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370A -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370A
KR20030088370A KR1020030030233A KR20030030233A KR20030088370A KR 20030088370 A KR20030088370 A KR 20030088370A KR 1020030030233 A KR1020030030233 A KR 1020030030233A KR 20030030233 A KR20030030233 A KR 20030030233A KR 20030088370 A KR20030088370 A KR 20030088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us
monosulfide
deodorant
extract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381B1 (ko
Inventor
시미즈카쯔마사
마에다유이치
오오사와켄지
시무라수수무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8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에 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식물인 장미과의 나무딸기속 식물, 도금양과의 유칼리 및 구아바, 소귀나무과의 소귀나무, 조록나무과의 하마멜리스 및 돌나물과(꿩의비름과)의 홍경천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소취제로, 모노설파이드(monosulfide)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하여 높은 소취효과를 갖는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Deodorants, Foods having deodorants and deodoriz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에 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식물인 장미과의 나무딸기속 식물, 도금양과의 유칼리 및 구아바, 소귀나무과의 소귀나무, 조록나무과의 하마멜리스 및 돌나물과(꿩의비름과)의 홍경천 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소취제로, 모노설파이드(monosulfide)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하여 높은 소취효과를 갖는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냄새는 일반적으로 생리적 구취, 식사로 인한 구취, 질병으로 인한 구취로 분류된다. 식사로 인한 입냄새의 원인으로는 마늘 등 냄새가 강한 음식물의 섭취를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늘을 섭취한 직후 입냄새 중에는 알릴메르캅탄(allyl mercaptan) 및 디알릴 디설파이드(diallyl disulfide)가 다량 검출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냄새가 저하하고 다음날에는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안 토쳐(Johann Taucher)의 연구에 의해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 디메틸모노설파이드 및 케톤화합물인 아세톤은 마늘 섭취 후부터 내쉬는 호흡 중에 검출되고, 24 시간 이상 경과하여도 높은 농도로 검출되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J. Agric Food Chem 44(12), 3778-3782(1996)].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는 디메틸모노설파이드 보다도 마늘 섭취 후 숨을 내쉴때 농도가 유의하게 높다. 또한 마늘의 섭취 후 냄새는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와 관능적으로 냄새의 질이 같으며, 디메틸모노설파이드가 가지는 냄새의 질과는 다르다. 아세톤은 문헌에서 측정된 숨을 내쉬는 호흡중 측정된 최대농도 (5 ppm)와 비교하여, 냄새식별의 수치(100 ppm)가 20 배 높기 때문에 마늘 섭취 후의 숨을 내쉴 때 냄새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는 마늘 섭취 후의 입냄새의 주요원인이며, 이로부터 유래되는 냄새를 소취하는 것이 마늘의 대사취 제거에 유효하다.
알릴메르캅탄 및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 등의 티올화합물은 그 분자내에 존재하는 티올(-SH) 기가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므로, 1) 산화제에 의한 산화반응, 2) α, β불포화결합에 마이켈부가반응, 3) 폴리페놀화합물과의 결합반응 등의 메카니즘에 의해 소취되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는 티올화합물과 같이 악취를 갖는 유황화합물이지만, 분자내에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취물질인 메틸메르캅탄 등의 티올 화합물 보다 반응성이 낮아서 소취가 곤란한 물질로 여겨지고 있다.
종래 보고되어 있는 소취소재 중에도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와 같은 모노설파이드화합물에 대하여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적은 상황이며, 티올화합물의 소취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클로로필화합물류[월간 푸드케미칼 11호 106-110 (1995)] 및 녹차추출물[일본특허 제1330998호]의 경우도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가 불충분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와 같은 모노설파이드화합물은 알릴메르캅탄 및 메틸메르캅탄 등의 티올화합물과는 소취 메카니즘이 크게 상이하기 때문에 티올화합물에 소취효과를 갖는 소취제라도,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이 많다.
천연물 유래의 성분으로는 벤즈알데히드 및 계피알데히드가 모노설파이드와 반응하여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있으나[臭氣의 연구, 13권, 63호 19-28 (1985)], 이들 알데히드류는 특유의 강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사용은 제한되어 있어,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에 대하여 실용성이 높고 안전성도 높은 소취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천연물 유래 소취 성분으로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티올화합물인 메틸 메르캅탄 및 질소화합물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효과가 밝혀져 있으며[일본특허공보 제1823565호], 또한 동속 식물인 첨차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취용 조성물이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소재로서도 개시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평05-269187호]. 그러나, 상기한 양자의 경우 모두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진 것이 없다.
