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070A - 첩부제 - Google Patents

첩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070A
KR20030080070A KR10-2003-7011662A KR20037011662A KR20030080070A KR 20030080070 A KR20030080070 A KR 20030080070A KR 20037011662 A KR20037011662 A KR 20037011662A KR 20030080070 A KR20030080070 A KR 2003008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tyrene
acid
group
hydro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6642B1 (ko
Inventor
다떼이시데쯔로
데라하라다까아끼
히고나루히또
Original Assignee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8Ergoline derivatives, e.g. lysergic acid, ergot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기제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점착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으로,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충분히 높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약물을 피부로부터 투여할 때에 약물투여효과를 충분히 고수준이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첩부제{PATCH AGENT}
종래, 약물 투여법으로 정제, 캡슐제, 시럽제 등을 사용하는 경구투여법이 알려져 있는데, 최근 이들 약물을 첩부제를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투여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첩부제를 사용하는 투여법은, 경구투여법에 있어서의 문제점 해소와 함께, 투여회수의 감소, 컴플라이언스의 향상, 투여 및 그 중지의 용이성 등의 이점을 갖기 때문에, 특히 노인이나 소아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약물 투여법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정상 피부의 각질층은 이물이 체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배리어기능을 갖고 있어, 통상의 첩부제에 사용되고 있는 기제에서는 배합된 약효성분의 충분한 경피흡수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 각질층은 지용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약물의 투과성이 현저하게 낮다. 따라서 첩부제를 사용하여 피부로부터 약물을 투여할 때에는, 피부의 각질층을 통하는 약물의 경피흡수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각종 경피흡수촉진제를 함유하는 흡수촉진제의 조성이나 점착제 성분의 최적화가 검토되고 있다. 특히 첩부제의 점착기제에 관해서는, 각종 (점착성) 고분자를 배합하여, 제제물성이나 최적한 약물용해성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아크릴계 고분자, 고무계 고분자 또는 실리콘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 재료가 감압성 접착제 기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분자 재료는 각각 약물 경피흡수성에 대한 특징이 다르다. 예를 들어 비교적 약물의 용해도가 낮은 고무계 고분자는 약물의 경피흡수성은 높으나, 함유 가능한 약물의 양에 한계가 있으므로 첩부 중에 약물 흡수 속도의 저하가 발생하기 쉽고, 그 결과 약물 혈중 농도가 저하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신약과 임상, 48, 1015-1-24, 1993). 또 고무계 고분자는 약물의 용해도가 낮으므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제 중에서의 약물 결정화가 일어나기 쉽고, 충분한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아크릴계 고분자는, 고무계 고분자에 비하여 약물의 용해성은 높지만 약물 흡수가 낮다. 따라서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한 첩부제에 있어서, 필요한 약물 흡수를 얻기 위해서는 약물의 농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제제시에 충분한 제제물성을 얻을 수 없거나 비용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의 각각을 사용한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복수의 고분자가 배합된 점착기제를 사용하는 벙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표공보 평4-502719호에는, 아세트산비닐/에틸렌코폴리머와 아크릴계 고분자와의 폴리머 혼합물, 천연 혹은 합성고무, 그리고 점착성 부여제가 배합된 감압접착성 피부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허공표공보평9-511987호에는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 고무, 약제 및 가용성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첩부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점착기제로서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사용하는 첩부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을 첩부제의 점착기제에 사용한 경우에도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약물에 의한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기는 매우 곤란하였다. 또 가용성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한 경우에는 충분한 점착물성이 얻어지기 어려워지고, 나아가서는 그 제조공정도 번잡해지는 등 제제물성이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충분히 높고, 약물을 피부로부터 투여할 때에 약물투여효과를 충분히 고수준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종래의 감압성 접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대부분은 가교하기 위한 반응점으로서 그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COOH) 나 수산기 (-OH) 를 갖고 있고, 이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한 첩부제에 있어서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접착기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기제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점착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COOH) 및 수산기 (-OH) 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점착기제를 사용함으로써,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의 쌍방을 충분이 높일 수 있으므로, 약물을 피부로부터 투여했을 때의 약물투여효과를 충분히 고수준이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또는 테트라에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의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그리고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고무,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약제가, 염기성 약물 및 이들 약리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르골라이드, 페르골라이드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 옥시부티닌 및 옥시부티닌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접착기제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로서, 점착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사용되는 지지체로서는, 점착제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천, 부직포,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시트, 또는 이들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두께가 5∼100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첩부할 때의 작업 용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으로 지지체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첩부제의 제조공정에서 지지체 또는 첩부제의 절단이 곤란해지는 등 제조 용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체 상에, 점착기제 및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접착기제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기, -COOH) 및 수산기 (-OH) 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란, 그 분자 중에 가교시의 반응점이 될 수 있는 카르복실기나 수산기를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를 말한다. 