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577A -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577A
KR20030068577A KR10-2003-7009027A KR20037009027A KR20030068577A KR 20030068577 A KR20030068577 A KR 20030068577A KR 20037009027 A KR20037009027 A KR 20037009027A KR 20030068577 A KR20030068577 A KR 20030068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hip
electronic component
push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076B1 (ko
Inventor
케이이치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ublication of KR2003006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01R31/59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while the cable continuously passes the testing apparatus, e.g. during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작은 조각등 부착물을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부착물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를 걸리는 일이 없이 전자부품의 외부단자를 소켓트의 접속단자에 접속하고 전자부품에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전자부품을 시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푸숴블록(31)의, IC칩(2)의 본체부(21)의 피가압면(211)과 대향하는 면(311)에 핀형상의 돌기부(312)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Pusher and electronic part tester with the pusher}
반도체장치등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제조된IC칩등 전자부품의 성능이나 기능등을 시험하는 전자부품시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부품시험장치의 일례로서 저온,고온등의 각종 온도조건하에서,IC칩등의IC디바이스의 성능이나 기능등을 시험하는 IC시험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IC시험장치를 사용한 IC디바이스의 시험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IC소켓트가 장치된 테스트헤드의 상방에 피시험IC디바이스를 반송한 후 피시험IC디바이스를 가압하여 IC소켓트의 접속단자와 피시험IC디바이스의 외부단자를 접촉시킨다. 그 결과 피시험IC디바이스는 IC소켓트, 테스트헤드 및 케이블을 통해서 시험용메인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시험용메인장치에서케이블을 통해서 테스트헤드에 공급되는 테스트신호를 피시험IC디바이스에 인가하고, 피시험IC디바이스에서 읽어 내는 응답신호를 테스트헤드 및 케이블을 통해서 시험용메인장치로 보냄으로서 피시험IC디바이스의 전기적특성이 측정된다.
IC시험장치를 사용한 IC디바이스의 시험에 있어서 피시험IC디바이스를 가압할 때에는 푸숴블록(Block)을 갖춘 푸숴가 하강함으로 인해 푸숴블록의 가압면과 피시험IC디바이스의 피가압면이 접촉하고 피시험IC디바이스에 IC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진다.
본발명은 IC칩등의 전자부품시험장치에 있어서 소켓트에 장착된 전자부품을 가압하기위한 푸숴 및 상기 푸숴를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시험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인 IC시험장치를 나타낸 전체측면도이다.
도2는 상기 IC시험장치에 있어서 핸들러를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도3은 피시험IC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트레이의 순서도(flow chart)이다.
도4는 상기 IC시험장치에 있어서 IC스토커(stocker)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5는 상기 IC시험장치에서 사용되는 커스토머 트레이(customer tray)를 표현한사시도이다.
도6은 상기 IC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 챔버내의 요부단면도이다.
도7은 상기 IC시험장치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test tray)를 나타내는 일부분해사시도이다.
도8은 상기 IC시험장치의 테스트헤드에 있어서 소켓트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9는 상기 IC장치에 있어서 푸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은 상기 IC장치에 있어서 소켓트부근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도10에 있어서 푸숴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2는 푸숴의 하강 전후에 있어서, IC칩의 피가압면에 부착된 부착물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3은 푸숴의 돌기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러나 피시험IC디바이스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 조각이 부착하는 경우에 푸숴블록의 가압면과 피시험IC디바이스의 피가압면이 접촉하여 피시험IC디바이스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작은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걸리게 되어, 피시험IC디바이스에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피시험IC디바이스가 기판상에 장착된 베이스 업(base up)칩이 몰드수지에 밀봉되어 있지 아니한 IC디바이스 경우에는 베이스업칩 자체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발명은 피시험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의 파편등의 작은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피시험전자부품에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발생하게 하는일없이 피시험전자부품에 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가해질수 있는 푸숴 및 상기 푸숴가 구비된 전자부품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상기과제를 해결하기위해 본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는 푸숴는 소켓트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가압하기 위한 푸숴로서, 전기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면에 전기전자부품을 전기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돌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푸숴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본체부」란 전자부품의 외부단자를 제외한 부재 또는 부분을 의미하며, 예를들면 전자부품이 IC칩인 경우에는 기판상에 장착된 베이스 업칩, 기판상에 장착된 베이스 업칩을 밀봉하는 몰드수지등이 「전자부품의 본체부」에 포함되어 진다. 또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이란,전자부품의 외면중, 푸숴에 의하여 가압력이 가해지는 외면을 의미하고, 예를들면 전자부품이 BGA(Ball Grid Array)타입,LGA(Land Grid Array)타입등의 표면장착형 에리어 어레이(Area Array)타입의 IC칩인 경우에는 외부단자인 납땜볼이나 랜드등이 설치되어진 면과 반대측의 면이「전자부품의 피가압면」으로 된다.
본발명의 푸숴는 소켓트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상기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돌기부에 의해서 가압하므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 조각이 부착되어 있어도 푸숴가 상기 작은조각과 접촉할확율이 매우 낮다.
