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690A -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690A
KR20030066690A KR10-2003-7007380A KR20037007380A KR20030066690A KR 20030066690 A KR20030066690 A KR 20030066690A KR 20037007380 A KR20037007380 A KR 20037007380A KR 20030066690 A KR20030066690 A KR 2003006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
frame
fixing device
fixed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303B1 (ko
Inventor
필세르프랑크
가우클레르루드비크
코케르페터
루에티하인즈
샤에르에르페터
호에르홀트하이네르
크로이데르페터
페케르스테판
Original Assignee
아이트게뇌시셰 테히니셰 호흐슐레 쮜리히 니히트메탈리셰 베르크슈토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트게뇌시셰 테히니셰 호흐슐레 쮜리히 니히트메탈리셰 베르크슈토페 filed Critical 아이트게뇌시셰 테히니셰 호흐슐레 쮜리히 니히트메탈리셰 베르크슈토페
Publication of KR2003006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4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adhe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정장치(42)는 원통형 또는 사각주형의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10)와 세라믹공작물(18)을 제작하기 위하여 블랭크(10)를 절삭가공하는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다. 협소한 프레임(12)이 블랭크(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A)을 포함하는 평면의 영역에서 응력없이 고정되는 블랭크(10)의 적어도 주연 일부에서 접착제로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2)은 블랭크(10)의 적은 부분만을 덮고 있으며 클램핑 어댑터(34)를 이용하여 안정된 홀더(24)에서 미끄럼없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전체 조합이 선반에서 비틀림이나 미끄럼없이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다. 세라믹공작물(18)은 위치와 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고정웨브(20)가 형성될 때까지 피드방향의 사전선택없이 세라믹 블랭크(10)로부터 연속적으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웨브(20)는 프레임(12)의 영역 또는 프레임(12)에서 블랭크의 절삭되고 남은 잔류부분에서 끝난다. 고정장치는 특히 단일체의 의치, 특히 치아크라운 또는 치아브릿지와 같은 공작물(18)을 제작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Description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HOLDING DEVICE FOR A CERAMIC BLANK}
본 발명은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 또는 사각주형의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와 세라믹공작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블랭크를 절삭가공하는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장치에서 블랭크를 절삭가공하는 방법과 고정장치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공작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사전에 제작되었으나 가공되지 않았거나 소결된 다공성의 세라믹 블랭크로부터 대형모형이 가공된다. 그리고 대형모형의 공작물은 비투과형이 되게 소결된다. 이러한 공정으로 공작물은 최종모형으로 수축되며 비투과성의 세라믹 공작물은 모델패턴 또는 도면의 질량과 일치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세라믹공작물은 본래의 크기로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로부터 가공되며 기공이 침윤(浸潤)에 의하여 폐쇄된다.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는 이들이 아직까지는 이들의 최종적인 경도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절삭방식으로 가공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들은 다공상태에서 예를들어 안장, 압축, 절곡, 비틀림, 충돌 및 충격스트레스와 같은 모든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민감하다. 따라서,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는 특히 가공 중에 블랭크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이들의 가공을 위하여 특별히 구비되는 고정장치를 필요로 한다. 가공중의 기계적인 스트레스는 최소화되어야 하고 고정장치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들 고정장치는 다시 세라믹공작물의 제작을 위하여 블랭크의 절삭가공을 위한 적당한 선반의 회전축에 파지고정된다. 세라믹공작물은 특수선반에 의하여 블랭크로부터 가공된다. 이러한 가공은 예를 들어 황삭과 정삭용의 밀링 컷터를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링, 드릴링 또는 연마공구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공은 프로그램제어방식으로 수행되나 모델패턴을 이용하여 본래의 크기 또는 대형모형의 크기로 카피머신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PCT/CH00/00623에는 의치, 특히 정밀한 3차원 형태의 치아 크라운및/또는 치아브릿지용의 기초골격을 제작하기 위한 자동선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가공된 세라믹공작물을 기초골격이라 하였으며, 이 기초골격은 선반 프레임 또는 하우징, 회전축을 갖는 공작물캐리어,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화 유니트, 밀링 컷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공유니트와 모든 구동부재를 통제하기 위한 전자계산 및 제어유니트로 구성되는 선반에서 제작된다. 블랭크를 구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음)는 x, y 및 z 방향인 3개의 병진운동 축선을 갖는 이동유니트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동일한 회전축에 파지고정된예비모델의 디지털화와 블랭크의 가공은 상이한 시간에 동일한 선반에서 수행된다. 블랭크를 가공하기 전에, 블랭크의 가공을 위한 가공경로가 사전에 결정되고 저장된 디지털화 데이터와 사전에 선택된 재료의 특정스케일계수로부터 계산된다.
