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9694A - 잔디깎기 기계 - Google Patents

잔디깎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9694A
KR20030079694A KR10-2003-0018719A KR20030018719A KR20030079694A KR 20030079694 A KR20030079694 A KR 20030079694A KR 20030018719 A KR20030018719 A KR 20030018719A KR 20030079694 A KR20030079694 A KR 2003007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ass
passage
turf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0151B1 (ko
Inventor
이이다테츠오
코바야시타카오
사사키히로미츠
시마다켄조
신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2/00Mowers convertible to apparatus for purposes other than mowing; Mowers capable of performing operations other than mowing
    • A01D42/005Mul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깎기 기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하방으로 신장하는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원; 하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출력축에 부착되는 절단날; 하우징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 잔디반출통로에 설비되어 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 잔디반출통로의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잔디 수납체; 하우징 내부에 설비되어 잘린 잔디가 하우징 내부를 회전하면서 잔디반출통로로 유도되게 하는 스크롤부; 및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 스크롤 부를 따라 설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잔디반출통로가 개방되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잔디반출통로를 경유하여 잔디 수납체에 수납되고; 잔디반출통로가 폐쇄되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되며; 및 가이드 후연이 잔디반출통로의, 하우징에 면하는 통로 개구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가 제공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회전하게 하는 기류의 방향을 통로 개구를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잘린 잔디가 하우징 내부에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이 방지되어 연속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잔디깎기 기계{LAWN MOWER}
본 발명은 잔디깎기 기계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내에 수납된 절단날을 잔디를 따라 회전시켜 잔디를 깎는 로터리 잔디깎기 기계(LAWN MOWE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로터리 잔디깎기 기계는 (1)절단날로 절단한 잔디를 백(bag)등의 잔디 수납체에 수납하는, 소위 배깅모드(bagging mode)로 사용하기 위한 잔디깎기 기계와 (2)절단날로 절단한 잔디를 하우징 내에서 다시 잘게 잘라서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하는, 소위 멀칭모드(mulching mode)로 사용하기 위한 잔디깎기 기계를 포함한다. (1)번과 같은 잔디깎기 기계는 잘려진 잔디 모두를 제거 가능하므로, 작업완성도가 높아서 골프장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번과 같은 잔디깎기 기계는 잘려져 수납된 잔디를 버려야하는(dumping) 작업을 요하지 않으므로, 주로 공원 등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들은 용도에 따라서 2대의 잔디깎기 기계를 구분하여 각각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 최근에, 한 대의 잔디깎기 기계로써 (1) 및 (2)번 잔디깎기 기계로 겸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기술(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 64-3441 및 미국특허등록 제4,951,449호)이 개발되었다.
상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 64-3441에는 하우징의 상판 상에 잔디반출 슈트(chute)를 장착하여 하우징을 배깅모드로 설정,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백(bag)은 잔디반출 출구에 부착되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를 수납한다(배깅모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 64-3441에 개시된 잔디깎기 기계에서는 또한 잔디반출통로를 탈착하고 하우징의 상판에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하우징을 멀칭모드로 설정,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는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된다(멀칭모드).
미국특허등록 제4,951,449호에 개시된 잔디깎기 기계는 하우징의 상판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를 가지는 배깅모드의 하우징을 가진다. 이 배깅모드 하우징은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잔디 반출통로로 유도되게 하는 스크롤부를 가진다. 잔디반출통로를 차단하는 슈트 플러그는 잔디반출통로에 백을 부착시키기 위해 제거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는 백에 수납 가능하게 된다(배깅모드).
미국특허등록 제4,951,449호의 잔디깎기 기계는 또한 슈트 플러그로써 잔디반출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배깅모드의 하우징 하방으로배출되게 할 수 있다(멀칭모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 64-3441의 잔디깎기 기계는 수작업으로 부품을 교환함에 의해서 배깅모드형 하우징과 멀칭모드형 하우징간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절환시 마다 수작업으로 부품을 교환하여야 하므로 능률적이지 못하다.
미국특허등록 제4,951,449호의 잔디깎기 기계는, 단지 잔디반출 슈트에 슈트 플러그를 장착하거나, 잔디반출 슈트로부터 슈트 플러그를 탈착함에 의해서 배깅모드와 멀칭모드간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환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멀칭모드로의 사용에 있어서도 배깅모드형 하우징이 그대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깅모드형 하우징은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잔디반출 슈트로 유도되게 하는 스크롤부를 가진다.
멀칭모드로의 사용에 있어서, 잘린 잔디는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절단날에 의해 다시 잘게 잘려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은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에서 크고,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에서는 작다. 하우징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회전시키는 기류, 즉 선회류의 속도는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에서와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에서 크게 변화한다. 이러한 선회류 속도의 급격한 변화는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스크롤부의 후단 근방에서의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되면, 잘린 잔디가 이 부분에서 하우징 내면에 쌓이게 되거나, 잘린 잔디가 잔디배출 슈트의 입구에 쌓이게 된다. 하우징 내부에 잘린 잔디가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선회류의속도가 저하된다. 이때는 잔디깎기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쌓인 잔디를 제거해야 하므로 연속한 작업을 행하는 것이 불가하다. 따라서, 멀칭모드로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므로, 개량의 여지가 있어 왔다.
또한, 하우징내에 부분적으로 잘린 잔디가 쌓이게 되면, 잘린 잔디를 하우징으로부터 하방으로 균일하게 배출하는 것은 불가하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 잔디로 다시 배출되는 잘린 잔디의 양이 불균일하게 되어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깅모드에서의 작업능률을 확보하면서도 멀칭모드에서의 작업능률이 높고, 동시에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잔디깎기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잔디깎기 기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잔디깎기 기계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잔디깎기 기계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잔디깎기 기계의 확대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6-6선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의 사시도이고; 및 도 7b는 가이드 후연과 하우징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8-8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개도조작레버 및 주변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셔터 부재에 의해 통로 개구가 폐쇄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절단날, 잔디반출통로의 통로 개구 및 셔터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상태와 관련하여 셔터 부재가 중간모드에 놓여졌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12는 셔터 부재가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완전개방상태로 변환되었을때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셔터가 완전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작용 사시도이고;
도 14는 셔터가 반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작용 사시도이고;
도 15는 셔터가 완전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작용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잔디깎기 기계의 좌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잔디깎기 기계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잔디깎기 기계의 저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19-19선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20-20선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9와 관련하여 잔디반출통로가 개방되는 배깅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설명*
10, 100: 잔디깎기 기계 11: 하우징
11a: 하우징 상판 11d: 스크롤부
14: 절단날 15a: 출력축
21: 잔디반출통로 21c: 잔디반출통로의 수직벽(측판)
21d: 통로 개구의 하단(저판의 기단) 22: 수납체 장착부
23: 잔디 수납체 24: 통로 개구
40: 셔터(개방, 차단하는 부재) 44: 회전축
45: 수직 차폐부 46: 수평 차폐부
47: 셔터부재 53: 조작레버
70, 170: 가이드부 71, 171: 가이드 후연
71a, 71b: 가이드 후연의 요부 및 철부 180: 플러그(개방, 차단하는 부재)
182: 플러그부재의 하단 Li: 지향선
SC: 출력축의 축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잔디깎기 기계가 제공된다.
