시된 변속 레버(30)의 회전시 일정한 변속비에 의해 작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력 아암(34)의 길이(34.1) 대 입력 아암(33)의 길이(30.1)의 비는 대략 1.4이다. 도 6에 도시된 벨 크랭크(25)의 아암(24)과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의 충돌 지점(28)은 도 5의 핸들(20)의 완전 작용 행정(69)에서 구동 경로(38)를 가지며, 상기 구동 경로(38)는 도 6에서도 도시된다. 따라서 이때 나타나는 변속비로 인해 연결 장치(40)는 출력 아암(34)의 단부(34)에서 작용 행정(36) 또는 도 8에 도시된 귀환 행정(36')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부(13) 내에 로크 실린더(6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로크 실린더(60)는 열쇠-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크 실린더(60)는 내부 실린더 단부에서 출력부로서 실린더 축에 대해 편심 방향으로 배치된 실린더 볼트(61)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볼트(61)는 스프링(62)에 의해 도 6의 회전 위치(60.1)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 위치(60.1)는 소위 로크 실린더(60)의 "제로 위치"이다. 상기 스프링(62)은 이중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62)은 두 개의 아암으로 형성되고 코일을 가지는데, 상기 코일은 소위 반동 스프링으로서 로크 실린더(60)에 작용하여, 상기 로크 실린더(60)를 도 8에 따른 열쇠 회전(63) 후에 도 10의 역회전 화살표(63')와 같이 자동으로 제로 위치(60.1)로 복귀시킨다. 이것이 스프링(62)의 첫 번째 기능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실린더 볼트(61)에는 종동부(45)가 넌-포지티브하게 지지되며, 상기 종동부(45)는 실린더 축에 대해 편심 방향으로 배치된 베어링(44)에 의해 지지부(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종동부(45)는 제어 부재(50)에 작용한다. 개관의 용이함을 위해 이러한 제어 부재(50)는 도 6 내지 도 13에서 점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종동부(45)는 두 개의 아암(46, 47)을 갖는 벨 크랭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46, 47)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스프링(62)에 의해 시계 바늘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이를 통해 제어 부재(50)용 구동 아암(46)으로서 작용하는 종동부(45)의 아암과 실린더 볼트(61)가 넌-포지티브하게 접촉한다. 구동 아암(47)으로서 표기되는 벨 크랭크(45)의 제 2 아암은 포오크(48)를 가지며, 상기 포오크(48) 내부에 저널(58)이 맞물린다. 상기 저널(58)은 베어링 수용부(12)의 맞은편에 놓인 제어 부재(50)의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포오크(48) 및 상기 포오크(48)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된 저널(58)은 두 개의 부품(45, 50) 간의 소위 "연결 가이드"를 형성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로크 실린더의 제로 위치(60.1)에서 종동부(45)는 그것의 피동 아암(47)에 의해 제로 위치(45.0)를 갖는다. 상기 제로 위치에서는 연결 장치(48, 58)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50)가 리턴 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 제 1베어링 저널(31)을 중심으로 회전(51)할 때 제어 부재(50)에 있는 베어링 수용부(12)가 회전(51)시 작동되지 않는 제 2 베어링 저널(32)과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베어링 저널(31)이 회전(51)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정지위치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회전 위치로 전환될 때, 상기 제 1 베어링 저널(31)이 제 2 베어링 저널(32)과 아주 가볍게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에 구간(49) 만큼의 회전이 달성된다. 이러한 회전 구간은 도 6에 도시된 출발 위치와 작동 위치(30.1 및 30.2) 사이에 형성되는 변속 레버(30)의 회전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핸들(20)이 풀려서 도 8에 도시된 귀환 행정(36')이 개시되면 제 2 베어링 저널(32)이 구간(49) 만큼 도 8에 실선으로 도시된 정지 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정지 위치는 베어링 캡(19)과 대향면(29)의 접촉에 의해 표시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베어링 커버(14) 내부에 있는 종방향 슬롯(15)은 제 2 베어링 저널(32)의 회전 운동(49)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치수를 갖는다; 제 2 베어링 저널(32)은 자유롭게 이동된다. 이러한 상황들은 장치의 "정상 작동의 경우"를 보여준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근의 장치에서는 도어 로크의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가 전자 키에 의해 제어된다. 도어 로크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핸들(20)의 작동(26)이 효과가 없는 반면, 도어 로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효과가 있다. 통상적으로 로크 실린더(60)를 열쇠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미 도입부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 또는전자 부품이 고장났을 경우에는 열쇠에 의한 작동이 필요하다. 그럴 경우에는 기계적 열쇠에 의한 도어 로크의 소위 "비상 작동"이 실행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실린더(60)는 열쇠 회전(63)으로 인해, 실린더 볼트(6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제로 위치(60.1)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릴리스 위치(60.2)로 전환된다. 이러한 실린더 회전(63)은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서처럼 고유의 링크 체인에 의해 도어 로크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링크 체인, 즉 연결 장치(40)에 의해 도어 로크로 전달되며, 이때 상기 연결 장치(40)에 의해 상기 핸들(20)의 수동 작동(26)이 이루어진다.
이는 본 발명에서 실린더 볼트(61)에 의해 로크 실린더(60)와 함께 회전하는 종동부(45)가 제어 부재(50)에 의해 변속 레버(30)에 특별한 방식으로 작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어 부재(50)는 종동부(45)의 피동 아암(47)에 의해 도 6에 따른 정상적인 경우에 제공되는 비작동 위치-저널(58)에서 보조선(50.1)으로 표시됨-에서 도 9의 작동 위치-보조선(50.2)으로 표시됨-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 부재(50)는 본 실시예(01)에서 슬라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에서 지지부(13)에는 가이드면(54)을 갖는 가이드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50)와 함께 래치(65)가 움직이며, 상기 래치(65)는 로킹 노우즈(66)를 갖는다. 상기 래치(65)는 도 4에 도시된 스프링(39)에 의해 도 6 및 도 10의 화살표(74)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상기 래치(65)는 제어 부재(50)의 저널(58)에 지지됨으로써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저널(58)을 중심으로 래치(65)가 회전 이동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정상 작동시에는 상기 로킹 노우즈(66)가 가이드면(54)에 지지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래치(65)와 연결된 제어 부재(50)가 도 9의 화살표(53)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에 있는 가이드면(54)은 로킹 노우즈(66)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위해 사용된다. 이는 도 9의 상황이 제공되면 변경된다.
도 9에서는 제어 부재(50)가 구간(53) 만큼 이동되고 작동 위치(50.2)에 도달한다. 따라서 상기 로킹 노우즈(66)가 힘 하중(74)에 의해 화살표(76)의 방향으로 쇼울더(55) 뒤에 로킹되고, 상기 쇼울더(55)는 지지부(13)에 속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프링(39)이 래치(65)에 대해 토크(75)(도 9)를 가한다. 따라서 제어 부재(50)의 작동 위치(50.2)가 래치(65)에 의해 맨 먼저 고정된다. 상기 제어 부재(50)의 단부면에 배치된 베어링 수용부(12)는 제 2 베어링 저널(32)에 대하여 이동되고, 상기 베어링 저널(32)을 대향면(29)과 함께 베어링 캡(1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핸들(20)의 작동(26)이 이루어져서,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이 도 3의 출발 위치(30.1)로부터 도 10의 작동 위치(30.2)로 다시 전환하게 되면, 이제 제 2 베어링 저널(32)을 중심으로 회전(52)이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도 베어링 저널의 작용은 점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제 2 베어링 수용부(12)의 작용 위치는 도 7에 따른 정상 작동시 달성될 수 있는 제 2 베어링 저널(32)의 회전 운동(49)을 근본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베어링 커버(14)의 종방향 슬롯(15) 내부의 자유 공간(도 7)은 제어 부재(50)의 작동 위치(50.2)에서는 차단된다. 이에 반해 도 10 및 도 11에서 볼 수 있 듯이 제 1 베어링 저널(31)은 개방된 베어링 수용부(1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베어링 커버(14)에 의해 회전 화살표(56)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제 1 베어링 저널(31)은 베어링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도 10에서는 위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열쇠를 빼고 난 이후의 로크 실린더(60)의 상황이 도시된다. 상기 로크 실린더(60)에 작용하는 스프링(62)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로크 실린더(60)는 실린더 볼트(61)에 의해 도 9의 릴리스 위치(60.2)로부터 자동으로 제로 위치(60.1)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로크 실린더(60)의 역회전(63')이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부재(50)는 작동 위치(50.2)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은 지지부(13)의 고정된 쇼울더(55) 뒤에 로킹 노우즈(66)가 결합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제 2 베어링 지점(12, 32)이 변속 레버(30)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베어링 저널(32)을 중심으로 회전(52)이 달성된다.
