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587A -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방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방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587A
KR20030084587A KR10-2003-0018126A KR20030018126A KR20030084587A KR 20030084587 A KR20030084587 A KR 20030084587A KR 20030018126 A KR20030018126 A KR 20030018126A KR 20030084587 A KR20030084587 A KR 2003008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ble
duct
wedge element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레구스타프쓴
Original Assignee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filed Critical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8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량의 유극(4:play)을 두고 행하며, 파이프(2)와 상기 파이프(2)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3)의 횡방향의 상대적 변위를 방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8)로 된 적어도 일부(8)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어서, 파이프(2)에 케이블(3)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8) 내에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4)을 억제하기 위해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천연의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를 국부적으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 방해하는 방법{METHOD FOR IMPEDING TRANSVERSE RELATIVE DISPLACEMENTS OF A PIPE AND AT LEAST ONE CABLE}
본 발명은 소정량의 횡방향 유극(play)을 두고 파이프 그리고 그 파이프 속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의 변위를 방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며 각각 케이블과 파이프로 제조된 조립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테이식(stayed)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케이블이라 함은 특히 현수교, 케이블 스케이식 교량, 스타디움 루프(stadium roofs), 건물, 전기(전자)통신탑 등과 같은 스테이식 구조물의 건축을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을 지칭한다.
그러한 케이블은 보호 배관 내에 매립되는 하나 이상의 가닥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그러한 케이블의 가닥의 다발로 구성된다.
가령, 개개의 가닥은 각각 금속 가닥들로 제조된 복수개의모노스트랜드(monostrands)로 제조된다.
개개의 가닥은 알(bare)금속 가닥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윤활 및 피복된 모노스트랜드로 제조된다.
파이프라 칭하는 것은 특히 강고한 외부 스테이 파이프인데, 이는 케이블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케이블의 충분한 캡슐화를 성취한다.
스테이들로 된 시스템의 건설 중에 파이프(또한 스테이 파이프라 칭하기도 함)는 케이블(또한 스테이 케이블이라 칭하기도 함)을 위해 마련된 정박지(anchorage)의 두 지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케이블은 특히 케이블 가닥들의 연속적인 도입을 통해 파이프 내에 구축된다.
구축 방법은 케이블의 외경보다 현저하게 더 큰 내경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내포한다.
따라서 스테이가 건조되었을 때, 파이프와 케이블 사이에는 현저한 유극이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유극은 바람의 작용과 같은 파이프의 외면에 가해지는 이동력의 영향하에서 두 개의 요소(즉, 상기 파이프와 상기 케이블)에 대한 횡방향 변위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동력의 강도가 변동할 때(변화할 때), 케이블이 덜커덕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체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는 소음 및 기계적인 작용이 야기된다.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하나의 결과는 소정량의 횡방향 유극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조립되는 파이프(가령, 스테이 파이프)와 케이블(가령, 스테이 케이블)의 상대적 변위를 간단하고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또 하나의 결과는 파이프와 케이블의 상이한 형상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얻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그 주제로서 소정량의 유극을 두고 파이프 그리고 상기 파이프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횡방향의 상대적 변위를 방해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며, 이 방법은 특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방법은
예정된 종방향 길이로 된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어서, 파이프에 케이블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케이블과 파이프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을 억제하기 위해 케이블과 파이프 사이에 천연의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를 국부적으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케이블과 파이프로 각각 제조된 조립체들 즉, 전술한 방법에 따라 서로에 대해 고정된 케이블과 파이프로 제조된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고,
또한 전술한 형태의 조립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구조물들에 관한것이다.
도 1은 케이블과 파이프로 각각 만들어진 두개의 조립체가 있는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체 중 하나를 이루는 케이블과 파이프의 확대도로서,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바람의 영향을 받은 케이블과 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킨 케이블과 파이프의 단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의 두 변형예에 따라 고정시키는 동안의 파이프와 케이블의 두개의 부분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고정 중의 파이프와 케이블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파이프
3 : 케이블
4 : 유극
8 : 선택된 파이프 일부
9 : 쐐기 요소
15 : 덕트
16 : 인접 단부
17 : 원격 단부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겠지만,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조립체(1)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2)와 이 파이프(2)에 계합되는 하나의 케이블(3)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가령, 파이프(2)의 외면(6)에 가해지는 이동력(5)의 영향하에 두개의 요소 즉, 상기 파이프(2)와 상기 케이블(3)에 대한 횡방향 변위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횡방향 유극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이동력(5)을 큰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었으며, 파이프(2)의 변위 결과는 미세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었다.