또한, 푸숴의 돌기부가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의 부착물과 접촉하였다 하여도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상기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푸숴의 면 사이에는 돌기부에 의하여 공극이 형성되므로, 푸숴의 돌기부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부착물은 상기 공극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부착물이 푸숴의 돌기부와 전자부품의 피가압면 사이에 고착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푸숴에 의하면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 조각이 부착되는 경우라도 그 작은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부품에 조각이나 파편등으로 인한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가할수 있다.
본발명의 푸숴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 되는 돌기부의 재질은 특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들면 고무,플라스틱등이 바람직하다. 돌기부의 재질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 조각이 부착되는 경우라도 돌기부가 상기 부착물과 접촉하였을 때에 돌기부는 스스로 변형하고 상기 부착물로 가해진 가압력을 경감 할 수 있으므로 돌기부와 상기부착물과의 접촉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전자부품의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본발명의 푸숴는 BGA(Ball Grid Array)타입,LGA(Land Grid Array)타입등의 표면실장형 에리어 어레이(Area Array)타입의 IC칩, 그 중에서도 특히 CSP(Chip Size Package)타입의 IC칩에 대해서 매우 알맞게 적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푸숴에 있어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면에 설치 되어진 돌기부의 형상,개수,위치등은 특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후술한 모양이 바람직하다.
(2)본발명의 푸숴는 상기 돌기부가 핀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형상의 푸숴는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가압하는 돌기부가 핀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푸숴의 돌기부가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의 부착물과 접촉하였다 하여도 그 접촉면적이 매우 작다. 따라서 푸숴의 돌기부와 접촉한 상기 부착물에는 국소적인 힘이 가해지고, 상기 부착물은 푸숴의 돌기부에 의해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상기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푸숴의 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으로 이동하기 쉬워 진다. 따라서 핀형상의 푸숴는 상기 부착물이 푸숴의 돌기부와 전자부품의 피가압면 사이에 고착된 상태로 되는 것을 효율좋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돌기부의 형상은 핀형상에 한하여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추형상,각추형상,침형상등을 예시할수 있다. 또한 상기 모양의「핀형상」이란 핀끝을 향해서(가압방향을 향해서 ) 미세하게 되어 있는 형상을 의미하며, 핀끝이 예리하게 되어 있는 형상이외에 핀끝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한 형상, 핀끝이 평면으로 되어 있는 형상등도 포함된다.
(3)본발명의 푸숴는 상기 돌기부가 전기전자부품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푸숴는 전자부품의 외부단자를 각각 대응하는 소켓트의 접속단자에 접속시킬 때에 필요한 가압력을 전자부품의 개개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돌기부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모양의 푸숴를 적용하여 전자부품을 가압하면 전자부품의 외부단자와 소켓트의 접속단자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푸숴는 모든 돌기부가 전자부품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 돌기부의 개수는 전자부품의 외부단자의 개수보다도 많거나 적어도 좋지만 전자부품의 모든 외부단자에 대해서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본발명의 푸숴의 상기 돌기부는 전기전자부품의 가압방향에 대향하여 탄성부재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푸숴의 돌기부가 복수개 설치 된 경우에는 각각의 돌기부에 치수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각의 돌기부에 의해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돌기부는 전자부품의 가압방향에 대향하여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탄성부재에 의해서 각각의 돌기부의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각각의 돌기부에 의해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의 푸숴는 각각의 돌기부의 스토로크 및 하중 제어에 의하여 각 돌기부에 따라서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일화 할 수 있다.
(5)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되는 전자부품시험장치는 본 발명의 푸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전자부품시험장치는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 작은 조각이 부착된 부분에 집중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부품에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가하여, 전자부품의 외부단자와 소켓트의 접속단자를 접속시켜서 전자부품의 시험이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자부품시험장치의 하나의 실시형태인 IC시험장치를 나타내는 전체측면도, 도2는 상기IC시험장치에 있어서 핸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피시험IC의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트레이의 순서도, 도4는 상기IC시험장치에 있어서 IC스토커의 구조를 가리키는 사시도, 도5는 상기IC시험장치에서 사용되는 커스토머 트레이를 가리키는 사시도, 도6은 상기IC시험장치에 있어서 시험챔버내의 요부단면도, 도7은 상기IC시험장치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를 가리키는 일부분해사시도, 도8은 상기IC시험장치의 테스트헤드에 있어서 소켓트부근의 구조를 가리키는 분해사시도,도9는 상기 IC시험장치에 있어서 푸숴의 분해사시도, 도10은 상기IC장치에 있어서 소켓트부근의 단면도, 도11은 도10에 있어서 푸숴가 하강한 상태를 가리키는 단면도, 도12는 푸숴의 하강 전후에 있어서 IC칩의 피가압면에 부착된 부착물의 상태를 가리키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IC시험장치에 있어서 피시험IC의 처리방법를 이해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실제로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부재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부분도 있다. 따라서 그 기계적(3차원적)구조는 도2를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IC시험장치의 전체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IC시험장치(10)은 핸들러(1), 테스트헤드(5) 및 시험용메인장치(6)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러(1)는 시험해야 할 전자부품인 IC칩(전자부품의 일례)을 테스트헤드(5)의 상측에 설치되어진 접촉부(9)의 소켓트에 차례로 반송하고, 시험이 종료한IC칩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서 분류하여 소정의 트레이에 격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접촉부(9)의 소켓트는 테스트헤드(5)와 케이블(7)을 통하여 시험용메인장치(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소켓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IC칩은 테스트헤드(5) 및 케이블(7)을 통해서 시험용메인장치(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소켓트에 장착된 IC칩에는 시험용메인장치(6)로부터 시험용 전기신호가 인가되고, IC칩에서 읽혀진 응답신호는 케이블(7)을 통해서 시험용메인장치(6)으로 보내져서 이것에 의해 IC칩의 성능이나 기능등이 시험된다.
