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986A -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 Google Patents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986A
KR20030084986A KR10-2003-7011933A KR20037011933A KR20030084986A KR 20030084986 A KR20030084986 A KR 20030084986A KR 20037011933 A KR20037011933 A KR 20037011933A KR 20030084986 A KR20030084986 A KR 20030084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guide
slit
bag
p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쥬로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기쥬로 가와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쥬로 가와키타 filed Critical 기쥬로 가와키타
Publication of KR2003008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08Carrier for camera or other photographic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9Article carrier for electrical device
    • Y10S224/93Attached to animate beare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스트랩 장치(15)는 중앙 부재(3b, 5b)를 사이에 두고 슬릿(7b, 7a 및 9a, 9b)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3, 5)를 가진다. 중앙 부재(3b, 5b)에는 스트랩(11 및 13)의 일단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스트랩(11)의 타단(11b)은 가이드(5)의 슬릿(9a, 9b)을 통과한 후, 가이드(3)의 슬릿(7a)을 통과한다. 스트랩(13)의 타단(13b)은 가이드(3)의 슬릿(7a, 7b)을 통과한 후, 가이드(5)의 슬릿(9a)을 통과한다. 타단(11b, 13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가이드 간격의 4배 길이의 스트랩을 순식간에 인출할 수 있다. 숄더 스트랩에 사용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하고, 기능성, 안전성이 뛰어난 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EXTENDABLE STRAP DEVICE AND BAG WITH THE SAME}
숄더 스트랩(숄더 벨트)이 장착된 백은 숄더 스트랩을 어깨에 걸어 백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백의 하중이 무거운 경우나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하고 싶은 경우 등에 편리하다. 숄더 스트랩은 통상 백 본체의 좌우 상단부의 훅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렇나, 숄더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숄더 스트랩이 백 본체로부터 아래로 늘어져 외관이 좋지 않다. 또 백 본체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숄더 스트랩이 물체에 걸려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백을 공항이나 전철의 홈에서 바닥에 일시적으로 놓았을 때에는 숄더 스트랩이 바닥에 접촉하여 위생 상 좋지 않다.
일본국 특개평 10(1998)-117827호는 백의 이음천부에 벨트 지지구를 구비하여, 벨트 단부(端部)가 벨크로 (velcro)(찍찍이)에 의해 백에 장착 가능한 숄더 벨트 첨부 백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백은 숄더 벨트가 백의 외주에 감겨져 있어 숄더 벨트로서 사용하고 싶을 때에, 벨트 단부를 백으로부터 떼어 내, 원하는 길이로 벨트를 조절한 후에, 지지구로 벨트를 고정하고, 마지막으로 벨트 단부를 벨크로 등에 의해 백에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백에서는 벨트 지지구나 벨크로 등 특유의 부품을 백에 붙일 필요가 있다. 또 이 백에서는 숄더 벨트를 사용하기 위한 동작 및 수납할 때의 동작이 번잡하여, 그들의 동작을 신속히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스트랩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트랩이 백 본체로부터 아래로 늘어지지 않는 길이로 줄어들고, 스트랩이 필요한 때에는 순식간에 충분한 길이로 길게 늘일 수 있는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의 목적은 휴대 전화의 스트랩 등 여러 가지의 용도에 적용 가능하고 연장 가능한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에 관한 것이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 (B)는 스트랩 장치의 신장 도중의 모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 (C)는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2 (A) 및 2 (B)는 제1 및 제2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3 (A)는 스트랩 장치가 수축된 상태의 백의 개략도이며, 도 3 (B)는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의 백의 개략도이다.
도 4 (A)는 스트랩 장치가 수축된 상태의 백의 개략도이며, 도 4 (B)는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의 백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를 장착한 휴대 전화의 개략도이다.
도 6 (A)는 본 발명의 다른 스트랩 장치의 개념도이며, 6 (B) 및 6 (C)는 제1 및 제2 가이드의 구조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A)는 본 발명의 제6 구체예에 따른 스트랩 장치 구조의 개략도이며, 도 7 (B)는 도 7 (A)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가 신장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 (A)는 본 발명의 제7 구체예의 스트랩 장치 첨부 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8 (B)는 도 8 (A)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A)는 본 발명의 제8 구체예의 스트랩 장치 첨부 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9 (B)는 도 9 (A)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 (A)는 본 발명의 제9 구체예의 스트랩 장치 첨부 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0 (B)는 도 10 (A)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 (A)는 본 발명의 제10 구체예의 스트랩 장치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1 (B)는 스트랩 장치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 (A)는 제11 구체예의 스트랩 장치에 사용하는 가이드가 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2 (B)는 가이드가 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A) 및 13 (B)는 록 어저스터가 백 본체의 측벽에 설치된 제12 구체예를 나타내는 백의 상면도이다.
도 14 (A) 및 14 (B)는 제12 구체예에서 스트랩을 수납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백의 상면도이다.