하방으로 신장하는 출력축을 가지는 구동원; 구동원의 하측에 설비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출력축에 부착되는 절단날; 하우징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 잔디반출통로에 설비되어 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 잔디반출통로의 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잔디 수납체; 하우징 내부에 설비되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하우징 내부를 회전하면서 잔디반출통로로 유도되게 하는 스크롤부; 및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 스크롤부를 따라 설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잔디반출통로가 개방되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잔디반출통로를 경유하여 잔디 수납체에 수납되고; 잔디반출통로가 폐쇄되면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되며; 게다가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이 잔디반출통로의 하우징에 면하는 통로 개구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가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가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서, 잘린 잔디를 배깅모드형 하우징내에서 선회 운동시키면서 잔디 반출통로로 향하게 하기 위한 스크롤부를 따라 설비되고, 더욱이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이 잔디반출통로의 하우징에 면하는 개구에 대향하게 되므로, 하우징의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회전하게 하는 기류의 방향, 즉 선회류의 방향을 가이드부에서 통로 개구를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롤부를 따라 위치되는 가이드부가 배깅모드형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 설비되므로, 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은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단면적의 변화가 점진적이므로, 선회류의 유속도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사이에서 완만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잔디반출통로가 차단되는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 내부에서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우징 내부에 잔디가 쌓이는 것은 어렵게 된다. 잔디가 쌓이지 않기 때문에, 잔디깎기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잘린 잔디를 하우징으로부터 하방으로 균일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하는 잔디의 양도 균일하게 된다. 이처럼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잔디반출통로가 개방되는 배깅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된 선회류(반송류)는 통로 개구로부터 잔디반출통로로 흐르게 되어 잘린 잔디를 잔디 수납체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배깅모드에서의 작업능률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하여, 배깅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확보하면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은 통로 개구의 하단 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을 통로 개구의 하단 쪽으로 지향시킴으로써 선회류의 방향을 가이드부에서 통로 개구의 하단 쪽으로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 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이 보다 완만하게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단면적 변화가 보다 완만해지므로, 선회류의 유속도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사이에서 보다 완만하게 변화한다. 그 결과,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로부터 하우징 내부에 잘린 잔디가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연속적인 잔디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동시에 하우징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보다 향상된다.
잔디반출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로는 잔디반출통로로 출입하는 플러그부재가 바람직하다. 이 플러그부재는 하우징 내부에서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을 향해 연장되고, 플러그부재의 하단의 높이가 가이드 후연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한다. 단지 플러그부재를 잔디반출통로로 출입시키는 것에 의해, 배깅모드형 하우징을 배깅모드와 멀칭모드로 절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드 절환작업은 간단하며, 단시간에 절환 가능하다.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 쪽으로 신장되는 플러그부재의 하단의 높이는 가이드 후연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므로, 잔디반송통로가 플러그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멀칭모드에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플러그부재의 하부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를 플러그부재의 하단을 통해,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 쪽으로 완만하게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은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 일층 완만하게 변화된다. 단면적의 변화가 보다 완만하기 때문에 선회류의 유속은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사이에서 보다 완만하게 변화한다. 그 결과,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는 하우징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잘린 잔디가 하우징 내부에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을 더욱 잘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잔디반출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는 잔디반출통로의 통로 개구에 설비되는 셔터일 수도 있다. 이 셔터는: 잔디반출통로의 좌우 수직벽의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통로 개구의 근방에 설비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 이 회전축에 그 스윙 기단(proximal end)이 취부되어 스윙작동에 의해 통로 개구를 개폐하는 수직판 상(狀)의 수직 차폐부; 이 수직 차폐부의 하단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연장되며 통로 개구의 하부를 폐쇄하는 수평판 상(狀)의 수평 차폐부; 및 회전축에 연결되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조작레버로써 수직 차폐부 및 수평 차폐부를 통해 통로 개구의 열림 정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통로 개구의 열림 정도는 셔터에 의해서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즉, 단지 셔터의 열림 조절을 통해, 셔터가 완전히 개방되어 잘린 잔디가 잔디 수납체에 수납되는 배깅모드, 셔터가 완전히 폐쇄되어 잘린 잔디가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멀칭모드, 및 셔터가 임의의 정도로 개방되는 상기 배깅모드와 멀칭모드의 중간모드간의 절환이 가능하다. 또한, 모드를 절환하는 경우에 부품교환의 필요성도 없다. 나아가, 셔터를 원하는 정도로 개방하는 것에 의해, 잔디의 상태, 요구되는 작업완성도 또는 기호에 따라서, 잘린 잔디의 배출형태를 미세하고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의 높이가 통로 개구의 하단보다 높게 설정되게 하고, 가이드 후연의 형상은 파형(wave shape)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배깅모드로 사용하는 잔디깎기 기계는, 절단날로 절단된 잔디를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 운동시켜 잔디반출통로로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배깅모드의 하우징 형상은 대개 스파이럴(spiral)하다.
멀칭모드로 사용하는 잔디깎기 기계는, 절단날에 의해 잘려진 잔디를 하우징 내부에서 더욱 잘게 자르는 것이다. 따라서, 멀칭모드의 하우징 일반적으로 균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배깅모드로 사용하는 하우징 형상과 멀칭모드로 사용하는 하우징 형상은 서로 다르다.
본 발명 잔디깎기 기계는 하나의 하우징을 사용해서 배깅모드, 멀칭모드 및 중간모드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이다. 본 발명 잔디깎기 기계의 하우징은 배깅모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잘린 잔디를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운동시키면서 잔디를 반출통로로 유도하기 위한 스크롤부를 가진다. 또한, 멀칭모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가이드부가 스크롤부를 따라서, 하우징 상판의 하측에 설비되며,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이 통로 개구에 대향한다.
셔터가 개방되면, 스크롤부 및 가이드부에 의해서, 잘린 잔디가 회전운동하면서 원활하게 통로 개구로 유도 가능하다. 셔터가 폐쇄되면, 가이드부에 의해서, 잘린 잔디가 스크롤부 내부에서 회전운동하면서 폐쇄된 셔터를 따라 원활하게 유도 가능하다. 중간모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1개의 하우징을 사용해서 배깅모드, 멀칭모드 및 중간모드의 각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의 높이는 통로 개구의 하단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중간모드에서,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잘린 잔디는 용이하게 잔디 반출통로로 유도된다. 그 결과, 필요한 양의 잘린 잔디를 잔디 반출통로를 통해, 잔디 수납체에 확실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간모드에 있어서, 잔디 수납체에 수납되는 잔디의 양과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하는 잔디의 양과의 비율을 비교적 정확하게 설정 가능하다. 즉, 중간모드에서의 작업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날이 회전하면, 가이드부의 하부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기류(선회류)가 생성된다. 이 기류는 가이드 후연부분에서 와류로 되기 쉽다. 와류가 지나치게 강하면, 잘린 잔디가 와류로 말려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배깅모드 및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의 통로 개구로의 흐름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을 파형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파형중 요(凹)부에서의 기류와 철(凸)부에서의 기류가 서로 간섭함에 의해서 와류 발생이 억제되고, 그 결과 통로 개구로의 기류가 직선화된 기류로 된다. 그 결과, 배깅모드 또는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는 통로 개구로 쉽게 유입된다. 따라서, 잘린 잔디의 잔디반출통로를 통한 잔디 수납체에로의 원활한 유입과 보다 확실한 수납이 가능하다.