이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또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의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그리고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를 들 수 있다. 또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의 상품예로서는, 내쇼날스타치 & 케미컬사로부터 공급되는 DURO-TAK87-2097, DURO-TAK87-4098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또는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아크릴계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원료 모노머 중에 카르복실기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가 불순물로서 미량 존재하거나, 중합시에 열열화 등의 부반응이 일어나면, 얻어지는 아크릴계 고분자 중에 불순물에서 유래하는 카르복실기나 수산기가 도입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는, 본 발명의 첩부제가 갖는 충분히 높은 약제의 피부투과성과 충분히 높은 제제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중의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는, 그 제조공정에서의 불순물의 혼입이나 열열화 등의 부반응에서 유래하는 것이더라도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점착기제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2∼6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아크릴게 고분자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첩부제의 응집력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고무계 고분자란, 천연 또는 합성의 탄성 폴리머를 말한다. 이와 같은 고무계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실리콘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면,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고무계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고무계 고분자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점착기제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2∼6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계 고분자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첩부제의 점착력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 하기 (1)∼(4)
(1)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또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의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조합
(2)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조합
(3)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조합
(4)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코폴리머E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이소부틸렌과의 조합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조합 그리고, (2)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의 조합은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보다 고수준으로 달성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기제에 약물이 배합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최면ㆍ진정제 (염산플루라제팜, 염산릴마더폰, 페노발비탈, 아모발비탈 등), 해열소염진통제 (타르타르산부톨파놀, 시트르산페리속살, 아세트아미노펜, 메페남산, 디클로페낙나트륨, 아스피린, 아르크로페나크, 케토프로펜, 플루루비프로펜, 나프록센, 피록시캄, 펜타조신, 인도메타신, 살리실산글리콜, 아미노피린, 록소프로펜 등),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히드로콜티존, 프레드니조론, 덱사메타존, 베타메타존 등), 흥분ㆍ각성제 (염산메탄페타민, 염산메틸페니데이트 등), 정신신경용제 (염산이미프란, 디아제팜, 염산셀트라린, 말레산플루복사민, 염산팔로크세틴, 브롬화수소산시타로프람, 염산플루옥세틴, 알프라조람, 할로페리돌, 크로미프라민, 아미트리프티린, 데시플라민, 아모쿠사핀, 마프로티린, 미안세린, 세티푸티린, 트라자돈, 로헤플라민, 미루나시푸란, 듀로크세틴, 벤라페키신, 염산크롤프로마딘, 티오리다진, 디아제팜, 메프로바메이트, 에티조람 등), 호르몬제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리올, 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노르에티스테론, 아세트산메테로논, 테스토스테론 등), 국소마취제 (염산리드카인, 염산프로카인, 염산테트라카인, 염산디부카인, 염산프로피토카인 등), 요소기관용제 (염산옥시부티닌, 염산탐스로신, 염산프로피베린 등), 골격근이완제 (염산티자니딘, 염산에페리존, 메실산프리디놀, 염산스키사메토늄 등), 생식기관용제 (염산리트드린, 타르타르산메르아드린), 항간질제 (벌프로산나트륨, 크로나제팜, 카르바마제핀 등), 자율신경용제 (염화카르프로늄, 브롬화네오스티그민, 염화베타네콜 등), 항파킨슨병제 (메실산페르골라이드, 메실산브로모클리푸틴, 염산트리헥시페니딜, 염산아만다진, 염산로피니롤, 염산타리페키솔, 카벨고린, 드록시드파, 피페리딘, 염산세레기린 등), 이뇨제 (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프로세미드 등), 호흡촉진제 (염산로베린, 디모르포라민, 염산나록손 등), 항편두통제 (메실산디히드로엘고타민, 스마트립탄, 타르타르산엘고타민, 염산플루나리딘, 염산사이프로헵타딘 등), 항히스타민제 (푸말산크레마스틴, 탄닌산디펜히드라민, 말레산크롤페닐라민, 염산디페닐피라린, 프로메타딘 등), 기관지확장제 (염산트로부테롤, 염산프로카테롤, 황산살브타몰, 염산크렌부테롤, 브롬화수소산페노테롤, 황산테르부타린, 황산이소프레날린, 푸마르산호르모테롤 등), 강심제 (염산이소프레날린, 염산도파민 등), 관혈관확장제 (염산지르티아젬, 염산베라파밀, 질산이소솔비드, 니트로글리세린, 니코란딜 등), 말초혈관확장제 (시트르산니카메타트, 염산트라졸린 등), 금연보조약 (니코틴 등), 순환기관용제 (염산플루나리진, 염산니칼디핀, 니트렌디핀, 니솔디핀, 페로디핀, 베실산아무로디핀, 니페디핀, 니르바디핀, 염산마니디핀, 염산베니디핀, 말레산에나라프릴, 염산데모카프릴, 아라세프릴, 염산이미다프릴, 시라자프릴, 리시노프릴, 카프토프릴, 트랜드라프릴, 페린드프릴엘부민, 아테노롤, 푸마르산비소플로롤, 타르타르산메토플로롤, 염산베타키소롤, 염산아로티노롤, 염산세리플로롤, 카르베디롤, 염산카르테오롤, 염산베반트롤, 발사르탄, 칸데살탄시레크세틸, 로살탄칼륨, 염산크로니딘 등), 부정맥용제 (염산프로플라노롤, 염산아르플레노롤, 염산프로카인아미드, 염산멕시틸렌, 나도롤, 디소피라미드 등), 항악성궤양제 (시클로포스파미드, 플루오로우라실, 데카풀, 염산프로카르바딘, 라님스틴, 염산이리노테칸, 플루리딘 등), 고지혈증제 (플라바스타틴, 신바스타틴, 베자피블레이트, 프로브콜 등), 혈당강하제 (글리벤클라미드, 크롤프로파미드, 톨루부타미드, 글리미딘나트륨, 글리부졸, 염산부포르민), 소화성궤양치료제 (프로글루미드, 염산세트라키서트, 스피조프론, 시메티딘, 브롬화글리코피로늄), 이단제 (우루소데스옥시콜산, 오살미드 등), 소화관운동 개선제 (돈펠리돈, 시사프리드 등), 간장질환용제 (티오프로닌 등), 항알레르기제 (푸마르산케토티펜, 염산아젤라스틴 등), 항바이러스제 (아시크로빌 등), 진운제 (메실산베타히스틴, 염산디페니돌 등), 항생제 (세파롤리딘, 세프디닐, 세프포독심프로크세틸, 세파크롤, 클라리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메틸에리스로마이신, 황산카나마이신, 사이클로세린, 테트라사이클린, 벤질페니실린칼륨, 프로피실린칼륨, 크록사신나트륨, 암피실린나트륨, 염산바캄피실린, 카르베니실린나트륨, 클로람페니콜 등), 습관성중독용제 (시아나미드 등), 식욕억제제 (마진돌 등), 화학요법제 (이소니아시드, 에티오나미드, 피라디나미드 등), 혈액응고촉진제 (염산티크로피딘, 와르파린칼륨), 항알츠하이머제 (피조스티그민, 염산도네페딜, 타크린, 아레콜린, 크사노멜린 등), 세로트닌 수용체 길항제토제 (염산온단세트론, 염산그라니세트론, 염산라모세트론, 염산아자세트론 등), 통풍치료제 (코르히틴, 프로베네시드, 술핀피라존 등), 마약계의 진통제 (시트르산펜타닐, 황산모르피네, 염산모르피네, 인산코데인, 염산코카인, 염산페티딘 등) 등, 또는 이들 약리상 허용되는 무기염 또는 유기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약물 중에서도, 염기성 약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이 바람직하고, 페르골라이드, 페르골라이드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 옥시부티닌, 옥시부티닌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약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약물의 배합량은 