파이프와 케이블은 각각 소정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1,L2)를 가지며, 케이블(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이프(2)내에 계합되지만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종방향의 전체 길이(L2)에 걸쳐서 계합된다.
파이프(2)와 케이블(3)에 대한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는 케이블(3) 및/또는 파이프(2)의 가요성이 교량(7)과 같은 스테이식 구조물(7)의 경우에 빈번한 그러한 변위를 허용하기에 충분할 때 예견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자 그러한 구조물(7)을 현저히 단순하게 그리고 크게 확대하여 상세히 도시하였다.
케이블(3)은 각각 그 단부(30, 31)가 고정 기구(70, 7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고정 기구는 구조물(7)에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파이프(2)의 단부(20, 21) 또한 케이블(3)의 단부들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기구(70, 7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 기구(70, 71)의 기술적인 상세한 사항은 본 발명에 직관된 것이 아니므로 더 상세히 도시하거나 나타내지도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이동력(5)의 강도(세기)가 변동(변화)할 경우 그 이동력(5)은 케이블(3)상의 파이프(2)의 덜거덕거림을 야기할 수 있는데, 이는 파이프(2)와 케이블(3)의 조립체의 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는 기계적 작용과 소음을 유발한다.
비록 교량(7)과 같은 스테이식 구조물(7)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덜거덕거림 현상은 그와 같은 스테이식 구조물(7)에 대해 전형적인 것이다.
이는 용어 케이블(3)이 특히(배타적은 아님) 현수교, 케이블 스테이식 교량, 스타디움 루프, 건물, 전기(전자) 통신탑 등과 같은 스테이식 구조물(7)의 구축(건설)에 사용되는 케이블(3)을 지칭하는 이유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는 현수교(7)의 스테이 케이블과 같은 스테이 케이블로 이루어진 케이블(3)을 보호하도록 의도된 파이프이며, 이 경우에 전술한 이동력은 특히 바람의 영향으로부터 야기된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2)와 이 파이프 내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3)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 방해하는 그리고 소정량의 횡방향 유극을 두고 그렇게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방법은
예정된 종방향 길이(L8)로 된 파이프(2)의 적어도 일부(8)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어서, 파이프(2)에 케이블(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8) 내에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4)를 억제하기 위해 케이블과 파이프 사이에 천연(nature)의 적어도 하나의 쐐기(wedging) 요소(9)를 국부적으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쐐기 요소(9)는 응고가능한 물질(10)을 파이프(2) 속에 국부적으로 주사함으로써 구축된다.
주목할 만한 방법으로서, 개개의 쐐기 요소(9)를 만드는 데에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질(10)을 국부적으로 상기 파이프(2) 내에 국부적으로 주사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1)가 가로지르게 되는데 이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예정된 위치에서 파이프 벽(12)내에 사전에 마련된다.
당업자라면 개개의 파이프(2)의 위치와 길이(L8)를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함에 있어서 쐐기 요소(9)가 형성되어야 한다.
물질(10)을 파이프(2)속에 주사하는 것이 파이프(2)의 벽의 사전에 선택된 부분(8)에 미리 만들어진 오리피스(11)를 통하여 실행되어야 할 경우에, 당업자라면 이 파이프(2) 속으로 물질(10)을 주사하는 작업을 위해 파이프(2)의 벽(12)에오리피스(11)를 천공하는 작업에 가장 적합한 수단을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를 알수 있을 것이다.
천공(관통) 수단을 도시하지는 않았다.
주사 수단은 원(90)으로 표시하여 간단하게 나타내었다(도 7).
