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747A -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747A
KR20030083747A KR10-2003-7012169A KR20037012169A KR20030083747A KR 20030083747 A KR20030083747 A KR 20030083747A KR 20037012169 A KR20037012169 A KR 20037012169A KR 20030083747 A KR20030083747 A KR 2003008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unsaturated carboxylic
vinyl unsaturated
mixture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트비저프란츠카를하인츠
슈타인페터
게예르베르너
바르텔토마스
Original Assignee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8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74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2Compounds containing oxygen but no hal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고분자량 PMMA 또는 PMMI 시럽 상을 사용하면, 충전제의 분포가 중합반응 동안 균일하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충전제가 중합반응 뱃치에 분포됨으로써 균일한 발포재가 생성된다.

Description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PMI syrup phases and their use for stabilizing non-soluble additive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중합체 첨가제에 대한 PMI 시럽 상(1) 및 불용성 첨가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상기한 PMI 시럽 상의 용도(2)에 관한 것이다.
PMI 시럽 상은 제1 단계에서 중합되고, 제2 단계에서 발포된다. 발포 생성물은 룀 게엠베하(Rohm GmbH)사에서 로하첼R(Rohacell)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된다. 로하첼R은 독립 기공 발포체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 구조물 및 항공기 구조물에 사용된다.
선행 분야
본 발명은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중합체 블록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단량체는 2개의 편평한 평행판, 일반적으로 유리판 사이에 충전시킨다. 불용성 첨가제의 첨가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내의 첨가제의 분포가 침강으로 인해 불균일해지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하기에시럽 상으로 언급한 고점성 중합체 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시럽 상은 중합반응 전에 제조한 용액의 점도가 특정 공정에 의해 실질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특징이다. PMMA(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중의 시럽 상의 용도는 본원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예비중합반응이 수행되며, 단량체가 연속적으로 첨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은 단량체 분획 및 중합체 분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기에 PMMA 시럽 상으로 언급한다. 이러한 경우, 최종 중합반응은 또한 2개의 편평한 평행판 사이에서 수행된다. 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기타 불용성 첨가제 뿐만 아니라, 불용성 착색제를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 뱃치내로 도입시키면, 이들의 분포가 균일해지고 주조 공정시 수행되는 중합반응 동안 어떠한 침강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중합반응 및 발포는 2개의 개별적인 공정 단계이다.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90/2621호에는 중합반응 동안 침전물이 조급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공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발포체가 기재되어 있다. 형성된 발포체는 매우 균일하며, 생성물은 어떠한 내부응력도 갖지 않는다.
독일 특허원 제197 17 483호에는 MgO를,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중량% 첨가하는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열기계적 특성이 개선된 발포체가 수득된다.
독일 특허원 제196 06 530호에는 폴리메타크릴이미드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방염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에어로졸은 미분된 실리카를 의미하는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특허문헌에는 이러한 PMMA 시럽 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나, PMI(폴리메타크릴이미드) 시럽 상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PMI 시럽 상은 PMI 제조에 필요한 단량체에서 임의의 유형의 하나 이상 이상의 중합체 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에 확대, 기재되어 있다.
비치환된 폴리메타크릴이미드의 합성은 일반적으로 메타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에 의해 수행된다. 중간체로서 수득한 개환되거나 이미데이트화된 예비중합체는 이의 단량체 내에서 불용성이다. 이는 상기한 방식, 즉 예비중합반응에 의해 시럽이 제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불용성 성분이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로하첼로 혼입되는 것은 지금까지는 단지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였다. 각각의 경우, 뱃치의 증점은 중합반응 동안 불용성 성분의 침강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는, 종래에는 4가지의 상이한 가능한 방법에 의해 성취되었다.
1. 에어로실[데구사 휠스(Degussa Huls)사의 에어로실 200]의 첨가. 에어로실은 틱소트로피 현탁액을 제공한다. 에어로실은 미분된 실리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카본 블랙[아크조 노벨(AKZO Nobel)사의 KB 600]의 첨가. KB 600은 틱소트로피 현탁액이 된다.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침강이 충분히 억제되지 않으며, 따라서, 당해 방법은 연구시 추가로 고려되지 않았다.