그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나,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5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기제 및 약물에 첨가하여, 유기산류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유기산류로서는, 지방족 (모노, 디, 트리) 카르복실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젖산, 말레산, 피루빈산, 옥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등), 방향족 카르복실산 (프탈산, 살리실산, 벤조산, 아세틸살리실산 등), 알킬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필술폰산, 부탄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폰산 등), 알킬술폰산 유도체 (N-2-히드록시에틸피페리딘-N'-2-에탄술폰산, 코올산 유도체 (데히드로코올산 등), 또는 이들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산류 중에서도, 모노카르복실산류 또는 알킬술폰산류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산류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기산류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점착제층 중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5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1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산류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유기산류의 배합에 의한 약물의 피부투과성 향상효과가 불충분해지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피부자극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기제, 약물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유기산류에 추가하여 흡수촉진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흡수촉진제로서는 종래 피부에서의 흡수촉진작용이 보이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6∼20 의 지방산,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드, 또는 에테르류, 방향족 유기산, 방향족 알코올, 방향족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포화, 불포화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젖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모노테르펜계 화합물,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에이존 (Azone), 에이존 (Azone) 유도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Span계), 폴리솔베이트계 화합물 (Tween계),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계 화합물 (HCO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식물유 등을 흡수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흡수촉진제 중에서도, 카프릴산, 카프린산, 카프론산, 라우린산, 밀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라우릴알코올, 밀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 라우린산메틸, 라우린산헥실,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밀리스틴산이소프로필, 밀리스틴산밀리스틸, 밀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세틸, 살리실산,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계피산, 계피산메틸, 크레졸, 젖산세틸, 젖산라우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게라니올, 티몰, 오이게놀, 테르피네올, 1-멘톨, 보르네오롤, d-리모넨, 이소오이게놀, 이소보르네올, 네롤, d1-캠퍼, 글리세린모노카플리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플레이트,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솔베이트20,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HCO-60, 피로티오데칸, 올리브유가 바람직하고, 라우릴알코올, 밀리스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라우린산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린모노카플리레이트, 글리세린모노카플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피로티오데칸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흡수촉진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흡수촉진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5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촉진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흡수촉진제의 배합에 의한 약제의 피부투과성 향상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으로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부종 등의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가소제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석유계 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 방향족계 프로세스오일 등), 스쿠와란, 스쿠와렌, 식물계 오일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톨유, 낙화생유), 실리콘오일, 이염기산에스테르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 액상 고무 (폴리부텐, 액상 이소프렌고무), 액상 지방산 에스테르류 (밀리스틴산이소프로필, 라우린산헥실, 세바스산디에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등),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시트르산트리에틸, 크로타미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소제 중에사도, 유동파라핀, 액상 폴리부텐, 크로타미톤, 세바신산디에틸, 라우린산헥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가소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소제의 배합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5∼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6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0∼5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가소제의 배합에 의한 첩부제의 응집력 향상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약제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점착성을 부여한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성 부여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로진 유도체 (로진,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수첨 로진, 수첨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등),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알콘 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등),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쿠인톤B-170 (닛뽕제온사 제조) 등), 테르펜 수지 (클리아론P-125 (야스하라케미컬사 제조) 등), 말레산레진 등을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수첨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성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접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5∼7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6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50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성 부여 수지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점착성 부여 수지의 배합에 의한 첩부제의 점착력 향상효과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첩부제를 박리할 때의 피부자극성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충전제, 방부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점착제층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항산화제로서는, 토코페롤 및 이들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노르디히드로과이어레틴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이 바람직하고 ;
