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55B1 - 소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55B1
KR101871155B1 KR1020127024927A KR20127024927A KR101871155B1 KR 101871155 B1 KR101871155 B1 KR 101871155B1 KR 1020127024927 A KR1020127024927 A KR 1020127024927A KR 20127024927 A KR20127024927 A KR 20127024927A KR 101871155 B1 KR101871155 B1 KR 10187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odorant composition
deodorizing effect
extrac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571A (ko
Inventor
다카히토 다카세
아츠시 나리세
고지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3000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4/123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0/00Oxidoreductases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 C12Y110/03Oxidoreductases acting on diphenols and related substances as donors (1.10) with an oxygen as acceptor (1.10.3)
    • C12Y110/03002Laccase (1.10.3.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마테차 추출물을 사용한 소취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높다는 이점을 갖지만, 한편으로 약산성하에 있어서 그 소취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는 결점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마테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 조성제로서, 약산성하에 있어서도 높은 소취 효과를 갖는 소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마테차 추출물과 라카아제를 병용함으로써, 종래의 마테차 추출물에 의한 소취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취 효과가 저하되었던 약산성하의 조건에서도 높은 소취 효과가 인정된다. 또, 마테차 추출물을 2 단계로 추출함으로써, 마테차가 갖는 강한 쓴맛과 떫은맛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취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라카아제와 마테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악취의 소취 및 탈취 방법으로서, 방향성 물질에 의한 마스킹이나, 산화제, 중화제, 고정제 등에 의한 화학적 소취, 혹은 활성탄 등에 의한 흡착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모두 사용 목적에 따라 현저한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품 분야에 있어서는, 섭취하였을 때에 인체에 안전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소취 효과가 우수한 소취제로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높아 예전부터 이용되고 있는 생약 및 허브 등의 천연물 추출물이 주목되고, 그 중에서도 마테차에 소취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7, 비특허문헌 1 - 3). 특히, 비특허문헌 2 에는, 마테차의 주성분인 클로로겐산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 효과를 갖는 사과 추출물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약산성 조건하에서는, 마테차 추출물의 소취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약산성 조건하에서의 음식품 중의 마테차 추출물의 소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테차 추출물을 통상적인 적용량보다 훨씬 많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그 결과 소취 조성물이 고가의 것이 된다. 또, 마테차는 강한 쓴맛과 떫은맛을 가져, 제품화시에는 첨가량 및 플레이버의 제한을 받기 쉽다. 그 때문에, 소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마테차 추출물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실용적인 사용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져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158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005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275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24469호 일본 특허공보 제33410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8810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358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90990호
네기시 「고정(苦丁)차의 성분과 기능성」: 일본 식생활 학회지, vol.18, No.1, 25-31 Negishi et al., "Deodorization with Ku-ding-cha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 J. Agric. Food Chem,. Vol 52, No 17, 5513-5518 (2004) 미야모토들 「식물 추출물에 의한 소취 작용」: Fragrance Journal, No.65, 82-85 (1984)
본 발명은 마테차 추출물을 사용한 소취 조성물로서, 약산성하에 있어서도 높은 소취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결과, 마테차 추출물과 라카아제를 병용함으로써, 약산성하의 조건에서도 높은 소취 효과가 인정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마테차 추출물과 라카아제를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종래의 마테차 추출물에 의한 소취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취 효과가 저하되었던 약산성하의 조건에서도 높은 소취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약산성 조건하에 있어서의 마테차 수추출물의 소취 효과를, 라카아제를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서 비교한 도면이다.
도 2 는 마테차 및 첨차 수추출물의 각각의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呈味)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e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f 는 마테차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 평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마테차 및 클로로겐산의 각각의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마테차 추출물을 주원료로 한다.
마테차란 감탕나무과의 상록 교목, 예르바·마테의 잎이나 잔가지로부터 만들어지는 차로,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를 중심으로 널리 커피나 차와 마찬가지의 기호품으로서 음용되고 있다. 미네랄이나 폴리페놀을 많이 함유하는 점에서 「마시는 샐러드」라고도 불리며, 야채의 재배가 곤란한 남미의 일부 지역에서는 중요한 영양 섭취원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식경험도 풍부하여, 기록적이게는 15 세기말부터 파라과이국을 중심으로 하여 계획적 재배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그 생산량은, 브라질 약 20만 t, 아르헨티나 약 17만 t, 파라과이 약 4만 t 에도 이른다.