방법(1) 및 (2)가 사용되는 경우, 불용성 성분의 혼입은 현탁액의 틱소트로피성으로 인해 문제를 제기한다. 울트라투랙스(Ultraturrax)를 사용함으로써 완전한 혼합이 가능하지만, 울트라투랙스와 같이 고전단 영역을 형성하며, 이러한 방식에서 다량의 에너지를 반응 현탁액내로 도입시키는 교반 기술은 가열되거나 분쇄되지 않을 수 있는 개시제 및 현탁 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는, 예를 들면, 상기한 개시제 이외에, 중공 미소구 또는 미세캡슐화된 액체 또는 고체를 포함한다.
목적
로하첼을 신규한 적용에 유용하게 하기 위해, 이의 전기적 성질, 자기적 성질 또는 발화성을 개질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매우 빈번하게 무기 또는 기타 불용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불용성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포된 중합 단위로서 주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로하첼 내로 혼입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무기 또는 기타 불용성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르는 시럽 상을 사용하여 제조된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은 열화되지 않으며, 무기 및 기타 불용성 첨가제에 의해 도입된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PMI 시럽 상을 개발하고자 한다.
성취
상기한 목적은 PMI 제조에 필요한 단량체에 임의의 목적하는 중합체를 용해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이에는, 예를 들면, PMMA 및/또는 PMMI(폴리-N-메틸메타크릴이미드)가 포함되는데, 이는 특히 우수한 혼입성에 의해 일련의 수용성 중합체에 분포되어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한 시럽 상은 특히 고분자량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후자는 특히 에멀젼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면, 룀 게엠베하에 의해 제조된 데갈란(Degalan) BT 310이라는 제품이 이에 사용된다. 용해된 PMMA의 양은 일반적으로 용매로서 작용하는 단량체 혼합물 1g당 PMMA 0.005 내지 0.40g이다.
폴리-N-메틸메타크릴이미드를 첨가한 시럽 상은 압출 중합체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룀 게엠베하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미드(Pleximid) 8817이라는 제품이 이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내용매성인 PMMI는 놀랍게도 메타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산과의 혼합물에서 가용성이다. 용해된 PMMI의 양은 일반적으로 단량체 혼합물 1g당 PMMI 0.005 내지 0.60g이다.
예기된 바와 같이, 중합반응은 첨가한 중합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기계적 특성은 첨가에 의해 개질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수평균 분자량: 4 x 106g/mol) 1.0kg을 메타크릴로니트릴 3.1kg과 메타크릴산 6.9kg과의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한 원액은 용매 1g당 중합체가 0.1g인 중합체 농도를 갖는다. 원액은 또한 동일한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가의 농도로 희석시킨다. 용액의 점도는 DIN 53019 또는 ISO 3219에 따라 전단 속도의 함수로서 23℃에서 조사되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농도(C)는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위로 뾰족한 백색 삼각형);(도 1에서 백색 사각형);(도 1에서 백색 원);(도 1에서 백색 마름모);(도 1에서 아래로 뾰족한 백색 삼각형);(도 1에서 위로 뾰족한 회색 삼각형);(도 1에서 회색 사각형);(도 1에서 회색 원);(도 1에서 회색 마름모);(도 1에서 아래로 뾰족한 회색 삼각형).
실시예 2:
폴리-N-메틸메타크릴아미드(DIN 1133에 따른 용융물 용적량: 1cm3/분) 1.0kg을 메타크릴로니트릴 4.38kg과 메타크릴산 5.62kg과의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한 원액은 용매 1g당 중합체가 0.1g인 중합체 농도를 갖는다. 원액은 또한 동일한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가의 농도로 희석시킨다. 용액의 점도는 DIN 53019 또는 ISO 3219에 따라 전단 속도의 함수로서 23℃에서 조사되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농도(C)는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위로 뾰족한 백색 삼각형);(도 2에서 백색 사각형);(도 2에서 백색 원);(도 2에서 백색 마름모);(도 2에서 아래로 뾰족한 백색 삼각형);(도 2에서 위로 뾰족한 회색 삼각형);(도 2에서 회색 사각형);(도 2에서 회색 원);(도 2에서 회색 마름모);(도 2에서 아래로 뾰족한 회색 삼각형).