핸들러(1)의 하부에는 주로 핸들러(1)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내장되어 있지만 일부에 공간부분(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분(8)에 테스트헤드(5)가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핸들러(1)에 형성된 관통공를 통해서IC칩을 테스트헤드(5)의 상측에 설치되어진 접촉부(9)의 소켓트에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C시험장치(10)는 시험해야 할 전자부품으로서의 IC칩을 상온보다도 높은 온도상태(고온)또는 낮은 온도상태(저온)에서 시험하기 위한 장치이며, 핸들러(1)는 도2 및 도3에서 표현한 것 처럼 항온조(101), 테스트챔버(102) 및 제열조(103)으로 구성되는 챔버(100)을 갖춘다.
도1에 나타나 있는 테스트헤드(5)의 상측에 설치되어진 접촉부(9)는 도6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테스트챔버(102)의 내부에 삽입되어져서 거기에서 IC칩의 시험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도2 및 도3에서 가리키는 것 처럼 IC시험장치(10)에 있어서 핸들러(1)는 이제부터 시험할 IC칩을 격납하고, 또한 시험을 종료한 IC칩을 분류하여 격납하는 IC격납부(200), 상기 IC격납부(200)로부터 보내진 피시험IC칩을 챔버부(100)로 보내주는 로더(loader)부(300) 및 테스트헤드(5)를 포함한 챔버부(100)와 챔버부(100)에서 시험이 행하여진 시험필의 IC칩을 분류하여 끄집어 내는 언로더(unloader)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핸들러(1)의 내부에 장착된 IC칩은 테스트 트레이에 수납되어 반송된다.
핸들러(1)에 수납되기 전의 IC칩은 도5에서 가리키는 커스토머 트레이(KST)내에 다수 수납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도2 및 도3에서 가리키는 핸들러(1)의 IC수납부(200)로 공급되어 거기에서 커스토머 트레이(KST)에서 핸들러(1)내로 반송되는 테스트 트레이(TST)(도 7 참조)에 IC칩이 교환되어 탑재된다. 핸들러(1)의 내부에서는 도3에 나타난 것 처럼 IC칩은 테스트 트레이(TST)에 실려진 상태로 이동하고, 고온 또는 저온의 온도스트레스가 주어지면서 적절하게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시험(검사)받게되며, 상기 시험 결과에 따라서 분류된다.
이하 핸들러(1)의 내부에 관해서 개별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IC격납부(200)에 관련되는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IC격납부(200)에는 시험전의 IC칩을 격납하는 시험전IC스토커(201)와 시험 결과에 따라서 분류된IC칩을 격납하는 시험종료IC스토커(202)이 설치되어져 있다.
시험전IC스토커(201) 및 시험종료IC스토커(202)는 도4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틀상의 트레이 지지틀(203)과 상기 트레이 지지틀(203)의 하부에서 침입하여 상부로 향하여 승강 가능한 엘러베이터(204)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지지틀(203)에는 커스토머 트레이(KST)가 복수로 겹쳐 실어져 지지되고, 상기의 겹쳐 실어진 커스토머 트레이(KST)만이 엘러베이터(204)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게끔 되어 있다.
도2에서 가리키는 시험전IC스토커(201)에는 이제부터 시험이 행해지는 IC칩이 격납된 커스토머 트레이(KST)가 적층되어 보지하고 있다. 또한,시험종료IC스토커(202)에는 시험을 끝난 후 분류된IC칩이 수납된 커스토머 트레이(KST)가 적층되어 있다.
한편, 시험전IC스토커(201)과 시험종료IC스토커(202)는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시험전IC스토커(201)의 부분을 시험종료IC스토커(202)로서 사용하거나 그 반대 역시 가능 하다. 따라서 시험전IC스토커(201)의 수와 시험종료IC스토커(202)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서 쉽게 변경 할 수 있다.
도2 및 도3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험전IC스토커(201)로서 2개의 스토커(STK-B)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커(STK-B)의 측면에는 시험종료IC스토커(202)로서 언로더부(400)으로 보내지는 빈 스토커(STK-E)가 2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옆에는 시험종료IC스토커(202)로서 8개의 스톡커(STK-1,STK-2,STK-8)가 설치되어 있고, 시험결과에 따라서 최대 8개의 분류로 나누어서 격납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양품과 불량품 별로 나누는 것 이외에도 양품중에서도 동작속도가 고속인 것, 중속인 것, 저속인 것, 혹은 불량중에서도 재시험이 필요한 것 등으로 나눌수 있다.