특허문헌 DE A1 4436231에는 링내에 매입되고 이러한 매입상태에서 가공을 위한 파지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되는 치아크라운용의 알약형 블랭크가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의 목적은 세라믹공작물이 블랭크로부터 가공되어 블랭크의 직경이 감소될 때에 치과기술분야에 사용되는 매우 고가의 재료가 매우 적은 양만이 절삭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전적으로 알약의 형태을 갖춘 블랭크는 링 때문에 완벽한 설계에 따라서 더 이상 자유롭게 가공될 수 없어 결국 재료의 절삭에 의한 소모가 최소화될 수 없도록 한다. 링을 이용하는 이러한 고정장치는 치아크라운의 제작을 위한 것이나 기다란 치아브릿지의 제작용으로서는 적합치 않다.
특허문헌 EP A2 0982009에는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블랭크롤 고정하는 홀더가 기술되어 있다. 블랭크는 어느 방향에서나 지지동체의 밖으로 돌출되지 않아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표면이 적다. 이 홀더는 특히 매거진 등에서 자동이송 중에 블랭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명백히 자유로운 가공공정을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에 관계없이 기다란 블랭크가 지나친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받거나 변형되는 것으로부터 적절히 보호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블랭크의 표면은 가능한 한 많은 부분이 절삭가공을 위하여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가공되는 세라믹공작물이 확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고정장치에 관하여, 이러한 목적은 블랭크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의 영역에서 응력없이 고정되는 블랭크의 적어도 주연 일부에서 협소한 프레임이 접착제로 고정되고, 이 프레임이 블랭크의 적은 부분만을 덮고 있으며 클램핑 어댑터를 이용하여 안정된 홀더에서 미끄럼없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조합이 선반에서 미끄럼이 없고 비틀림이 없게 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의 특정 실시형태와 다른 실시형태들이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에서 가공될 수 있는 블랭크는 어떠한 구조적인 형상을 가져도 좋으며 미가공상태 또는 소결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블랭크는 그 구조가 블랭크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에 수직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두개의 대향하는 평행한 측면을 갖는 다각형으로서 특히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다. 재질에 관하여, 원통형 또는 사각주형의 블랭크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산화물, 특히 Al2O3, TiO2, MgO, Y2O3및/또는 지르코늄산화물 혼합형 크리스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서는 특허문헌 WO99/47065를 참조바란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는 선반의 안정된 홀더에 고정된 협소한 프레임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협소한 프레임은 블랭크의 길이방향 중심축선이 프레임의 평면영역에 놓이도록 연장되어 있다. 정량적으로, 예를 들어 원통형 블랭크의 접선방향에서 측정된 프레임의 두께는 1~8 mm, 바람직하게 3~6 mm 이다. 프레임의 두께는 블랭크의 표면이 최대 25 %, 특히 최대 15 %가 덮히도록 적당히 선택된다.
길이방향 종심축선에 대하여 프레임은 방사상으로 안정된 홀더에 용이하게 파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폭, 환언컨데 3~10 mm 영역의 폭을 갖는다. 대부분의 경우 프레임은 주연방향으로 연속되고 일정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블랭크의 종방향, 즉 협소한 측부에서 예를 들어 15 mm 정도 더 넓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영역에서 전적으로 홀더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주연방향으로 연속되든가 또는 부분적으로만 형성되든가 간에, 프레임은 블랭크 표면을 향하는 모든 면에서 블랭크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은 블랭크 자체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프레임의 내면은 이에 삽입될 블랭크 보다 접착제가 도포되는 갭 만큼 큰 통공을 형성한다. 접착제는 2-성분의 접착제로서 프레임과 그 일부분 사이의 협소한 갭으로 삽입된다. 프레임 또는 그 일부분은 거칠게 가공되거나 접착제로 피복된다.