또한 도 10에는 핸들 작동(26)의 제 1 단계가 도시되며, 상기 단계에서 핸들(20)은 도 5의 작용 행정(69)의 거의 90%를 실행한다. 이러한 상황은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의 중간 위치(30.3)를 통해 알 수 있다. 열쇠로 가이드되는 연결 장치(40)의 연결 지점(35)은 정지 위치(35.0)(도 9)로부터 중간 위치(35.2)(도 10)로 구간(71) 만큼 이동된다.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중간 위치(35.2)는 정상 작동시에 나타나는 작동 위치(35.1)(도 7)와 다르다. 그 이유는 도 9 내지 도 13의 비상 작동시에 나타나는 변속 레버(30)의 다른 변속비 때문이다.
완전 작용 행정(69)(도 5)의 정지에 의해 핸들 작동(26)이 추가로 실행된 후에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은 최종적으로 도 11의 작동 위치(30.2)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연결 장치(40)의 연결 지점(35)이 도 11의 최종 구간(72) 만큼 이동되면서, 비상 작동 위치(35.3)(도 11)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나서 비상 작동시 연결 장치(40)의 연결 단부(35)가 전체적으로 큰 작용 행정(70)(도 9) 만큼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변동된 변속비는 도 9의 비상 작동시 변속 레버(30)의 두 개의 아암(33, 34)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아암 길이는 제 2 베어링 저널(32)과 관련되고 도 9에서는 33.2 및 34.2로 표시된 길이를 갖는다. 출력 아암(34)의 길이(34.2) 대 입력 아암(33)의 길이(33.2)의 변속비는 이제 2.2에 이른다. 어떠한 경우라도 비상 작동시의 작용 행정(70)이 정상 작동시의 작용 행정(36) 보다 훨씬 크다. 이와 같은 70와 36간의 구간 차이는 도어 로크가 검출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작은 작용 행정(36)의 경우에는 도어 로크가 "정상 작동"에 존재하고 도어가 열린다. 그러나 큰 작용 행정(70)의 경우에는 도어 로크가 "비상 작동"에 존재하고 그때까지 잠금 위치에 있던 도어 로크를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나서 핸들의 작동에 의해 도어가 다시 열린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비상시 핸들 작동(26)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미 수행될 수 있다. 도어 로크는 예컨대 적합한 센서들을 사용하며, 상기 센서들은 작용 행정(36, 70)의 차이에 반응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용 행정이 정상 작동(도 6)과 일치하는,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의 구동 경로(38)를 초래한다. 두 가지 경우, 즉 도 6 및 도 7에 따른 정상 작동과 도 9 내지 도 11에따른 비상 작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동일한 작용 행정(69)이 나타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의 핸들 작동(26)의 마지막 단계에서 장치가 자동으로 도 6의 정상 작동으로 복귀된다. 이를 위해서 변속 레버(30)의 회전 운동(52)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캠(37)이 제공되는데, 상기 캠(37)은 도 10에 도시된 중간 위치(30.3)에서 제어면(38)을 래치(65)에 직접 접촉시킨다. 도 5의 나머지 작용 행정(69)이 실행될 때 상기 캠(37)은 래치의 로킹 노우즈(66)를 밀어제쳐서 지지부(13)의 고정된 쇼울더(55) 뒤에 가압하며, 이는 도 11에서 화살표(77)로 표시된다. 상기 래치(65)는 제어 부재(50)를 더 이상 작동 위치에 있지 않게 한다. 스프링(62)에 의해 종동부(45)에 가해진 복원력(57)-도 11에서 화살표로 표시됨-은 작용 결합(48;58)에 의해 제어 부재(50)를 역이동 화살표(59)의 방향으로 비작동 위치(50.1)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역이동(59)의 결과를 도 12에서 볼 수 있다. 이제 제어 부재(50)가 베어링 수용부(12)에 의해 제 2 베어링 저널(32)을 릴리스하였다. 도 12에서는 핸들(20)이 생략되기 때문에, 핸들(20)은 복원력을 이용하여 복귀 운동(26')(도 5)을 수행한다. 도 12에서는 연결 지점(35)이 귀환 행정 중간 위치(35.4)에까지 구간(73)-도 12에서 화살표로 표시됨- 만큼 부분적으로 귀환 행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복원력(16)으로 인해 제 1 베어링 저널(31)이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베어링 커버(14)의 베어링 수용부(11) 내에 있는 베어링 작동 위치로 이르게 된다. 도 12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어링 저널(31)은 다시 회전 작동되는 반면, 제 2 베어링 저널(32)은 제어 부재(50)로부터 빼내져서 더 이상 베어링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변속 레버(30)가 입력 아암(33)(도 12)에 의해 역회전 중간 위치(30.4)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2 베어링 저널(32)은 -도 12에서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되고 도 11에서는 베어링을 작동시키지 않는- 회전 위치로부터 종방향 슬롯(15) 내에서 화살표(49)(도 7과 유사함)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역이동된다.
도 12에는 도 6 내지 도 8의 정상 작동 상태가 다시 주어진다. 이 때문에 연결 장치의 연결 지점(35)의 미리 정해진 귀환 행정 중간 위치(35.4)는 도 7 및 도 8에 관련한 작동 위치(35.1)와 일치할 수 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출발 위치(30.1)에까지 제어 부재(50)가 추가로 역회전하는 것은 제 1 베어링 저널(31)이 회전(51)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장치 연결 지점(35)은 도 13에서 화살표(36')로 표시된 귀환 행정의 최종 구간(74)을 따라서 연결 장치(40)가 다시 도 13의 정지 위치(35.0)에 도달할때까지 역이동된다. 이러한 귀환 행정 구간(36')은 도 8에 따른 정상 작동시에 볼 수 있는 귀환 행정에 상응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변속 레버(30)가 교대로 지지된다. 도 9,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작용 행정(70)시에 제 2 베어링 저널(32)이 작동된다. 그러나 귀환 행정시에는 피벗 베어링이 변속 레버(30)의 제 1 베어링 저널(31)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본 장치는 비상 작동 상황으로부터 정상 작동 상황으로 자동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제 2 실시예(02)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제 1 실시예(01)와 구별된다. 우선 이 경우에 제어 부재는 회전 부분(50')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종동부로서 전단 부재(45')가 사용되며, 상기 전단 부재(45')는 고정된 가이드(78) 내부의 로크 실린더(60)와 더불어 작동시 도 14의 화살표(79)의 방향으로 종방향 이동된다. 제 1 실시예(01)에 도시된 지지부(13)는 개관의 용이함을 위해서 도 14 내지 도 17의 제 2 실시예(02)에서는 생략된다; 상기 실시예(02)에는 빗금으로 표시된 부품(78, 81, 91)이 제공된다. 나머지 부재들을 표시하기 위해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이에 관해서는 앞에서 기술한 설명이 적용된다. 여기서는 단지 차이점만 기술할 것이다.