다음은 로더부(300)에 관련한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4에서 가리키는 시험전IC스톡커(201)의 트레이지지틀(203)에 수납하고 있는 커스토머 트레이(KST)는 도2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IC격납부(200)와 장치기판(105)사이에 설치된 트레이 이송아암(arm)(205)에 의해서 장치기판(105)의 하측으로부터 로더부(300)의 창부(306)로 운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의 로더부(300)에 있어서, 커스토머 트레이(KST)에 적재된 피시험IC칩을 X-Y반송장치(304)에 의해서 일단 프리사이저(preciser)(305)로 이송하고, 여기에서 피시험IC칩의 서로의 위치를 수정한 후, 다시 프리사이저(305)에 이송된 피시험IC칩을 재차 X-Y반송장치(304)를 사용하여 로더부(300)에 정지되어 있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바꾸어 적재된다.
커스토머 트레이(KST)에서 테스트 트레이(TST)로 피시험IC칩을 바꿔 적재한 X-Y반송장치(304)는 도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치기판(105)의 상부에 가설된 2개의 레일(301), 상기 2개의 레일(301)에 의해서 테스트 트레이(TST)와 커스토머 트레이(KST) 사이를 왕복(이 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할 수 있는 가동암(302) 및 이 가동암(302)에 의해서 지지되고 가동암(302)에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는 가동헤드(303)을 갖추고 있다.
X-Y반송장치(304)의 가동헤드(303)에는 흡착헤드가 하부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흡착헤드가 공기를 흡인하면서 이동함으로서 커스토머 트레이(KST)에서 피시험IC칩을 흡착한 다음 그 피시험IC칩을 테스트 트레이(TST)에 바꿔 적재한다. 상기의 흡착헤드는 가동헤드(303)에 대해서 예를들면 8개정도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 때에는 8개의 피시험IC칩을 테스트 트레이(TST)에 바꿔 적재할 수 있다.
다음은 챔버(100)에 관련된 부분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테스트 트레이(TST)는 로더부(300)에서 피시험IC칩이 적재된 후 챔버(100)으로 이송되고, 상기 테스트 트레이(TST)에 탑재된 상태에서 각각의 피시험IC칩이 테스트된다.
도2 와 도3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챔버(100)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적재된 피시험IC칩을 대상으로 고온 또는 저온의 열 스트레스를 주는 항온조(101), 상기 항온조(101)에서 열 스트레스가 주어진 상태에 있는 피시험IC칩이 테스트헤드(5)상의 소켓트에 장착되는 테스트챔버(102) 및 테스트챔버(102)에서 시험된 피시험IC칩에서 주어진 열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제열조(103)로 구성되어 있다.
제열조(103)는 항온조(101)로 고온이 인가한 경우에 피시험IC칩을 송풍에 의하여 냉각하여 실온으로 돌려놓고, 또한 항온조(101)로 저온을 인가한 경우에는 피시험IC칩을 온풍 또는 히타등으로 가열하여 결로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온도까지 돌려 놓는다. 그리고 이 제열된 피시험IC칩을 언로더부(400)로 반출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챔버(100)의 항온조(101)와 제열조(103)는테스트챔버(102)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항온조(101)에는 도3에서 개념적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수직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테스트챔버(102)가 비어 있는 상태에 이를 때까지, 복수개의 테스트트레이(TST)에 상기 수직반송장치에 지지되면서 대기한다. 주로 상기 대기중에 피시험IC칩에 고온 또는 저온의 열 스트레스가 인가된다.
도6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테스트챔버(102)에는 그 중앙하부에 테스트헤드(5)가 배치되고, 테스트 트레이(TST)가 테스트헤드(5) 상부로 운반된다. 여기에서 도7에 나타난 테스트 트레이(TST)에 의하여 보지된 모든 IC칩(2)을 차례로 테스트헤드(5)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후, 테스트 트레이(TST)내의 모든 IC칩(2)에 관해서 시험을 행한다. 한편 시험이 종료한 테스트 트레이(TST)는 제열조(103)에서 제열하여 IC칩(2)의 온도를 실온으로 돌린 다음에 도2 및 도3에서 가리키는 언로더부(400)로 배출된다.
또한 도2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항온조(101)와 제열조(103) 상부에는 장치기판(105)에서 테스트트레이(TST)를 보내 넣는 입구용 개구부와, 장치기판(105)으로 테스트트레이(TST)를 내보내기위한 출구용 개구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장치기판(105)에는 이들 개구부에서 테스트 트레이(TST)를 이송하기 위한 테스트 트레이반송장치(108)를 장착하고 있다. 이들 반송장치(108)은 예를들면 회전롤러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장치기판(105)상에 설치되어진 테스트 트레이반송장치(108)에 의하여 제열조(103)에서 배출된 테스트 트레이(TST)는 언로더부(400) 및 로더부(300)를 통하여 항온조(101)로 반송된다.