본 발명의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물질(10)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해 상기 파이프(2) 내에 국부적으로 주사된다:
- 인접 단부(16)라 칭하는 덕트(15)의 일단부(16)가 파이프(2)의 외측에 위치하게 하고 원격 단부(17)라 칭하는 덕트(15)의 타단부(17)가 파이프(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덕트(15)를 상기 파이프 내에 배치하고, 모든 상기 가닥들(13)을 파이프(2) 내에 배치한 후에
- 상기 원격 단부(17)를 선택된 파이프 부분(8) 내에 배치하여 쐐기 요소(9)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덕트(15)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파이프(2) 내에 덕트(15)의 상기 원격 단부(17)의 위치를 조정하고,
- 상기 물질(10)을 인접 단부(16)로부터 덕트(15) 속으로 주사하고 그렇게 함에 있어서 쐐기 요소(9)가 형성될 때까지 상기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 위치하는 원격 단부(17)를 통하여 상기 물질(10)이 다시 나오도록 한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케이블(3)은 복수개의 가닥(13)으로 만들어지며 이들 가닥은 예정된 수효의 가닥(13)의 다발(14)을 구성하기 위해 파이프(2)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파이프(2) 내에 케이블(3)을 구성하는 기법은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 상세히 묘사하지는 않는다.
더욱이, 당업자라면 파이프(2)에 케이블(3)을 구축하는 다른 기술들을 알기 마련이고 본 발명의 방법은 그러한 기술들과 무관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개개의 덕트(15)는 적어도 케이블이 파이프(2) 내에 형성된 후에 그 파이프 내에 배치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케이블(3)이 상기 파이프(2) 내에 형성되기 전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복수개의 쐐기 요소(9)를 파이프(2) 내에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쐐기 요소(9)가 형성되어야 하는 다른 선택된 파이프 부분(8)속으로 덕트(15)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덕트(15)의 원격 단부(17)를 이동시키고
상기 쐐기 요소를 형성하고, 모든 쐐기 요소(9)가 형성될 때까지 그 절차를 계속 수행한다.
주목할만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 내에서 상기 덕트(15)의 상기 원격 단부(17)의 위치는 특히 인접 단부(16)로부터 상기 덕트(15)에 견인을 통해 작용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 파이프(2) 내에 원격 단부(17)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파이프(2) 외측에 위치하는 덕트(15)의 인접 단부(16)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덕트(15) 상의 제어된 견인을 실행하고,
- 덕트(15)를 파이프(2) 내에 배치할 때 그 인접 단부(16)에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그러한 조정이 파이프(2) 내에 덕트(15)의 원격 단부(17)의 위치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덕트(15)를 원격 단부(17)가 소정의 어떤 방식으로든 쐐기 요소(9)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덕트(2)의 제1 부분(8)을 향해 당겨질 수 있도록 배치한다.
가령, 덕트(15)의 인접 단부(16)는 그 양 단부 영역(20, 21)중 하나의 레벨에서 파이프를 지나 통과하며, 파이프(2) 내에서의 원격 단부(17)의 위치 조정은 상기 덕트(15)에 그리고 이어서 인접 단부(16)에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실행된다.
덕트(15)의 인접 단부(16) 역시 파이프(2)의 벽(12) 내에 특별히 제조된 절삭부를 통하여 파이프를 너머 통과한다.
주목할만한 방식에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개재하도록 의도된 쐐기 요소(9)를 수용하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종방향 길이(L8)에 대한 치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쐐기 요소(9)를 형성하는 물질(10)의 능력을 파이프(2) 및/또는 케이블(3)의 변위를 방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한다.
주목할만한 방식에 있어서, 횡방향 저부(18)와 횡방향 상부(19)를 갖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서 쐐기 요소(9)는 케이블(3)을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상부(19) 내의 파이프(2)와 접촉시키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저부(18)에 만들어진다.
주목할만한 또 다른 방식에 있어서, 횡방향 저부(18)와 횡방향 상부(19)를 갖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서 쐐기 요소(9)는 케이블(3)을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상부(19) 내의 파이프(2)와 접촉시켜 유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저부(18)에 만들어진다.
이미 기술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되어지는 즉, 전술한 방법에 따라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지는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되는 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되는 조립체(1)는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한데, 이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가 상기 케이블(3)과 상기 파이프(2) 사이에 국부적으로 구축되어 배치되며, 그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는 천연(nature)이므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4)를 억제하게 된다.