상기 전단 부재(45')는 그것의 한쪽 단부에서 리세스(88)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88)는 언급된 종방향 이동 방향(79)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88) 내부로 이미 제 1 실시예(01)에서 기술된 편심 방향 실린더 볼트(61)가 삽입된다. 도 12 및 도 13에는 로크 실린더(60)의 "제로 위치(60.1)"가 존재하며, 상기 제로 위치(60.1)에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복원 스프링이 작용한다. 상기 전단 부재(45')의 다른쪽 단부에는 연결 지점(83)에 의해 연결 로드(82)가 연결된다. 맞은편에 놓인 로드 단부는 추가의 연결 지점(84)을 통해 회전 부분(5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로드(82)에 의해 상기 전단 부재(45')의 개별 위치가 회전 부분(50')으로 전달되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 부분(50')은 서로 다른 회전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부분(50')은 변속 레버(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변속 레버(30)에 배치된 제 2 베어링 저널(32)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회전 부분(50')은 베어링 보어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보어는 본 발명의 경우에 제 2 베어링 저널(32)을 위한 폐쇄된 베어링 수용부(12')를 생성한다. 상기 회전 부분(50')에는 우선 고정된 가이드 세그먼트(8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80)는 이미 여러번 언급된 지지부의 구성 부품이고 그 아래 배치된 부품들을 더욱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도 14 내지 도 17에서는 단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다.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80)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화살표(90)로 표시된 회전시 회전 부분(50')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 15에서 볼 수 있는 회전 부분(50')의 배출(89)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분(50')에는 고정된 스토퍼(81)가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81)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각진 형상(85)을 가지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지지부의 구성부품이다. 상기 지지부의 추가 구성부품은 변속 레버(30)에 배치된 제 1 베어링 저널(31)을 위한 베어링 수용부(11)-여기서는 개방되어 있음-이다. 상기 베어링 수용부(11)는 도 14 내지 도 17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베어링 셸(91)에서 볼 수 있다.
도 14는 핸들(20)의 정지 위치를 도시하고, 상기 정지 위치는 도 14 내지 도 17의 도어 내측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핸들 단부에 도 14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회전축(21')을 갖는 소위 "당김 핸들"이 제공된다. 다른 핸들 단부(22)는 두 개의 아암을 가진 벨 크랭크(25)의 제 1 아암(23)와 커플링되며, 상기 아암(23)은 지지부-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도 14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수직 레버축(92)을 갖는다. 상기 벨 크랭크(25)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원 스프링에 의해 일반적으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출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출발 위치는 핸들(20)이 정지 위치에 존재할 때 나타난다. 여기서 로크 실린더(60)가 도 14의 제로 위치(60.1)에 존재하면, 회전 부분(50')이 도 14에 도시된 회전 위치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 부분(50')에 존재하는 노우즈(86)가 이미 스토퍼(81)에 대해 간격(87)을 갖는다. 상기 노우즈(87)는 스토퍼(81)의 각진 형상(85)에 의해 다른 쪽으로 돌려진다.
따라서 도 14의 작동 상태는 제 1 실시예의 도 6에 상응한다. 도 14에 도시된 정지 위치에서 핸들(20)이 수직축(21')을 중심으로 당겨지면, 도 15에 도시된 상태가 달성되는데, 상기 상태는 제 1 실시예(01)의 도 7의 핸들 작동 위치와 유사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0)은 커플링 때문에 22에서 벨 크랭크(25)와 함께 작동됨으로써, 제 2 아암(24)에 제공되는 충돌 지점(28)에 의해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이 함께 작동되면서 베어링 부재(31, 11)에서 회전 부분(5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51)시 32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부분(50')이 함께 작동됨으로써 가이드(80)의 배출(89)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출 운동(89)은 가이드 섹션(80)의 맞은편에 놓인 스토퍼(81)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변속 레버(3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부분(50')은 방해받지 않고 스토퍼(81)를 지나간다. 이러한 회전(51)시 회전 부분(50')이 연결 로드(82)에 의해 전단 부재(45')와 연결된다.
도 14 내지 도 17의 제 2 실시예에서도 열쇠와의 연결 장치는 보덴 와이어(41)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덴 와이어의 중심부(40)는 변속 레버(30)의 제 2 아암(34)의 연결 지점(35)에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중심부(40)에 작용하는 복원력(16)이 제 1 베어링 부재(11, 31)에 작용한다. 이는 도 14 및 도 15에서 제 1 베어링 저널(31)에서 점으로 표시된다. 도 14의 정지 위치에서는 제 1 실시예(01)와 유사하게 연결 지점(35)의 정지 위치(35.0)가 다시 제공되며, 상기 정지 위치(35.0)는 도 15에서 핸들(20)의 작동 위치(35.1)로 전환된다. 이러한 정상 작동시에 보덴 와이어(41)는 작용 행정(36)(도 15)을 받는다. 이러한 비교적 작은 작용 행정(36)에 의해 도어 로크가 풀려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도 9의 제 1 실시예(01)와 유사하게, 도 16의 상황에서는 잠금 위치에 있는 도어 로크가 비상시에 기계적 열쇠에 의해 개방되어야만 한다. 이는 기계적 열쇠-여기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기계적 열쇠는 도 16의 로크 실린더(6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실린더 볼트(61)를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제로 위치(60.1)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60.2)로 전환시킨다. 상기 실린더 볼트(61)가 리세스(88)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회전(63)시 전단 부재(45')가 함께 작동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단 부재(45')가 가이드(78)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79)됨으로써, 회전 부분(50')이 가이드 섹션(80) 내에서 연결 로드(82)에 의해 회전한다. 그럼으로써 회전 부분(50')의 노우즈(86)가 스토퍼(80)의 각진 형상(85)에 지지된다. 도 16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도 9와 유사하게 핸들(20)의 정지 위치가 도시된다. 연결 장치(40)의 연결 지점(35)이 도 16에서는 다시 정지 위치(35.0)에 있는데, 상기 정지 위치(35.0)는 도 4에서도 제공된다. 도 16을 시작점으로 하여 핸들(20)이 작동되면 비상시에 도 17에 도시된 상황이 나타난다.
도 15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17에서는 변속 레버(30)의 입력 아암(33)이 레버축(92)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벨 크랭크(45)의 회전에 의해 함께 작동된다. 이제 회전 부분(50')이 스토퍼(81)와 가이드 섹션(80) 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변속 레버(30)가 제 2 베어링 저널(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 보어(12')는 이제 베어링 볼트(32)와 함께 작동된다. 이제 변속 레버(30)의 회전(52)은 도 15의 비상시에 제 1 베어링 지점(11, 31)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회전(51)과는 다른 지점(12', 32)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제 2 베어링 저널(32)의 작용은 도 16 및 도 17에서 다시 점으로 표시된다.
도 16 및 도 17에 따른 비상시에는 변속 레버(30)가 도 14 및 도 15의 비상시와는 다른 변속비를 갖는다; 정지 위치(35.0)를 시작점으로 하여 연결 지점(35)은 도 17의 단부 위치(35.3)에까지 이동된다. 이러한 비상시에는 큰 작용 행정(70)이 나타난다. 제 1 실시예(01)에서와 같이 이는 관련 도어 로크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도어 로크는 연결 장치(40)에 의해 변속 레버(30)와 35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 로크가 열리게 된다.