실시예 3:
이소프로판올 295g 및 포름아미드 126g을 취입제로서 메타크릴산 5,260g, 메타크릴로니트릴 4,380g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20g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또한,t-부틸 퍼벤조에이트 4g, 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3g, t-부틸 퍼벤조에이트 10g, 쿠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10.3g 및 이형제 15g[예: PAT 1037; 제조사: 에 운트 페 뷔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E. und P. Wurtz GmbH & Co. KG)]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N-메틸메타크릴이미드 6,000g(DIN 1133에 따른 용융물 용적량: 1cm3/분)을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당해 혼합물을 크기가 50cm x 50cm이고 가장자리 밀봉 두께가 2.2cm인 2개의 유리판으로부터 형성된 챔버에서 40℃에서 43시간 동안 중합시킨 다음, 50℃에서 50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최종적으로 중합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40 내지 115℃의 가열 프로그램 범위로 17.25시간 동안 가열한다. 추가로 수행할 필요없이 210℃ 및 220℃에서 2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한 발포체의 밀도는 각각 65kg/m3및 50kg/m3이다.
실시예 4:
이소프로판올 295g 및 포름아미드 126g을 취입제로서 메타크릴산 5,260g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4,380g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또한, t-부틸 퍼벤조에이트 4g, 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4g, t-부틸 퍼벤조에이트 10g, 쿠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10g 및 이형제 15g[예: PAT 1037; 제조사: 에 운트 페 뷔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N-메틸메타크릴이미드4,000g(DIN 1133에 따른 용융물 용적량: 1cm3/분)을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DSM사의 멜라푸어(Melapur) 200이라는 제품 1,000g을 불융성 성분으로서 첨가한다. 멜라푸어는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이다.
당해 혼합물을 크기가 50cm x 50cm이고 가장자리 밀봉 두께가 2.2cm인 2개의 유리판으로부터 형성된 챔버에서 40℃에서 92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최종적으로 중합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40 내지 115℃의 가열 프로그램 범위로 17.25시간 동안 가열한다. 추가로 수행할 필요없이 200℃, 210℃, 225℃ 및 230℃에서 2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한 발포체의 밀도는 각각 106kg/m3, 79kg/m3, 60kg/m3및 54kg/m3이다. 이와 같이 수득한 모든 발포체는 불용성 성분의 침전물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5:
이소프로판올 290g 및 포름아미드 290g을 취입제로서 메타크릴산 5,000g, 메타크릴로니트릴 5,000g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7g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또한, t-부틸 퍼벤조에이트 4g, 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3.6g, t-부틸 퍼벤조에이트 10g, 쿠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10.3g 및 이형제 16g[예: PAT 1037; 제조사: 에 운트 페 뷔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50g(수평균 분자량: 4 x 106g/mol)을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당해 혼합물을 크기가 50cm x 50cm이고 가장자리 밀봉 두께가 2.2cm인 2개의 유리판으로부터 형성된 챔버에서 40℃에서 40.5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최종적으로 중합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40 내지 115℃의 가열 프로그램 범위로 17.25시간 동안 가열한다. 추가로 수행할 필요없이 200℃, 220℃ 및 230℃에서 2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한 발포체의 밀도는 각각 99kg/m3, 52kg/m3및 42kg/m3이다.