도7은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테스트 트레이(TST)의 구조를 가리키는 분해사시도 이다. 상기의 테스트 트레이(TST)는 단형프레임(12)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2)에 복수의 선반(13)이 평행 또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선반(13)의 양측과 상기 선반(13)과 평행한 프레임(12)의 변(12a)의 내측에는 각각 복수의 설치편(14)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선반(13)의 사이 및 선반(13) 과 변(12a)와의 사이에 설치 되어진 복수의 설치편(14)내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설치편(14)에 의해서 각 인서트(insert)수납부(15)가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인서트수납부(15)에는 각각 1개의 인서트(16)가 수납되고, 상기의 인서트(16)는 패스너(fastener)(17)를 사용하여 2개의 설치편(14)에 플로팅 (floating)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인서트(16)는 예를들면 한개의 테스트 트레이(TST)에 (16×4개)정도 설치된다. 상기의 인서트(16)에 피시험IC칩(2)를 수납함으로서 테스트트레이(TST)에 피시험IC칩(2)이 적재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시험대상으로 되어있는 IC칩(2)은 도10-도13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단형의 본체부(21)의 아래면에 외부단자(22)인 납땜볼이 매트릭스(matrix)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이른바 BGA타입의 IC칩이다.
본 실시형태의 인서트(16)는 도8 및 도10에서 가리키는 것 처럼 피시험IC칩(2)을 수납하는 단형의 IC수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IC수납부(19)의 하단부는 IC칩(2)의 외부단자(22)가 노출하게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부의 주변에는 IC칩(2)을 보지하는 IC지지부(195)가 설치되어져 있다.
인서트(16)의 양측의 중앙부에는 푸숴베이스(34)의 안내핀(32) 및 소켓트안내부(41)의 안내부쉬(411)가 각각 상하 방향에서 삽입되는 안내구멍(20)이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16)의 양측의 모서리에는 테스트 트레이(TST)의 설치편(14)으로 삽입되는 설치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에서 가리키는 것 처럼 안내구멍(20)은 위치결정을 위한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상기 도면에서 좌측의 안내구멍(20)을 위치결정을 위한 구멍으로 하고, 우측의 안내구멍(20)보다도 작은 내경으로 할 경우, 좌측의 안내구멍(20)에는 그 상부면에 푸숴베이스(34)의 안내핀(32)가 삽입되어 위치결정이 행하여지고, 그 하부면에는 소켓트안내부(41)의 안내부쉬(411)이 삽입되어 위치결정이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의 도면에서 안내구멍(20)과, 푸숴베이스(34)의 안내핀(32) 및 소켓트안내부(41)의 안내부쉬(411)는 느슨하게 결합하게 된다.
도8에 나타나 있듯이, 테스트헤드(5)상부에는 소켓트보드(50)가 배치되어 있다. 소켓트보드(50)는 도7에서 표시된 테스트 트레이(TST)에 있어서 예를들면 행방향으로 3개 간격으로 합계 4열의 피시험IC칩(2)에 대응한 수(4행×4열)로 배치 할수 있지만, 한개 한개의 소켓트보드(50)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면 도7에서 가리키는 테스트 트레이(TST)에 지지되어 있는 모든 IC칩(2)을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테스트헤드(5)위에 (4행×16열)의 소켓트보드(50)를배치하여도 좋다.
도8에서 알 수 있듯이, 소켓트보드(50)상부에는 소켓트(40)가 설치되고, 도10 및 도11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소켓트(40)에 설치되어져 있는 프로브(probe)핀(44)(소켓트의 접속단자의 일례)이 노출하도록 소켓트(40)에는 소켓트안내부(41)가 고정되어 있다.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에는 IC칩(2)의 외부단자(22)에 대응하는 수 및 위치에 설치되고,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소켓트안내부(41)의 양측에는 푸쉬베이스(34)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안내핀(32)이 삽입되어져서, 이들2개의 안내핀(32)와의 사이에서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안내부쉬(411)가 설치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푸숴(30)는 소켓트(40)의 수에 대응하여 테스트헤드(5)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6에서 표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푸숴(30)는 매치 플레이트(match plate)(60)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매치 플레이트(60)는 테스트헤드(5)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푸숴(30)와 소켓트(40)사이에 테스트 트레이(TST)가 삽입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의 매치 플레이트(60)에 지지된 푸숴(30)는 테스트헤드(5) 또는 Z축구동장치(70)의 구동플레이트(구동체)(72)에 대해서 Z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한편, 테스트트레이(TST)는 도6에서 지면으로 수직방향(X축)에서 푸숴(30)와 소켓트(40) 사이에 반송되게 된다. 챔버(100)내부에서의 테스트 트레이(TST)의 반송수단으로는 반송용롤러등이 사용된다. 테스트 트레이(TST)의 반송이동에 대하여 Z축구동장치(70)의 구동플레이트는 Z축방향을 따라서 상승하고, 푸숴(30)와 소켓트(40) 사이는 테스트 트레이(TST)가 삽입되어 충분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난 것처럼 테스트챔버(102)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플레이트(72)의 하부면에는 푸숴(30)에 대응하는 수의 가압부(74)가 고정되어 있고, 매치 플레이트(60)에 지지되어 있는 푸숴(30)의 상부면(리드 푸숴베이스(35)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플레이트(72)에는 구동축(78)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78)에는 모터등의 구동원(도시않함)이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78)을 Z축방향에 따라서 상하이동시켜 푸숴(30)를 가압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매치 플레이트(60)는 시험해야할 IC칩(2)의 형상이나 테스트헤드(5)의 소켓트 수( 동시에 측정하는 IC칩(2)의 수)등에 합쳐서 푸숴(30)와 함께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매치 플레이트(60)을 구성함으로서 Z축구동장치(70)를 범용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74)와 푸숴(30)가 1대1로 대응하고 있지만 예를들면 테스트헤드(5)의 소켓트 수가 반으로 변경된 때에는 매치 플레이트(60)를 교환함으로서 가압부(74)와 푸숴(30)를 2대1로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푸숴(30)는 앞에서 설명한 Z축 구동장치에 설치되어 Z축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리드푸숴베이스(35), 푸숴베이스(34), 푸숴 베이스(34)에 설치된 푸숴블록(31) 및 리드푸숴베이스(35)와 푸숴블록(31)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36)(탄성부재의 일례)을 포함하고 있다.