열쇠가 릴리스되면 로크 실린더(60)가 복원 스프링-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17의 잠금 해제 위치(60.2)로부터 도 14의 제로 위치(60.1)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핸들(20)이 릴리스된 경우에도 이와 같은 상황이 나타난다. 도어 로크가 열리면 도 14의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도 14 및 도 15에 관련하여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핸들(20)의 재작동에 의해 도어 로크가 열리게 된다.
제 1 실시예(01)에서와 같은 경우에서도 결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 수단은 제 1 실시예의 도 9, 10 및 11과 유사하게 비상시에 회전부분(50')을 우선 도 16 및 도 17의 베어링 형성 위치에 고정시키고 제 2 핸들 작동시에 비로소 릴리스한다.
도 18a 내지 도 18e에는 본 장치의 제 2 작동 방법의 실시예(10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때 상응하는 부품들은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되며 관련 설명도 적용된다. 또한 변속 부재(93) 및 도어 핸들(20)로 이루어진 유니트(100), 도어 로크(102) 및 핸들-링크 체인(96)도 볼 수 있다.
도어 로크(102)는 자동차의 도어-여기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설치된다. 도어가 닫힌 경우에 상기 도어 로크(102)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부재와 함께 작동하며, 상기 부재는 본 경우에는 폐쇄 볼트(103)로 형성된다. 도어가 폐쇄된 경우에 폐쇄 볼트(103)가 열쇠 입구(104)로 삽입되어서, 캐치 훅(catch hook)(105)에 의해 붙들린다. 도어 로크(102) 내에는 래치(107)가 존재하며, 상기 래치(107)는 폐쇄된 도어에서 캐치 훅(105)을 포지티브하게 뒤로 고정시켜서 상기 캐치 훅(105)을 폐쇄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래치(107)가 회전하면 상기 캐치 훅(105)이 풀려서 도어 로크(102)가 열리게 된다.
상기 도어 로크(102)에는 엑추에이터(108)가 배치되고, 상기 엑추에이터(108)는 전기적, 전자기적 또는 공기 압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108)는 도 18a에 도시된 리모트 콘트롤(109)에 의해 작동되고 자동차의 중앙 제어 로킹 시스템의 구성 부품이다.
핸들-링크 체인(96)은 경우에 따라 10.6에서 래치(107)와 커플링되기 때문에, 핸들(20)의 작동에 의해 도어 로크(102)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로크(102)는 잠금 해제 위치에 존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은 종동부(112)를 갖는다. 도어 외측에 있는 핸들(10) 이외에도 본 장치(101)는 또한 도어 내측에 고정된 내부 핸들-자세히 도시되지 않음- 및 내부 로킹 버튼을 가질 수 있다.
로크 실린더(95)는 핸들-링크 체인(96) 및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에 연결된 핸들(20)과 함께 작동되며, 이에 관해서는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전체 유니트(100)는 상기 로크 실린더(95)와 함께 하나의 모듈로 결합되며, 상기 모듈은 예비 조립후에 도어에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101)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엑추에이터(108)가 도어 로크(102)의 내부에서 종동부(112)와 래치(107) 간의 커플링(106)에 작용한다. 리모트 콘트롤(109)에 의한 엑추에이터(108)의 작동에 의해 상기 커플링(106)은 도어 로크의 잠금 위치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잠금 해제 위치에서는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엑추에이터(108)는 삽입 및 배출가능한 핀(117)을 가지며, 상기 핀(117)은 도어 로크(102) 내부의 회전가능한 레버(118)와 함께 작동하고 그것의 단부에는 종동부(112)가 존재한다. 이러한 레버(108)는 핸들-링크 체인(96)의 구성 부품인 조인트 위에 있다.
도 18a의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핀(117)이 삽입됨으로써, 종동부(112)가 래치(107)를 커버한다. 상기 핀(117)의 이러한 삽입 위치는 도 18a에서 화살표(113)로 표시된다. 도 18a에서는 도어 로크(102)가 폐쇄되고 래치(107)가 캐치 훅(105)에 맞물린다. 핸들(20)은 작동되지 않은 채로 도 18a에 도시된 정지위치(20.1)에 존재한다. 종동부(112)와 래치(107) 간의 커플링(106)이 작동된다.
도 18b에서는 핸들이 화살표(26)의 방향으로 작동되고 작동 위치(20.2)에 존재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에 제 1 작용 행정(119)이 실행되고 종동부(112)를 거쳐서 래치(107)에 전달된다. 상기 래치(107)는 캐치 훅(105)을 릴리스한다. 상기 캐치 훅(105)은 스프링 하중에 의해 도 18b에 따른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 폐쇄 볼트(103)는 더 이상 뒤로 고정되지 않는다.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폐쇄 볼트(103)가 열쇠 입구(104)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본 장치(101)에서의 작동 경로(26)는 제 1 회전 위치에 존재하는 로크 실린더(95)에 의해 제한된다. 이를 위해서 본 경우에는 배출가능한 볼트(110)가 로크 실린더(95)에서 사용되며, 상기 볼트(110)는 핸들(20)용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도 18b의 로크 실린더(95)의 회전 위치에서 볼트(20)가 빼내지며, 이는 화살표(111)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스토퍼 작용이 핸들-링크 체인(96)에서 나타나고,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에서 레버(118)가 링크 체인(96)과 함께 이러한 유니트(100)의 변속 부재(93)를 형성한다.
도 18c는 도 18a와 같이 핸들(20)의 정지 위치(20.1)를 나타내지만 이 경우에는 도어 로크(102)가 잠금 위치에 있다. 상기 잠금 위치는 리모트 콘트롤(109)의 작동에 의해 시작됨으로써 핀(117)이 엑추에이터(108)에서 도 18c의 위치로 이동되며, 이는 화살표(114)로 표시된다. 이제 종동부(112)가 래치(107)를 더 이상 뒤로 고정시키지 않을 정도로 레버(118)가 회전한다. 상기 커플링(106)은 작동되지 않는다. 로크 실린더(95)가 도 18a 및 도 18b의 경우와 동일한 회전 위치를 갖기 때문에 핸들(20)의 작동(26)이 제한되기 때문에, 도 18d에 따라 핸들-링크 체인(96)에서 단지 짧은 제 1 작용 행정(119) 만이 허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종동부(112)는 작동되지 않는다. 래치(107)는 캐치 훅(105)과 결합된다. 열쇠(102)는 닫힌 채로 있다.
본 장치(101)의 경우 도어 로크(102)가 비상시에 리모트 콘트롤(109) 없이 개방되어야만 할 경우에는 로크 실린더(95)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도 18e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상기 폐쇄 실린더(95)가 삽입된 열쇠(94)에 의해 다른 회전 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볼트(110)가 삽입되며, 이는 화살표(116)로 표시된다. 이제 핸들(20)용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 연결된 변속 부재(93) 또는 핸들-링크 체인(96)은 작동되지 않는다. 핸들(20)은 정지 위치(20.1)로부터 도 18e의 큰 경로(26') 만큼 제 2 작동 위치(20.3)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큰 작용 행정(115)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 행정(115)은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작용 행정(119)과 함께 이루어지며, 여기에 작용 행정(120)이 추가로 실행된다. 이제 레버(118)에 제공된 추가의 종동부(121)가 작동된다. 도 18c 및 도 18d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엑추에이터(108)의 위치에 의해 도어 로크(102)가 잠금 위치에 존재하게 될지라도 래치(107)가 큰 작용 행정(115)에서 추가 종동부(121)와 함께 작동된다. 캐치 훅(105)이 볼트(103)를 릴리스한다.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핸들-링크 체인(96)이 도 18a 내지 도 18d에서는 로드(rod)로 형성되지만,도 3 내지 도 13에 따른 장치(01) 및 도 14 내지 도 17에 따른 장치(02)에서와 같이 보덴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3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도시된 장치(01 및 02)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3 실시예(03)를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핸들(20) 및 다수의 레버를 포함하는 변속 부재(93)로 이루어진 유니트(100) 만이 도시된다. 유사한 부품들은 부분적으로 실시예(01, 02)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된다.