마테차 추출물은 마테차의 과피, 잎, 과육, 과실, 재(材), 수피, 뿌리, 바람직하게는 그 잎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상기 식물을 적당한 분쇄 수단으로 분쇄하고, 2 단계 추출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 등의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조제한다. 추출 용매로는, 물 및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그리고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 용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친수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음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하면, 추출 용매로는 안전성 면에서 물과 에탄올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의 에탄올로 추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의 에탄올로 추출하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의 에탄올로 추출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한다.
또, 마테차 추출물은 2 단계로 추출하면, 정미가 개선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 단계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도 상기 추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처음에 100 %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물 혹은 0 ∼ 15 % 의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조건으로는, 고온, 실온, 저온 중의 어느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50 ∼ 90 ℃ 에서 1 ∼ 5 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단계로 추출할 때에는, 처음에 50 ∼ 90 ℃ 에서 1 ∼ 5 시간 정도 1 단계째의 추출을 한 후에, 50 ∼ 90 ℃ 에서 1 ∼ 5 시간 정도 2 단계째의 추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하고, 추출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감압하에 있어서 농축 또는 동결 건조시켜도 된다. 또, 이들 추출물을 유기 용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획 정제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안전성이 높은 점에서, 예를 들어 함수제, 치약, 소취 스프레이 등의 소취 조성물, 혹은 추잉검, 캔디, 정과, 구미젤리, 초콜릿, 비스킷, 스넥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벳, 빙과 등의 냉과, 음료, 빵, 핫케이크, 유제품, 햄, 소세지 등의 축육 제품류, 어묵, 피시 소시지 등의 어육 제품, 부식류, 푸딩, 스프 그리고 잼 등의 음식품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입 안에 넣는 제품 이외에도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을 비누, 샴푸, 린스, 크림, 화장수, 애완동물 소취제, 실내 소취제, 실내 세정 필터, 화장실 소취제 등에 배합하면 소취 활성이 우수한 산성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그 배합량으로는, 여러 가지 제조 조건에 의해 바뀔 수 있지만, 소취 조성물에 대하여, 마테차 추출물을 0.01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상 0.4 중량% 이하, 라카아제의 첨가량은 라카아제 제제의 역가에 따라 상이하지만, 0.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이상 0.12 중량% 이하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라카아제의 첨가량을 역가로 나타내면 소취 조성물 100 g 에 대하여 라카아제 5.90×102 U 이상 5.9×104 U 이하, 바람직하게는 3.0×103 U 이상 2.4×104 U 이하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카아제의 역가는, 37 ℃ 에 있어서, 그 라카아제가 촉매하는, 클로로겐산의 산화 축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축합물의 420 ㎚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30 초간에 0.001 증가시키는 효소 활성을 1 U 단위로 한다. 1 U 단위는, 효소 용액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0)) 500 ㎕ 중에, 100 ㎕ 의 50 mM 클로로겐산 용액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 (pH 6.0)) 을 첨가하고, 37 ℃ 에서 5 분간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후 500 ㎕ 의 0.1 N 황산을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하여, 420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반응 개시 30 초 후의 420 ㎚ 의 흡광도를 0.001 증가시키는 효소 활성을 1 U 단위로 정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소취 조성물은, 종래의 소취 조성물에 있어서 소취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약산성의 조건하에서도 소취 효과를 발휘한다. 즉, 섭취 후의 타액 중의 pH 가 4.0 이상 7.0 이하의 범위에서도,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소취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던 마테차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체내에 섭취해도 그 안전성에 대해서는 문제 없다.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전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각종 차잎 추출물에 라카아제를 첨가한 경우의 소취 효과 비교
차잎 추출물에 라카아제를 첨가한 경우의 소취 효과를 이하의 순서에 따라 비교하였다.