유칼리로부터 얻은 추출물도 마찬가지로 황화수소, 암모니아, 아민류, 메르캅탄류, 니코틴에 대한 소취제로서 개시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소60-261458호],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진 것이 없다.
소귀나무에 대해서는 공기정화제로서 부패 고기조각 및 동물사육실내의 소취에 대한 효과가 공지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소51-27882호], 이들 냄새는 일반적으로 동식물체의 분해에 의해 발생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의 유황화합물,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질소화합물, 저급지방산류를 주요원인 물질로 하고 있으며,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하마멜리스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인체의 겨드랑이 냄새, 발냄새, 체취 및 인체냄새 등에 대한 소취제로서 개시되어 있으나[일본특허공개 2000-186025호], 상기한 냄새성분은 이소길초산을 비롯한 저급지방산류 및 알데히드류가 주를 이루며,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가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는 없다. 따라서 하마멜리스 유래 성분에 의한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구아바 및 홍경천에 대해서도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에 관한 보고는 나와 있는 것이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노력하였으며,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높아서 옛날부터 이용되고 있는 생약 및 허브 등의 천연물 추출물의 소취작용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한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소취성분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노력하였다. 이에, 장미과 나무딸기속, 도금양과의 유칼리 및 구아바, 소귀나무과의 소귀나무, 조록나무과의 하마멜리스 및 돌나물과(꿩의비름과)의 홍경천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 소취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에 대해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제로서, 모노설파이드 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해서 강한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미과 나무딸기속(Rubus) 식물, 도금양과의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및 구아바(Psidium guajava), 소귀나무과의 소귀나무(Myrica rubra), 조록나무과의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및 돌나물과(꿩의비름과)의 홍경천(Rhodiola sacra)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써 포함하는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식품에 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제로, 모노설파이드(monosulfide)화합물인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하여 높은 소취효과를 갖는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로서는 라즈베리 (Rubus Idaeus), 블랙베리 (Rubus fruticosus, Rubus allegheniensis), 거문딸기(Rubus trifidus), 첨차(텐차) (Rubus suavissimu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금양과 식물로서는 유칼리 및 구아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과 도금양과의 유칼리 및 구아바는 과피, 잎, 과육, 과실, 목재, 수피, 뿌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잎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소귀나무와 하마멜리스도 식물의 각 부위가 사용가능하나, 수피를 건조시킨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홍경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식물 각 부위가 사용가능하나, 뿌리 및 근경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취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기 식물을 적당한 분쇄수단으로 분쇄하고, 용매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출물을 조제한다. 추출용매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n-부탄올 등의 저급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초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친수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은 사람이 사용하거나 또는 식품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추출용매로서 안전성 측면에서 물과 에탄올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 조건으로는, 고온, 실온, 저온, 어느 온도에서 추출가능하나, 50 ∼ 90 ℃에서 1 ∼ 5 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하고 추출용매를 증류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유기용제,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으로 분획정제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는 향과 증미성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치약, 소취스프레이 등의 소취조성물, 또는 츄잉껌, 캔디, 정과, 구미젤리, 초콜렛, 비스켓, 스낵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베트, 빙과등의 냉과, 음료, 빵, 핫케익, 유제품, 햄, 소시지 등의 축육류제품, 어묵, 치크와 등의 어육제품, 반찬류, 푸딩, 스프, 쨈 등의 식품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첨가량은 식품 또는 소취조성물에 건조 추출물을 0.001 중량%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첨가하며, 이때 건조 추출물의 첨가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소취 효과가 미미하다. 식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식품의 기호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0.0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 1 중량%의 비율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른 일반적인 소취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하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라즈베리, 블랙베리, 첨차등)은 허브티나 차로서 음용되며, 그 과실은 식용되고 있으며, 또한 유칼리의 잎, 소귀나무의 수피, 하마멜리스 수피 및 홍경천의 뿌리 및 근경은 생약, 식품소재, 허브티 및 식품첨가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는 것들이다. 도금양과에 속하는 구아바는 일본에서는 잎으로 차를 만들어 음용하며, 널리 분포하고 있는 열대 아메리카에서는 그 과실을 그대로 먹거나, 쨈이나 쥬스의 원료로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료로 쓰이는 식물은 모두 생약, 식품소재, 허브티 및 천연첨가물로서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이들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 및 소취조성물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가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첨차잎 건조잎 분말 20 g에 물 400 ㎖를 첨가하고 환류냉각기를 연결하여 80 ℃에서 3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4.6 g얻었다.