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이 바람직하고 ;
가교제로서는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알키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계 가교제,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의 무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이 바람직하고 ;
자외선흡수제로서는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항산화제, 충전제, 방부제, 자외선흡수제 각각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방부제 및 자외선흡수제의 합계량은,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화합물 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중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지지체 상에 배치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점착기제 및 약물,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상기 다른 성분의 혼합물을 열융해시켜 지지체에 도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첩부제가 점착제층 상에 이형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열융해시킨 상기 혼합물을 이형지에 도공한 후, 도공면 상에 지지체를 붙이거나, 열융해시킨 상기 혼합물을 지지체에 도공한 후, 도공면 상에 박리지를 붙임으로써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열융해시키는 대신에,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 헥산, 아세트산에틸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도공액을 사용함으로써도, 본 발명의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첩부제는, 1층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 약물의 피부투과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에서 2층 이상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착제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2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막두께가 상기 하한값 미만이면 약물의 피부투과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첩부 후에 점착제가 피부에 부착된 채로 잔존되는 현상 (점착제 남음) 이 일어나기 쉬워지는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첩부제가 이형지를 구비하는 경우, 이와 같은 이형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필름, 상질지와 폴리올레핀과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박리지에 있어서는,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측의 면에 실리콘 처리를 실시하면, 첩부제로부터 이형지를 박리할 때의 작업 용이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첩부제의 제작)
셀트라린, 피로티오데칸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어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알콘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첨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0%
아크릴계 고분자 10.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32.0%
유동파라핀 30.0%
피로티오데칸 3.0%
셀트라린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피부투과성 시험)
얻어진 첩부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수순에 따라 피부투과성 시험을 실행하였다.
먼저 헤어리스 마우스의 배부 피부를 박리하고, 진피측을 리셉터측 층으로 하여, 37℃의 온수를 외주부에 순환시킨 플로우 스루 셀에 장착하였다. 다음에 피부의 각질층측에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의 첩부제 (모두 제제 적용 면적 5㎠) 를 첩부하고, 리셉터층으로서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5㎖/hr 로 2시간 마다 24시간까지 리셉터 용액을 샘플링하고, 그 유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약물농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1시간당 약물투과속도를 산출하고,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피부의 단위면적당 약물투과속도를 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제제물성 시험)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프로브 택 테스터 및 필 시험기에 의해 점착력을, 클리프 측정기에 의해 응집력을 각각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 :
A : 점착력, 응집력 모두 충분함
B : 점착력, 응집력의 적어도 일방이 불충분함
에 의거하여 제제물성을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대신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ㆍ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여,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1 20.3 A
비교예1 8.4 A
실시예 2-1
염산셀트라린, 피로티오데칸,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폴리이소부틸렌,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첨 로진에스테르 (에스테르검H,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폴리이소부틸렌 20.0%
아크릴계 고분자 10.0%
수첨 로딘에스테르 28.0%
유동파라핀 28.0%
피로티오데칸 3.0%
아세트산나트륨 3.0%
아세트산 3.0%
염산셀트라린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실시예 2-1 에 있어서의 폴리이소부틸렌 대신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고,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2-1 15.4 A
실시예2-2 18.8 A
비교예2 5.0 B
실시예 3
메실산페르골라이드, 글리세린모노카플리레이트,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4098, 내셔널 스타치 & 케미컬사 제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쿠인톤B170, 닛뽕제온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첨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0%
아크릴계 고분자 25.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33.0%
유동파라핀 18.0%
글리세린모노카플리레이트 5.0%
탄산나트륨 3.0%
아세트산 3.0%
메실산페르골라이드 3.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대신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2287, 내셔널 스타치 & 케미컬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여,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3 3.7 A
비교예3 0.3 A
실시예 4-1
메실산페르골라이드, 피로티오데칸,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공중합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알콘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2.0%
폴리이소부틸렌 15.0%
아크릴계 고분자 27.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20.0%
유동파라핀 18.0%
피로티오데칸 2.0%
아세트산나트륨 3.0%
메실산페르골라이드 3.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4-2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고,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4-1 1.7 A
실시예4-2 2.2 A
비교예4 0.4 A
실시예 5
프로카테롤, 피로티오데칸,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테르펜 수지 (클리아론P-125, 야스하라케미칼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0%
아크릴계 고분자 18.0%