우선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 잔디깎기 기계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의 잔디깎기 기계(10)는 몸체로서의 하우징(11)을 가지고, 이 하우징(11)의 앞부분에 좌우 전륜(12, 12)이 설비되고, 이 하우징(11)의 뒷부분에는 주행륜으로서의 좌우 후륜(13, 13)이 설비된다(도면에는 좌측의 바퀴만 도시됨). 잔디깎기 기계(10)는 또한 하우징(11)의 중앙내부에 설비되는 하나의 잔디 절단용 절단날(14), 하우징(11)의 상부에 설비되어 후륜(13, 13)과 절단날(14)을 구동하는 엔진(15), 및 하우징(11)의 뒷부분 내부에서 엔진(15)과 후륜(13, 13)사이에 개재되는 무단변속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가진다. 조작핸들(16)은 하우징(11)의 후방으로 신장된다. 잔디깎기 기계(10)는 보행형 자주식 작업기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5)은 하방으로 신장하는 출력축(15a)을 가진다. 엔진(15)의 아래 부분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하우징(11)이 설비된다. 절단날(14)은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출력축(15a)에 부착되어 수납된다.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잔디반출통로(21)는 하우징(11)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한다. 이 잔디반출통로(21)의 하나의 출구에는 수납체 장착부(22)가 설비된다. 그래스 백(bag)과 같은 잔디 수납체(23)는 수납체 장착부{22, 즉 잔디반출통로(21)의 한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절단날(14)에 의해 절단된 잔디(이하에서는 '잘린 잔디'라 함)가 잔디반출통로(21)를 통해 잔디 수납체(23)에 수납되게 한다.
수납체 커버(31)는 하우징(11)의 후 상부에 상하로 스윙 가능하게 부착된다. 절단날 클러치 레버(32), 주행 클러치 레버(33) 및 변속 레버(34)는 조작핸들(16)상에 설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잔디깎기 기계(10)는 절단날(14)을 시계 방향(화살표 Ra로 표시됨)으로 회전시켜 잔디를 자르고, 하우징(11)의 내부에 화살표 Rb로 표시되는 기류(선회류)를 생성시켜, 잘린 잔디를 잔디 수납체(23)로 운반한다. 잔디깎기 기계(10)는 잔디를 자르는 작업을 하면서 전방으로 전진하는 자주식 기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잔디깎기 기계(10)에서는, 셔터(40)가 잔디반출통로(21)의, 하우징(11)에 면하는 통로 개구(24)에 설비되어, 통로 개구(24)의 열림 정도가 셔터(49)에 의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셔터(40)는 잔디반출통로(2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우징(11)은 스크롤부(11d)를 가지는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또는 스파이럴 케이스(spiral case)이다. 즉 잘린 잔디가, 도면의 화살표 Rb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잔디반출통로(21)로 유도되게 하는 배깅모드형 하우징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은 각각 원통형인 외통부(11b)와 외통부(11b)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내통부(11c)를 가지는데, 이들은 출력축(15a)의 축심(SC)에 대해 동심상으로(concentrically) 배치된다. 잔디반출통로(21)는 외통부(11b)의 후방으로 외통부(11b)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한다.
스크롤부(11d)는 상판(11a)과 외통부(11b)와 내통부(11c)와로 둘러 쌓인 공간으로서, 하우징(11)에 면하는,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에 연결된다.
하우징(11)은 잘린 잔디를 하우징(11) 내부에서, 화살표 R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히 회전시킴으로써 멀칭모드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부(70)가 스크롤부(11d)를 따라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부(70)는 하우징(11)의 상판(11a)의 하측에 설비되고,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은 통로 개구(24)에 면(대향)하도록 된다.
참조번호 72는 가이드부(70)의 전방부를, 참조번호 81은 스크롤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잔디깎기 기계(10)에서 가이드부(70) 및 스크롤 플레이트(81)는 스크롤부(11d)를 따라 통로 개구(24)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 가능하다.
스크롤부(11d) 내부에서, 가이드부(70)와 스크롤 플레이트(81)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하우징(11)에 잔디반출통로(21)를 설비함에도 불구하고, 스크롤부(11d)의 단면변화(단면의 형상 및 크기의 변화)는 비교적 작다. 그 결과, 스크롤부(11d)에서 공기 및 잘린 잔디를 원활하게 충분히 회전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반출통로(21)는 스크롤부(11d)의 위치에서 하우징(11)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되며, 수납체 장착부(22)가 잔디반출통로(21)의 출구에 설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반출통로(21)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하우징(11)의 상판(11a)의 중간부분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상판(21a), 하우징(11)의 외통부(11b)의 중간 높이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저판(21b), 및 상기 상판(21a)과 저판(21b)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측판(21c, 21c; 우측판만 도시됨)을 포함한다.
"잔디반출통로(21)의, 하우징(11)에 면하는 통로 개구(24)"란, 하우징(11)에 대한 상판(21a)의 기단(proximal end)부분과 저판(21b)의 기단부분과 좌우 측판(21c, 21c; 좌우측 수직벽)의 기단부분으로 둘러 쌓인 개구를 가리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부분에는 저판(21b)이 없으므로, 그 부분에서는 대략의 직사각형 모양의 단면형상이 아니라, 아래로 개방된 채널형상의 단면(대략 뒤집힌 U자형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통로 개구(24)의 하단, 즉 외통부(11b)에 대한 저판(21b)의 기단(21d)은 하우징(11)의 상판(11a) 보다도 낮은 위치가 된다.
멀칭모드에서, 잔디깎기 기계(10)는 절단날(14, 도 4 참조)에 의해 잘린 잔디를 절단날(14)로 스크롤부(11d) 내부에서 선회운동하며 상승되도록 하고, 상판(21a) 근방까지 도달한 후에 낙하하는 잔디를 절단날(14)로 다시 잘게 잘라서, 하우징(11)의 하방으로 배출한다.
배깅모드 및 중간모드에서도, 잔디깎기 기계(10)는 절단날(14)로써 잘린 잔디를 스크롤부(11d) 내부에서 선회운동시키며 상승되게 한다.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 부분을 상술한 구조로 하였으므로, 셔터(40)를 개방하는 배깅모드나 중간모드에서, 선회운동중의 잘린 잔디가 화살표로 표시한 것과 같이 통로 개구(24)로부터 잔디반출통로(21)에로 쉽게 유입된다.
참조번호 21e는 상판(11a)에 대한 상판(21a)의 기단부이다.
더욱이, 본 도면에는 가이드부(70)가 스크롤부(11d) 내부에서, 상판(11a)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의 높이가 통로 개구(24) 하단보다 H1만큼 높게 설정되어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잘린 잔디를 잔디반출통로(21)로 유도하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의 높이가 통로 개구(24)의 하단보다 높게 설정되므로, 중간모드에서의 사용시에 가이드부(70)를 따라 회전되는 잘린 잔디가 용이하게 잔디반출통로(21)로 유입된다. 그결과, 필요한 양의 잘린 잔디를, 잔디반출통로(21)를 통해 잔디 수납체(23, 도 1 참조)에 확실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간모드에서 잔디 수납체(23)에 수납되는 잔디의 양과 하우징(11)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잔디의 양과의 비율을 비교적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중간모드에서의 작업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11)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우징(11)은,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스크롤 형상의 스크롤부(11d)를 가진다. 따라서, 상판(11a)은 스크롤부(11d)의 스크롤방향(도 4의 화살표 Rc방향)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된다. 즉, 도 4의 지면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부(11d)의 상판(11a)의 높이는 스크롤 플레이트(81)가 설비되는 부분에서 가장 작고, 화살표 Rc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커져서,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가장 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롤부(11d)중에서, 스크롤 플레이트(81)가 설비된 부분을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이라 하고, 스크롤 플레이트(81)가 설비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70)가, 잘린 잔디를 배깅모드형 하우징(11) 내부에서 회전시키며 잔디반출통로(21)로 향하게 하는 스크롤부(11d)를 따라, 하우징(11)의 상판(11a) 하측에 설비되고, 또한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이 통로 개구(24)에 대향하도록 설비되므로, 하우징(11)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선회시키는 기류, 즉 선회류의 방향(Rc, 도면의 화살표 Rc방향)을 가이드부(70)로서 통로 개구(24)로 향하여 완만하게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70)가 스크롤부(11d)를 따라 배깅모드형 하우징(11)의 상판(11a) 하측에 설비되므로, 하우징(11)의 단면적은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의 단면적의 변화가 점진적이면,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의 선회류의 속도도 점진적으로 변하게 된다.