(실시예 1-1) 시약
메틸메르캅탄나트륨은 토쿄 카세이 공업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표준액 (벤젠 용액) 은 와코 쥰야쿠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였다. 라카아제 (EC1.10.3.2) 는 다이와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라카아제 다이와 Y120」(상표명)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공시 식물
이하의 건조 식물을 공시하였다. 마테차 (Ilex paraguariensis) 의 잎, 홍차의 잎, 우롱차의 잎, 첨차 (Rubus suavissimus) 의 잎은 닛폰 녹차 센터 주식회사로부터 입수하였다.
녹차의 잎은 주식회사 난잔엥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실시예 1-3) 식물 추출 방법
각각의 건조 식물에 대하여, 분말 50 g 에 추출 용매 (물 또는 함수 에탄올) 1 ℓ 를 첨가하고, 90 ℃ 에서 1 시간 환류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 활성 평가 방법
ⅰ) GC 장치 및 분석 조건
메틸메르캅탄의 검량선 작성 및 정량을 위한 GC 분석 조건은 이하의 장치와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GC 장치 : Agilent 7890A GC
System (아지렌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칼럼 : HP-5 (10 m × 0.53 ㎜, 2.65 ㎛, 아지렌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칼럼 유량 : He, 10 ㎖/min
·스플릿비 : 15 : 1
·주입구 : 스플릿, 200 ℃
·오븐 온도 : 50 ℃
·검출기 : FPD 검출기, 200 ℃
ⅱ) 검량선 작성
메틸메르캅탄 표준액 (벤젠 용액) 을 벤젠으로 희석시키고, 이것을 GC 에 일정량 주입하여, 얻어진 메틸메르캅탄의 피크 높이를 기초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ⅲ) 소취 활성 평가 방법
내용량 30 ㎖ 의 바이알병 중에서 시료를 0.2 M 인산 완충액 (pH 4.5) 900 ㎕ 에 용해시킨 후 (컨트롤은 완충액만), 동일하게 0.2 M 인산 완충액 (pH 4.5) 에 용해시킨 10 ㎎/㎖ 라카아제 용액을 100 ㎕ 첨가하고, 또한 25 ppm 메틸메르캅탄나트륨 수용액을 500 ㎕ 첨가하고, 즉시 테플론 (등록 상표) 코트된 고무 마개로 막아 교반하고, 37 ℃ 의 수욕에서 5 분간 진탕시켰다. 진탕 후, 헤드 스페이스 가스 50 ㎕ 를 GC 에 주입하고, 시료를 첨가하였을 때의 메틸메르캅탄량 (MS) 과 무첨가시의 메틸메르캅탄량 (MB) 을 구하고, 다음 식에 의해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을 산출하였다.
메틸메르캅탄 소취율 (%) = (MB-MS)/MB×100
(실시예 1-5) 소취 효과 비교
추출 조건을 바꾸어 추출한 각종 차잎 추출물 50 ㎍ 에 라카아제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와 첨가하였을 때의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를 비교하여 표 1 에 나타낸다. 다른 차잎 추출물과 비교하여, 마테차 추출물의 소취 효과는 매우 높고, 가장 강한 소취 활성을 나타낸 것은 마테차의 수추출물과 라카아제의 조합이었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1
(실시예 1-6) pH 와 마테차 수추출물의 소취 효과
마테차의 물에 의한 추출물에 대하여, 반응 용액의 pH 를 바꾸어 상이한 pH 에 있어서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을 (실시예 1-4) 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pH 4 ∼ 7 까지의 약산성하에서는, 라카아제의 첨가에 의해 마테차 수추출물의 소취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2
마테차와 첨차의 소취 효과의 비교
공지된, 장미과 나무딸기속의 첨차 추출물과 라카아제를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 (특허문헌 8) 과의 소취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실시예 1-3) 에서 추출한 마테차의 물에 의한 추출물과 첨차의 물에 의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50 % 효과 농도 (EC50) 의 측정
마테차와 첨차의 물에 의한 추출물에 대하여, 시료 농도를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각 농도에 있어서의 소취율을 구하였다. 그 후, 시료 농도의 대수를 가로축, 소취율을 세로축으로 한 그래프를 작성하고, 50 % 의 소취율이 얻어지는 농도 (EC50) 를 구하였다.