실시예 2
구아바잎 분말 20 g에 50 % 에탄올 400 ㎖ 를 가하고, 환류냉각기를 연결하여, 80 ℃에서 3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한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4.1 g를 얻었다.
실시예 3 ∼ 10 및 비교예 1 ∼ 4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라즈베리잎, 블랙베리(Rubus fruticosus)잎, 거문딸기잎, 블랙베리(Rubus allegheniensis)잎, 유칼리잎, 소귀나무수피, 하마멜리스수피 및 홍경천 뿌리의 추출물과 비교예로서 녹차잎, 로즈마리잎, 컴프리(comfrey)잎 및 세이지(sage)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사용된 원료식물과 추출용매 및 수율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식물명 추출용매 수율(%)
실시예 라즈베리잎 17.4%
블랙베리잎1) 17.4%
거문딸기잎 16.7%
블랙베리잎2) 16.9%
첨차잎 23.1%
유칼리 잎 18.0%
소귀나무 수피 16.7%
구아바 잎 50%에탄올 20.5%
하마멜리스 수피 50%에탄올 16.8%
홍경천 뿌리 50%에탄올 31.4%
비교예 녹차잎 32.6%
로즈마리잎 17.2%
컴프리잎 50%에탄올 15.6%
세이지잎 50%에탄올 21.4%
1)Rubus fruticosus2)Rubus allegheniensis
실험예
30 ㎖ 바이엘병에 상기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각식물의 추출물 10 ㎎을 0.2 M 인산완충액 (pH 7.5) 1㎖로 용해한 후 1 ppm 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 용액 0.25 ㎖를 첨가하고 즉시 고무마개를 하고 혼합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인산완충액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7 ℃에서 2시간 흔든 후, 헤드스페이스가스 100 ㎕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에 주입하고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의 피크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미리 작성한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의 검량선에 의해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량을 산출하고, 다음 수학식으로 소취율을 얻었으며, 다음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취율(%) = (C-S)/C ×100
여기서, C는 대조군에 사용된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의 농도이며, S는 식물 추출물 첨가시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의 농도이다.
식물명 추출용매 소취율(%)
실시예 라즈베리잎 55%
블랙베리잎1) 43%
거문딸기잎 39%
블랙베리잎2) 40%
첨차잎 78%
유칼리잎 58%
소귀나무수피 61%
구아바잎 50%에탄올 35%
하마멜리스수피 50%에탄올 47%
홍경천뿌리 50%에탄올 59%
비교예 녹차잎 21%
로즈마리잎 5%
컴프리잎 50%에탄올 8%
세이지잎 50%에탄올 3%
철클로로피린나트륨 - 3%
1)Rubus Fruticosus2)Rubus allegheniensis
상기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소취효과가 알려져 있는 철클로로피린나트륨, 녹차잎 물추출물, 로즈마리 물추출물, 컴프리잎 50% 에탄올추출물, 세이지잎 50% 에탄올추출물을 대조로 하여 평가한 결과, 소취율은 녹차 21%이고, 나머지의 경우는 10% 이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식물 추출물인 첨차잎, 라즈베리잎, 블랙베리잎, 유칼리잎, 소귀나무 수피, 구아바잎, 하마멜리스 수피 및 홍경천 뿌리의 추출물은 모두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에 대하여 35 %이상의 소취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첨차잎 추출물이 매우 강한 활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유칼리, 소귀나무, 구아바, 하마멜리스 및 홍경천에서 얻은 추출물은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 소취활성을 갖는 것이 이번에 처음 밝혀졌다.