테르펜 수지 : 21.0%
유동파라핀 27.0%
피로티오데칸 3.0%
아세트산나트륨 2.0%
아세트산 4.0%
프로카테롤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고,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5 3.0 A
비교예5 0.8 B
실시예 6
염산프로카테롤, 라우릴알코올,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수첨 로진에스테르 (KE-311,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첨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2.0%
아크릴계 고분자 18.0%
수첨 로진에스테르 25.0%
유동파라핀 24.0%
라우릴알코올 3.0%
아세트산나트륨 3.0%
염산프로카테롤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고,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6 1.9 A
비교예6 0.9 B
실시예 7
염산옥시부티닌,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4098, 내셔널 스타치 & 케미컬사 제조), 테르펜 수지 (클리아론P-125, 야스하라케미컬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9.0%
아크릴계 고분자 12.0%
테르펜 수지 29.0%
유동파라핀 25.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3.0%
아세트산나트륨 2.0%
염산옥시부티닌 10.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실시예 7 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대신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DURO-TAK87-2852, 내셔널스타치 & 케미컬사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여,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7 17.6 A
비교예7 6.8 A
실시예 8
염산옥시부티닌,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아르콘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0%
아크릴계 고분자 3.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39.0%
유동파라핀 25.0%
아세트산나트륨 3.0%
염산옥시부티닌 10.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비교예 8
실시예 8 에서 사용한 아크릴계 고분자 대신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ㆍ메타크릴산히드록시에스테르 공중합체)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고,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8 20.0 A
비교예8 7.4 A
실시예 9
염산온단세트론,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티렌,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테르펜 수지 (클리아론P-125, 야스하라케미컬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8.0%
폴리이소부틸렌 8%
아크릴계 고분자 14.0%
테르펜 수지 25.0%
유동파라핀 25.0%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3.0%
아세트산나트륨 2.0%
염산온단세트론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여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9 38.5 A
비교예9 21.1 B
실시예 10
온단세트론, 젖산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아르콘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2.0%
아크릴계 고분자 20.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31.0%
유동파라핀 19.0%
젖산 3.0%
온단세트론 5.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비교예 10
아크릴계 고분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여,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10 25.1 A
비교예10 19.8 B
실시예 11-1
염산옥시부티닌, 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 및 유동파라핀을 유발에 넣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지방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아르콘P-100, 아라카와화학공업사 제조), 아세트산에틸 및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9.5%
아크릴계 고분자 4.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24.0%
유동파라핀 35.0%
시트르산 1.5%
아세트산나트륨 6.0%
염산옥시부티닌 10.0%
를 갖는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도공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이형지 상에 도공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막 형성하며, 다시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지지체를 붙여 목적하는 첩부제를 얻었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2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 :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5.5%
폴리이소부티렌 4.0%
아크릴계 고분자 4.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 24.0%
유동파라핀 35.0%
시트르산 1.5%
아세트산나트륨 6.0%
염산옥시부티닌 10.0%
를 갖는 도공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3
아크릴계 고분자로서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대신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4
아크릴계 고분자로서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대신에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첩부제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투과성시험, 제제물성시험을 실행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1 에 나타낸다.
피부투과속도[㎍ㆍh-1ㆍm-2] 제제물성
실시예11-1 11.3 A
실시예11-2 17.7 A
실시예11-3 22.5 A
실시예11-4 24.2 A
비교예10 4.9 B
표 1∼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1-4 의 첩부제는 어느 것이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충분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약물의 피부투과성과 제제물성이 모두 충분이 높으므로, 약물을 피부로부터 투여할 때에 약물투여효과를 충분히 고수준이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점착기제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기제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은 아크릴계 고분자와 고무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첩부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부틸,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및 테트라에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의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E,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첩부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첩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첩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첩부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고분자가 아크릴산-2-에틸헥실ㆍN-비닐-2-피롤리돈ㆍ디메타크릴산-1,6-헥산글리콜 공중합체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고, 고무계 고분자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인 첩부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가, 염기성 약물 및 이들 약리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첩부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가, 페르골라이드, 페르골라이드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 옥시부티닌 및 옥시부티닌의 약리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인 첩부제.