작성한 그래프를 도 2 에 나타내고, 마테차와 첨차 수추출물의 소취 효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도 2 로부터, 마테차는 첨차보다 낮은 농도로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표 2 로부터, 마테차의 EC50 은 20.53 ㎍/㎖ 로, 첨차의 3 배 이상의 소취 효과가 확인되었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2
실시예 3
마테차의 추출 조건과 소취 효과
마테차의 추출 조건에 따른 소취 효과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이 상이한 추출 조건에 의해 마테차를 추출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1) 식물 추출 방법
ⅰ) 1 단계 추출
건조 식물의 분말 50 g 에 추출 용매 1 ℓ 를 첨가하여 90 ℃ 에서 1 시간 환류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용매로는, 물 또는 농도를 바꾼 함수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ⅱ) 2 단계 추출
마테차의 건조 분말 50 g 에 에탄올 1 ℓ 를 첨가하여 90 ℃ 에서 1 시간 환류 추출을 실시하고, 추출액을 여과 분리하였다. 여과 분리로 얻어진 추출 잔류물에 물 또는 15 % 함수 에탄올 1 ℓ 를 첨가하여 90 ℃ 에서 1 시간 환류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 후, 동결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2) 소취 효과 비교
추출 조건을 바꾼 마테차 추출물 20 ㎍ 에 라카아제를 첨가하였을 때의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소취 효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1 단계의 추출에서는 가장 강한 소취 활성을 나타낸 것은 마테차 15 % 에탄올 추출물이고, 계속해서 수추출물이고, 추출 용매가 수계 쪽이 소취 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장미과 나무딸기속의 첨차의 경우에는 100 % 에탄올로 전처리한 후에 수추출하는 2 단계 추출을 실시하면 물만의 1 단계 추출물보다 소취 효과가 높아진다는 보고 (특허문헌 8) 가 있는 점에서, 마테차에 대해서도 100 % 에탄올의 전처리를 실시하는 2 단계 추출을 실시하여 소취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2 단계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현저한 소취 효과의 향상은 없었지만, 저하는 확인되지 않았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3
실시예 4
마테차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의 차이
마테차의 추출 조건에 따른 정미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3 에 있어서 추출한 마테차 추출물에 라카아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 이하의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관능 검사
마테차 추출물의 관능 검사에는 0.25 % (wt/v)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검사 항목은 「쓴맛」, 「떫은맛」, 「뒷맛」, 「신맛」, 「단맛」으로 하고,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해 표 4 에 나타내는 평가 기준에 따라 정미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4
(실시예 4-2) 정미의 비교
패널리스트 5 명에 의한 마테차 추출물 (0.25 % 수용액) 의 정미 평가를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도 3e, 도 3f 에 나타낸다. 도 3a 는 물로 1 단계 추출, 도 3b 는 15 % 에탄올로 1 단계 추출, 도 3c 는 60 % 에탄올로 1 단계 추출, 도 3d 는 100 % 에탄올로 1 단계 추출, 도 3e 는 100 %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15 % 에탄올로 2 단계 추출, 도 3f 는 100 %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물로 2 단계 추출한 것의 정미 평가를 나타낸다. 추출 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높아질수록 「쓴맛」, 「떫은맛」의 스코어가 상승해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 수추출물과 15 % 에탄올 추출물에 2 단계 추출 처리를 실시하면, 「쓴맛」, 「떫은맛」의 스코어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마테차 추출물의 성분 조성과 소취 효과 및 정미에 있어서의 영향
마테차 추출물 중의 성분 조성의 정미에 있어서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3 에 있어서 추출한 마테차를 사용하여 이하의 분석을 실시하고, 각 추출 조건에서 추출한 마테차에 함유되는 클로로겐산, 카페인, 카페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5-1) 시약
메틸메르캅탄나트륨, 클로로겐산은 토쿄 카세이 공업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였다.