바람직한 변형실시형태에 따라서, 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주연축선을 따라 단면이 균일하게, 즉 단면이 일정하게 구성되고 그 전 주면을 따라서 주연방향으로 완벽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단일체로 구성되는 프레임이 U-자 형태로 구성되어 그 측부가 블랭크의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가공자유도의 면에서 이는 유리한 것이다. 프레임이 없이 고정웨브가 형성될 수 없는 것은 불리하다.
그러나, 프레임이 각각의 경우 블랭크에 접착되는 수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각 부분들은 서로 결합되거나 작은 간격을 두고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은 기계적으로 견고한 플라스틱물질 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이 가공이 용이한 금속으로 적당히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이 예를 들어 상대측으로 삽입되는 각부(脚部)에 의하여 그 크기가 달라지거나, 또는 접착제가 블랭크의 요구에 도포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은 전문가의 판단에 속하며 특별히 경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작자에 의하여 적당히 부가된 프레임을 갖는 블랭크는 선반용 클램핑 어댑터를 갖는 안정홀더, 특히 삽입용 회전방지수단 또는 플랜지용 플레이트를 갖는 맨드릴에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리가능하게 파지고정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프레임이 블랭크 자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파지고정되는 것이다. 환언컨데, 홀더에서 블랭크 프레임의 고정면은 블랭크의 표면의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폐쇄형 또는 U-자 형 클램핑 프레임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프레임을 적당히 설계하는 경우 두개의 클램핑 조오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에 프레임을 파지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적당한 삽입면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구형, 피라미드형, 반구형, 또는 다브테일형 또는 지붕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과 같이 프레임 또는 그 일부분의 외부를 특별히 설계함으로써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선택된 공작물이 위치와 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프레임의 영역 또는 프레임에서 블랭크의 절삭되고 남은 잔류부분에서 직접 끝나는 고정웨브가 형성될 때까지 세라믹 블랭크로부터 연속적으로 노출되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될 수 있다.
가공 중에, 공작물과 절삭되고 남은 잔류부분 사이의 연결부는 가동의 완료시 공작물이 고정웨브에 의하여 잔류부분 또는 프레임에만 겨우 연결될 때까지 더욱 취약하게 된다. 가공은 피드방향 및/또는 가공방향의 사전선택에 의하여 일측고정부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공작물은 가공완료시까지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공작물이 무단히 파손되는 위험이 없다.
블랭크의 직경에 비하여 프레임의 두께가 작기 때문에, 블랭크의 표면에 요구된 바에 따라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최대가 된다. 블랭크의 단면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적당한 블랭크의 단면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블랭크의 길이는 예를 들어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치아브릿지와 같이 기다란 파지고정길이를 갖는 공작물에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블랭크의 직경은 대형 또는 소형의 공작물에 적당히 맞추어질 수 있다. 예리한 만곡부를 갖는 대형의 치아브릿지가 특별히 요구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시험에서 그 자체가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특히 단일체 세라믹 의치, 특히 치아크라운 또는 치아브릿지의 제작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주연프레임 만이 작은 부분에서 블랭크의 표면을 덮을 수 있는 바, 환언컨데, 가공면이 최대범위에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인 주연프레임이 프레임의 영역에서 수와 위치에 대하여 고정웨브를 결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치아형상과 같은 각 공작물에 적용되는 고정웨브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에 가공력을 도입하는 것이 최적하게 된다. 아울러, 가공에 따른 스트레스가전 영역에 분산되고 작은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프레임을 갖는 블랭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블랭크의 변형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블랭크의 다른 변형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프레임 영역의 방사상 상세단면도.
도 5는 직각평행사변형 블랭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블랭크의 변형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가공된 공작물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공작물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 부분 상세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공작물의 변형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공작물의 측단면도.
도 12는 홀더의 일부를 절개표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홀더의 저면도.
도 14는 홀더에 파지고정된 블랭크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XV-XV선 단면도.