KR1020037011662A 2001-03-07 2002-03-07 첩부제 KR100846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3767 2001-03-07
JP2001063767 2001-03-07
PCT/JP2002/002142 WO2002069942A1 (fr) 2001-03-07 2002-03-07 Timbre adhes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070A true KR20030080070A (ko) 2003-10-10
KR100846642B1 KR100846642B1 (ko) 2008-07-16

Family

ID=1892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662A KR100846642B1 (ko) 2001-03-07 2002-03-07 첩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88991B2 (ko)
EP (1) EP1366762B1 (ko)
JP (1) JP4261911B2 (ko)
KR (1) KR100846642B1 (ko)
CN (1) CN1250206C (ko)
BR (1) BR0207955A (ko)
ES (1) ES2559666T3 (ko)
WO (1) WO20020699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623A (ja) * 1997-07-28 1998-08-25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記録媒体
ATE353636T1 (de) * 1999-12-15 2007-03-1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dhäsive zubereitungen
DE10066158B4 (de) * 2000-08-24 2007-08-09 Neurobiotec Gmbh Verwendung eines transdermalen therapeutischen Systems zur Behandlung des Restless-Legs-Syndroms
DE10053397A1 (de) * 2000-10-20 2002-05-02 Schering Ag Verwendung eines dopaminergen Wirkstoffes zur Behandlung von dopaminerg behandelbaren Erkrankungen
DE10064453A1 (de) * 2000-12-16 2002-07-04 Schering Ag Verwendung eines dopaminergen Wirkstoffes zur Behandlung von dopaminerg behandelbaren Erkrankungen
JP4271028B2 (ja) * 2001-08-10 2009-06-03 久光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型製剤
DE10141650C1 (de) * 2001-08-24 2002-11-28 Lohmann Therapie Syst Lts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Fentanyl bzw. verwandten Substanzen
JP4213432B2 (ja) * 2002-08-28 2009-01-21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4354678B2 (ja) 2002-08-28 2009-10-2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WO2004024155A1 (ja) * 2002-09-13 2004-03-2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貼付剤
JP2004224741A (ja) * 2003-01-23 2004-08-12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ツロブテロール経皮吸収型製剤
DE10333393A1 (de) * 2003-07-23 2005-02-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dem Wirkstoff Pramipexol
EP1652508B1 (en) * 2003-07-31 2013-12-0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TW200514582A (en) * 2003-10-31 2005-05-0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Transderm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reducing side effect in pergolide therapy
JP4311728B2 (ja) * 2003-12-10 2009-08-12 ニチバン株式会社 経皮吸収型貼付剤
TWI341736B (en) 2003-12-26 2011-05-1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Anti-infammatory adhesive preparations
US20070190123A1 (en) * 2004-01-30 2007-08-16 Kazunosuke Aida Cover material and plaster with cover material
CA2561361C (en) * 2004-04-13 2012-01-17 Saitama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Crosslink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the skin
JP4272636B2 (ja) * 2004-04-13 2009-06-03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架橋型皮膚用粘着剤
US20080226697A1 (en) * 2004-04-21 2008-09-1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for External Use with Elevated Content of Absorption Promoter in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WO2005115355A1 (ja) * 2004-05-28 2005-12-08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貼付製剤
WO2005117886A1 (ja) * 2004-06-01 2005-12-15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貼付剤
EP1611882B1 (en) 2004-06-01 2010-04-0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patch
KR20070072867A (ko) * 2004-09-01 2007-07-06 넥스메드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경피성 항구토 전달 시스템, 이의 방법 및 조성물
JP4804007B2 (ja) 2005-01-13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製品
US20090012181A1 (en) * 2005-01-31 2009-01-08 Satoshi Amano Patch
EP1857103B1 (en) * 2005-02-28 2018-10-2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ransdermally absorbable preparation
CN101137356B (zh) * 2005-03-10 2012-10-10 久光制药株式会社 粘结剂及贴剂
US7890950B1 (en) 2005-05-31 2011-0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Software uninstallation that integrates transfer activation
JP5225100B2 (ja) 2005-12-20 2013-07-03 テイコク ファーマ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ドールセロトニン受容体作動薬の経皮投与方法及びそれを使用するための経皮組成物