도 15a는 스트랩 장치에 사용하는 가이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5b는 가이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에 사용되는 록 기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스트랩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18 (A)∼18 (E)는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에서의 스트랩 가이드에 대한 여러 가지 종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신축 가능한 스트랩 장치(15)로서, 제1 슬릿(7b) 및 제3 슬릿(7a)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3); 일단(11a)이 제1 가이드에 연결된 제1 스트랩(11); 제1 가이드(3)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슬릿(9a) 및 제4 슬릿(9b)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5); 및 일단(13a)이 제2 가이드에 연결된 제2 스트랩을 구비하고, 제1 스트랩의 타단(11b)이 제2 슬릿 및 제4 슬릿 중 적어도 한쪽을 통해 제1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제1 가이드의 제1 슬릿 및 제3 슬릿의 한쪽을 통과하며, 제2 스트랩의 타단(13b)이 제1 슬릿 및 제3 슬릿 중 적어도 한쪽을 통해 제2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제2 가이드의 제2 슬릿 및 제4 슬릿의 한쪽을 통과하고 있는 스트랩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스트랩의 일단(11a)이 제1 슬릿과 제3 슬릿 사이에 구획 형성된 중간 부재(3b)에 연결되어있으며, 제2 스트랩의 일단(13a)이 제2 슬릿과 제4 슬릿 사이에 구획 형성된 중간 부재(5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신축 가능한 스트랩 장치(35)로서, 제1 슬릿(27a)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23); 일단(31a, 33a)이 각각 제1 가이드(23)에 연결된 제1 스트랩(31) 및 제2 스트랩(33); 및 제1 가이드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슬릿(29a)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25)를 구비하고, 제1 스트랩의 타단(31a)이 제2 슬릿(29a)을 통해 제1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제1 슬릿(27a)을 통과하며, 제2 스트랩의 타단(33a)이 제2 슬릿(29a)을 통과하고 있는 스트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양상의 스트랩 장치를 구비하는 백(150, 180)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슬릿」이란, 길고 가느다란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 임의의 단면(斷面) 형상의 개구를 의미한다. 또 용어 「스트랩」은 단면이 길고 가느다란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등 임의의 형상의 끈을 의미한다.
제1 구체예
본 발명의 스트랩의 제1 구체예를 도 1 (A)∼1 (C) 및 도 2 (A), 2 (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스트랩 장치(15)는 제1 가이드(3), 제2 가이드(5), 제1 스트랩(11) 및 제2 스트랩(13)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3)는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이며, 프레임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부재(브리지)(3b)를 사이에 두고 그 상방 및 하방에 각각 서로 평행한 슬릿(7 b 및 7a)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부재(3b)에는 제1 스트랩(11)의 일단(11a)이 고착되어 있다. 제1 스트랩(11)은 슬릿(7a 및 7b)보다 약간 좁은 폭이며, 또한 슬릿의 1/2 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과 같은 표면이 매끄럽고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5)도 또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3)와 같은 재료 및 구조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이며, 중앙 부재(5b)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평행한 슬릿(9a 및 9b)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부재(5b)에는 제2 스트랩(13)의 일단(13a)이 고착되어 있다. 제2 스트랩(13)은 제1 스트랩(11)과 같은 치수이며 같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11, 13)은 도 7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중앙 부재[3b(40b, 60b), 5b]에 감아 스트랩의 일단(11a, 13a)을 스트랩 자체에 봉합(縫合)해도 된다.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는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스트랩(11, 13)이 연장되어 있는 측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이드(3)의 중앙 부재(3b)에 일단(11a)이 고착된 제1 스트랩(11)의 타단(11b)은 제2 가이드(5)로 향해 연장되고, 제2 가이드(5)의 슬릿(9a)을 통과한다. 제2 가이드(5)의 슬릿(9a)을 통과한 타단(11b)은 되접어 꺾어서 슬릿(9b)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3)로 향한다. 이어서, 제1 가이드(3)의 슬릿(7a)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로 끼워진 영역의 외측에(제1 가이드 출구측) 위치하고 있다. 제2 가이드(5)의 중앙 부재(5b)에 일단(13a)이 고착된 제2 스트랩(13)의 타단(13b)은 제1 가이드(3)로 향해 연장되고, 제1 가이드(3)의 슬릿(7a)을 통과한다. 슬릿(7a)을통과한 타단(13b)은 되접어 꺾어서 슬릿(7b)을 통과하여 제2 가이드(5)로 향하고, 제2 가이드(5)의 슬릿(9a)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로 끼워진 영역의 외측(제2 가이드 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랩(11) 및 스트랩(13)이 각각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 사이에 접혀져 존재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제1 가이드(3)와 제2 가이드(5) 사이에 스트랩(11, 13)의 절반이 4중으로 겹쳐져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스트랩 장치(15)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A)에 나타낸 상태의 스트랩 장치(15)에 있어서, 스트랩(11 및 13)의 타단(11b 및 13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긴다. 그러면, 도 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3 및 5)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가이드(3 및 5)로부터 스트랩(11 및 13)이 인출된다. 또한 타단(11b 및 13b)을 서로 떨어지도록 떼어 놓으면, 도 1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3)와 제2 가이드(5)가 서로 맞대어져 그 이상 스트랩(11, 13)은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스트랩(11 및 13)의 대부분의 길이가 각각의 가이드를 통해 인출되어 있으며, 도 1 (A)에 나타낸 상태의 스트랩 장치(15)에서의 제1 가이드(3)와 제2 가이드(5)와의 간격의 2배의 길이가 각각의 가이드로부터 인출되어 스트랩 장치 전체로서 그 간격의 4배의 길이가 얻어지고 있다. 스트랩 장치(15)를 도 1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맞대고 있는 제1 가이드(3)와 제2 가이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떼어 놓으면 된다. 이로써 4배 길이로 신장 가능한 스트랩이 실현된다.