그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되는 조립체(1)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가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파이프(2)와 케이블(3) 사이에 구축되어 배치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한데, 상기 쐐기 요소(9)는 응고 가능한 물질(10)을 파이프(2) 속으로 주사시킴으로써 구축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형태의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조립체(1)를 포함하는 구조물(7)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량의 횡방향 유극을 두고 서로에 대해 조립되는 파이프(가령, 스테이 파이프)와 케이블(가령, 스테이 케이블)의 상대적 변위를 간단하고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와 케이블의 상이한 형상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소정량의 유극(4:play)을 두고 행하며, 파이프(2)와 상기 파이프(2)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3)의 횡방향의 상대적 변위를 방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8)로 된 적어도 일부(8)를 선택하는 단계와,
    이어서, 파이프(2)에 케이블(3)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파이프의 적어도 일부(8) 내에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4)을 억제하기 위해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천연(nature)의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를 국부적으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요소(9)는 응고가능한 물질(10)을 파이프(2) 속에 국부적으로 주사시킴으로써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10)을 상기 파이프(2) 속에 국부적으로 주사함에 있어, 선택된 파이프 일부(8) 상의 예정된 위치에서 미리 파이프 벽(12)에 마련한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11)를 가로지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인접 단부(16)라 칭하는 덕트(15)의 일단부(16)가 파이프(2)의 외측에 위치하게 하고 원격 단부(17)라 칭하는 덕트(15)의 타단부(17)가 파이프(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덕트(15)를 상기 파이프 내에 배치하고, 모든 상기 가닥들(13)을 파이프(2) 내에 배치한 후에
    상기 원격 단부(17)를 선택된 파이프 부분(8) 내에 배치하여 쐐기 요소(9)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덕트(15)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파이프(2) 내에 덕트(15)의 상기 원격 단부(17)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물질(10)을 인접 단부(16)로부터 덕트(15) 속으로 주사하고 그렇게 함에 있어서 쐐기 요소(9)가 형성될 때까지 상기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 위치하는 원격 단부(17)를 통하여 상기 물질(10)이 다시 나오게 하는 단계
    에 의하여 상기 물질(10)을 상기 파이프(2)에 국부적으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파이프(2)와 이 파이프(2) 속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3)의 횡방향의 상대적 변위를 방해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케이블(3)은 파이프(2) 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닥(13)으로 이루어져 예정된 수효의 가닥(13)으로 된 다발(14)을 구성하게 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케이블(3)이 상기 파이프(2) 내에 형성된 이후에 개개의 덕트(15)를 파이프 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파이프(2)에 복수개의 쐐기 요소(9)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
    덕트(15)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덕트(15)의 원격 단부(17)를 쐐기 요소가 형성되어질 또 다른 선택된 파이프 일부(8) 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쐐기 요소를 형성하고, 모든 쐐기 요소(9)가 형성될 때까지 상기 공정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 내의 상기 덕트(15)의 상기 원격 단부(17)의 위치는 특히 그 인접 단부(16)로부터 견인(력)을 통하여 상기 덕트(15)에 대해 작용시킴으로써 조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파이프(2) 내에서 원격 단부(17)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파이프(2) 외측에 위치하는 덕트(15)의 인접 단부(16)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덕트(15) 상에 제어된 견인(력)을 가하고,
    덕트(15)를 파이프(2) 내에 배치할 때 그 인접 단부(16)에 견인(력)을 가함으로써 그러한 조정이 파이프(2) 내에서 덕트(15)의 원격 단부(17)의 위치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덕트(15)를 원격 단부(17)가, 쐐기 요소(9)의 형성을 위해 선택된 덕트(2)의 제1 부분(8)을 향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당겨질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개재하도록 의도된 쐐기 요소(9)를 수용하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종방향 길이(L8)에 대한 치수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쐐기 요소(9)를 형성하는 물질(10)의 능력을 파이프(2) 및/또는 케이블(3)의 변위를 방해하기 위해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횡방향 저부(18)와 횡방향 상부(19)를 갖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서 케이블(3)을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상부(19) 내의 파이프(2)와 접촉시키게 하는 방식으로 쐐기 요소(9)를 상기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저부(18)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횡방향 저부(18)와 횡방향 상부(19)를 갖는 선택된 파이프 부분(8)에서 케이블(3)을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상부(19) 내의 파이프(2)와 접촉시켜 유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쐐기 요소(9)를 상기 선택된 파이프 부분(8)의 횡방향 저부(18)에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개개의 쐐기 요소(9)를 제조하는 데에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한 조립체(1)에 있어서,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치수(L8)의 적어도 일부(8)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쐐기 요소(9)가 케이블(3)과 상기 파이프(2) 사이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구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파이프 일부(8)에 있어 케이블(3)과 파이프(2) 사이에 존재하는 횡방향 유극(4)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는 천연(na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되는 조립체에 있어서, 파이프(2)의 예정된 종방향 길이(L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서 파이프(2)와 케이블(3)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 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 요소(9)는 응고가능한 물질(10)을 파이프(2) 속에 국부적으로 주사함으로써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한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7).