US8524273B2 (en) 2006-02-28 2013-09-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EP2123296B1 (en) * 2007-01-31 2019-05-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juvant for transdermal or transmucosal administ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ITMI20080162A1 (it) * 2008-02-04 2009-08-05 Mugue S A S Di Villanova Maria Composizioni adesive in grado di rimuovere completamente acari, batteri, tarme, zecche, pulci, da tessuti, e pelo animale
EP2258355B1 (en) * 2008-02-27 2020-01-22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atch
EP2255802B1 (en) * 2008-02-27 2018-01-17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Adhesive skin patch and packaged product
US8765245B2 (en) * 2008-03-04 2014-07-01 Source One Distributors, Inc. Self adhering fabric patch
US8993083B1 (en) 2008-03-04 2015-03-31 Source One Tactical, Inc. Self adhering fabric patch
WO2009119673A1 (ja) 2008-03-25 2009-10-01 帝國製薬株式会社 経皮吸収製剤
EP2286814B1 (en) * 2008-05-15 2013-10-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ransdermal preparation containing palonosetron
GB0809905D0 (en) * 2008-06-02 2008-07-09 Secr Defence A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US8952038B2 (en) 2010-03-26 2015-02-10 Philip Morris Usa Inc. Inhibition of undesired sensory effects by the compound camphor
DK2552245T3 (en) 2010-03-26 2019-01-07 Philip Morris Products Sa INHIBITION OF SENSORY IRRITATION UNDER CONSUMPTION OF NON-SMOKABLE TOBACCO PRODUCTS
US8563031B2 (en) 2010-05-27 2013-10-22 Absize, Inc. Piroxicam-containing matrix patches and methods for the topical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 and inflammation therewith
NZ605352A (en) * 2010-06-30 2013-10-25 Nal Pharmaceuticals Ltd Process for producing glycosaminoglycans
KR20120107153A (ko) * 2011-03-15 2012-10-02 아이큐어 주식회사 펜타닐 경피 패치제
CA2833474C (en) * 2011-04-18 2017-09-19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ethod for producing patch, and patch
DE102011114411A1 (de) * 2011-09-26 2013-03-28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Pflaster mit einstellbarer Okklusion
DE102012013439A1 (de) * 2012-07-03 2014-01-23 Alfred E. Tiefenbacher (Gmbh & Co. Kg)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umfassend Rotigotin und Kristallisationsinhibitor
CN107582544A (zh) * 2012-08-24 2018-01-16 英特格拉斯疗法有限公司 用于增强治疗剂透皮递送的化学组合物和方法
JP5270035B1 (ja) * 2012-12-06 2013-08-21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7931B1 (ja) * 2012-12-27 2013-10-0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271792A1 (en) * 2013-03-14 2014-09-18 Noven Pharmaceuticals, Inc. Methylphenidate transdermal compositions with rubber-based adhesives
WO2014144109A1 (en) * 2013-03-15 2014-09-18 Naimco, Inc. Transdermal patch with non-water soluble adhesive and anesthetic
JP5415645B1 (ja) 2013-06-28 2014-02-12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の製造方法、貼付剤及び包装体
GB201317718D0 (en) 2013-10-07 2013-11-20 Buzzz Pharmaceuticals Ltd Novel formulation
JP5764687B1 (ja) * 2014-03-31 2015-08-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有機電子デバイス素子封止用樹脂組成物、有機電子デバイス素子封止用樹脂シート、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AU2015363883B2 (en) * 2014-12-18 2021-03-25 Icure Pharmaceutical, Inc Transdermal preparation containing donepezil as active ingredient
JP6176413B2 (ja) * 2015-01-30 2017-08-0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貼付剤
CN107921141A (zh) * 2015-08-27 2018-04-17 东洋油墨Sc控股株式会社 贴剂
GB201520647D0 (en) * 2015-11-23 2016-01-06 Buzzz Pharmaceuticals Ltd Transdermal patches
US20170273974A1 (en) 2016-03-24 2017-09-28 Medrx Co., Ltd Patch preparations with misuse prevention features
EP3434267B1 (en) * 2016-03-24 2023-07-26 MEDRx Co., Ltd. Patch preparation having misuse prevention characteristics
BR112019012573A2 (pt) 2016-12-20 2019-11-19 Lts Lohmann Therapie Systeme Ag sistema terapêutico transdérmico que contém asenapina e polissiloxano ou poli-isobutileno
EP3338768B1 (en) 2016-12-20 2019-10-30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ining asenapine
JP6704514B2 (ja) * 2017-04-25 2020-06-03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WO2019002204A1 (en) 2017-06-26 2019-01-0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INING ASENAPINE AND SILICONE-TYPE ACRYLIC HYBRID POLYMER
CN107375249A (zh) * 2017-07-26 2017-11-24 徐静 一种含罗匹尼罗的缓释透皮贴剂及其应用
CN110891563B (zh) 2017-08-01 2022-09-02 久光制药株式会社 贴剂