리드푸숴베이스(35)와 푸숴베이스(34)는 도9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고, 푸숴베이스(34)의 양측에는 인써트(16)의 안내구멍(20 ) 및 소켓트안내부(41)의 안내부쉬(411)에 삽입되도록 안내핀(32)가 설치된다. 또한 푸숴베이스(34)에는 상기 푸숴베이스(34)가 Z축 구동수단에 의해 하강할 때 하한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안내부(3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의 스토퍼안내부(33)는 소켓트안내부(41)의 스토퍼면(412)에 접함으로서 푸숴(30)의 하한 위치의 기준치수가 결정되므로 푸숴(30)는 소켓트(40)에 장착된IC칩(2)을 파괴하지 않는 적절한 압력으로 누를수 있다.
도9에 나타나 있듯이 푸쉬블록(31)은 푸쉬베이스(34)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푸숴블록(31)과 리드푸숴베이스(35) 사이에는 스프링(36 ) 및 필요에 따라서 부쉬(37)가 설치된다. 스프링(36)은 푸숴블록(31)을 소켓트(40)에 장착된 IC칩(2)을 가압하는 방향(도10 및 도11에 있어서 하부 방향)에 탄력지지되는 압축용수철이며, IC칩(2)의 기준하중에 따른 탄성계수를 가진다.  
또한 부쉬(37)는 스프링(36)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기준거리를 조절하고, 푸숴블록(31)에 작용하는 초기하중을 조절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같은 탄성계수의 스프링(36)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부쉬(37)를 설치함으로서 푸숴블록(31)에 작용하는 초기하중은 커진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부쉬(37)가 스프링(36)과 푸쉬블록(31) 사이에 설치되어 있지만 스프링(36)의 기준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예를들면 리드푸숴베이스(35)와 스프링(36)과의 사이에 장착해도 좋다.
본발명에 관계되는 탄성부재로서 스프링(36)을 사용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는 복수 종류의 스프링을 준비해 두고 피시험IC칩에 대한 기준하중에 따라서 이들 중에서 적절한 스프링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푸숴블록(31)에 복수의 스프링이 병렬적으로 장착할 수있는 구조로 하면서, IC칩(2)에 대한 기준하중에 따라서 이들의 장착개수를 선택해도 좋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푸숴블록(31)에는 IC칩(2)의 본체부(21)의 피가압면(211)(외부단자(22)가 설치된다면 반대측의 면)과 대향하는 사각 형상의 면(311)에 원추형상의 돌기부(312)가 설치된다.
 돌기부(312)는 IC칩(2)의 외부단자(22)와 대응하는 수 및 위치에 따라서 설치된다. 돌기부(312)는 IC칩(2)의 외부단자(22)와 대응하는 수 및 위치에 설치되므로, IC칩의 외부단자(22)와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가압력을 각각의 외부단자(22)에 대해서 가할수 있다. 돌기부(312)의 재질은 탄성을 가리키는 재질(예를들면,고무,플라스틱등)이다.
피시험IC칩(2)의 외부단자(22)를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에 접속시킬 때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IC칩(2)을 인서트(16)의 IC수납부(19)에 수납하고, IC보지부(195)에서 IC칩(2)의 본체부(21)의 하부면(외부단자(22)가 설치된 경우)의 주변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IC수납부(19)의 하단개방부에서 IC칩(2)의 외부단자(22)를 노출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IC칩(2)을 수납한 인서트(16)를 소켓트안내부(41)에 장착함으로서 IC칩(2)을 소켓트(40)에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Z축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푸쉬(30)를 가압하게 되면, 푸숴(30)의 푸숴블록(31)은 도11에서 처럼 IC칩(2)의 본체부(21)를 소켓트(40)에 눌러서 IC칩(2)의 외부단자(22)가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에 접속되게 한다. 이때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은 상방향에 탄력지지되면서 소켓트(40)의 내부에 후퇴하는 한편, 프로브핀(44)의 선단부는 외부단자(22)에 접촉하게 된다.