메틸메르캅탄 표준액 (벤젠 용액), 카페인, 카페인산, 우르솔산은 와코 쥰야쿠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였다. 라카아제 (EC1.10.3.2) 상품명 「라카아제 다이와 Y120」은 다이와 화성 주식회사제를 사용하였다.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인산, 아세트산, 증류수는 HPLC 용을 사용하고, 그 밖의 시약은 시판 특급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2) 클로로겐산, 카페인, 카페인산의 정량
ⅰ) HPLC 장치 및 분석 조건
클로로겐산, 카페인, 카페인산의 검량선 작성 및 정량을 위한 HPLC 분석은 이하의 장치와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HPLC 장치 : Alliance HPLC (워터즈)
·칼럼 : Cadenza CD-C18 (4.6×250 ㎜, 3 ㎛, 인택트)
·가이드 칼럼 : Cadenza CD-C18 (2×5 ㎜, 3 ㎛, 인택트)
·이동상 : A 0.5 % (v/v) 아세트산 수용액, B 메탄올, C 아세토니트릴
0 - 15 min A : B : C = 70 : 30 : 0
15 - 30 min A : B : C = 0 : 0 : 100
·검출기 : UV 검출기 (274 ㎚)
·온도 : 35 ℃
·유속 : 0.7 ㎖/min
·주입량 : 2 ㎕
ⅱ) 검량선 작성
클로로겐산, 카페인, 카페인산을 각각 0.5 % (v/v)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적절히 0.5 % (v/v)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희석시킨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 (0.45 ㎛) 로 여과하고, HPLC 에 각 표준 용액의 일정량을 주입하여, 얻어진 피크 면적을 기초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ⅲ) 시험 용액의 조제
마테차 추출물 10 ㎎ 에 메탄올 5 ㎖ 를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0.5 % (v/v)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10 ㎖ 로 정용한 후, 멤브레인 필터 (0.45 ㎛) 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시험 용액으로 하였다.
ⅳ) 정량
얻어진 시험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로 HPLC 분석을 실시하여, 검량선을 기초로 각각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실시예 5-3) 사포닌의 정량
마테차 추출물의 사포닌의 정량은 산 가수분해 후의 우르솔산량을 측정하고, 마테사포닌 1 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ⅰ) HPLC 장치 및 분석 조건
우르솔산의 검량선 작성 및 정량을 위한 HPLC 분석은 이하의 장치와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HPLC 장치 : Alliance HPLC (워터즈)
·칼럼 : Cadenza CD-C18 (4.6×250 ㎜, 3 ㎛, 인택트)
·가이드 칼럼 : Cadenza CD-C18 (2×5 ㎜, 3 ㎛, 인택트)
·이동상 : A 증류수, B 아세토니트릴
A : B = 10 : 90
·검출기 : UV 검출기 (203 ㎚)
·온도 : 25 ℃
·유속 : 1.0 ㎖/min
·주입량 : 2 ㎕
ⅱ) 검량선 작성
우르솔산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적절히 아세토니트릴로 희석시킨 용액을 멤브레인 필터 (0.45 ㎛) 로 여과하고, HPLC 에 각 표준 용액의 일정량을 주입하여, 얻어진 피크 면적을 기초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ⅲ) 시험 용액의 조제·정량
마테차 추출물을 물에 용해시켜 5 ㎎/㎖ 수용액을 조제하고, 본 용액 10 ㎖ 를 나사구 시험관에 넣고, 4 M HCl 1.5 ㎖ 를 첨가하여, 보텍스로 잘 교반한 후, 110 ℃ 에서 2 시간 환류시켰다. 환류 후, 실온에서 식히고, 클로로포름 추출을 실시하고 (5 ㎖ × 4 회), 감압 건조에 의해 클로로포름을 완전하게 날려보냈다. 건고시킨 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10 ㎖ 로 정용한 후, 멤브레인 필터 (0.45 ㎛) 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시험 용액으로 하였다.
얻어진 시험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로 HPLC 분석을 실시하고, 얻어진 시료 중의 우르솔산량 (Cu) 을 기초로 하기 식에 따라, 마테사포닌 1 로 환산하여 사포닌량을 구하였다.