  16. 제1항 내지 제12항에서 언급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 파이프(2)와 케이블(3)로 제조한 하나 이상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테이 구조물(7).
KR10-2003-0018126A 2002-04-22 2003-03-24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방해하는 방법 KR20030084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05328A EP1357229B1 (en) 2002-04-22 2002-04-22 Method for impeding transverse relative displacements of a pipe and at least one cable
EP02405328.2 2002-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587A true KR20030084587A (ko) 2003-11-01

Family

ID=2868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126A KR20030084587A (ko) 2002-04-22 2003-03-24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방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007430B2 (ko)
EP (1) EP1357229B1 (ko)
JP (1) JP4275449B2 (ko)
KR (1) KR20030084587A (ko)
CN (1) CN100354476C (ko)
AT (1) ATE458090T1 (ko)
AU (1) AU2003203770B2 (ko)
DE (1) DE60235347D1 (ko)
ES (1) ES2341320T3 (ko)
HK (1) HK1060164A1 (ko)
PT (1) PT1357229E (ko)
RU (1) RU231980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9395B2 (en) 2002-07-22 2011-06-14 Brooks Automation, Inc.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7988398B2 (en) 2002-07-22 2011-08-02 Brooks Automation, Inc. Linear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DE102007017697A1 (de) 2007-04-14 2008-10-23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Zugglied für Bauwerk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602706B2 (en) 2009-08-17 2013-12-10 Brooks Automation, Inc.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5571411B2 (ja) * 2010-02-23 2014-08-1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制振ケーブル
CN104746428A (zh) * 2013-12-31 2015-07-01 上海浦江缆索股份有限公司 拉索制作的精度控制方法
CN105088950B (zh) * 2014-05-13 2017-10-0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外层有聚脲防护材料的钢绞线拉索及其制作方法
CN105088947B (zh) * 2014-05-13 2017-10-03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填充或涂覆有聚脲防护材料的钢丝拉索的制作方法
CN105463998A (zh) * 2016-01-06 2016-04-06 柳州东方工程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斜拉索外置式减震装置的安装方法
CN105755956A (zh) * 2016-04-29 2016-07-13 重庆万桥交通科技发展有限公司 斜拉桥用新型斜拉索
CN110593097B (zh) * 2019-09-04 2021-06-15 郭斌 一种悬索桥主缆预成型索股制造及入鞍系统
WO2021180298A1 (en) * 2020-03-09 2021-09-16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a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with a cable, an anchorage, a compacting clamp unit and a recess pip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285A (en) * 1973-05-14 1975-11-04 Interpace Corp Collar for joint of underground pipe
US3935685A (en) * 1974-06-07 1976-02-03 Howlett Machine Works Anchor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372706A (en) * 1980-10-06 1983-02-08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Emergency cable gripper
JPS6059350B2 (ja) * 1983-02-01 1985-12-24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ケ−ブルの防食被覆方法
JPS60154405U (ja) * 1984-03-26 1985-10-15 株式会社 春本鉄工所 橋梁ケ−ブルの外装材
US5079879A (en) * 1987-08-24 1992-01-14 Alan Rodriguez Anti-corrosive post-tensioning anchorage system
JPH06136718A (ja) * 1991-09-27 1994-05-17 Nkk Corp ケ−ブル制振装置
FR2712900B1 (fr) * 1993-11-22 1996-02-02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procédés et dispositifs pour mettre en place des gaines discontinues sur des câbles et aux câbles ainsi gainés.