그 결과, 잔디반출통로(21)가 차단되는 멀칭모드에 있어서, 가이드부(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11)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로부터, 하우징(11) 내부에 잘린 잔디가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연속적인 잔디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동시에 하우징(11)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잔디반출통로(21)가 개방되는 배깅모드에 있어서, 가이드부(70)에 의해 유도된 선회류(반송류)는 통로 개구(24)로부터 잔디반출통로(21)로 흐르게 되어 잘린 잔디를 잔디 수납체(23)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배깅모드에서의 작업능률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하여, 배깅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확보하면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70)는 다수의 볼트(75)로써 하우징(11)에 고정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 및 주변의 구성도이다; 도 7a는 평판상(狀)의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을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하우징(11)과 가이드 후연(71)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이 교대로 배열되어 파형을 이루는 다수의 요(凹)부(71a)와 철(凸)부(71b)를 가짐을 나타낸다.
절단날(14, 도 4 참조)이 회전하면, 가이드부(7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70)를 따라 기류가 생성된다. 이 기류는 가이드 후연부분(71)에서 와류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와류가 지나치게 강하면, 잘린 잔디가 와류로 말려들기 쉽게 된다. 그 결과, 배깅모드 및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의 통로 개구(24, 도 4 참조)로의 흐름이 나빠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을 파형으로 하였으므로, 파형중 요(凹)부(71a)에서의 기류(W1)와 철(凸)부(71b)에서의 기류(W2)가 서로 간섭함에 의해서 와류 발생이 억제되고, 그 결과 통로 개구(24)로의 기류가 직선화된 기류로 된다. 그 결과, 배깅모드 또는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는 통로 개구(24)로 쉽게 유입된다. 따라서, 잘린 잔디의 잔디반출통로(21, 도 4 참조)를 통한 잔디 수납체(23, 도 1 참조)에로의 원활한 유입과 보다 확실한 수납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3의 8-8선 단면도이다. 셔터(40)는 잔디 반출 통로(21)의 좌우 측판(21c)의 어느 일방, 즉 좌우 수직벽(21c)의 어느 일방에 인접하는 통로 개구(24)의 근방에 설비되어 상하로 신장하는 회전축(44)과, 그 스윙 기단이 회전축(44)에 취부되어 스윙작동에 의해 통로 개구(24)를 개폐하기 위한 수직판상의 수직 차폐부(45)와, 이 수직 차폐부(45)의 하단으로부터 수납체 장착부(22, 도 5 참조) 쪽으로 신장되어 통로 개구(24)의 하단을 막기 위한 수평판상의 수평 차폐부(46)와, 회전축(44)에 연결되는 개도조작레버(53, 조작레버 53)와로 이루어진다. 셔터(40)는 개도조작레버(53)로 스윙작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셔터(40)는 잔디반출통로(21)의 좌측판(21c)의 하부에 지지 브라켓(41)으로 취부되는 하부 베어링(42)과, 잔디반출통로(21)의 상판(21a)에 취부되는 상부 베어링(43)을 가진다. 이들 하부, 상부 베어링(42, 43)은 회전축(4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수직 차폐부(45) 및 수평 차폐부(46)는 회전축(44)에 취부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잔디반출통로(21)와 셔터(40)는 절단날(14) 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비된다. 따라서, 절단날(14)이 회전해도 잔디반출통로(21) 및 셔터(40)와 간섭할 염려가 없다.
회전축(44)은 그 선단에, 상하로는 스윙 가능하지만 좌우로의 스윙은 제한되는 개도조작레버(53)를 가진다. 개도조작레버(53)는 토션(torsion) 스프링과 같은 리턴 스프링(54)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중립위치(위치결정노치 56b)로 편향되도록 탄발된다. 수직 차폐부(45) 및 수평 차폐부(46)는 판재를 대략 L자상(측면에서 보았을 때)으로 굽혀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셔터부재(47)를 이룬다. 회전축(44)은 개도조작레버(53)로 회전되어 셔터부재(47)가 이 도면의 앞뒷면 방향으로 스윙 작동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개도조작레버 및 주변부의 사시도로서, 하우징(11)의 후부상면에 조작가이드부(56)가 설비되고, 이 조작가이드부(56)에 의해 개도조작레버(53)의 조작이 유도되는 것을 나타낸다.
조작가이드부(56)는 개도조작레버(53)를 삽통하기 위한 수평 신장(horizontally-elongated)의 가이드용 장공(56a)과, 가이드용 장공(56a)을 따라 배열되는 수직 신장(vertically-elongated)의 다수의 위치결정노치(56b)를 가진다. 각각의 위치결정노치(56b)는 가이드용 장공(56)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한다. 참조번호 55는 그립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절단날, 잔디반출통로의 통로 개구 및 셔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잔디반출통로(21)에 설비된 셔터부재(47)에 의해서, 통로 개구(24)가 개폐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잔디반출통로(21)의 우측판(21c)의 기단은 외통부(11b)의 접선 위에 있으며, 좌측판(21c)의 기단은 내통부(11c)의 접선 위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는, 하우징(11)에 대한 상판(21a, 도 5 참조)의 기단(21e)부분, 저판(21b)의 기단부분, 및 좌우 측판(21c, 21c)의 기단부분으로 둘러 쌓여있으며, 평면도 상에서 대략 초승달 형상의 개구이다. 이 개구부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축(44) 및 수직 차폐부(45)가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직 차폐부(45)가 완전히 개방되는 배깅모드 및 수직 차폐부(45)가 반 개방되는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수직 차폐부(45)가 완전 폐쇄되는 멀칭모드의 경우에, 잔디반출통로(21)는 통로 개구(24)를 통해 스크롤부(11d)와 연통하는 상태가 된다. 이는 수직 차폐부(45)가 폐쇄되는 효과를 반감시켜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직 차폐부(45)의 하단으로부터 수납체 장착부(22)측으로 연장되어 통로 개구(24)의 하방을 막는 수평판상의 수평 차폐부(46)를 설비한다. 이로써 수직 차폐부(45)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에, 스크롤부(11d)에 대해서 잔디반출통로(21)를 차단하는 차폐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1개의 하우징(11)을 사용해서 배깅모드, 멀칭모드 및 그 중간모드의 각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가이드부(56)는 개도조작레바(53)로써 셔터(40)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면 5개의 위치결정노치(56b)를 가진다. 가이드 장공(56a)의 일 단에 있는 위치결정노치(56b)는 완전 폐쇄위치이고, 가이드 장공(56a)의 타단에 있는 위치결정노치(56b)는 완전 개방위치이다. 인접한 위치결정노치(56b) 사이의 간격은, 가령 셔터(40)의 열림 정도가 25%씩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잔디깎기 기계(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은 개도조작레버(53)를 완전 폐쇄위치에 오도록 조작함으로써, 셔터부재(47)를 완전 폐쇄위치(열림 정도 0%)에 놓이게 한 것을 나타낸다. 셔터부재(47)로 통로 개구(24)를 폐쇄함으로써 잔디깎기 기계(10)는 멀칭모드로 사용하는 형식으로 설정된다. 통로 개구(24)부는 수평 차폐부(46)에 의해 폐쇄된다.