WO2019167694A1 (ja) * 2018-02-27 2019-09-06 久光製薬株式会社 メチルフェニデート含有貼付剤
CN108531097A (zh) * 2018-05-29 2018-09-14 惠州市浩明科技股份有限公司 皮肤抗过敏胶粘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082237A (zh) * 2018-05-29 2018-12-25 惠州市浩明科技股份有限公司 医疗用胶粘材料及其制备方法
BR112020026099A2 (pt) 2018-06-20 2021-03-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sistema terapêutico transdérmico que contém asenapina
JP7227144B2 (ja) * 2018-07-12 2023-02-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貼付剤
WO2020118091A1 (en) * 2018-12-05 2020-06-11 Starton Therapeutics, Inc. Ondansetron in-adhesive transdermal patch
CN114350291B (zh) * 2022-01-07 2022-12-23 广州鹿山新材料股份有限公司 耐水耐汗热熔压敏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494A (en) * 1969-04-01 1974-03-19 Alza Corp Bandage for the administration of drug by controlled metering through microporous materials
US4994267A (en) * 1988-03-04 1991-02-19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acrylic multipolymer drug delivery system
US4814168A (en) * 1988-03-04 1989-03-21 Noven Pharmaceuticals, Inc. Transdermal multipolymer drug delivery system
US5474783A (en) * 1988-03-04 1995-12-12 Noven Pharmaceuticals, Inc. Solubility parameter 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drug saturation concentration
US5656286A (en) * 1988-03-04 1997-08-12 Noven Pharmaceuticals, Inc. Solubility parameter 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drug saturation concentration
CA2000401C (en) 1988-10-11 1996-05-28 Masato Azuma Percutaneous pharmaceutical preparation
CA2090598A1 (en) 1992-03-04 1993-09-05 Kirti Himatlal Valia Titratable transdermal patch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substances
JP3066515B2 (ja) * 1992-11-11 2000-07-17 久光製薬株式会社 尿失禁治療用経皮投与製剤
US5635203A (en) * 1994-09-29 1997-06-03 Alza Corporation Transdermal device having decreased delamination
WO1996015776A1 (fr) * 1994-11-18 1996-05-30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Timbre absorbable par voie percutanee
JP3908795B2 (ja) * 1994-11-29 2007-04-25 久光製薬株式会社 ケトチフェン含有経皮投与製剤
JPH09143066A (ja) * 1995-11-24 1997-06-03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3699527B2 (ja) 1996-05-09 2005-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テープ製剤
JPH10179711A (ja) * 1996-12-24 1998-07-07 Teijin Ltd 医療用貼付材
IT1294748B1 (it) 1997-09-17 1999-04-12 Permatec Tech Ag Formulazione per un dispositivo transdermico
US6210705B1 (en) * 1997-12-15 2001-04-03 Noven Pharmaceuticals, 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with methylphenidate
DE19821788C1 (de) * 1998-05-15 1999-12-02 Sanol Arznei Schwarz Gmbh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TTS) Pergolid enthaltend
JP2001048783A (ja) * 2000-01-01 2001-02-20 Lead Chemical Co Ltd 経皮吸収型頻尿・尿失禁治療剤
EP1340496A4 (en) * 2000-11-07 2004-04-14 Hisamitsu Pharmaceutical Co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THE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WO2002047422A2 (en) 2000-12-04 2002-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ing geographical coordinates to determine mobile station time position for synchronization during diversity hand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642B1 (ko) 2008-07-16
WO2002069942A1 (fr) 2002-09-12
ES2559666T3 (es) 2016-02-15
BR0207955A (pt) 2004-02-25
EP1366762A1 (en) 2003-12-03
JP4261911B2 (ja) 2009-05-13
CN1499962A (zh) 2004-05-26
JPWO2002069942A1 (ja) 2004-07-02
EP1366762B1 (en) 2015-12-30
CN1250206C (zh) 2006-04-12
EP1366762A4 (en) 2004-06-16
US20040096491A1 (en) 2004-05-20
US7988991B2 (en)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642B1 (ko) 첩부제
KR101032282B1 (ko) 첩부제
JP5180277B2 (ja) 外用貼付剤
KR100486705B1 (ko) 펜타닐함유경피투여테이프제제
JP5243254B2 (ja) 結晶含有貼付剤
US8524273B2 (en)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TWI428153B (zh) Adhesive ag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WO2005115355A1 (ja) 貼付製剤
JPWO2003032960A1 (ja) 経皮吸収型製剤
JPWO2011049038A1 (ja) ドネペジル含有経皮吸収型製剤
JP2006169238A (ja) 薬物含有貼付剤
JP5404048B2 (ja) 貼付剤
JP4694967B2 (ja) 貼付剤
TW201347794A (zh) 貼附劑及其製造方法
JP4213432B2 (ja) 貼付剤
WO2006080199A1 (ja) 貼付剤
KR101080656B1 (ko) 첩부제
JP4986411B2 (ja) 貼付剤
JPWO2003013611A1 (ja) 経皮吸収型製剤
JPWO2005041967A1 (ja) ペルゴリド療法における副作用低減のための経皮吸収型製剤および方法
JPWO2018155682A1 (ja) リバスチグミン含有経皮吸収型製剤
TWI780179B (zh) 含有利伐斯的明之經皮吸收型製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