상기 실시예 1 ∼ 10 에 따라 제조된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산제, 정제, 츄잉껌, 캔디, 정과, 음료, 치약 및 소취 스프레이를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비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1 : 산제처방
유당‥‥‥‥‥‥‥‥‥‥‥‥‥‥‥‥‥‥75.0 중량%
감자전분‥‥‥‥‥‥‥‥‥‥‥‥‥‥‥‥20.0
첨차잎물추출물 ‥‥‥‥‥‥‥‥‥‥‥‥‥5.0
계‥‥‥‥‥‥‥‥‥‥‥‥‥‥‥‥‥‥‥100.0
실시예 12 : 정제처방
D-만니톨‥‥‥‥‥‥‥‥‥‥‥‥‥‥‥‥‥40.0 중량%
유당‥‥‥‥‥‥‥‥‥‥‥‥‥‥‥‥‥‥‥40.0
결정셀룰로스‥‥‥‥‥‥‥‥‥‥‥‥‥‥‥10.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5.0
구아바잎 50% 에탄올추출물‥‥‥‥‥‥‥‥‥5.0
계‥‥‥‥‥‥‥‥‥‥‥‥‥‥‥‥‥‥‥‥100.0
실시예 13 : 츄잉껌 처방
껌베이스‥‥‥‥‥‥‥‥‥‥‥‥‥‥‥‥‥‥20.0 중량%
설탕‥‥‥‥‥‥‥‥‥‥‥‥‥‥‥‥‥‥‥‥55.0
글루코스‥‥‥‥‥‥‥‥‥‥‥‥‥‥‥‥‥‥15.0
물엿‥‥‥‥‥‥‥‥‥‥‥‥‥‥‥‥‥‥‥‥9.0
향료‥‥‥‥‥‥‥‥‥‥‥‥‥‥‥‥‥‥‥‥0.5
소귀나무수피물추출물‥‥‥‥‥‥‥‥‥‥‥‥0.5
계‥‥‥‥‥‥‥‥‥‥‥‥‥‥‥‥‥‥‥‥‥100.0
실시예 14 : 캔디처방
설탕‥‥‥‥‥‥‥‥‥‥‥‥‥‥‥‥‥‥‥‥50.0 중량%
물엿‥‥‥‥‥‥‥‥‥‥‥‥‥‥‥‥‥‥‥‥34.0
향료‥‥‥‥‥‥‥‥‥‥‥‥‥‥‥‥‥‥‥‥0.5
유칼리잎물추출물‥‥‥‥‥‥‥‥‥‥‥‥‥‥0.5
물‥‥‥‥‥‥‥‥‥‥‥‥‥‥‥‥‥‥‥‥‥15.0
계‥‥‥‥‥‥‥‥‥‥‥‥‥‥‥‥‥‥‥‥‥100.0
실시예 15 : 정과의 처방
설탕‥‥‥‥‥‥‥‥‥‥‥‥‥‥‥‥‥‥‥‥76.4 중량%
글루코스‥‥‥‥‥‥‥‥‥‥‥‥‥‥‥‥‥‥19.0
자당지방산에스테르‥‥‥‥‥‥‥‥‥‥‥‥‥0.2
향료‥‥‥‥‥‥‥‥‥‥‥‥‥‥‥‥‥‥‥‥0.2
홍경천뿌리 50% 에탄올추출물‥‥‥‥‥‥‥‥‥0.1
물‥‥‥‥‥‥‥‥‥‥‥‥‥‥‥‥‥‥‥‥‥4.1
계‥‥‥‥‥‥‥‥‥‥‥‥‥‥‥‥‥‥‥‥100.0
실시예 16 : 치약 처방
탄산칼슘‥‥‥‥‥‥‥‥‥‥‥‥‥‥‥‥‥‥50.0 중량%
글리세린‥‥‥‥‥‥‥‥‥‥‥‥‥‥‥‥‥‥2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2.0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eth sulfate)‥‥2.0
향료‥‥‥‥‥‥‥‥‥‥‥‥‥‥‥‥‥‥‥‥1.0
사카린‥‥‥‥‥‥‥‥‥‥‥‥‥‥‥‥‥‥‥0.1
라즈베리잎 물추출물‥‥‥‥‥‥‥‥‥‥‥‥‥1.0
클로헥시딘‥‥‥‥‥‥‥‥‥‥‥‥‥‥‥‥‥0.01
물‥‥‥‥‥‥‥‥‥‥‥‥‥‥‥‥‥‥‥‥‥23.89
계‥‥‥‥‥‥‥‥‥‥‥‥‥‥‥‥‥‥‥‥‥100.0
실시예 17 : 소취스프레이 처방
에탄올‥‥‥‥‥‥‥‥‥‥‥‥‥‥‥‥‥‥‥‥49.5 중량%
블랙베리잎 50% 에탄올추출물‥‥‥‥‥‥‥‥‥‥0.5
물‥‥‥‥‥‥‥‥‥‥‥‥‥‥‥‥‥‥‥‥‥‥50.0
계‥‥‥‥‥‥‥‥‥‥‥‥‥‥‥‥‥‥‥‥‥‥100.0
이를 분사가스 (질소가스)와 함께 에어졸 용기에 충진하고, 소취 스프레이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식물 추출물을 모두 식품소재, 허브티, 천연첨가물로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안전성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소취제는 종래기술에서는 소취하는 것이 곤란했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를 소취할 수 있어서, 이를 식품 및 소취 조성물에 함유시켜 경구적으로 섭취하거나, 숨을 내쉴 때 뿌려서, 마늘의 대사취인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를 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장미과 나무딸기속(Rubus) 식물, 도금양과의 유칼리(Eucalyptus globulus) 및 구아바(Psidium guajava), 소귀나무과의 소귀나무(Myrica rubra), 조록나무과의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및 돌나물과(꿩의비름과)의 홍경천(Rhodiola sacra)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
  2. 청구항 1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3. 청구항 1의 알릴메틸모노설파이드용 소취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조성물.