사포닌 함량 (% (wt/wt)) = Cu×(MWs/MWu)
MWs : 마테사포닌 1 의 분자량 (MW = 913.108)
MWu : 우르솔산의 분자량 (MW = 456.711)
(실시예 5-4) 성분 조성
마테차 추출물 중에 있어서의, 폴리페놀 성분의 클로로겐산, 정미 성분의 카페인, 카페인산, 사포닌의 함량을 표 5 에 나타낸다. 2 단계 추출물에서는 카페인 함량과 사포닌 함량이 낮아진 점에서, 정미 평가의 「쓴맛」, 「떫은맛」의 항목에서 개선이 확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5
실시예 6
마테차 추출물의 소취 효과에 있어서의 클로로겐산의 기여
실시예 3 에 있어서 마테차 추출물에서 가장 활성이 강했던 15 % 에탄올 추출물 중에 있어서의 클로로겐산 기여를 구하기 위해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마테차 추출물과 클로로겐산의 50 % 효과 농도 (EC50) 를 측정하고, 클로로겐산의 소취 활성에 대한 기여율을 구하였다. 시료 농도의 대수를 가로축, 소취율을 세로축으로 한 그래프를 도 4 에, 마테차 추출물과 클로로겐산의 50 % 효과 농도 (EC50) 및 클로로겐산의 기여율을 표 6 에 나타낸다. 기여율은, 각각의 EC50 으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계산하여 구하였다.
기여율 = (마테차의 EC50/클로로겐산의 EC50)×(마테차 중의 클로로겐산 함량 (%)/100)
표 6 으로부터, 클로로겐산의 기여율은 12.3 % 로 낮은 점에서, 클로로겐산 이외의 폴리페놀 성분도 활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6
실시예 7
마테차 추출물, 시트르산, 라카아제가 들어 있는 추잉검의 시작(試作)
조제한 첨차 추출물에 라카아제, 시트르산을 함유하는 하기 처방예에 기재된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잉검을 얻었다.
또, 대조예로서, 조정한 첨차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하기 처방예에 기재된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추잉검을 얻었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7
실시예 8
시작 검의 마늘 냄새 억제 효과 (사람 시험)
(실시예 8-1) 관능 평가법
관능 평가치는 하기 표 8 에 따라 평가하고, 5 명의 패널리스트의 값을 평균화하여, 수치화하였다.
시험 10 분 전에 피험자의 구취를 채취한 후, 만두 6 개를 2 분 동안 섭취하고, 실시예 7 및 대조예의 검 섭취 (5 분간 저작), 혹은 가글 (20 ㎖ 의 물로 2 회 세정) 을 실시하고, 섭취 직후의 호기(呼氣)를 냄새 봉투로 채취하여, 구취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의 검은 섭취 후에도 가장 강하게 마늘 냄새를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7 의 검을 섭취한 후의 타액 pH 는 약 6.0 이었다.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8
Figure 112012077298066-pct00009
실시예 9
실시예 1-3 에서 나타낸 방법에 의해 조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의 처방에 의해 캔디, 구미젤리, 트로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1)
캔디의 처방
설탕 50.0 중량%
물엿 34.0
시트르산 2.0
마테차 추출물 0.2
라카아제 제제 0.1
향료 0.2
물 나머지
100.0
(실시예 9-2)
구미젤리의 처방
젤라틴 60.0 중량%
물엿 21.0
설탕 8.5
식물 유지 4.5
만니톨 3.0
말산 2.0
마테차 추출물 0.2
라카아제 제제 0.2
향료 0.6
100.0
(실시예 9-3)
트로키의 처방
포도당 72.3 중량%
유당 15.0
아라비아검 6.0
향료 1.0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7
마테차 추출물 2.0
라카아제 제제 1.0
락트산 2.0
100.0
이 출원은 2010년 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41489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10)

  1. 마테차의 과피, 잎, 과육, 과실, 재(材), 수피, 뿌리 또는 잎에서 100 % 에탄올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 잔류물로부터, 물 또는 0 ~ 15 % 의 함수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테차 추출물과 라카아제를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조성물 섭취 후의 타액 중의 pH 가 4.0 이상 7.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테차 추출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이고, 상기 라카아제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인 소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소취 조성물을 함유하는 추잉검, 캔디, 정과, 또는 구미젤리의 제조 방법.