이 경우에, 잘린 잔디는 통로 개구(24)의 하방으로 하우징(11)내에서, 즉 스크롤부(11d)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선회 운동한다. 이 결과, 절단날(14)에 의해 잘린 잔디는 하우징(11) 내부에서 다시 잘게 잘려 하우징(11)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 상태로부터, 셔터부재(47)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은 개도조작레버(53)를 반 개방위치에 오도록 조작함으로써, 셔터부재(47)를 반 개방위치(열림 정도 50%)에 놓이게 한 것을 나타낸다. 셔터부재(47)로 통로 개구(24)를 임의의 열림 정도로 개방함으로써, 잔디깎기 기계(10)를 중간모드(배깅모드와 멀칭모드의 중간모드)로 사용하는 형식으로 설정한다. 절단날(14)에 의해 잘린 잔디의 일부는 지면으로 다시 배출되고, 남은 것은 잔디 수납체(23, 도 1 참조)에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도, 통로 개구부(24)는 수평 차폐부에 의해 차단된다.
도 12는 개도조작레버(53)를 완전 개방위치에 오도록 조작함으로써, 셔터부재(47)를 완전 개방위치(열림 정도 100%)에 놓이게 한 것을 나타낸다. 셔터부재(47)로 통로 개구(24)를 완전 개방함으로써, 수직 차폐부(45)는 좌측판(21)의 내면에 인접하게 된다. 통로 개구(24)를 완전 개방함으로써 잔디깎기 기계(10)는 배깅모드로 사용하는 형식으로 설정되어, 절단날(14)에 의해 잘린 잔디는 잔디 수납체(23, 도 1 참조)에 수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셔터(40)는 하부로 개방된 하우징(11)으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21)에 있어서, 하우징(11)에 면하는 통로 개구(24)에 설비된다. 셔터(40)는 잔디반출통로(21)의 좌우 측판(21c)의 어느 일방, 즉 좌우 수직벽(21c)의 어느 일방에 인접하는 통로 개구(24)의 근방에 설비되어 상하로 신장하는 회전축(44)과, 그 스윙 기단이 회전축(44)에 취부되어 스윙작동에 의해 통로 개구(24)를 개폐하기 위한 수직판상의 수직 차폐부(45)와, 이 수직 차폐부(45)의 하단으로부터 수납체 장착부(22, 도 5 참조) 쪽으로 신장되어 통로 개구(24)의 하단을 막기 위한 수평판상의 수평 차폐부(46)와, 회전축(44)에 연결되는 개도조작레버(53, 조작레버53)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로 개구(24)의 열림 정도는 셔터(49)로써 용이하게 조절된다.
단순한 구조로써 셔터(40)의 열림 정도를 조정 가능하므로, 셔터(40)를 완전 개방하여 잘린 잔디를 잔디 수납체(23, 도 1 참조)에 수납하는 배깅모드, 셔터(40)를 완전 폐쇄하여 잘린 잔디를 하우징(11)의 하방으로 배출하는 멀칭모드, 셔터(40)를 임의의 열림 정도로 설정하는 배깅모드와 멀칭모드의 중간모드간의 적절한 절환이 가능하다. 게다가, 각 모드로 절환할 때마다 부품을 교환할 필요도 없다.
또한, 셔터(40)를 임의의 열림 정도로 조작함으로써, 잔디의 상태, 요구되는 작업의 완성도 또는 기호에 따라 잘린 잔디의 배출형태를 미세하고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중간모드로 절환하여 사용하면 하우징(11)으로부터 잔디 수납체(23)로 반출되는 잔디의 양이 감소된다. 그 결과, 잔디 수납체(23)에 잔디가 채워지는 시간은 길어지고, 잔디 수납체(23)의 교체빈도도 줄어든다.
배깅모드에서의 능률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하우징(11)에, 잘린 잔디를 하우징(11) 내부에서 회전운동시켜서 잔디반출통로(21)로 유도하기 위한 스크롤부(11d)가 설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멀칭모드에서의 능률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가이드부(70)가 하우징(11) 상판(11a)의 하측에 스크롤부(11d)를 따라 설비되고, 가이드부(70)의 가이드 후연(71, 後緣)은 통로 개구에 대향하게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가 개방되면, 스크롤부(11d) 및 가이드부(70, 도 5 참조)에 의해서, 잘린 잔디가 회전운동하면서 통로 개구(24)로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0)가 폐쇄되면, 가이드판(70, 도 5 참조)에 의해, 잘린 잔디가 스크롤부(11d) 내부에서 회전운동하면서 닫힌 상태의 셔터(40)를 따라 원활하게 유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중간모드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을 사용해서 배깅모드, 멀칭모드 및 중간모드의 각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축심(SC, 도 4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의 외통부(11b)와 원통형의 내통부(11c)를 가지며, 잔디반출통로(21)는 외통부(11b)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한다. 셔터(40)는 하우징(11)에 면하는 통로 개구(24)에 설비된다. 잔디반출통로(21)가 외통부(11b)로부터 신장하는 방향은 절단날(14)의 회전방향(Ra)과 합치한다. 다시 말하면, 잔디반출통로(21)는 절단날(14)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한다. 통로 개구(24)는 절단날(14)의 회전방향(Ra)으로 개방된다.
잔디반출통로(21)의 외측판(21c)은 외통부(11b)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하고, 내측판(21c)은 내통부(11c)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한다. 셔터(40)의 회전축(44)은 내 측판(21c)의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셔터부재(47)의 스윙 선단(distal end)은 외측판(21c)에 대면한다. 셔터부재(47)는 절단날(14)의 회전방향(Ra)으로 개방된다. 당연히, 셔터부재(47)의 수직 차폐부(45)를 일정각도만큼 개방할 경우, 수직 차폐부(45)의 스윙 선단측의 변위량은 스윙 기단측의 변위량보다 크다. 이 때문에 수직 차폐부(45)를 일정각도만큼 개방하는 경우에는, 수직 차폐부(45)중에서 큰 변위량을 가지는 외주부분에 의해서, 통로 개구(24)가 비교적 크게 개방된다.
또한, 절단날(14)의 회전에 의해서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잘린 잔디가 회전 운동할 때 회전속도는 축심(SC)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진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중간모드에서, 외통부(11b)의 접선방향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가, 수직 차폐부(45)에 의해 일정각도(0% 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열림 정도)로 개방될 때, 하우징(11) 내부의 외주측을 고속으로 회전운동하는 잘린 잔디는, 통로 개구(24)로부터 잔디반출통로(21)로 쉽게 유입된다. 이 때문에, 중간모드에서 잘린 잔디의 수납성이 보다 향상된다.
도 13은 셔터(40)가 완전 폐쇄상태에 있을 때의, 수납체 장착부(22)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잔디깎기 기계(10)의 작용 사시도이다.
도 14는 셔터(40)가 반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수납체 장착부(22)측으로부터보았을 때의 잔디깎기 기계(10)의 작용 사시도이다.
도 15는 셔터(40)가 완전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수납체 장착부(22)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잔디깎기 기계(10)의 작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잔디깎기 기계(10)의 변형예인 제2 실시예를 도 16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표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잔디깎기 기계(100)는 잔디반출통로(21)의 출구에 개폐가능한 리드(101)를 설비한 것, 잔디반출통로(21)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가 잔디반출통로(21)에 출입하는 플러그부재(180, 플러그)인 것, 및 스크롤부(11d)에 가이드부(170)를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인 잔디깎기 기계(1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깅모드에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하우징(11)에 설비되어 잘린 잔디가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선회하면서 잔디반출통로(21)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스크롤부(11d)를 가지며, 또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하우징(11)의 상판(11a) 하측에서, 스크롤부(11d)를 따라 설비되는 가이드부(170)를 가지는데,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이 통로 개구(24)에 대향한다. 구성부품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이루어진다.