도 16은 고정력이 전달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은 원통형 형상의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10)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이는 산화지르코늄으로 구성되고 직경 D가 25 mm 이며 길이 L이 48 mm 이다. 길이방향 중심축선 A(도 3)의 영역에서,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본 발명의 경우 "Macrolon"(상품명) 경질 플라스틱물질로 구성되는 폐쇄형의 프레임(12)이 접착된다. 이 프레임은 외부치수가 56 x 32 x 5 mm 이고 내부치수가 48.5 x 25.5 x 5 mm 이다. 평균 0.25 mm 의 접착제 갭(14)(도 4)에는 예를 들어 스위스 바슬에 소제하는 Ciba 사에서 제조하는 2-성분 접착제 Araldite(상품명)와 같은 순간접착제(16)가 충전된다. 프레임의 두께 d가 6 mm 일 때 블랭크 표면이 덮히는 범위는 21 %이고 프레임의 두께 d가 3 mm 일 때 블랭크 표면이 덮히는 범위는 10 %이다. 그러나 블랭크의 치수와 형상이 다르다 하여도 프레임의 치수는 그대로 적용되고 접착제 갭도 거의 동일하다.
도 2에 따른 변형실시형태는 두께 d와 폭 b를 갖는 프레임(12)이 폐쇄형이 아니고 U-자 형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프레임의 두 측부는 블랭크(10)의 자유단면의 원에 거의 일치하나 이들 두 측부는 짧을 수도 있고 길 수도 있다.
도 3에 따른 변형실시형태는 각 부분들이 블랭크(10)에 접착되는 프레임을 갖는다.
도 4는 블랭크(10)에 프레임(12)이 접착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접착제 갭(14)이 접착제(16)로 채워져 있다.
도 5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블랭크는 직각평행사변형의 형태이고, 프레임(12)은 후단부면측으로 폭 b 만큼 확장되어 고정시 클램핑 조오에 의하여 파지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따른 블랭크(10)는 단면이 팔각형이며, 도 5의 경우와 같이 평행한 두 대향측면에 주연의 프레임(12)이 접착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은 블랭크(10)로부터 가공된 공작물(18)을 보인 것으로, 이 경우에 3-부분으로 된 치아브릿지의 기초골격을 보이고 있다. 공작물(18)은 두개의 단부면 고정웨브(2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프레임(12)의 영역에서 블랭크(10)의 잔류디스크(22)에 연결되어 있다. 블랭크(10)의 두 단부면 잔류디스크(22)는 블랭크가 그 종축선에 대하여 완전히 가공되지 않은 경우 잔류부분으로서 남아 있는 것이다. 프레임(12)상의 잔류부분은 절삭공구가 프레임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프레임이 플라스틱물질과 금속이 아닌 물질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 부가적으로 절삭공구가 프레임에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영역 IX은 도 9에서 확대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잔류디스크(22) 없이 고정웨브(20)를 프레임(12)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블랭크의 가공을 완료하였을 때, 웨브(20)가 공작물(18)로부터 분리되고 공작물의 분리점이 매끄럽게 연마된다.
그러나, 도 10에서 평면도로 보이고 도 11에서 단면(도 10의 XI-XI 선 단면)으로 보인 4개 부분으로 이루어진 치아브릿지의 공작물(18)은 실질적으로 보다 복잡하고 전체가 4개의 고정웨브(20)를 가지며, 프레임(12)의 영역에서 두개의 고정웨브는 단부면(22)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두개의 고정웨브는 블랭크(10)의 남아 있는 표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공작물(18)에 작용하는 힘이 도 7-도 11에 따른 고정웨브(20)와 접착제(16)를 통하여 프레임(12)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삭되고 남은 잔류블랭크, 즉 공작물(18)은 프레임(12)의 내측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잔류디스크(22)에 의하여 프레임(12)에 고정웨브(20)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점에 대하여, 폐쇄형 프레임은 고정웨브(20)의 안정성과 연결성에 대해 유리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블랭크(10)의 프레임(12)을 고정하기 위한 도 12 및 도 13에서 보인 홀더(24)는 실질적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도 13은 주연턱(28)을 갖는 하측홀더부분(26)을 보이고 있다. 블랭크(10)의 프레임(12)은 하측홀더부분(26)의주연턱(28)에 의하여 형성된 컵형 요구내로 삽입된다. 프레임(12)이 삽입될 때 홀더(30)는 크기가 동일한 평판커버의 형태로 하측홀더부분(26)에 가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레임(12)은 파지고정력을 가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중요한 것이다. 파지고정력이 블랭크(1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4 곳의 모서리에 나선공이 형성되고 이에 스크류(32)가 삽입됨으로써 파지고정이 이루어진다. 하측홀더부분(26)에는 클램핑 어댑터(34)가 고정되며, 이 어댑터(34)는 선반의 회전축에 구성되어 있는 척의 맨드릴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이 어댑터에는 평면부 또는 볼트형태의 회전방지장치(36)가 구성되어 있다.