제2 구체예
도 3에 나타내는 백(150)은 본체(80)와, 그 위에 도 1 (A)에 나타낸 상태로 탑재된 스트랩 장치(98)를 가진다. 스트랩 장치(98)는 제2 스트랩(13)이 제1 스트랩(11)과 비교하여 소정 길이가 긴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1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소정 길이는 사용자 어깨의 두께에 따라 선택되며 15∼ 25cm가 적당하다. 제1 및 제2 스트랩의 타단(11b 및 13b)은 백 본체(80)의 상면 단부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는 도시하지 않은 나스환(링)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백 본체(80)의 좌우 측벽부에 장착해도 된다. 제2 가이드(5)로부터 스트랩 장치의 외측(제2 가이드 출구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스트랩(11)의 부분에는 유연한 어깨 패드(70)가 통과하고 있다. 어깨 패드(70)는 제2 가이드(5)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A)에 나타낸 백(150)의 스트랩 장치(98)를 숄더 스트랩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깨 패드(70)를 단지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된다. 이 때,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11 및 13)은 각각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인출되어, 도 3 (A)에 나타낸 상태의 스트랩 장치(98)에서의 제1 및 제2 가이드 간 거리의 약 4배의 길이가 인출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는 사용자의 어깨 위치를 피하도록, 인출된 스트랩 중앙의 약간 좌측에 위치한다. 패드(70)는 스트랩(11)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며, 인출된 스트랩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한다. 특히 상기 소정 길이와 대략같은 길이의 패드를 장착하면 반드시 패드의 중앙이 어깨의 한가운데에 위치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숄더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3 및 5)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떼어 놓으면 된다. 이 단순한 동작으로 스트랩은 즉석에서 도 3 (B)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백에 의하면, 숄더 스트랩이 필요한 때만, 백 본체로부터 숄더 스트랩을 순식간에 또한 충분한 길이로 인출할 수 있다. 숄더 스트랩이 불필요한 때에는, 스트랩을 매우 용이하게 백 위에 접은 상태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어, 스트랩은 백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외관이 양호하고, 안전하며 또한 기능성이 뛰어난 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는 브리프케이스(briefcase), 스포츠 백, 슈트케이스(suitcase), 의상 백, 핸드백, 냅색(knapsack), 토트 백(tote bag), 카메라 케이스, 악기 케이스, 낚시 도구 케이스 등의 스트랩 또는 벨트를 가지는 임의의 백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백 본체 대신에,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여러 가지의 기록 장치, 망원경과 같은 기기 등 숄더 스트랩이 적용 가능한 임의의 물체에 장착해도 된다.
제3 구체예
도 4에 나타내는 백(180)은 본체(80)와, 그 위에 도 1 (A)에 나타낸 상태로 탑재된 스트랩 장치(95)를 가진다. 스트랩 장치(95)는 제1 스트랩(11) 및 제2 스트랩(13)이 각각 도 1 (A)에 나타낸 것보다 길고, 이들의 타단(11b, 13b)은 서로 연결 되어 있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제1 및 제2 스트랩의 타단(11b 및 13b)은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를 나온 후, 각각 백 본체(80)의 상면에 고착된 링(82 및 84)을 통과하고 있다. 타단(11b 및 13b)이 링(82 및 84)을 통과한 후 서로 접속됨으로써, 스트랩 장치의 최상부에 스트랩 부분(75)이 처음으로 생긴다. 스트랩 부분(75)에는 유연한 어깨 패드(70)가 통과하고 있다.
도 4 (A)에 나타낸 백(180)의 스트랩 장치(95)를 숄더 스트랩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깨 패드(70)를 단지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된다. 이 결과,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11 및 13)은 각각 링(82 및 84)을 통해 제1 가이드(3) 및 제2 가이드(5)로부터 인출된다. 도 4 (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도 4 (A)에 나타낸 상태의 스트랩 장치(95)의 제1 및 제2 가이드 간 거리의 약 4배의 길이가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패드(70)는 스트랩(11)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된 스트랩의 대략 중앙에 위치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 (A)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제1 및 제3 가이드(3, 5)를 서로 떼어 놓으면 된다.
제4 구체예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15)의 치수를 전체적으로 작게 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트랩(11)의 타단(11b)을 가는 실(21)을 통해 휴대 전화(123)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스트랩 폭은 5∼8mm가 바람직하다. 제2 스트랩(13)의 타단(13b)에는 포켓 등에 끼워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클립(125)을 접속할 수 있다. 가슴 포켓이나 바지의 포켓에 넣은 휴대 전화(123)가 착신된 경우에, 클립(125)을 포켓으로부터 떼어 놓지 않고, 휴대 전화(123)를 포켓으로부터 인출하여 귓전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 동작 동안에, 스트랩이 가이드로부터 인출된다. 휴대 전화(123) 대신에 키, 키 홀더, 라이트, 라이터, 방위 자석, 공구 등을 스트랩 장치에 첨부해도 된다. 또 스트랩 길이를 길게 하면, 목걸이식의 스트랩이 될 수 있다. 목걸이식 스트랩의 경우, 클립(125)을 통해 또는 클립(125) 없이 스트랩 타단(11b, 13b)끼리 연결시키면 된다.
제5 구체예
도 6 (A)에 나타내는 스트랩 장치(35)는 제1 가이드(23) 및 제2 가이드(25)를 서로 대향하여 구비한다. 제1 가이드(23)는 중앙 부재(23b)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슬릿(27a) 및 제3 슬릿(27b)을 가지며, 도 2 (A)에 나타낸 제1 가이드(3)와 동일 프레임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트랩(31)의 일단(31a) 및 제2 스트랩(33)의 일단(33b)은 각각, 제1 가이드(23)의 중앙 부재(23b) 하면 및 상면에 각각 고착되어 있은 점에서 도 2 (A)에 나타낸 제1 가이드(3)와 상이하다. 제2 가이드(25)는 중앙 부재(25b)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슬릿(29a 및 29b)을 가지며, 도 2 (B)에 나타낸 제2 가이드(5)와 동일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단,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가이드(25)에는 제2 스트랩(33)의 타단(33a)이 고착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도 2 (B)에 나타낸 제2 가이드(5)와 상이하다.