실시예 6:
이소프로판올 290g 및 포름아미드 290g을 취입제로서 메타크릴산 5,620g, 메타크릴로니트릴 4,380g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17g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또한, t-부틸 퍼벤조에이트 4g, 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3.6g, t-부틸 퍼벤조에이트 10g, 쿠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10.3g 및 이형제 16g[예: PAT 1037; 제조사: 에 운트 페 뷔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350g(수평균 분자량: 4 x 106g/mol)을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당해 혼합물을 크기가 50cm x 50cm이고 가장자리 밀봉 두께가 2.2cm인 2개의 유리판으로부터 형성된 챔버에서 40℃에서 40.5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최종적으로 중합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40 내지 115℃의 가열 프로그램 범위로 17.25시간 동안가열한다. 추가로 수행할 필요없이 200℃, 220℃ 및 230℃에서 2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한 발포체의 밀도는 각각 94kg/m3, 51kg/m3및 40kg/m3이다.
실시예 7:
물 216g 및 포름아미드 242g을 취입제로서 메타크릴산 3,132g과 메타크릴로니트릴 2,004g과의 혼합물에 첨가한다. 또한, t-부틸 퍼벤조에이트 2.06g, t-부틸 퍼-2-에틸헥사노에이트 2.06g, t-부틸 퍼벤조에이트 3.82g, 쿠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5.12g, 산화아연 36g 및 이형제 7.68g[예: PAT 1037; 제조사: 에 운트 페 뷔르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6.5g(수평균 분자량: 4 x 106g/mol)을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당해 혼합물을 크기가 50cm x 50cm이고 가장자리 밀봉 두께가 2.2cm인 2개의 유리판으로부터 형성된 챔버에서 41℃에서 92시간 동안 중합시킨다. 최종적으로 중합시키기 위해, 중합체를 40 내지 115℃의 가열 프로그램 범위로 17.25시간 동안 가열한다. 추가로 수행할 필요없이 180℃에서 2시간 동안 후속적으로 발포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한 발포체의 밀도는 60kg/m3이다.

Claims (12)

  1.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과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를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합반응이, 폴리메타크릴이미드의 제조에 필요한 단량체 혼합물에 대해 가용성인 중합체의 시럽 상 고점성 용액 속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과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를 시럽 상의 존재하에 주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된 시럽이 고분자량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N-메틸메타크릴이미드(PMMI)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이 메타크릴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가 메타크릴로니트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 대 비닐계 불포화 카복실산 유도체의 중량 비가 80:20 내지 4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럽 상의 양이, 비닐계 불포화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단량체 혼합물 1g당 중합체 0.005 내지 0.6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PMMA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0 내지 12,000,000g/mo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PMMI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500,000g/mo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제조에 필요한 반응 혼합물에 대해 불용성인 분획을 중합체성 그룹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400중량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제조에 필요한 반응 혼합물에 대해 가용성인 분획을 중합체성 그룹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400중량부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1. 제9항에 있어서, 발포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2. 제10항에 있어서, 발포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KR10-2003-7012169A 2001-03-21 2002-03-05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KR200300837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3899A DE10113899A1 (de) 2001-03-21 2001-03-21 PMI - Sirupphasen und deren Verwendung zur Stabilisierung nicht löslicher Additive
DE10113899.7 2001-03-21
PCT/EP2002/002365 WO2002077082A1 (de) 2001-03-21 2002-03-05 Pmi-sirupphasen und deren verwendung zur stabilisierung nicht löslicher addit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747A true KR20030083747A (ko) 2003-10-30

Family

ID=767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169A KR20030083747A (ko) 2001-03-21 2002-03-05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7247694B2 (ko)