핸들(20)은 지지부(13)의 한 쪽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지지된다. 다른 핸들 단부에는 종동부(123)가 배치되며, 상기 종동부(123)는 엘보우(elbow) 형태의 벨 크랭크(124)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벨 크랭크(124)는 엘보우 영역 내에서 실질적으로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125)을 중심으로 마찬가지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부(13)에 지지된다. 상기 종동부(123)의 반대측에 놓인 벨 크랭크(124)의 단부는 보덴 와이어(127)의 견인 로프(126)와 연결되며, 상기 견인 로프(126)는 유니트(100)를 도어 로크-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시킨다. 상기 유니트(100) 쪽으로 향해 있는 견인 로프(126)의 단부(128)는 벨 크랭크(124)에 관절 형태로 연결된다. 보덴 와이어(127)의 압축 커버(129)는 핸들(20) 쪽으로 향해있는 단부(131)에 의해 회전가능한 레버로 형성된 버팀벽(130)에 지지된다. 상기 회전가능한 버팀벽(130)의 회전축(132)은 실질적으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부(13)에는 고정된 스토퍼(133)가 존재하며, 상기 스토퍼(133)에는 경우에 따라 회전가능한 버팀벽(130) 및 압축 커버 단부(131)가 지지된다. 로크 실린더(60)의 출력부에는 크랭크(crank) 형태의 편심기(134)가 배치되며, 상기 편심기(134)는 열쇠 작동시 두 회전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며, 상기 두 개의 회전 위치는 서로에 대해 거의 180°만큼 떨어져 있다. 이러한 두 개의 회전 위치가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다. 상기 편심기(134)는 압축 로드(135)에 의해 이동가능한 버팀벽(130)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장치(103)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도 19a 및 도 19b의 유니트(100)의 변속 부재(93)는 보덴 와이어(127)에 의해 도어 로크-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작용하는 종동부(123) 및 벨 크랭크(124)를 포함한다. 핸들(20)의 작동시 상기 핸들(20)은 단부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 각진 영역에서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종동부(123)에 의해 벨 크랭크(124)가 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보덴 와이어(127)의 견인 로프(126)가 작용한다. 이 경우에 짧은 작용 행정(119)이 실행되는지 긴 작용 행정(115)이 실행되는지는 로크 실린더(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로크 실린더(60)가 도 19a에 도시된 제 1 회전 위치에 존재하면 압축 로드(135)에 의해 회전가능한 버팀벽(38)이 압축 커버 단부(131)에 의해 고정된 스토퍼(133)에 접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로크 실린더(60)는 하중을 받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핸들(20)의 작동이 로크 실린더(6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상기 버팀벽(133)과 로프 단부(128) 사이에 비교적 작은 간격(136)이 달성된다. 이는 짧은 작용 행정(119)시에 보덴 와이어(127)의 견인 로프(126)에 의해 작용된다.
그러나 로크 실린더(60)가 도 19b에 도시된 다른 회전 위치에 있으면 이는 이중 화살표(137)로 표시된 압축 로드(135)의 이동이 발생한다. 상기 압축 로드(135)와 함께 버팀벽(130)이 동일한 간격(137) 만큼 회전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압축 커버(129)의 단부(131)가 보덴 와이어(127)와 함께 작동된다. 도 19b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로프 단부의 출발 위치(128.1)에 관련하여 버팀벽(130)이 회전했을 경우 큰 간격(138)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큰 간격(138)은 상기 작은 간격(136)과 전술한 이동(137)을 합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9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핸들(20)의 작동시 보덴 와이어(127)에서 큰 작용 행정(115)이 실행된다. 이 경우에 로프 단부(128)를 갖는, 벨 크랭크(124)의 아암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단부 위치(128.2)를 나타낸다.
도 19a와 도 19b 사이에서 로크 실린더(60)가 작동되면서 도어 로크가 예기치 않은 사이에 개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로크 실린더(60)의 다른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짧은 작용 행정(119)에 비해 추가로 실행되는 작용 행정(137)이 더 짧은 크기를 갖는다.
*도면 부호 설명*
01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1 실시예(도 3 내지 도 13)
02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2 실시예(도 14 내지 도 17)
03장치의 제 1 작동 방법의 제 3 실시예(도 19a, 19b)
10도어
1114의 13을 위한 고정되고 개방된 베어링 수용부, 제 1 베어링 지점
1250에 있는 32를 위한 이동가능한 개방된 베어링 수용부, 제 2 베어링 지점
12'50'에 있는 32를 위한 이동가능한 폐쇄된 베어링 수용부, 50'의 베어링 보어
13지지부
1411, 15에 있는 베어링 커버(도 4)
1514에 있는 종방향 슬롯(도 6)
1634를 위한 40의 복원력(도 6, 8)
1725의 복원력(도 5)
1831을 위한 11의 베어링 그라운드(도 6)
1914를 위한 베어링 캡(도 4, 5)
20핸들, 당김 핸들(도 3 내지 5)
20.120의 정지 위치(도 5)
20.220의 작동 위치(도 5)
20.320의 제 2 작동 위치(도 18e)
2120의 피벗 베어링(도 3)
21'20의 회전축(도 14)
2220의 핸들 단부(도 5)
2325의 제 1 아암
2425의 제 2 아암(도 5)
25벨 크랭크
2620의 핸들 작동(도 5), 작은 작동 경로(도 18b, 18d)
26'큰 작동 경로에 의한 핸들 작동(도 18e)
26''20의 복귀 운동(도 7)
2725에 있는 17을 위한 아암 스프링(도 4)
2824와 33의 충돌 지점(도 6)
2919에 있는 대향면, 제 2 베어링 지점(도 6)
30변속 레버
30.120.1에서의 30의 출발 위치(도 6)
30.230의 작동 위치(도 7, 6)
30.3비상시에 정상 작동시의 30의 중간 위치(도 10)
30.4비상시에 역운동시의 중간 위치(도 12)
31제 1 베어링 저널, 제 1 베어링 지점
32제 2 베어링 저널, 제 2 베어링 지점
3330의 제 1 아암, 입력 아암
33.1정상 작동시의 33의 아암 길이(도 6)
33.2비상 작동시의 33의 아암 길이(도 9)
3430의 제 2 아암, 출력 아암
34.1정상 작동시의 31의 아암 길이(도 6)
34.2비상 작동시의 34의 아암 길이(도 9)
3540을 위한 연결 지점, 34에서의 회전 조인트(도 6)
35.035의 정지 위치(도 6, 14)
35.1정상 작동시 35의 작동 위치(도 7, 15)
35.2비상 작동시 이동시의 35의 중간 위치(도 10)
35.3비상 작동시의 35의 단부 위치(도 11)
35.4비상 작동시의 역이동시 35의 중간 위치(도 12)
36정상 작동시의 작용 행정의 화살표(도 6, 7)
36'정상 작동 및 비상 작동시의 35의 귀환 행정의 화살표(도 8, 13)
3733의 캠(도 9)
3833.1과 33.2 사이의 28의 구동 경로(도 6, 9)
3950과 65 사이의 스프링(도 4, 6)
40연결 장치, 41의 중심부
41보덴 와이어
4241의 케이싱
4313의 벨 크랭크(도 4)
4413에 있는 45를 위한 피벗 베어링(도 6)
45종동부, 벨 크랭크(도 3 내지 도 13)
45'종동부, 전단 부재(도 14 내지 도 17)
45.045의 제로 위치(도 6, 9)
45.145의 회전 위치(도 9)
4645의 제 1 각도 아암, 구동 아암(도 6)
4745의 제 2 각도 아암, 피동 아암(도 6)
4847의 포오크, 연결 가이드(도 6)
4915에 있는 32의 입구, 회전 운동 구간(도 7)
50제어 부재, 슬라이드(도 6 내지 도 13)
50'제어 부재, 회전 부분(도 14 내지 도 17)
50.150의 비작동 위치
50.250의 작동 위치
5111에 있는 31의 회전(도 6, 14)
5212와 29에 있는 32의 회전(도 9, 16)
5350.1과 50.2 사이의 50의 전단 구간(도 9)
5466, 50을 위한 13의 가이드면(도 6, 9)
5566을 위한 고정된 쇼울더(도 9)
5611에 있는 31의 자유 운동, 회전 화살표(도 10)
5750에 대한 45의 복원력(도 11)
5850에 있는 저널, 연결 가이드(도 6)
5950, 65의 50.2로부터 50.1로의 역이동 화살표(도 11)
6013에 있는 로크 실린더
60.160의 제로 위치(도 6)
60.260의 잠금 해제 위치(도 10)
6160의 실린더 볼트
62이중 기능을 갖는 스프링
6360의 열쇠 회전(도 9, 16)
63'60의 역회전(도 10)
6445의 회전 운동 화살표(도 9)
6566을 갖는 래치(도 6)
66로킹 부재, 65에 있는 로킹 노우즈(도 9)
6760.1에 있는 60의 힘 하중 화살표(도 9)
6837을 위한 65의 제어면(도 10)
6920.1과 20.2 사이의 20의 작동 경로(도 5)
70비상 작동시의 35의 작용 행정(도 9, 17)
7170에서 35의 출발 구간(도 10)
7270에서 35의 최종 구간(도 11)
7335의 역이동의 출발 구간(도 12)
7465에 대한 39의 화살표(도 6, 9)
7574에 의한 65의 토크 작용(도 9, 10)
76결합시 66의 이동 화살표(도 9)
7766의 해제 운동의 화살표(도 11)
7845'를 위한 고정된 가이드(도 14)
7945'의 종방향 이동 화살표(도 16)