IC칩(2)의 본체부(21)를 푸숴블록(31)에서 가압하면 도12(c)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IC칩(2)의 본체부(21)의 피가압면(211)과, 상기 피가압면(211)과 대향하는 푸숴블록(31)의 면(311)과의 사이에는 돌기부(312)가 존재함으로서 공극(R)이 형성된다. 따라서 소켓트(40)에 장착된 IC칩(2)의 본체부(21)의 피가압면(211)에 도12(a)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실리콘 파편등의 부착물(S)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IC칩(2)를 푸숴(30)로 가압하면 도12(b)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부착물(S)는 푸숴블록(31)에 설치된 돌기부(312)와 접촉한다. 돌기부(312)는 핀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돌기부(312)와 부착물S와는 점접촉(또는 접촉면적이 적은 면접촉)을 하고, 부착물S에는 국소적인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돌기부(312)와 접촉한 부착물(S)은 튀어서 도12(c)에서 처럼 공극(R)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부착물(S)이 있는 부분에 집중적인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IC칩(2)의 조각이나 파편등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IC칩(2)에 대하여 소켓트(40)의 프로브핀(44)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부착물(S)의 위치에 따라서는 부착물(S)와 돌기부(312)가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부착물(S)은 공극(R)에 존재하게 됨으로서 부착물(S)에 의한 IC칩(2)의 조각이나 파편등에 손상이 생기는 일은 없다ㅏ.
돌기부(312)의 재질은 탄성을 가지도록 하여 돌기부(312)가 부착물(S)과 접촉하였을 때에 돌기부(312)는 스스로 변형하도록 하고, 부착물(S)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경감 할 수 있으므로 돌기부(312)와 부착물(S)과의 접촉시에 발생할수 있는 IC칩(2)의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푸숴(30)의 푸숴블록(31)에 설치된 돌기부(312) 상호간에 치수오차가 생길 경우에도 각각의 돌기부(312)는 스프링(36)에 의해서 IC칩(2)의가압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IC칩(2)를 가압할 때에 스프링(36)에 의해서 각각의 돌기부(312)의 치수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각각의 돌기부(312)에 의해서 IC칩의 피가압면(21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일화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돌기부(312)의 스토로크 와 하중 제어에 의해 각각의 돌기부(312)에 따라서 IC칩의 피가압면(211)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균일화할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챔버(100)에 있어서 도6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테스트챔버(102)를 구성하는 밀폐된 케이싱(80)의 내부에 온도조절용송풍장치(90)를 장착하고 있다. 온도조절용송풍장치(90)는 팬(92)과 열교환부(94)를 가지고, 팬(92)에 의해서 케이싱내부의 공기를 흡수하며, 열교환부(94)를 통해서 케이싱(80)의 내부로 토출함으로서 케이싱(80)의 내부를 소정의 온도 조건(고온 또는 저온)으로 유지한다.
온조용송풍장치(90)의 열교환부(94)는 케이싱내부를 고온으로 할 경우에는 가열매체가 유통하는 방열용 열교환기 또는 전열히터등으로 구성하여, 케이싱 내부를 예를들면 실온∼160℃정도의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충분한열량을 제공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부를 저온으로 할 경우에는 열교환부(94)는 액체질소등의 냉매가 순환하는 흡열용 열교환기등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케이싱 내부를 예를들면 ―60℃∼ 실온정도의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열량를 흡수 가능하도록 한다. 케이싱(80)의 내부온도는 예를들면 온도센서(82)에 의해서 검출되어 케이싱(80)의 내부가 소정온도로 유지되게끔 팬(92)의 풍량 및 열교환부(94)의 열량등이 제어된다.
온도조절용송풍장치(90)의 열교환부(94)를 통해서 발생한 온풍 또는 냉풍은 케이싱(80)의 상부를 Y축방향을 따라서 흐르고, 상기 장치(90)와 반대측의 케이싱 측벽을 따라서 하강하고, 매치 플레이트(60)와 테스트헤드(5)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상기 장치(90)로 돌아가서 케이싱 내부를 순환하게끔 되어 있다.