제1 스트랩(31)의 타단(31a)은 제1 가이드(23)로부터 제2 가이드(25)로 향해 연장되고, 제2 슬릿(29a)을 통해, 되접어 꺾어서 제4 슬릿(29b)을 통과하여 제1 가이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1 스트랩(31)의 타단(31b)은 제1 가이드의 제3 슬릿(27a)을 통과하고 있다. 제2 스트랩(33)의 타단(33b)은 제1 가이드(23)로부터 제2 가이드(25)로 향해 연장되고, 제2 슬릿(29a)을 통과하고 있다. 제2 스트랩(33)의 길이는 제1 스트랩(31)의 절반보다 약간 길며, 이 때문에, 제2 가이드(25)의 외측(출구측)으로 나와 있는 스트랩 부분의 길이는 제1 가이드(23)의 외측(출구측)으로 나와 있는 스트랩 부분의 길이보다 길다.
스트랩 장치(35)에서 제1 스트랩(31)의 타단(31b) 및 제2 스트랩(33)의 타단(33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하면, 제1 가이드(23) 및 제2 가이드(25)가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마지막으로 맞대진다. 이 때, 제1 가이드(23) 및 제2 가이드(25)로부터 각각 제1 스트랩(31) 및 제2 스트랩(35)의 거의 전체 길이가 인출된다. 즉, 제1 가이드(23)로부터는 도 6 (A)에 나타낸 상태의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간격의 약 2배 길이의 스트랩이 도면 좌측으로 인출되고, 제2 가이드(25)로부터는 그 간격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스트랩이 도면 우측으로 인출되어, 전체로 그 간격의 3배의 길이가 얻어진다. 도 6 (A)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제1 가이드(23) 및 제2 가이드(25)를 서로 떨어지도록 떼어 놓으면 된다.
스트랩 장치(35)는 도 3에 나타낸 백과 동일하게 백 본체에 장착하고, 제2 스트랩(33)의 타단(33a)과 제2 가이드(25) 사이의 제2 스트랩 부분에는 패드(70)를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숄더 스트랩이 필요한 때에는, 백으로부터 패드를 끌어올려, 순식간에 스트랩을 길게 늘일 수 있다.
또 스트랩 장치(35)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의 타단끼리 연결하여, 연결부를 백 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랩 장치(35)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 전화용 스트랩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제6 구체예
도 7 (A) 및 7 (B)에 나타내는 스트랩 장치(300)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가이드(5)가 어깨 패드(70)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는 이외는, 도 3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가이드(3)에 대응하는 가이드(40)의 중앙 부재(4Ob)에는 스트랩(11)의 일단(11a)을 회전시키고 또한 스트랩(11)에 봉합함으로써 일단(11a)이 접속되어 있고, 스트랩(13)의 타단(11b)과 가이드(40) 사이의 스트랩 부분에는 록 어저스터(60)가 장착되어 있다. 록 어저스터(60)의 본체(60a)에 슬릿(62 및 64)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슬릿(62 및 64)에 스트랩(13)의 타단(11b)을 통과시킴으로써 록 어저스터(60)는 스트랩(13) 상에서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록 어저스터(60)는 본체(60a)의 선단 상에 본체(60a)에 대하여 휨 변형 가능한 록 클릭(60b)을 구비한다. 가이드(40)의 상 프레임(40c)은 록 클릭(60b)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5)의 하 프레임(5c)은 패드(70)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고, 가이드(5)의 중앙 부재(5b)에는 스트랩(13)의 일단(13a)을 회전시키고 또한 스트랩(13)에 봉합함으로써 일단(13a)이 접속되어 있다. 스트랩(13)의 타단(13b)은 가이드(40)의 상 프레임(40c)과 중앙 부재(40b) 사이의 슬릿을 통과 후, 가이드(40)의 중앙 부재(40b)와 하 프레임(40a) 사이의 슬릿을 통과하여 가이드(5) 쪽으로 되돌아가고, 가이드(5)의 중앙 부재(5b)와 하 프레임(5c) 사이의 슬릿을 통과하여 다시 패드(70)와 패드(70)에 장착된 패드 커버(70a)의 사이를 통과한다.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 장치(300)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록 어저스터(60)의 록 클릭(60b)이 가이드(40)의 상 프레임(40c)에 맞물려 가이드(40)가 록 어저스터(6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트랩 장치(300)의 어느 부분, 특히 가이드(40)에 의도하지 않은 힘이 가해져도 스트랩이 느슨해지는, 즉 늘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스트랩 장치(300)로부터 스트랩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록 클릭(60b)을 록 어저스터 본체(60)에 대하여 휨 변형시켜, 예를 들면, 하방으로 힘을 가해 가이드(40)의 상 프레임(40c)으로부터 록 클릭(60b)을 떼어 놓고, 이어서, 패드(70)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또는 스트랩의 단부(13b)를 패드 커버(70a)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스트랩(11 및 13)을 가이드 사이로부터 인출한다. 이 동작에 의해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40)와 가이드(5)가 서로 접근하여 스트랩 장치가 연장된다. 여기에서, 록 기구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가 알려진 록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록 클릭(60b)을 가이드(40)측에 설치해도 되고, 록 클릭 맞물림부를 가이드(40)의 하 프레임(40a)에 형성해도 된다. 또 록 어저스터(60)의 록 클릭과 상 프레임(40c)과의 맞물림은 기계식 맞물림뿐만 아니라, 자력(磁力)에 의한 결합을 채용해도 된다. 또는 가이드(40)와 스트랩(11) 또는 백 본체에 착탈 가능한 벨크로를 부여하여 그들을 결합시켜도 된다.
제7 구체예
도 8 (A) 및 8 (B)에 나타내는 스트랩 장치(400)는 록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어깨 패드가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3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와 동일하다.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본체(80)에 짧은 웨브(170)를 통해 한 쌍의 록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록 부재(47)는 각각 선단에 록 클릭(47a)을 가진다. 가이드(43, 45)는 도 7 (A)에 나타낸 가이드(40)와 대략 동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43, 45)의 하 프레임(43c 및 45c)에, 록 부재(47)의 록 클릭(47a)이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43)의 하 프레임(43c)과 가이드(45)의 하 프레임(45c)이 록 클릭(47a)과 각각 맞물려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43, 45)의 스트랩(11, 13)에 대한 이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스트랩(11, 13)은 가이드(43, 45)로부터 늘어져 나올 수 없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43)와 가이드(45)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랩(4중의 스트랩 다발)은 손잡이로서 기능한다.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11, 13)을 개폐 가능한 패드 커버(195)로 피복함으로써, 한층 잡기 쉬워진다.