KR1020030030233A 2002-05-14 2003-05-13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KR100545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9226A JP4578047B2 (ja) 2002-05-14 2002-05-14 消臭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並びに消臭組成物
JPJP-P-2002-00139226 2002-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70A true KR20030088370A (ko) 2003-11-19
KR100545381B1 KR100545381B1 (ko) 2006-01-24

Family

ID=2970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233A KR100545381B1 (ko) 2002-05-14 2003-05-13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78047B2 (ko)
KR (1) KR100545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47B1 (ko) * 2010-08-18 2013-02-21 배윤주 아로니아베리 분말을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KR20150094174A (ko) * 2014-02-10 2015-08-19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균 능을 갖는 둥근잎꿩의비름 유효성분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15976T1 (de) 2004-06-18 2008-12-15 Symrise Gmbh & Co Kg Brombeerextrakt
US8007771B2 (en) * 2006-07-07 2011-08-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avors for oral compositions
JP5800446B2 (ja) * 2008-02-13 2015-10-28 株式会社ロッテ 弱酸性下の消臭組成物
JP5486783B2 (ja) * 2008-08-11 2014-05-07 株式会社ロッテ ペルオキシダーゼを用いた中性下の消臭組成物
JP2010254603A (ja) 2009-04-23 2010-11-11 Osaka Univ 口腔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7882A (ko) * 1974-09-02 1976-03-09 Aritsune Kaji
JPS60261458A (ja) * 1984-06-08 1985-12-24 松下電工株式会社 消臭剤の製法
JP2600692B2 (ja) * 1987-07-10 1997-04-16 ライオン株式会社 消臭剤
JPH04193277A (ja) * 1990-11-28 1992-07-13 Lotte Co Ltd 消臭剤
US6083525A (en) * 1996-05-10 2000-07-04 Fust; Charles A. Compositions for freshening nostrils and sinus cavities
JPH09327504A (ja) * 1996-06-11 1997-12-22 Maruzen Pharmaceut Co Ltd 脱臭剤
JP2000186025A (ja) * 1998-12-22 2000-07-04 Kao Corp 消臭剤組成物
JP2000229118A (ja) * 1999-02-09 2000-08-22 Nisshin Oil Mills Ltd:The 消臭・酸化防止用茶抽出物含有組成物
JP2002020301A (ja) * 2000-06-29 2002-01-23 Nagaoka Koryo Kk 活性酸素消去剤、皮膚保全剤および消臭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47B1 (ko) * 2010-08-18 2013-02-21 배윤주 아로니아베리 분말을 이용한 환의 제조방법
KR20150094174A (ko) * 2014-02-10 2015-08-19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균 능을 갖는 둥근잎꿩의비름 유효성분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8047B2 (ja) 2010-11-10
KR100545381B1 (ko) 2006-01-24
JP2003335647A (ja)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963B1 (ko) 약산성하의 소취 조성물
KR100834964B1 (ko)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JP4235254B2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
CN101495127A (zh) 甲硫氨酸酶抑制剂及含该抑制剂的组合物以及饮食品
KR100545381B1 (ko)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KR101871155B1 (ko) 소취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07020830A1 (ja) 口腔用組成物
TWI494132B (zh) A neutralizing deodorant composition using peroxidase was used
JP2014111652A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WO2010084661A1 (ja) イソチオシアネート類含有組成物、食品、食品素材、医薬品、化粧品および日用品雑貨類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JP4031544B2 (ja) クロロフィラーゼ抑制剤、それを含む食品、飼料及び化粧料
JP2003019188A (ja) 消臭剤
JP4553730B2 (ja) 経口用育毛剤
JP3897862B2 (ja) 経口口臭消臭剤の製造方法
KR102429214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3950206B2 (ja) 消臭剤
KR20020089216A (ko) 천연식물 및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2092961B1 (ko) 미선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SK15812003A3 (sk) Prípravok na orálne podávanie, ktorý obsahuje extrakt z kôry Albizzia myriophylla
JP5539941B2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KR20070022906A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과 식품
JP2008308507A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