도 14와 도 15에 따른 고정장치(42)는 하측홀더부분(26), 상측홀더부분(30), 클램핑 어댑터(34) 및 스크류(32)로 구성되고 블랭크(10)와 프레임(12)의 조합이 삽입되는 홀더(24)로 구성된다. 이 홀더(24)는 안정성이 있는 구성이며, 알루미늄, 그 합금 또는 기타 다른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24)와 프레임(12) 사이의 연결은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어 프레임(12)이 블랭크(10)와 함께 간단히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홀더(24)는 가공과정에서 세라믹 블랭크(10)에 접촉되지 않는다. 프레임(12)은 적당한 컵형의 요구를 갖는 하측홀더부분(26)에 삽입된다. 상측홀더부분(30)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하측홀더부분(26) 상에 배치되고 스크류로 고정된다. 가공과정에서, 프레임(12)은 하측홀더부분과 상측홀더부분 사이에 파지고정된다. 클램핑 어댑터(34)상의 점선은 회전방지장치(36)를 보인 것이다. 클램핑 어댑터(34)는 길이방향측, 즉 좁은 측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파지고정력 F를 화살표(38)(40)로 보이고 있다. 이들은 블랭크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작용한다. 환언컨데, 파지고정력 F의 작용방향은 블랭크(10)측으로 향하지 않는다. 홀더(24)는 프레임(12)과 블랭크(10)의 조합과 함께 클램핑 어댑터(34)에 의하여 선반의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옮겨진다. 사전에 결정된 위치는 회전방지장치(36)에 의하여 결정된다(도 12, 도 13).
도시하지 않은 변형실시형태에 따라서, 홀더(24)는 예를 들어 U-자 형태로 프레임(12)의 일부에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이 단부면에서 폭이 넓은 경우 단 두개의 클램핑 조오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원통형 또는 사각주형의 다공성 세라믹 블랭크(10)와 세라믹공작물(18)을 제작하기 위하여 블랭크(10)를 절삭가공하는 선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정장치(42)에 있어서, 블랭크(10)의 길이방향 중심축선(A)을 포함하는 평면의 영역에서 응력없이 고정되는 블랭크(10)의 적어도 주연 일부에서 협소한 프레임(12)이 접착제로 고정되고, 이 프레임(12)이 블랭크(10)의 적은 부분만을 덮고 있으며 클램핑 어댑터(34)를 이용하여 안정된 홀더(24)에서 미끄럼없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조합이 선반에서 미끄럼이 없고 비틀림이 없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42).
  2. 제1항에 있어서, 블랭크(10)가 길이방향의 중심축선(A)에 수직으로 원형 또는 두개의 대향하는 평행한 측면을 갖는 다각형으로서, 특히 정사각형, 직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가공 또는 소결된 세라믹 블랭크(10)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산화물, 바람직하게 Al2O3, TiO2, MgO, Y2O3및/또는 지르코늄산화물 혼합형 크리스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이 가공될 블랭크(10)의 표면을 최대 25 %, 바람직하게 최대 15 %를 덮고, 바람직하게 1~8 mm, 특히 3~6 mm 의 두께(d)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이 길이방향측 또는 협소측부측에서 3~10 mm 또는 20 mm 까지의 폭(b)을 가지고 일정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이 측부가 폐쇄형 또는 블랭크(10)의 전 길이를 따라 연장된 U-자 형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이 블랭크(10)에 접착되고 상대측에 인접하거나 바람직하게 상대측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서로 연결된 부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 또는 그 각 부분과 블랭크(10) 사이의 협소한 갭(14)에 접착제(16)가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구형, 피라미드형, 반구형, 또는 다브테일형 또는 지붕형의 형태로 홀더(24)를 삽입하기 위한 적당한 면이 프레임(12)의 노출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의 노출부분에 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판독될 수 있는 수축률 및/또는 미가공밀도와 같은 정보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12)이 파지고정력이 블랭크(10)에 작용하지 않는 기계적으로 안정된 홀더(24)에 고정되고, 선반, 특히 맨드링에 고정하기 위하여 삽입을 위한 회전방지장치(36) 또는 플랜지형 판체를 갖는 클램핑 어댑터(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12. 제11항에 있어서, 홀더(24)가 하측홀더부분(26)과 상측홀더부분(30)을 갖는 폐쇄형 프레임 또는 프레임 또는 그 일부분이 삽입되는 두개의 클램핑 조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42).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장치(42)에서 블랭크(10)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선택된 공작물(18)이 위치와 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프레임(12)의 영역 또는 프레임(12)에서 블랭크의 절삭되고 남은 잔류부분에서 직접 끝나는 고정웨브(20)가 형성될 때까지 피드방향의 사전선택없이 세라믹 블랭크(10)로부터 연속적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에서 블랭크를 절삭가공하는 방법.