8050'을 위한 가이드 세그먼트(도 16)
8150'을 위한 스토퍼(도 16)
8250'과 45' 사이의 연결 로드(도 16)
8382와 45' 사이의 조인트(도 14)
8482와 50' 사이의 조인트(도 14)
8581의 각진 형상(도 14)
8650'의 노우즈(도 14)
8786과 81 사이의 간격(도 14)
8845'에 있는 리세스(도 14)
8980에 대한 50'의 배출 운동의 화살표(도 15)
9050'의 회전(도 16)
9111을 위한 베어링 셸(도 14)
9225를 위한 레버축(도 14)
93전달 부재
9495를 위한 열쇠
95로크 실린더
96핸들-링크 체인
9795의 출력
9897과 93 간의 작용선(도 1)
9997과 20 사이의 선택적인 작용선(도 1)
10020, 93으로 이루어진 유니트
101장치의 제 2 작동 방법의 실시예(도 18a 내지 18e)
102도어 로크(도 18a 내지 18e)
103105를 위한 폐쇄 볼트(도 18a 내지 18e)
104105를 위한 열쇠 입구(도 18a 내지 18e)
105103을 위한 캐치 훅(도 18a)
10618과 96 간의 커플링(도 18a 내지 18e)
107105를 위한 래치(도 18a 내지 도 18e)
108102에 있는 엑추에이터(도 18a 내지 도 18e)
109108을 위한 리모트 콘트롤(도 18a 내지 도 18e)
11095에 있는 볼트, 스토퍼(도 18b)
111110의 배출 운동의 화살표(도 18b)
112118 또는 96에서의 종동부(도 18a)
113117의 유입 운동을 위한 화살표(도 18a, 18b)
114117의 배출 운동을 위한 화살표(도 18c, 18d)
11596의 제 2의 큰 작용 행정(도 1, 2c, 18e)
116110의 유입 운동의 화살표(도 18e)
117108에 있는 핀(도 18a 내지 도 18e)
11896에 있는 회전가능한 레버(도 18a 내지 도 18e)
11996의 제 1의 작은 작용 행정(도 1, 2b, 18b, 18d)
120115에서 119에 대한 추가 작용 행정(도 18e)
12118에 있는 추가 종동부(도 18e)
12213에 있는 20의 회전축(도 19a)
12320에 있는 종동부(도 19a)
124관절형 벨 크랭크(도 19a)
12513에 있는 124의 회전축(도 19a)
126127의 견인 로프(도 19a, 19b)
127보덴 와이어(도 19a, 19b)
128126의 로프 단부(도 19a, 19b)
128.1128의 출발 위치(도 19a)
128,2128의 최종 위치(도 19b)
129127의 압축 커버(도 19a)
130회전가능한 버팀벽
131129의 지지 단부
132130의 회전축
13313에 있는 130을 위한 고정된 스토퍼(도 19a)
13460에 있는 135를 위한 편심기
135134에 있는 압축 로드
136133과 128.1 사이에 있는 작은 간격(도 19a)
137135의 이동의 이중 화살표(도 19a, 19b)
138133과 128.1 사이의 큰 간격(도 19b)

Claims (29)

  1.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어에 고정된 핸들(20)이 제공되며, 상기 핸들(20)은 수동 작동(26, 26')시에 회전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20)이 변속 부재(93) 뒤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 부재(93)가 상기 핸들(20)과 함께 유니트(100)를 형성하며,
    상기 변속 부재(93)에 핸들-링크 체인(96)이 연결되고,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은 상기 변속 부재(93)의 변속비에 의해 결정된 작용 행정(115;119)시에 상기 핸들(20)의 회전 운동을 도어 핸들(102)로 전달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된 로크 실린더(95)가 제공되고, 상기 로크 실린더(95)는 열쇠(94)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출력(97)에 의해 상기 도어 로크(102)에 작용하며,
    상기 로크 실린더(95)의 두 개의 회전 위치 중 하나에서 상기 도어 로크(102)가 잠금 위치에 존재하면 핸들 작동(26)은 효과가 없으며, 상기 도어 로크(102)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으면 핸들 작동(26, 26')에 의해 도어 로크(102)가 열리게 되는, 장치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유니트(100)와 상기 로크 실린더(95),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유니트(100)와 상기 도어 로크(102) 사이에 단지 하나의 핸들-링크 체인(95)이배치되고,
    상기 로크 실린더(95)의 출력(97)이 상기 핸들(20) 및 상기 변속 부재(93)로 이루어진 유니트(100)에 작용하여서, 상기 로크 실린더(95)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링크 체인(96)의 작용 행정(119;115)이 변경되며,
    상기 도어 로크(102)가 상기 링크 체인(96)의 상이한 작용 행정(119;115)에 반응함으로써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95;60)의 출력(97;61)이 상기 유니트(100)의 변속 부재(93;30)와 연결되어서, 회전 위치(60.1, 60.2)에 따라서 상기 변속 부재(95;30)의 변속비(34.1:33.1 또는 34.2:33.2)가 변동되며,
    상기 핸들(20)은 작동(26)시 항상 동일한 회전 운동을 수행하지만, 상기 변속 부재(95:30)의 변속비(34.1:33.1 또는 34.2:33.2)에 따라서 상기 핸들-링크 체인(96:40)의 작용 행정(119, 115 또는 36, 70)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95)의 출력(97; 110)이 상기 유니트(100)의 핸들(20)과 연결되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95)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핸들(20)의 회전 운동(26, 26')이 변동되며,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이 상기 핸들 회전 운동(26, 26')의 변동가능한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작용 행정(119;115)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부재가 레버(변속 레버 30)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베어링 지점(31, 11; 32, 12)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회전 위치(60.1, 60.2)에 따라서 상기 변속 레버(30)의 베어링 지점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회전이 제어 부재(50;50')에 의해 상기 변속 레버(30)의 베어링 지점(31, 11; 32, 12)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의 제로 위치(60.1)에서는 작은 변속비(34.1:33.1)가 존재하고, 열쇠 작동이 이루어진 위치(60.2)에서는 큰 변속비(34.2:33.2)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30)가 두 개의 베어링 지점(31, 11; 32, 12)을 가지며,
    상기 제어 부재(50, 50')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지점(31, 11; 32, 12) 중 한번은 작동되고 한번은 작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3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베어링 저널(31, 32)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 저널(31, 32)은 한편으로는 상기 핸들(20)의 충돌 지점(28)에 대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장치 쪽으로 가이드되는 연결 장치(40)에 대해서 서로 다른 아암 길이(30.1, 34.1; 33.2, 34.2)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저널(31, 32)에는 두 개의 베어링 수용부(11, 12)가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수용부(11, 12) 중 하나(11)는 상기 지지부(13)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12)는 이동가능한 제어 부재(5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저널(31) 중 하나가 스프링력(16)에 의해 개방된 베어링 수용부(11) 내에 넌-포지티브하게 회전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력(16)이 복원력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복원력이 상기 핸들(20) 및/또는 상기 잠금 장치의 연결 장치(40) 또는 상기 연결 장치(40) 뒤에 연결된 중간 부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수용부(11, 12)가 개방되고,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제로 위치(60.1)에서 상기 제어 부재(50)가 비작동 위치(50.1)에 존재하고,
    상기 비작동 위치(50.1)에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12)가 베어링 저널(32)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저널(32)의 구간(49)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작동 레버(30)가 핸들 작동(26)에 의해 고정된 베어링 수용부(11) 내에 설치된 다른 베어링 저널(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잠금 해제 위치(60.2)에서 상기 제어 부재(50)는 작동 위치(50.2)에 있으며,
    상기 작동 위치(50.2)에서 상기 베어링 수용부(12)는 베어링 저널(32)을 고정하여 고정된 대향면(29)에 대해 포지티브하게 가압하고, 상기 다른 베어링 저널(31)은 핸들 작동(26)시 베어링 지점(11)으로부터 개방된 베어링 수용부(11)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56)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출력부(61)에는 벨 크랭크(43)가 고정되고, 상기 벨 크랭크(43)는 상기 실린더 축에 대해 편심 방향으로 회전 지지(44)되며,