EP (1) EP1377630B1 (ko)
JP (1) JP4260484B2 (ko)
KR (1) KR20030083747A (ko)
CN (1) CN1215106C (ko)
AT (1) ATE488544T1 (ko)
AU (1) AU2002249255B2 (ko)
CA (1) CA2441429C (ko)
CZ (1) CZ20032545A3 (ko)
DE (2) DE10113899A1 (ko)
ES (1) ES2355892T3 (ko)
HK (1) HK1063192A1 (ko)
HU (1) HUP0303485A3 (ko)
IL (2) IL156846A0 (ko)
MX (1) MXPA03008007A (ko)
NO (1) NO20033983L (ko)
NZ (1) NZ526970A (ko)
PL (1) PL202596B1 (ko)
RU (1) RU2292363C2 (ko)
TW (1) TW572909B (ko)
WO (1) WO2002077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78B1 (ko) * 2005-11-01 2007-03-28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의장문자 발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0484A1 (de) * 2001-10-16 2003-05-08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ubstituierten Polymethacrylimiden aus Poly-Alkylmethacrylamid-co-alkylmethacrylaten unter Verwendung von Cyclodextrinen
US20090054741A1 (en) * 2005-03-29 2009-02-26 Inverness Medical Switzerland Gmbh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 patient
DE102010040286A1 (de) * 2010-08-31 2012-03-01 Evonik Röhm Gmbh PMI-Schäume mit verbesser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insbesondere mit erhöhter Reißdehnung
DE102011085026A1 (de) * 2011-10-21 2013-04-25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rngrenzenhaftung von expandierten Copolymeren auf Basis von Methacryl- und Acrylverbindungen und Anhaftung diverser Deckschichten auf dem Schaumkern
EP2945994B1 (en) 2013-01-18 2018-07-11 Basf Se Acrylic dispersion-based coating compositions
CN107629162B (zh) 2017-10-31 2020-04-14 浙江中科恒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步投料凝胶法制备聚(甲基)丙烯酰亚胺泡沫的方法
JP2023547244A (ja) 2020-10-29 2023-11-09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フォームフィルムの製造用のフォーム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21641A (en) * 1952-09-30 1955-01-12 Dental Fillings Ltd Improvements in the polymerisation of methacrylic esters
US2921045A (en) * 1955-05-05 1960-01-12 North American Aviation Inc Bonding material containing methacrylic acid and partially polymerized methylmethacrylate
GB1078425A (en) * 1964-03-23 1967-08-09 Sekisui Kagaku Gogyo Kabushiki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cellular synthetic resin structure
DE1595214C3 (de) * 1964-09-19 1978-03-30 Roe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durch Erhitzen schäumbaren Polymerisaten
DE1923393B2 (de) * 1969-05-08 1973-07-26 Deutsche Gold- Und Silber-Scheideanstalt Vormals Roessler,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substanzpolymerisation von vinylverbindungen
DE2757489C3 (de) * 1977-12-22 1981-12-24 Elteka Kunststoff-Technik Gmbh, 7950 Biberach Schichtstoffplatte
DE2822884A1 (de) * 1978-05-26 1979-11-29 Roehm Gmbh Polyacryl- oder polymethacrylimid- schaumstoffproduk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822885C2 (de) * 1978-05-26 1986-08-07 Röhm GmbH, 6100 Darmstadt Polyacryl- oder Polymethacrylimid- Schaumstoffproduk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927122A1 (de) * 1979-07-05 1981-01-08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ichtwerkstoffen aus hartschaumstoff und faserverstaerktem kunststoff
DE2929165C2 (de) * 1979-07-19 1981-12-24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umstoffplatte
DE3826469A1 (de) * 1988-08-04 1990-02-08 Roehm Gmbh Hartschaum als kernmaterial fuer schichtwerkstoffe
US4918110A (en) * 1988-09-12 1990-04-17 Hexcel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oducing foam plastics
US5102940A (en) * 1990-03-26 1992-04-07 Rohm And Haas Company Stabilization of methacrylic polymers against sterilizing radiation
JPH04170408A (ja) * 1990-11-01 1992-06-18 Mitsubishi Rayon Co Ltd 発泡性プラスチックス及び発泡プラスチックスの製法