스트랩 장치(400)를 숄더 스트랩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패드 커버(195)를 스트랩 다발로부터 떼어 내고, 가이드(43)의 하 프레임(43c)과 가이드(45)의 하 프레임(45c)으로부터 록 클릭(47a)을 각각 이탈시키고, 이어서, 스트랩의 다발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는, 또는 스트랩(11, 13)의 가이드(43, 45)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떼어 놓음으로써,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11, 13)이 가이드(43, 45)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가이드(43, 45)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을 패드 커버(195)로 피복하면 된다. 즉, 이 구체예에서는, 스트랩 장치(400)는 수축된상태에서는 손잡이로서 기능하고, 연장된 상태에서는 숄더 스트랩으로서 기능한다.
제8 구체예
스트랩 장치(500)는 도 9 (A), 9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조의 스트랩 장치(115, 215)를 구비한다. 스트랩 장치(115, 215)는 각각 ,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15)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손잡이로서 기능하는 패드 커버(195)의 양단에는 맞물림 부재(4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49)는 각각 백 본체(80)에 웹(170)을 통해 설치된 한쌍의 록 부재(160)의 록 클릭과 착탈 가능하게 맞물린다. 스트랩 장치(115, 215)는 일단이 각각 백의 측벽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가이드(5)의 중앙 부재(5b)에 접속되어 있는 스트랩(13)을 가진다. 스트랩 장치(115)의 가이드(55) 중앙 부재(55b)에 스트랩(11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스트랩(110)의 타단은 가이드(5)로 향해 연장되고, 가이드(5)의 중앙 부재(5b)를 되감아 가이드(55)의 중앙 부재(55b)와 상 프레임(55a) 사이의 슬릿을 통과하여 백 중앙에 위치하는 패드(195)의 내부에서 스트랩 장치(215)의 스트랩(110)과 연결되어 있다.
도 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49)에 록 부재(160)의 록 클릭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는, 스트랩 장치(115, 215)의 스트랩(13, 110)은 인출될 수 없고, 패드 커버(195)는 손잡이로서 기능한다. 한편, 맞물림 부재(49)로부터 록 부재(160)을 이탈시키고, 이어서, 패드 커버(195)를 상방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도 9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11, 13)이 가이드(5, 55)를 통해 인출된다. 이렇게 하여, 스트랩 장치(115, 215)는 숄더 스트랩으로서 기능한다. 도 9 (A)에 나타낸 상태로 되돌아가게 하기 위해서는, 각 스트랩 장치의 가이드(5, 55)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떼어 놓으면 된다.
제9 구체예
도 4의 변형예로서, 스트랩을 손잡이로서 기능 시킬 수 있는 예를 도 10 (A)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 커버(195)는 5중으로 겹쳐진 스트랩 다발(11, 13, 75)을 착탈 가능하게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죽제의 커버이다. 패드 커버(195)가 스트랩 다발(1l, 13, 75)을 덮고 있을 때에는, 각 스트랩(11, 13, 75)이 패드 커버(195)에 의해 구속되어 이동 불가능하기 때문에 패드 커버(195)는 손잡이로서 기능한다. 스트랩을 숄더 스트랩으로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스트랩 다발로부터 패드 커버(195)를 떼어 놓고, 스트랩(75)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된다. 그리고, 도 1O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 커버(195)를 인출된 스트랩(75)의 중앙부에 장착함으로써 어깨 패드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트랩 장치의 스트랩(110) 타단은 패드 커버 (195)에 직접 연결되어도 된다.
제10 구체예
도 3에 나타낸 백의 변형예에서, 패드(70)를 설치하는 대신에, 가이드(3, 5)에 패드를 각각 장착하거나, 가이드(3, 5)를 패드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3, 5) 전체는 스트랩 통과창(30a, 30c, 50a, 50c)을 제외하고,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 가이드 커버(패드)(30, 50)로 덮여 있다. 스트랩(11, 13)이 인출되었을 때에, 도 11 (B)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3, 5)가 접근하여 가이드 커버(30, 50)끼리 밀착된다. 이 예의 경우, 패드가 가이드(3, 5)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의 경우와 달리, 스트랩(11, 13)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11 구체예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3)에만 록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록 기구는 가이드(3)의 중앙 부재(3b)를 관통하는 회전축(90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록 암(90)과, 가이드(3)의 상 프레임 양측면에 설치된 돌기(92)와, 가이드(3)의 하 프레임 양측면에 설치된 돌기(94)를 가진다. 록 암(90)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이며, 회전축(90c)에 연결된 암(90b)은 각각 L자를 나타내도록 도중에서 절곡(折曲)되어 있고, 스트랩을 횡단하는 록 바(90a)에 접속되어 있다. 도 1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을 가이드(3)에 대하여 프리로 할 때에는, 암(90b)은 돌기(92)에 의해 반(反)시계 주위의 회전 운동이 방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트랩(11, 13)은 가이드(3)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스트랩(11, 13)의 가이드(3)에 대한 이동을 방지할 때는 도 1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90b)을 휘게 하여 돌기(92)를 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암(90b)을 휘게 하여 돌기(94)를 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록 바(90a)는 스트랩(11, 13)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랩 다발을 강하게 누르고 있기 때문에 스트랩(11, 13)은 가이드의 슬릿 내를 미끄럼 이동할 수 없다.