플러그부재(180)는 하우징(11)내에서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을 향해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잔디반출통로(21)의 출구측(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부재(180)는 통로 개구(24)로부터 스크롤부(11d) 내부로 돌출하며, 그 선단(181)은 스크롤부(11d)를 따라 만곡되며 가이드 후연(171)의 근방까지 신장하여, 가이드 후연(171)에 대향한다.
도 19는 반출통로(21)가, 스크롤부(11d)의 위치에서 하우징(11)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고, 이 잔디반출통로(21)의 출구에 수납체 장착부(22)가 설비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은 스크롤부(11d)에, 가이드부(170)가 상판(11a)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설비되고,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이 통로 개구(24)의 하단, 즉 저판(21b)의 기단(21d)을 향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Li는 가이드 후연(71)이 통로 개구(24)의 하단을 지향하는 지향선이다.
플러그부재(180)는 그 하단(182)이 가이드 후연(71)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즉 지향선 Li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리드(101, lid)는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잔디 수납체(23)를 제거하고, 플러그부재(180)를 잔디반출통로(21)에 삽입 설정한 후에 폐쇄된다. 잔디반출통로(21)의 출구를 닫음으로써 플러그부재(180)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하우징(11) 및 스크롤부(11d)의 구성에 관하여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부(11d)는 상판(11a)과, 외통부(11b)와, 내통부(11c)의 반지름방향의 외부로 형성되며 스크롤 형상인 내벽(11e)과에 의해둘러 쌍인 공간으로서, 잔디반출통로(21)중 하우징(11)에 면하는 통로 개구(24)에 연결된다.
하우징(11)은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21)의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스크롤상의 스크롤부(11d)를 가진다. 따라서, 상판(11a)은 스크롤부(11d)의 스크롤 방향(도 18에 있어서의 화살표 Rc방향)으로 나아갈수록 높게 형성된다. 즉, 도 18의 지면 후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부(11d)의 상판(11a)의 높이는 스크롤 기단부분(11f)에서 가장 작고, 화살표 Rc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점 커져서,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가장 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롤 기단부(11f)로부터 화살표 Rc방향으로 신장하여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부분을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이라 하고, 통로 개구(24)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화살표 Rc방향으로 신장하여 스크롤 기단부(11f)까지 도달되는 부분을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11g)"이라 한다.
도 20은 가이드부(170)가 다수의 볼트(175)로 하우징(11)에 고정됨을 나타낸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부재(180)는 저판(183), 저판(183)의 일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는 측판(184) 및 저판(183)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는 탭(185)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제2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도 18, 19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인 본 잔디깎기 기계(100)에서는, 가이드부(170)가, 잘린 잔디를 배깅모드형 하우징(11) 내부에서 회전시키며 잔디반출통로(21)로 향하게 하는 스크롤부(11d)를 따라, 하우징(11)의 상판(11a) 하측에 설비되고, 또한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이 통로 개구(24)에 대향하도록 설비되므로, 하우징(11)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선회시키는 기류, 즉 선회류의 방향(Rc, 도면의 화살표 Rc방향)을 가이드부(170)에 의해 통로 개구(24)로 향하여 완만하게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170)가 스크롤부(11d)를 따라 배깅모드형 하우징(11)의 상판(11a) 하측에 설비되므로, 하우징(11)의 단면적은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11d)가 없는 부분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의 단면적의 변화가 점진적이면,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11d)가 없는 부분 사이에서의 선회류의 속도도 점진적으로 변하게 된다.
그 결과, 잔디반출통로(21)가 차단되는 멀칭모드에 있어서,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11)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로부터, 하우징(11) 내부에 잘린 잔디가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이 방지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연속적인 잔디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동시에 하우징(11)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잔디반출통로(21)가 개방되는 배깅모드에 있어서,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된 선회류(반송류)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 개구(24)로부터 잔디반출통로(21)로 흐르게 되어 잘린 잔디를 잔디 수납체(23)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배깅모드에서의 작업능률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깅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확보하면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은 통로 개구의 하단 쪽으로, 즉 저판(21b)의 기단(21d) 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선회류의 방향(Rc)을 통로 개구(24)의 하단 쪽으로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 하우징(11) 내부의 단면적이 보다 완만하게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단면적 변화가 보다 완만해지므로, 선회류의 유속도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사이에서 보다 완만하게 변화한다.
그 결과,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11)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로부터, 하우징(11) 내부에 잘린 잔디가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연속적인 잔디깎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이 보다 향상되며, 동시에 하우징(11)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잔디반출통로(21)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로서 잔디반출통로(21)로 출입하는 플러그부재(180)가 채용되며, 및 이 플러그부재(180)가 하우징(11) 내부에서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을 향해 연장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단지 플러그부재(180)를 잔디반출통로(21)로 출입시키는 것에 의해, 배깅모드형 하우징(11)을 배깅모드와 멀칭모드로 절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드 절환작업은 간단하며, 단시간에 절환 가능하다.
가이드부(170)의 가이드 후연(171) 쪽으로 신장되는 플러그부재(180)의 하단(182)의 높이는 가이드 후연(17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므로, 잔디반출통로(21)가 플러그부재(180)에 의해 차단되는 멀칭모드에서는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플러그부재(180)의 하부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를 플러그부재(180)의 하단을 통해, 스크롤부(11d)가 없는 부분 쪽으로 완만하게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하우징(11) 내부의 단면적은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 사이에서 일층 완만하게 변화된다. 단면적의 변화가 보다 완만하기 때문에, 선회류의 유속은 스크롤부(11d)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사이에서 보다 완만하게 변화한다. 그 결과,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170)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는 하우징(11) 내부에서 보다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잘린 잔디가 하우징(11) 내부에 국부적으로 쌓이는 것을 더욱 잘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력원은 엔진에 한정되지 않는데, 가령 전동모터일 수도 있다.
잔디 수납체(23)도 그래스 백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박스이어도 좋다.
수직 차폐부재(45) 및 수평 차폐부재(46)도 통로 개구(24)의 열림 정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이기만 하다면, 형태, 크기 및 재질 등은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셔터부재(47)는 결과적으로 수직 차폐부재(45)의 스윙 기단이 회전축(44)에 부착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수직 차폐부재(45)의 스윙 기단만이 회전축(44)에 부착되거나 수평 차폐부재(46)의 스윙 기단만이 회전축(44)에 부착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가이드부(70 또는 170)의 형태, 치수 및 재질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가이드 후연(71)은 파(wave) 형상이면 되고, 요부(71a)와 철부(71b)의 형상 및 치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부가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서, 잘린 잔디를 배깅모드형 하우징 내에서 선회운동시키면서 잔디반출통로로 향하게 하기 위한 스크롤부를 따라 설비되고, 더욱이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이 잔디반출통로의, 하우징에 면하는 개구에 대향하게 되므로, 하우징의 내부에서 잘린 잔디를 회전하게 하는 기류의 방향, 즉 선회류의 방향을 가이드부에서 통로 개구를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며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롤부를 따라 위치하는 가이드부가 배깅모드형 하우징의 상판 하측에 설비되므로, 하우징 내부의 단면적은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단면적 변화가 점진적이므로 선회류의 유속도 스크롤부가 있는 부분과 스크롤부가 없는 부분사이에서 완만하게 변화한다.따라서, 잔디반출통로가 차단되는 멀칭모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는 선회류가 하우징 내부에서 원활한 선회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우징 내부에 잔디가 쌓이는 것은 어렵게 된다. 잔디가 쌓이지 않기 때문에 잔디깎기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멀칭모드에서의 작업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잘린 잔디를 하우징으로부터 하방으로 균일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으로부터 지면으로 배출하는 잔디의 양도 균일하게 된다. 이처럼, 배출되는 잔디의 양이 균일하게 되므로 잔디깎기 작업의 완성도가 향상된다.