DE4036052C2 (de) * 1990-11-13 1997-05-07 Roehm Gmbh Verfahren zur Verminderung von Spannungen in Schaumstoffblöcken aus Polymethacrylimid
DE4142575A1 (de) * 1991-12-21 1993-06-24 Basf Ag Poly(meth)acrylimide
JP3298215B2 (ja) * 1993-03-26 2002-07-02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屈折率分布を有する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DE4313715A1 (de) * 1993-04-27 1994-11-03 Roehm Gmbh Hochgefülltes, geschäumtes Polymermaterial
DE19513171A1 (de) * 1995-04-07 1996-10-31 Roehm Gmbh Polymeres Verbundsystem
DE19606530C2 (de) * 1996-02-22 1998-04-02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thacrylimid-Schaumstoffen mit flammhemmenden Zusätzen und danach hergestellte Schaumstoffe
DE19717483C2 (de) * 1997-04-25 2000-05-04 Roehm Gmbh Polymethacrylimid-Schaum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9917987A1 (de) * 1999-04-21 2000-10-26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ockförmigen Polymethacrylimidschaumstoffen
NZ506318A (en) * 1999-08-20 2002-02-01 Sumitomo Chemical Co Methacrylic resin board used for producing bathtubs and bas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78B1 (ko) * 2005-11-01 2007-03-28 승보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의장문자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14772D1 (de) 2010-12-30
HUP0303485A3 (en) 2010-07-28
IL156846A0 (en) 2004-02-08
TW572909B (en) 2004-01-21
MXPA03008007A (es) 2003-12-11
CZ20032545A3 (cs) 2004-02-18
CA2441429A1 (en) 2002-10-03
HUP0303485A2 (hu) 2004-01-28
WO2002077082A1 (de) 2002-10-03
EP1377630B1 (de) 2010-11-17
PL202596B1 (pl) 2009-07-31
ATE488544T1 (de) 2010-12-15
CN1491252A (zh) 2004-04-21
JP2004526841A (ja) 2004-09-02
WO2002077082A9 (de) 2003-11-06
PL362785A1 (en) 2004-11-02
RU2292363C2 (ru) 2007-01-27
NZ526970A (en) 2005-02-25
RU2003131190A (ru) 2005-05-10
DE10113899A1 (de) 2002-10-02
HK1063192A1 (en) 2004-12-17
NO20033983D0 (no) 2003-09-09
EP1377630A1 (de) 2004-01-07
NO20033983L (no) 2003-09-09
JP4260484B2 (ja) 2009-04-30
CA2441429C (en) 2009-12-22
IL156846A (en) 2007-07-04
CN1215106C (zh) 2005-08-17
US20050014918A1 (en) 2005-01-20
US7247694B2 (en) 2007-07-24
AU2002249255B2 (en) 2006-08-17
ES2355892T3 (es) 201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7864B2 (en) Production of fine-pored PMMA foams using nucleating agents
KR100801275B1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의 2단계 제조방법
EP2327475A2 (en) Thermally-expandable microspheres having good foaming characteristics and uniform microsphere diameter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U2016239618B2 (en) Production of a PMMA foam using cross-linking agents, regulators and blowing agents
CN111111573A (zh) 一种超声热膨胀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030083747A (ko) 폴리메타크릴이미드(pmi) 시럽 상 및 불용성 첨가제를안정화시키기 위한 이의 용도
CN108912383B (zh) 超高温可膨胀热塑性微球及其应用
CN112679791B (zh) 可替代无机白色填料的发泡热膨胀微球及制备方法和用途
CN112321961A (zh) 高性能聚苯乙烯增韧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572013B1 (ko) 현탁중합으로 입도분포도가 균일한 비닐계 고분자 입자의제조방법
KR20030031090A (ko) 은 나노입자를 함유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나노복합체의제조.
EP1572765A1 (de) Derivatisierung hochmolekularer polymethacrylimide
CN116425919B (zh) 聚(甲基)丙烯酰亚胺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
EP0645420B1 (de) Polymethacrylat-Formkörper aus gehärteten Giessharzen mit besonderer Mikrodomänenstruktur
CN118027282A (zh) 一种均质吸波聚甲基丙烯酰亚胺泡沫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173849A (zh) 一种多相结构膨胀微球及其制备方法
TH956EX (th) การผลิตสารกระจายตัวของโพลิเมอร์ และสารผสมเคลือบผิวที่ได้จากสารกระจายตัวเหล่านั้น
KR20070017330A (ko) 착색제용 현탁 안정제로서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시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