제12 구체예
도 13 (A) 및 13 (B)에 나타내는 스트랩 장치(700)는 록 어저스터(60)가 백본체(80)에 설치되어 있고, 록 클릭과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가이드 하 프레임(140a)에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제6 구체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록 어저스터(60)의 본체(60a) 단부는 백 본체(80)의 측벽부(80a)에 웨브(63)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 장치(700)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록 어저스터(60)의 록 클릭(60b)이 가이드(140)의 하 프레임(140a)에 맞물려 가이드(140)가 록 어저스터(6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패드(70)의 배면에는 벨크로(73)의 한 조각(73a)이 접착되고, 이 한 조각(73a)과 부착되는 다른 조각(73 b)이 백의 측면(80a)에 장착되어 있다. 이 벨크로 (73)에 의해 패드(70)는 백 측면(8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트랩 장치(700)로부터 스트랩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록 클릭(60b)을 록 어저스터 본체(60a)에 대하여 휨 변형시켜 가이드(140)의 하 프레임(140a)으로부터 록 클릭(60b)을 떼어 낸다. 이어서,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크로의 한 조각(73a)을 다른 조각(73b)으로부터 이탈시키면서, 패드(70)를 백 본체의 측면(80a)에 따라 록 어저스터(6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긴다. 이 동작으로 스트랩(11, 13)이 가이드(140, 5)의 사이로부터 인출된다. 스트랩이 완전하게 인출되면, 가이드(140)와 가이드(5)는 도 1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하여 일체화된다.
인출된 스트랩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한쪽 손으로 패드(70) 또는 가이드(5)를 잡아 가이드(5)에 접합되어 있는 가이드(140)를 록 어저스터(60)로 옮겨, 도 1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하 프레임(140a)을 어저스터 클릭(60a)에 맞물리게 한다. 이 때, 스트랩은 도시한 바와 같이 느슨해진 상태에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패드(70) 또는 가이드(5)를 잡은 채 가이드(14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가이드(5)를 끌어 당김으로써, 느슨해진 스트랩이 가이드(5, 140) 사이에 수용되어, 도 1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5, 140)가 떨어진 상태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벨크로의 한 조각(73a)을 다른 조각(73b)에 부착시킴으로써 패드(70)를 백 측면(80a)에 고정할 수 있다. 스트랩을 짧게 하는 상기 동작 동안, 사용자는 다른 쪽 손으로 백의 핸들(80c)를 잡아 백 본체(80)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이 구체예의 록 기구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백의 핸들(80c)을 잡은 채, 한 손으로 스트랩의 신축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의 신축 동작 시에, 백 본체를 바닥이나 의자 위에 놓을 필요가 없다. 특히, 스트랩을 줄이는 동작은 i) 록 클릭(60b)을 가이드 하 프레임(140a)에 삽입하는 스텝과, ii) 가이드(140)를 잡아 당기는 스텝의 2개 스텝으로 충분하며, 이 2개의 스텝은 간단해 몇 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 예에서의 백 측면과는 백 정면을 의도하고 있다. 그러나, 백 측면은 백 배면으로 할 수 있다. 스트랩 장치를 백 정면에 설치하면 백에 기능적인 디자인을 줄 수 있고, 백 배면에 설치하면 백 정면의 디자인을 손상하지 않는다.
제12 구체예의 변형예로서, 스트랩 장치(700) 대신에 제10 구체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트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커버(30)의 스트랩 통과창(30a)측 저면(底面)에 록 클릭(60b)과 맞물리는 맞물림부(61O)를 테이프(612)를 통해(또는 직접)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커버(50)의 저면에 벨크로의 다른 조각(73b)을 장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구체예에 나타낸 가이드는 도 15a 및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5a에 나타낸 가이드(133)는, 스트랩이 감겨 있는 중앙 부재(133b)는 가이드 내에서 가이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 출구측(도면 좌측)에 오프셋되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중앙 부재(133b)는 가이드 출구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스트랩을 가이드의 중앙 부재(133b)에 감은 상태로 봉합한 경우에는, 바느질 자리(135)가 중앙 부재(133b)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시접), 한쪽의 가이드(133)가 다른 쪽의 가이드(133)에 접합되었 때에, 바느질 자리(133b)가 다른 쪽 가이드(133)의 슬릿으로 비집고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미싱에 의해 바느질 자리(135)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시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은 중앙 부재(133b)가 가이드 출구단에 설치된 가이드에, 스트랩을 가이드의 외측에서 봉합한 다음, 바느질 자리(135)를 가이드(133) 내에 수용하면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상 프레임(133a)과 중앙 부재(133b)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간격 S1은 스트랩이 가이드로부터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로 스트랩이 2개 통하는 폭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트랩 두께의 2배보다 0.2mm 내지 1mm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하 프레임(133c)과 중앙 부재(133b)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간격 S2는 스트랩이 가이드로부터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로 스트랩이 3개 통하는 폭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트랩 두께의 3배보다 0.2mm 내지 1mm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S1과 S2와의 관계에서는 S2 쪽이 S1보다 스트랩의 두께 이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S1과 S2를 상이하게 하는 대신에, 스트랩 단부를 두 겹 이상으로 접어 스트랩과 봉합함으로써 봉합의 두께가 슬릿 이상이 되고, 이에 따라 바느질 자리가 슬릿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전술한 시접을 짧게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5b에 나타낸 가이드(34)와 같이, 중앙 부재를 스트랩의 일단(11a)이 접속되는 부분(34d)과 스트랩이 감기는 부분(34b)을 각각 독립된 원주형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이드의 두께 W(스트랩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가이드폭)를 얇게 할 수 있고, 또 스트랩의 이동이 보다 순조롭게 된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를 서로 떼어 놓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의 상 프레임(34a)과 하 프레임(34c)에 돌기(130)을 형성하고, 그것을 그립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돌기는 가이드의 측면(횡 프레임)에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7, 도 8 (A) 및 8 (B)에 나타낸 록 기구에 대신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의 타단(11b)을 되접어 꺾어서 스트랩의 두께가 늘어나는 부분(11c)을 형성하고, 이 부분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의 슬릿에 삽입되어 맞물리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아주 간단하게 스트랩의 가이드에 대한 록을 가능하게 하며, 도 5에 나타낸 휴대 전화용 스트랩에 특히 유용하게 된다. 스트랩을 겹치는 대신, 스트랩의 타단 근방에 가이드의 슬릿 부분에 삽입 가능한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또는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이 부재는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는 어저스터(도시하지 않음)에 고착해도 된다.