Claims (5)

  1. 하방으로 신장하는 출력축(15a)을 가지는 구동원(15);
    상기 구동원의 하측에 설비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출력축에 부착되는 절단날(14);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후상방으로 신장하는 잔디반출통로(21);
    상기 잔디반출통로에 설비되어 상기 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부재(40, 180);
    상기 잔디반출통로의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잔디 수납체(23);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비되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상기 하우징 내부를 회전하면서 상기 잔디반출통로로 유도되게 하는 스크롤부(11d); 및
    상기 하우징의 상판(11a) 하측에 상기 스크롤부를 따라 설비되는 가이드부(7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잔디반출통로가 개방되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상기 잔디반출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잔디 수납체에 수납되고;
    상기 잔디반출통로가 폐쇄되면, 상기 절단날에 의해 잘린 잔디가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되며; 게다가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후연(71, 171)이 상기 잔디반출통로의 상기 하우징에 면하는 통로 개구(24)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 후연이 상기 통로 개구의 하단 쪽으로 지향(指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반출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상기 부재가, 상기 잔디반출통로로 출입하는 플러그부재(180)이며, 상기 플러그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 후연을 향해 신장하고, 상기 플러그부재의 하단의 높이가 상기 가이드 후연(171)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반출통로를 개방, 차단하는 상기 부재가 상기 잔디반출통로의 상기 통로 개구에 설비되는 셔터(40)로서,
    상기 셔터는: 상기 잔디반출통로의 좌우 수직벽의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상기 통로 개구의 근방에 설비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44); 상기 회전축에 그 스윙 기단(proximal end)이 취부되어 스윙작동에 의해 상기 통로 개구를 개폐하는 수직판상(狀)의 수직 차폐부(45); 상기 수직 차폐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출구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통로 개구의 하부를 폐쇄하는 수평판상(狀)의 수평 차폐부(46);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조작레버(43)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레버로써 상기 수직 차폐부 및 상기 수평 차폐부를 통해 상기 통로 개구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가이드 후연의 높이가 상기 통로 개구의 하단보다 높게 설정되며, 상기 가이드 후연이 파형(波形)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깎기 기계.
KR1020030018719A 2002-03-26 2003-03-26 잔디깎기 기계 KR100920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87057 2002-03-26
JP2002087057 2002-03-26
JPJP-P-2002-00325846 2002-11-08
JP2002325846A JP3771529B2 (ja) 2002-03-26 2002-11-08 芝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694A true KR20030079694A (ko) 2003-10-10
KR100920151B1 KR100920151B1 (ko) 2009-10-06

Family

ID=2780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719A KR100920151B1 (ko) 2002-03-26 2003-03-26 잔디깎기 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862875B2 (ko)
EP (2) EP1348328B1 (ko)
JP (1) JP3771529B2 (ko)
KR (1) KR100920151B1 (ko)
CN (2) CN2621395Y (ko)
AU (1) AU2003203292B2 (ko)
CA (2) CA2634124C (ko)
DE (2) DE60328774D1 (ko)
TW (2) TWI2392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529B2 (ja) * 2002-03-26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DE102004016707A1 (de) * 2004-04-05 2005-10-13 Wolf-Geräte AG Rasenmäher mit Mulchfunktion
US7367174B2 (en) * 2005-02-18 2008-05-06 The Toro Company Rotary lawn mower with pivotal mulch door
JP2007044854A (ja) * 2005-08-12 2007-02-22 Hitachi Koki Co Ltd 集塵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工具
US20070101692A1 (en) * 2005-11-09 2007-05-10 Barlow Dale V Lawn mower
US7654183B2 (en) * 2006-01-23 2010-02-02 Worktools, Inc. Compact heavy duty hole punch
US7406817B2 (en) * 2006-05-10 2008-08-05 Danny Bledsoe Mower discharge sliding door
WO2007143176A1 (en) * 2006-06-02 2007-12-13 Chris Landry Lawn mower attachment
US7574852B1 (en) 2006-10-25 2009-08-18 Exmark Mfg. Co., Inc. Multi-bladed cutting deck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baffles
US7448195B2 (en) * 2006-12-08 2008-11-11 Kohler Gary C Lawn mower attachment for controlling discharge flow
US7624562B2 (en) * 2007-08-02 2009-12-01 The Toro Company Mower cutting deck having operator controlled discharge opening using intuitively operable handle
EP2044829B1 (en) * 2007-10-05 2010-05-12 Black & Decker, Inc. Vegetation trimmer having a blowing function
US7784255B2 (en) * 2007-11-15 2010-08-31 Bush Hog Inc. Rotary cutters
EP2229047B1 (en) * 2008-01-09 2013-07-03 Victa Lawncare Pty. Ltd. A lawn mower
US8156722B2 (en) * 2008-01-11 2012-04-17 Kubota Corporation Mower having a grass clippings guide and shield member
US20090301050A1 (en) * 2008-06-10 2009-12-10 Gary Chester Kohler Lawn mower attachment and method
NZ570911A (en) * 2008-08-29 2010-01-29 Masport Ltd A lawn mower with a shredder blade feed by a tube that passes through the belt sending power to the rear wheels
US7805920B2 (en) * 2008-11-13 2010-10-05 The Toro Company Lawn mower having steeply inclined exit tunnel and battery access through rear face of mower cutting deck
JP5337585B2 (ja) * 2009-06-03 2013-1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5325659B2 (ja) 2009-06-03 201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US20110060631A1 (en) * 2009-09-04 2011-03-10 Bank Of America Redemption of customer benefit offers based on goods identification
JP5364630B2 (ja) * 2010-03-30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CN102273357B (zh) * 2010-06-09 2013-09-04 泉峰(中国)贸易有限公司 草坪维护设备
CN202172594U (zh) * 2010-06-09 2012-03-28 泉峰(中国)贸易有限公司 草坪维护设备
JP5124005B2 (ja) * 2010-10-26 2013-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型芝刈機
EP2499894B1 (en) * 2011-03-14 2014-07-02 Robert Bosch GmbH Lawnmowers
EP2734340B1 (en) 2011-07-24 2017-12-20 Makita Corporation Theft-deterrence system for power tool system, and adapter and method therefor
JP6067675B2 (ja) 2011-07-24 2017-01-25 株式会社マキタ 手持式の動力工具用の充電器、動力工具システム、及び動力工具バッテリを充電する方法
JP2014525840A (ja) 2011-07-24 2014-10-02 株式会社マキタ 動力工具用アダプタ、動力工具システム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情報を無線通信する方法
US9043957B2 (en) 2011-10-25 2015-06-02 Honda Motor Co., Ltd. Movable door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combination grass discharge and mulching lawnmower
CN102771249B (zh) * 2012-07-31 2015-04-08 浙江长江机械有限公司 一种割草机装置
JP2014060936A (ja) * 2012-09-20 2014-04-10 Honda Motor Co Ltd 乗用芝刈機
US9844176B2 (en) * 2012-10-22 2017-12-19 Fournier And Grande Trust Weed trimmer extension device
US9485911B2 (en) 2013-04-26 2016-11-08 Deere & Company Multi-blade mower deck with mulch/side discharge conversion
US10219432B2 (en) * 2015-04-21 2019-03-05 Kubota Corporation Grass cutter