  6. 제 4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소취 조성물을 함유하는 추잉검, 캔디, 정과, 또는 구미젤리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7024927A 2010-02-26 2011-02-21 소취 조성물 KR101871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1489 2010-02-26
JP2010041489A JP2011178669A (ja) 2010-02-26 2010-02-26 消臭組成物
PCT/JP2011/000958 WO2011105042A1 (ja) 2010-02-26 2011-02-21 消臭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571A KR20130008571A (ko) 2013-01-22
KR101871155B1 true KR101871155B1 (ko) 2018-07-04

Family

ID=4450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927A KR101871155B1 (ko) 2010-02-26 2011-02-21 소취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1178669A (ko)
KR (1) KR101871155B1 (ko)
CN (1) CN102781423A (ko)
BR (1) BR112012021551A2 (ko)
TW (1) TW201141390A (ko)
WO (1) WO20111050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0115B2 (ja) * 2016-06-21 2020-06-17 花王株式会社 グミキャンディ
CN106670216A (zh) * 2017-02-23 2017-05-17 贵州欧瑞信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垃圾分解减量的除臭剂
CN108113962B (zh) * 2018-02-23 2021-06-25 成都中医药大学 一种降低含有多酚的中药口服制剂涩味的方法
WO2021007020A1 (en) * 2019-07-08 2021-01-14 Basf Se Oral care gummies
JP2024008717A (ja) * 2022-07-08 2024-01-19 株式会社常磐植物化学研究所 カフェイン除去マテ抽出物、抗肥満用組成物、カフェイン除去方法及びマテ抽出物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640A1 (ja) * 2007-09-26 2009-04-02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6545A1 (de) * 1996-02-22 1997-08-28 Wella Ag Kosmetisches Mittel mit einem Gehalt an Ilexharz, Verfahren zur Gewinnung von Ilexharz und durch dieses Verfahren erhältliches Ilexharz
JP2007254393A (ja) * 2006-03-23 2007-10-04 Showa Denko Kk 皮膚外用剤
JP5800446B2 (ja) * 2008-02-13 2015-10-28 株式会社ロッテ 弱酸性下の消臭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1640A1 (ja) * 2007-09-26 2009-04-02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植物抽出物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1551A2 (pt) 2017-03-21
JP2011178669A (ja) 2011-09-15
KR20130008571A (ko) 2013-01-22
CN102781423A (zh) 2012-11-14
WO2011105042A1 (ja) 2011-09-01
TW201141390A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963B1 (ko) 약산성하의 소취 조성물
KR101871155B1 (ko) 소취 조성물
KR100834964B1 (ko)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US6242030B1 (en) Ginkgo Bilboa flavonoid extract which is terpene-free and has a high flavonoid heteroside content
JP7379055B2 (ja) シトラールの熱劣化抑制用組成物及び熱劣化抑制方法
KR101416492B1 (ko) 대추잎과 녹차잎을 이용한 혼합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35787A1 (en) Deodorizing composition using peroxidase under neutrality
Gawron-Gzell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teas obtained from leaves of Camellia sinensis (L.) Kuntze in course of various production processes available on Polish market
KR20200128998A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0545381B1 (ko)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KR20180082362A (ko) 증숙된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된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4185317B2 (ja) シトラール又はシトラール含有製品の劣化臭生成抑制剤
KR101911401B1 (ko) 특정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JP5886367B2 (ja) 消臭組成物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EP3939603A1 (en) Catechin enzyme-treated material having increased gallic acid,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cont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170091238A (ko) 설탕단풍, 당단풍나무 및 신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JP2008043283A (ja) 食品用消臭剤、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食品
Maung et al.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laphet laboratory process and tea (Camellia sinensis) products between China and Myanmar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