    상기 로크 실린더(60)가 편심 방향 실린더 볼트(61)를 가지며, 상기 실린더 볼트(61)는 각도 아암(구동 아암 46)에 고정되고, 상기 벨 크랭크(45)의 다른 각도아암(피동 아암 47)에는 상기 제어 부재(50)가 연결 장치(48, 58)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45)에는 복원 스프링(62)이 고정되고, 상기 복원 스프링(62)은 동시에 반동 스프링을 상기 로크 실린더(60)에 작용되는 동시에 상기 로크 실린더(60)에 제로 위치(60.1)에서 하중을 가하는(76)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슬라이드(50)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50)의 한 쪽 단부에는 상기 변속 레버(30)의 제 2 베어링 저널(32)용 베어링 수용부(12)가 존재하며, 다른 단부는 상기 저널(58)을 통해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벨 크랭크(45)의 종방향 슬롯 또는 포오크형 개구(48)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3)는 상기 제어 부재(50)용 가이드(54)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54) 내에서 상기 벨 크랭크(45)의 제어 부재(50)가 작동 위치와 비작동 위치(50.2; 50.1)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4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50)가 결합 수단(66)을 가지며, 상기 결합 수단(66)은 상기 제어 부재(50)의 작동 위치(50.2)에서 상기 지지부(13)에 고정된 쇼울더(55)를 뒤로 고정시켜서 상기 비작동 위치(50.2)를 보장하며,
    상기 결합 수단(66)이 핸들 작동(26)시 함께 이동되는 캠(37)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다시 릴리스되고, 상기 제어 부재(50)가 복원력(57)에 의해 비작동 위치(50.1)로 복귀(59)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캠(37)이 상기 변속 레버(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66)가 상기 슬라이드(50)와 함께 이동되는 래치(65)에 있는 가압된 로킹 노우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65)가 상기 슬라이드(5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65)가 상기 제어 부재(50)의 개별 저널(5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저널(58)이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벨 크랭크(45)에서 상기 제어 부재(50)의 연결 가이드(58, 48)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출력부(61)에 전단 부재(45')가 연결되고, 상기 전단 부재(45')는 상기 로크 실린더(60) 옆에 배치된 고정 가이드(78) 내에서 종방향 이동(79)되며,
    상기 로크 실린더(60)가 편심 방향 실린더 볼트(61)를 가지며, 상기 편심 방향 실린더 볼트(61)가 상기 전단 부재(45')의 리세스(88) 내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회전(63)시 상기 전단 부재(45')와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가 회전 부분(50')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속 레버(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분(50')이 상기 변속 레버(30)에 배치된 제 2 베어링 저널(3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2 베어링 저널(32)을 위한 폐쇄된 베어링 수용부(12')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 부분(50')이 상기 전단 부재(45')와 관절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 부분(50')에는 한편으로는 고정된 가이드 섹션(80)이,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된 스토퍼(81)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1)는 각진 형상(85)을 가지며, 상기 회전 부분(50')은 노우즈(86)를 가지며,
    상기 노우즈(86)는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잠금 해제 위치(60.2)에서 상기 각진 형상(85)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제로 위치(60.1)에서 상기 회전 부분(50')이 상기 노우즈(86)에 의해 상기 각진 형상(85)으로부터 이동되어서, 상기 스토퍼(81)에 대한 간격(87)을 가지며,
    핸들 작동시 상기 제 2 베어링 저널(32)에 배치된 회전 부분(50')이 상기 작동 레버(30)에 의해 상기 스토퍼(81)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분(50')과 상기 전단 부재(45') 사이에 연결 로드(84)가 배치되고 양측면에서 조인트(83, 8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크 체인(95; 40)이 압축 커버(129; 42) 및 견인 로프(126; 40)를 가진 보덴 와이어(127;41)이며, 상기 핸들(20)이 상기 견인 로프(126)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커버(129)가 상기 핸들(20) 쪽으로 향한 단부(131)에 의해 이동가능한 버팀벽(130)에 지지되고,
    상기 버팀벽(130)이 상기 로크 실린더(60)에 의해 두 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버팀벽(130)이 작동되지 않은 로크 실린더(60)에서 제 1 단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 1 단부 위치에서 압축 커버 단부(131)가 핸들(20)에 연결된 견인 로프 단부(128)에 대한 제 1 간격(136) 내에 존재하며,
    상기 버팀벽(130)이 작동된 로크 실린더(60)에서 제 2 단부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 2 단부 위치에서 압축 커버 단부(131)가 견인 로프 단부(128)에 대한 제 2 간격(138)을 가지며, 상기 제 2 간격(138)이 상기 제 1 간격(136)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스토퍼(133)가 제공되며, 상기 스토퍼(133)에는 압축 커버 단부(131) 및/또는 이동가능한 버팀벽(130)이 제 1 단부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60)가 상기 압력 로드(135)에 의해 상기 이동가능한 버팀벽(130)에 커플링되며,
    이때 상기 로크 실린더(60)의 회전이 상기 압력 로드(135)의 종방향 이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실린더(95)가 조절가능한 스토퍼(110)를 가지며,
    상기 로크 실린더(95)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10)가 작동되어서, 상기 핸들(20)의 작동 경로(26)를 제한함으로써, 핸들 작동(26)시에는 제 1 작용 행정(119) 만이 핸들-링크 체인(96)에 전달되며,
    상기 로크 실린더(60)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110)는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핸들(20)이 다른 작동 경로(26')를 가지며 상기 핸들-링크 체인(96)에는 다른 제 2 작용 행정(115)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용 행정(119)과 상기 제 2 작용 행정(115) 간의 차이(120)가 제 1 작용 행정(119)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7011424A 2001-03-01 2002-02-28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KR20030093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9825.1 2001-03-01
DE10109824.3 2001-03-01
DE10109825A DE10109825B4 (de) 2001-03-01 2001-03-01 Türschloß für eine Fahrzeugtür
DE10109824A DE10109824B4 (de) 2001-03-01 2001-03-01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Türschloss einer Fahrzeugtür
PCT/EP2002/002137 WO2002070840A2 (de) 2001-03-01 2002-02-28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klappen od. dgl., insbesondere an fahrzeu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222A true KR20030093222A (ko) 2003-12-06

Family

ID=2600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424A KR20030093222A (ko) 2001-03-01 2002-02-28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29040A1 (ko)
EP (3) EP1408187B1 (ko)
KR (1) KR20030093222A (ko)
AT (1) ATE316182T1 (ko)
DE (2) DE50205646D1 (ko)