US9699963B2 (en) * 2015-06-11 2017-07-11 Deere & Company Mulch kit control lever
US9854740B2 (en) * 2015-06-27 2018-01-02 The Toro Company Reel mower with reel cutting units having grass collecting baskets with deflectable bottom portions responsive to movement of the cutting units
JP6313348B2 (ja) 2016-02-29 2018-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654929B2 (ja) 2016-02-29 2020-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147880B1 (ja) 2016-02-29 2017-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193421B2 (ja) 2016-02-29 2017-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147881B1 (ja) 2016-02-29 2017-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193420B2 (ja) 2016-02-29 2017-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JP6193419B2 (ja) 2016-02-29 2017-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CN106358582A (zh) * 2016-08-24 2017-02-01 苏州金莱克精密机械有限公司 割草机的一键闷草联动机构
CN206611789U (zh) * 2016-12-27 2017-11-07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割草机
CN108496583B (zh) * 2017-02-24 2023-09-12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呼和浩特分院有限公司 圆捆卷捆机
CN108718663A (zh) * 2017-04-21 2018-11-0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割草机
EP3821692A4 (en) 2018-09-27 2021-08-2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LAWN MOWER
CN111819987B (zh) * 2019-04-18 2023-05-12 南京泉峰科技有限公司 割草机
CN210610344U (zh) 2018-09-27 2020-05-2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割草机
US11503762B2 (en) 2018-11-29 2022-11-22 Honda Motor Co., Ltd. Shutter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11096326B2 (en) * 2019-01-09 2021-08-24 Honda Motor Co., Ltd. Shutter locking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10897845B2 (en) 2019-01-28 2021-01-26 Honda Motor Co., Ltd. Cutter housing assembly for a lawnmower, lawnmower having same, and convertible lawnmower
US10966368B2 (en) * 2019-02-20 2021-04-06 Honda Motor Co., Ltd. Cutter housing assembly for a lawnmower and lawnmower having same
JP2020156447A (ja) * 2019-03-28 2020-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US11771004B2 (en) 2019-04-09 2023-10-03 The Toro Company Mulch door with sensor
USD995569S1 (en) 2019-04-18 2023-08-15 Nanjing Chervon Industry Co., Ltd. Mower blade assembly
CN110771339A (zh) 2019-12-10 2020-02-11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割草机
JP2022091273A (ja) 2020-12-09 2022-06-21 株式会社マキタ 芝刈機
CN113455173A (zh) * 2021-06-27 2021-10-01 刘杏桂 一种农业割草机
US20230070072A1 (en) * 2021-09-08 2023-03-09 Deere & Company Mulch gate control lever
CN114051820A (zh) * 2021-11-15 2022-02-18 胡土南 一种园林绿化用割草机
CN114731830B (zh) * 2022-05-09 2023-11-03 江苏圣达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畜牧业用牧草自动收割装置
US20240114828A1 (en) * 2022-09-27 2024-04-11 Mtd Products Inc Mow deck and bagging system for high efficiency walk-behind mowing apparatus
CN116326330A (zh) * 2023-02-22 2023-06-27 盐城工学院 一种除草机器人的粉碎收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4212A (en) * 1962-10-31 1964-05-26 Ira J Gary Leaf and pine straw mulching lawn mower attachment
US3872656A (en) * 1973-08-27 1975-03-25 Outboard Marine Corp Safety shutter door assembly for rotary lawnmower grass catcher chute
US3893284A (en) * 1973-12-20 1975-07-08 Mtd Products Inc Lawn mower and collector therefor
US3949540A (en) * 1974-08-02 1976-04-13 The Toro Company Mower discharge interlock apparatus
US4152884A (en) * 1977-07-22 1979-05-08 Jacobsen Manufacturing Company Lawn mower with catcher accommodation
US4189903A (en) * 1978-06-23 1980-02-26 Mcdonough Power Equipment, Division Of Fuqua Industries, Inc. Rotary lawn mower with removable mulching attachment
US4214424A (en) * 1979-01-22 1980-07-29 Roper Corporation Catcher securement for rear bagger
US4312174A (en) * 1980-06-18 1982-01-26 Canadiana Garden Products Inc. Rotary lawn mower
US4435949A (en) * 1982-07-12 1984-03-13 Outboard Marine Corporation Mulching adapter for rotary lawn mower
US4800712A (en) * 1982-08-04 1989-01-31 Outboard Marine Corporation Grass catcher mounting system
JP2525190B2 (ja) 1987-06-26 1996-08-14 日立冷熱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取付構造
US4951449A (en) 1989-07-28 1990-08-28 The Toro Company Convertible lawn mower
US5033260A (en) * 1989-11-06 1991-07-23 Jerry Frederick L Lawn mower deflector
US5210998A (en) 1991-01-18 1993-05-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Lawn mower with detachable inner members in cutter housing
US5107566A (en) * 1991-06-26 1992-04-28 Schmid Roy J Directed discharge blower chute and method
US5179823A (en) * 1991-07-23 1993-01-19 Pace Sang H Variable mulching mower with edger attachment
JPH05103524A (ja) * 1991-10-09 1993-04-27 Iseki & Co Ltd モーアデツキ
WO1994010827A1 (en) 1992-11-18 1994-05-26 James George Rolfe Rotary lawnmower attachment
US5442902A (en) * 1994-03-23 1995-08-22 Murray, Inc. Rotary mower having integrated deflector/mulching plug and improved blade
US5488821A (en) * 1994-11-09 1996-02-06 Deere & Company Mulching mower mechanism
US5894717A (en) * 1996-01-05 1999-04-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ulching mower
US6105350A (en) * 1998-08-28 2000-08-22 The Toro Company Multi-port hopper exhaust apparatus
US6195969B1 (en) 1999-04-03 2001-03-06 YILMAZ GüRSEL GEORGE Apparatus for multifunctional lawn mower and multidirectional shell
JP3771529B2 (ja) * 2002-03-26 200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芝刈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03292B2 (en) 2008-09-18
JP2004000127A (ja) 2004-01-08
JP3771529B2 (ja) 2006-04-26
US7249450B2 (en) 2007-07-31
EP1348328A1 (en) 2003-10-01
EP1504647A1 (en) 2005-02-09
US6862875B2 (en) 2005-03-08
TW200517048A (en) 2005-06-01
CA2634124A1 (en) 2003-09-26
CA2418773C (en) 2009-04-07
CA2418773A1 (en) 2003-09-26
KR100920151B1 (ko) 2009-10-06
DE60328774D1 (de) 2009-09-24
AU2003203292A1 (en) 2003-10-23
TWI241883B (en) 2005-10-21
EP1504647B1 (en) 2009-08-12
DE60319025T2 (de) 2009-02-12
CA2634124C (en) 2010-02-09
CN2621395Y (zh) 2004-06-30
TWI239232B (en) 2005-09-11
US20030182916A1 (en) 2003-10-02
US20050076629A1 (en) 2005-04-14
EP1348328B1 (en) 2008-02-13
TW200304354A (en) 2003-10-01
CN1446446A (zh) 2003-10-08
CN1255015C (zh) 2006-05-10
DE60319025D1 (de)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151B1 (ko) 잔디깎기 기계
KR100904223B1 (ko) 예초기
EP2258162B1 (en) Lawnmower
EP2258161B1 (en) Lawnmower
EP1632125B1 (en) Lawn mower
JP4005611B2 (ja) 芝刈機
JPH04158713A (ja) 芝刈機のリヤディスチャージ型カッター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