도 18 (A)∼18 (E)에,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에 있어서, 스트랩(11, 13)이가이드(3, 5)의 슬릿을 통과할 때의 여러 가지의 패턴을 나타낸다. 어느 패턴도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의 형태에 포함된다. 이 중, 특히, 스트랩(11, 13)을 가이드(3, 5)로부터 인출할 때의 얽힘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하면, 도 7 (A)와 등가(等價)인 도 18 (B)에 나타내는 패턴이 유리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예에 의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그들 구체예의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3배 연장 모드의 스트랩 장치를 다른 구체예로 나타낸 백이나 휴대 전화용의 스트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4, 6, 8, 9, 10에 나타낸 스트랩 장치[예를 들면, 가이드(5)]에 예시한 록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스트랩 재료로서, 가죽, 인공 피혁, 천을 사용할 수 있다. 천 등의 유연한 소재를 사용할 때는 스트랩의 얽힘을 방지하기 위해 천잠사(天蠶絲)와 같은 심재(心材)를 소재 내부에 삽입해도 된다. 본 발명의 스트랩 장치는 동물의 고삐, 전기 코드, 모자나 헬멧의 턱끈, 안경 코드, 코트와 같은 의류의 벨트 등 신축 가능한 기능이 있으면 편리한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스트랩은 수축되었을 때의 길이의 4배의 길이로 아주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백이나 휴대 전화의 스트랩 등 여러 가지의 용도에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스트랩은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백은 스트랩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트랩이 백 본체로부터 아래로 늘어지는 일이 없는 길이로 줄어들고, 스트랩이 필요한 때에는 순식간에 충분한 길이로 길게 늘릴 수 있으며, 한편, 스트랩을 용이하게 또한 순식간에 줄일수 있다.

Claims (23)

  1. 신축 가능한 스트랩 장치로서,
    제1 및 제3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에 연결된 제1 스트랩;
    상기 제1 가이드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및 제4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및
    일단이 상기 제2 가이드에 연결된 제2 스트랩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타단이 상기 제2 및 제4 슬릿의 적어도 한쪽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상기 제1 가이드의 상기 제1 및 제3 슬릿의 한쪽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의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3 슬릿의 적어도 한쪽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상기 제2 가이드의 상기 제2 및 제4 슬릿의 한쪽을 통과하는 스트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일단이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3 슬릿 사이에 구획 형성된 중간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스트랩의 상기 일단이 상기 제2 슬릿과 상기 제4 슬릿 사이에 구획 형성된 중간 부재에 연결되는 스트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슬릿 및 상기 제4 슬릿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상기 제3 슬릿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3 슬릿 및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상기 제2 슬릿을 통과하는 스트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이 각각 2중으로 겹쳐져 존재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의 상기 타단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떼어놓음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가 접근하는 스트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스트랩의 타단 근방에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의 적어도 한쪽 스트랩의 이동을 방지하는 록(lock) 부재를 구비하는 스트랩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장치가 숄더 스트랩이며,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의 타단에 각각 물체에 착탈(着脫) 가능한 부재가 장착되는 스트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제1 스트랩보다 소정 길이가 긴 스트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스트랩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스트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에 각각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스트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의 타단이 물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스트랩의 타단에 클립을 가지는 스트랩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백, 카메라 및 망원경 중 하나인 스트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가 휴대 전화 또는 키인 스트랩 장치.
  13. 백 본체와 제1항에 기재된 스트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백 본체에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타단이 각각 장착되는 백.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제1 스트랩보다 소정 길이가 긴 백.
  15. 제14항에 있어서,
    스트랩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스트랩이 상기 통로를 통과하는 백.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에 각각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 패드를 추가로 구비하는 백.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제1 또는 제2 스트랩 또는 상기 백 본체에 대하여 록킹하기 위한 록 기구를 구비하는 백.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스트랩에 장착된 록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록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백.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백 본체에 장착된 록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에 장착된 록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백.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 패드와, 상기 백 본체에 장착된 록 부재와, 상기 제1 패드에 장착되며 록 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백.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트랩 중 적어도 한쪽을 맞물림할 수 있는 록 부재를 가지는 백.
  22. 신축 가능한 스트랩 장치로서,
    제1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가이드;
    일단이 제1 가이드에 연결된 제1 스트랩 및 제2 스트랩; 및
    상기 제1 가이드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및 제4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트랩의 타단이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쪽으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상기 제1 슬릿을 통과하며, 상기 제2 스트랩의 타단이 상기 제2 슬릿을 통과하는 스트랩 장치.
  23. 백 본체와 제22항 기재의 스트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백 본체에 상기 제1 스트랩 및 상기 제2 스트랩의 타단이 각각 장착되는 백.