DE4433847C2 (de) * 1994-09-22 1997-09-25 Dyckerhoff & Widmann Ag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r Vergußmasse in einen Hohlraum
DE29506476U1 (de) * 1995-04-15 1996-08-14 Dyckerhoff & Widmann Ag Vorrichtung zur Verwendung beim Einführen der einzelnen Zugelemente eines frei gespannten Zugglieds
DE19528999C2 (de) * 1995-08-07 2000-01-05 Pfleiderer Verkehrstechnik Verbindung von Spannbetonelementen und Verfahren hierzu
DE29517250U1 (de) * 1995-10-31 1995-12-14 Dyckerhoff & Widmann Ag Abstützung eines freien Zugglieds, vorzugsweise eines Schrägseils einer Schrägseilbrücke
JPH09302615A (ja) * 1996-05-20 1997-11-25 P S Co Ltd 架空ケーブルの防振構造
US6138309A (en) * 1997-12-10 2000-10-31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Tension members for erecting structures
JP2000328517A (ja) * 1999-05-17 2000-11-28 Hayakawa Rubber Co Ltd ケーブルの制振装置
US6327825B1 (en) * 2000-04-24 2001-12-11 Charles Pankow Builder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ositioning high-strength cables within a precast moment resisting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7229B1 (en) 2010-02-17
JP4275449B2 (ja) 2009-06-10
EP1357229A1 (en) 2003-10-29
AU2003203770A1 (en) 2003-11-06
HK1060164A1 (en) 2004-07-30
US7007430B2 (en) 2006-03-07
JP2003313819A (ja) 2003-11-06
AU2003203770B2 (en) 2009-09-17
CN1453427A (zh) 2003-11-05
US20030196827A1 (en) 2003-10-23
ES2341320T3 (es) 2010-06-18
CN100354476C (zh) 2007-12-12
RU2319804C2 (ru) 2008-03-20
PT1357229E (pt) 2010-05-17
ATE458090T1 (de) 2010-03-15
DE60235347D1 (de)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84587A (ko) 파이프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의 상대적인 횡방향 변위를방해하는 방법
CA1050233A (en) Removable press anchor with destructible anchor body
AU2018218297B2 (en) Anchor device for prestressed diaphragm wall
KR101605512B1 (ko) 부분철근 및 균열유도를 이용한 변형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구조
WO2004033843A3 (en) Subterranean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subterranean structures
JP4719625B2 (ja) 橋梁落橋防止装置の設置方法
JP200505453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2079710B1 (ko) 강선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JP2005068861A (ja) トンネルの合流,分岐構造
JP3938777B2 (ja) 横断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横断地下構造物
JP2989547B2 (ja) 法面保護工法
JPH063575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部分のプレストレス孔にプレストレス鋼材を挿入する方法
US5924250A (en) Sealing arrangement in a bundled tension member for prestressed concrete
US5090176A (en) Method of positioning concrete slabs on girders
KR200259095Y1 (ko) 영구형 앵커
JP2008002154A (ja) セグメントユニット
JP6878124B2 (ja) アンカー及び支持構造
JPH03197718A (ja) 解除可能なプレストレスを有する床材およびその床材を用いて鋳造壁技術により堀割をつくる方法
JP2539319B2 (ja) ア―スアンカ―の定着工法
KR200168601Y1 (ko) 언본디드 피.에스.씨-아이빔.
JP3430073B2 (ja) 盛土アンカーの施工方法
JPH0696858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施工法
JPH1136230A (ja) 既存橋脚の補強構造
KR100601793B1 (ko) 에이치 파일과 내민보를 이용한 확장도로 및 그도로확장공법
JP3595422B2 (ja) 耐震性地中構造物及び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