다음은 언로더부(400)에 관련된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나타난 언로더부(400)에도 로더부(300)에 설치된 X-Y반송장치(304)와 동일 구조의 X-Y반송장치(404)이 설치되어져서, 상기의 X-Y반송장치(404)에 의하여 언로더부(400)으로 운반된 테스트 트레이(TST)에서 시험종료의 IC칩이 커스토머 트레이(KST)에 바꿔 적재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언로더부(400)의 장치기판(105)에는 상기 언로더부(400)로 운반된 커스토머 트레이(KST)가 장치기판(105)의 상부면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창부(406),(406)를 두쌍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각각의 창부(406)의 하측에는 커스토머 트레이(KST)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시험종료의 피시험IC칩이 바꿔 적재되어 가득 채워진 커스토머 트레이(KST)를 실어서 하강하고, 이러한 트레이를 트레이이송 아암(205)으로 이송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기재된 것으로서 본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들면 푸숴(30)의 푸숴블록(31)에 설치된 돌기부(312)의 형상은 부착물(S)와 점접촉을 하거나 혹은 접촉면적이 작은 면접촉을 하는 범위내에 있어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돌기부(312)의 형상은 각추형상, 침상등의 원추형상이외의 핀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것 처럼 돌기부(312)의 형상을 침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IC칩(2)의 본체부(21)의 피가압면(211)과, 피가압면(211)과 대향하는 푸숴블록(31)의 면(31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R)이 크게 되므로 돌기부(312)와 부착물(S)이 접촉하였을 때에 부착물(S)가 공극(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또한 돌기부(312)의 형상을 침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돌기부(312)와 부착물(S)가 접촉하는 확율이 낮아 진다( 즉 부착물(S)은처음부터 공극(R)에 존재할 확율이 높아 진다).
또한IC시험장치(10)은 상기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챔버타입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챔버레스(chamberless)타입, 히트 플레이트(heat plate)타입이라도 무방하다.
본발명의 푸숴 및 전자부품시험장치에 의하면 전자부품의 피가압면에 실리콘 파편등의 작은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부품에 조각이나 파편등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피시험전자부품에 소켓트의 접속단자방향으로의 가압력을 가할수 있다.

Claims (5)

  1. 소켓트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가압하기 위한 푸숴로서 상기 전자부품의 피가압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소켓트의 접속단자 방향으로 가압할수 있는 돌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핀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전자부품의 외부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한 항에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상기 전자부품의 가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숴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푸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시험장치.
KR1020037009027A 2001-01-09 2001-12-26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 KR100747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1934A JP2002207063A (ja) 2001-01-09 2001-01-09 プッシャ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試験装置
JPJP-P-2001-00001934 2001-01-09
PCT/JP2001/011477 WO2002056040A1 (en) 2001-01-09 2001-12-26 Pusher and electronic part tester with the pu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577A true KR20030068577A (ko) 2003-08-21
KR100747076B1 KR100747076B1 (ko) 2007-08-07

Family

ID=1887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027A KR100747076B1 (ko) 2001-01-09 2001-12-26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207063A (ko)
KR (1) KR100747076B1 (ko)
CN (1) CN1278130C (ko)
TW (1) TWI224198B (ko)
WO (1) WO2002056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45539A1 (en) * 2004-03-09 2008-09-29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ic) test assembly including phase change material for stabilizing temperature during stress 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 thereof
JP4928496B2 (ja) * 2008-05-09 2012-05-09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プッシャブロック
KR101830284B1 (ko) * 2011-10-06 201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테스트 장치
KR102010275B1 (ko) * 2013-04-03 2019-08-13 (주)테크윙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CN106903066B (zh) * 2013-07-26 2019-06-21 泰克元有限公司 用于测试分选机的匹配板的推动件组件
KR101624981B1 (ko) * 2014-12-29 2016-05-30 (주) 네스텍코리아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TW201715243A (zh) * 2015-07-31 2017-05-01 Seiko Epson Corp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JP2017116369A (ja) * 2015-12-24 2017-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部品搬送装置および電子部品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790A (ja) * 1992-09-16 199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検査装置
JPH0815371A (ja) * 1994-07-04 1996-01-19 Fujitsu Ltd Ic測定方法及び測定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076B1 (ko) 2007-08-07
WO2002056040A1 (en) 2002-07-18
CN1486430A (zh) 2004-03-31
JP2002207063A (ja) 2002-07-26
TWI224198B (en) 2004-11-21
CN1278130C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930B1 (ko) 히터를 구비한 푸숴,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및 전자부품의온도제어방법
KR100747075B1 (ko) 전자부품시험용소켓트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시험장치
KR100390636B1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0708629B1 (ko) 집적회로 시험장치
KR100810380B1 (ko) 집적회로 시험장치
US8330482B2 (en) Test of electronic devices at package level using test boards without sockets
KR20000035699A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US7371078B2 (en) Insert attachable to an insert magazine of a tray for holding an area array typ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KR100682380B1 (ko) 콘택트, 소켓, 소켓보드 및 전자부품시험장치
KR100747076B1 (ko) 푸숴 및 이것을 갖춘 전자부품시험장치
JP4041609B2 (ja) 電子部品試験装置
KR100824128B1 (ko) 전자 부품 핸들링 장치용 인서트 및 전자 부품 핸들링 장치
JP2003028920A (ja) 電子部品コンタクト装置
JP3379077B2 (ja) Ic試験装置
KR20050026055A (ko) 전자부품 시험장치
WO2002041015A1 (fr) Trousse et procede servant a nettoyer une borne de connexion de prise et appareil de verification de pieces electroniques
JP2003028924A (ja) 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温度制御方法
KR102341037B1 (ko) 전자 부품 시험 장치용 캐리어
CN108957285B (zh) 电子部件试验装置用的载体
WO2004005948A1 (ja) 電子部品コンタ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