WO (1) WO200207084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772A (ko) * 2016-03-04 2018-10-31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8874A1 (de) * 2004-12-06 2006-06-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41081A1 (de) * 2005-08-30 2007-03-01 D. la Porte Söhne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Schloss
WO2008025418A1 (de) * 2006-08-26 2008-03-0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chlosses in d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DE102007027848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DE102010061643B4 (de) * 2010-12-30 2020-1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Außenliegendes Montagebauteil für ein Fahrzeug mit einem Lichtmodul
DE202011051818U1 (de) * 2011-10-31 2013-02-05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Türgriffanordnung zum Betätigen eines Türschlosses eines Fahrzeugs
JP5903967B2 (ja) * 2012-03-22 2016-04-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DE102013016607B4 (de) 2013-10-07 2017-05-04 D. la Porte Söhne GmbH Ziehgriff für eine Fahrzeugtür
DE102013016606B4 (de) * 2013-10-07 2017-05-24 D. la Porte Söhne GmbH Ziehgriff für eine Fahrzeugtür
WO2015103363A2 (en) * 2014-01-04 2015-07-09 Tieman Craig A Wirelessly controlled vehicle hood lock
US9145712B1 (en) * 2014-12-17 2015-09-29 I-Tek Metal Mfg. Co., Ltd. Lock cylinder for a door lock
US11078694B2 (en) * 2016-06-10 2021-08-03 Kiekert Ag Motor vehicle door lock
US11414903B2 (en) * 2018-03-01 2022-08-16 Magna Closures Inc. Power operated closure latch assembly with an inside/outside backup mechanism having integrated splitter box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1854A (en) * 1984-07-21 1986-01-22 Ford Motor Co Vehicle door lock system
DE4129706A1 (de) * 1991-09-06 1993-03-11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omotorischer aktuator, insbesondere fuer eine zentrale tuerverriegelungsanlage eines kraftfahrzeugs
GB2271374A (en) * 1992-10-02 1994-04-13 Ford Motor Co Vehicle door handle with Bowden Linkage
GB9413388D0 (en) * 1994-07-02 1994-08-24 Rover Group A vehicle locking system
DE4445320B4 (de) 1994-12-03 2005-04-28 Ewald Witte Gmbh & Co Kg In eine Öffnung einer 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 einsetzbarer Griffbeschlag
GB2296936B (en) 1995-01-14 1998-08-05 Rockwell Body & Chassis Syst Door locks for vehicles
FR2739647B1 (fr) 1995-10-09 1997-12-05 Ymos France Ensemble constitue par une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et ses organes de commande mecanique
FR2741102B1 (fr) * 1995-11-14 1999-05-07 Peugeot Dispositif de condamnation de l'ouverture interieure d'une porte de vehicule
US5852943A (en) * 1996-05-06 1998-12-29 Ut Automotive Dearborn, Inc. Door lock mechanism for an automotive vehicle
FR2766226B1 (fr) * 1997-07-21 1999-08-20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Dispositif d'ouverture/fermeture des ouvrants d'un vehicule automobile
DE19740827B4 (de) * 1997-09-17 2006-06-08 Siemens Ag Türgriff
FR2778940B1 (fr) * 1998-05-19 2000-07-28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a decondamnation electrique et ouverture electrique
JP4345128B2 (ja) * 1999-03-30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及び該車両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ドア
DE19947977C1 (de) * 1999-10-05 2001-05-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US6530251B1 (en) * 1999-11-18 2003-03-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DE10033309B4 (de) * 2000-07-04 2004-05-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126045A1 (de) * 2001-05-29 2002-12-12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Bausatz,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523869B1 (en) * 2001-10-15 2003-0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bile releasable locking latch assembly
JP2004176302A (ja) * 2002-11-25 2004-06-24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操作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772A (ko) * 2016-03-04 2018-10-31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29040A1 (en) 2004-07-08
EP1408186A1 (de) 2004-04-14
EP1364099B1 (de) 2006-01-18
WO2002070840A2 (de) 2002-09-12
WO2002070840A3 (de) 2003-01-03
ATE316182T1 (de) 2006-02-15
DE50205646D1 (de) 2006-04-06
DE50208849D1 (de) 2007-01-11
EP1408187A1 (de) 2004-04-14
EP1364099A2 (de) 2003-11-26
EP1408187B1 (de)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3222A (ko) 특히 자동차의 도어, 플랩 등에 있는 잠금 장치를작동시키기 위한 장치
CN110359787B (zh) 具有动力打开特征的汽车门闩锁
CN108222713A (zh) 调平的开启控制装置
US6526790B2 (en) Closing device
CN100532772C (zh) 用于机动车车门的解锁/锁闭记忆型锁具
US20070214724A1 (en) Unlock mechanism for a rotary door operator
JP2000515595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
JPH09511290A (ja) 車両の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JP2002536568A (ja) 電気的な閉扉補助手段と開扉補助手段とを備えた自動車ドアロック機構またはこれに類するもの
JP2000500835A (ja) 車両のドアロック作動装置
US653681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controlled actuating element
JP2650000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カバーあるいはドアの鎖錠装置
KR102554688B1 (ko) 차량용 록
CN107849876A (zh) 用于前罩的具有电驱动装置的安全设备
JP4009860B2 (ja) パワースライディングドア開閉システム
US5154457A (en) Vehicular door lock device
CN101603388B (zh) 机动车门用的锁
CN1276845A (zh) 具有一可用钥匙操纵的同时用作操纵锁闭件的按压手柄的锁柱的闭锁装置
EP1522663A2 (en) A vehicle door latch with an actuator
CN114635608A (zh) 用于机动车辆的乘客门的门系统
WO2000020710A1 (en) Door latch
CN117241983A (zh) 自动列车耦连装置和用于使自动列车耦连装置脱耦的方法
EP1039080B1 (de) Zentralverriegel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CN117222567A (zh) 自动列车耦连装置和用于使自动列车耦连装置脱耦的方法
MXPA96003734A (en) Lock for mobile vehic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