KR10-2003-7011933A 2001-03-17 2002-03-14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KR20030084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3619 2001-03-17
JPJP-P-2001-00123619 2001-03-17
PCT/JP2002/002399 WO2002074128A1 (fr) 2001-03-17 2002-03-14 Dispositif a sangle extensible et sac pourvu de ce disposit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986A true KR20030084986A (ko) 2003-11-01

Family

ID=1897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933A KR20030084986A (ko) 2001-03-17 2002-03-14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69068B2 (ko)
EP (1) EP1378187B1 (ko)
JP (1) JPWO2002074128A1 (ko)
KR (1) KR20030084986A (ko)
CN (1) CN1200630C (ko)
AT (1) ATE330502T1 (ko)
DE (1) DE60212605T2 (ko)
WO (1) WO2002074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8174U (en) * 2003-09-30 2004-10-21 Cellink Company Ltd Audio frequency transmission device
JP3959692B2 (ja) * 2004-01-12 2007-08-15 喜十郎 川北 伸縮自在のストラップ装置
KR20060067941A (ko) * 2006-05-30 2006-06-20 김종수 밴드 길이 조정에 대한 방법
NZ609162A (en) 2010-10-08 2015-02-27 Resmed Ltd Unobtrusive nasal mask
CN102367711A (zh) * 2011-09-28 2012-03-07 苏州苏鼎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带钥匙的把手
CN103099612A (zh) * 2011-11-09 2013-05-15 泰博科技股份有限公司 充气式臂套及调整装置
JP5561626B2 (ja) * 2012-04-20 2014-07-30 鈴木 久美子 馬具
US8885338B1 (en) * 2012-06-15 2014-11-11 Timothy E. Simpson Computer tablet holder
CN103431610A (zh) * 2013-08-27 2013-12-11 鲁凌波 一种背带伸缩扣具装置的技术方法
JP6755710B2 (ja) * 2016-05-19 2020-09-16 コンビ株式会社 固定具
US9729186B1 (en) * 2016-08-29 2017-08-08 Allen Dill Mobile phone holder
JP6825345B2 (ja) * 2016-12-14 2021-02-03 マックス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
US11006716B2 (en) * 2018-08-13 2021-05-18 Becklin Holdings, Inc. Magnetic retractable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832A (en) * 1899-10-14 1900-05-15 Alfred W Furnivall Convertible handle and strap.
US1640522A (en) * 1926-11-24 1927-08-30 White Handle for hand bags and the like
US2247867A (en) * 1938-02-10 1941-07-01 Carl A Baumann Saxophone cord
US3117607A (en) * 1963-04-02 1964-01-14 Warren Featherbone Co Diaper carrying bag
US3559853A (en) * 1969-04-14 1971-02-02 Robert H Strassman Camera strap with free-floating loops at both ends
US3912141A (en) * 1974-03-19 1975-10-14 Emma Appel Adjustable handle
JP2760995B2 (ja) 1988-08-10 1998-06-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H0247875U (ko) * 1988-09-29 1990-04-03
AU644819B2 (en) * 1989-11-21 1993-12-23 Major Co. Ltd. Device for lodging a suspending strap for a portable object
DE4015606A1 (de) * 1990-05-15 1991-11-21 Ulrich Ewringmann Tragegurt fuer kameras, wie fotoapparate, filmkameras, videokameras o. dgl. und kamera-tragesystem mit einem solchen tragegurt
US5370286A (en) * 1993-02-26 1994-12-06 Newman; Arthur J. Adjustable strap
US5603545A (en) * 1995-06-07 1997-02-18 Benson; Michael Universal strap
US5950893A (en) * 1995-12-19 1999-09-14 Bruce Heggeland, Inc. Convertible strap and handle construction for luggage
US5713439A (en) * 1996-02-12 1998-02-03 Samsonite Corporation Dual point auxiliary luggage attachment system
JP2847642B2 (ja) 1996-10-17 1999-01-20 正幸 平 ショルダーベルト付き鞄
JPH10248617A (ja) * 1997-03-11 1998-09-22 Naoko Hirota バッグ
JP2982772B2 (ja) * 1997-11-26 1999-11-29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トラップ収納構造
US5897039A (en) * 1998-04-22 1999-04-27 Swenke; J. Kevin Retractable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69068B2 (en) 2003-12-30
US20020129439A1 (en) 2002-09-19
ATE330502T1 (de) 2006-07-15
CN1200630C (zh) 2005-05-11
EP1378187A1 (en) 2004-01-07
EP1378187B1 (en) 2006-06-21
DE60212605D1 (de) 2006-08-03
CN1498086A (zh) 2004-05-19
WO2002074128A1 (fr) 2002-09-26
DE60212605T2 (de) 2007-06-21
JPWO2002074128A1 (ja) 2004-07-08
EP1378187A4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4986A (ko) 신축 가능한 스트랩 및 그것을 구비하는 백
US5366072A (en) Storage pouch and eyeglass neckstrap tensioning device
US8267289B2 (en) Wearable wallet
JP2938356B2 (ja) 背負い具用ひも及び背負い具
EP0344001B1 (en) Closure mechanism
US11363877B2 (en) Backpack system having a deployable frame
JP6283783B1 (ja) 鞄の補助袋
JP3359627B2 (ja) 伸縮自在なストラッ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グ
TWI646918B (zh) handbag
CN117223172A (zh) 可调服装及耳塞保持装置
JP2021112450A (ja) バッグ
KR20200033357A (ko) 보조수납부가 구비된 배낭
KR102241744B1 (ko) 타월을 구비한 가방
JP3222666U (ja) 抱っこ紐
KR102594302B1 (ko)
KR100478250B1 (ko) 배낭
JP2006249627A (ja) ケーブル収納型上着
KR100356554B1 (ko) 배낭및배낭용스트랩
JP4226460B2 (ja) ウエストベルト付き釣り用ケ−ス
JP5376179B2 (ja) キャリーバッグ用ハンドルカバー
TW202348153A (zh) 用於儲存衣物之儲存系統及包含其之衣物組合
JP2005206969A (ja) 絞り機構付き製品
JP2007110907A (ja) 釣竿ケ−ス
JPH07327734A (ja) 背負い式バッグ
JP2001095625A (ja) 背負い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