  14. 단일체의 의치, 특히 치아크라운 또는 치아브릿지와 같은 공작물(18)을 제작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장치(42)의 용도.
KR20037007380A 2000-12-07 2001-12-03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KR100917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3882000 2000-12-07
CH?2388/00? 2000-12-07
PCT/CH2001/000692 WO2002045614A1 (de) 2000-12-07 2001-12-03 Haltevorrichtung für einen keramikroh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690A true KR20030066690A (ko) 2003-08-09
KR100917303B1 KR100917303B1 (ko) 2009-09-14

Family

ID=456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07380A KR100917303B1 (ko) 2000-12-07 2001-12-03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077391B2 (ko)
EP (1) EP1339345B1 (ko)
JP (1) JP4261182B2 (ko)
KR (1) KR100917303B1 (ko)
CN (1) CN1230130C (ko)
AT (1) ATE430530T1 (ko)
AU (2) AU2002223358B2 (ko)
BR (1) BR0115981B1 (ko)
CA (1) CA2427729C (ko)
DE (1) DE50114888D1 (ko)
ES (1) ES2327028T3 (ko)
HK (1) HK1063144A1 (ko)
MX (1) MXPA03004709A (ko)
NO (1) NO20031955L (ko)
PT (1) PT1339345E (ko)
WO (1) WO20020456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67B1 (ko) * 2011-04-01 2013-06-11 홍석훈 인레이용 치아보철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14082C (en) * 2000-06-22 2007-12-11 3M Espe A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s
JP4261182B2 (ja) * 2000-12-07 2009-04-30 アイトゲネシッシェ テクニッシェ ホーホシューレ チューリッヒ ニヒトメタリッシェ ヴェルクシュトッフェ セラミックブランク用保持装置
ATE499067T1 (de) * 2003-04-04 2011-03-15 Xawex Ag Rohling zur herstellung zahnmedizinischer rekonstruktionen und herstellungsverfahren desselben
DE10362378C5 (de) * 2003-08-07 2019-02-14 Ivoclar Vivaden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thiumsilicatrohlings
DE10336913C9 (de) 2003-08-07 2019-02-21 Ivoclar Vivadent Ag Verwendung eines Lithiumsilicatmaterials
DE10362377C5 (de) * 2003-08-07 2018-10-25 Ivoclar Vivadent Ag Lithiumsilicatrohling und dessen Verwendung
US20070108645A1 (en) * 2003-11-26 2007-05-17 Philip Von Schroeter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piece
DE50308554D1 (de) * 2003-11-26 2007-12-20 Degud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ntalen Formteils
SE530087C2 (sv) * 2004-09-01 2008-02-26 Nobel Biocar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tillhandahålla dental produkt
AT502104A1 (de) 2005-06-30 2007-01-15 Steger Heinrich Trägerplatte für eine kopierfräseinrichtung
DE502005006910D1 (de) * 2004-11-25 2009-04-30 Heinrich Steger Kopierfräs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insbesondere zahntechnischen werkstücken
WO2006120254A2 (de) * 2005-05-13 2006-11-16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ahnersatzteils und ein derart hergestelltes zahnersatzteil sowie rohling zur herstellung eines zahnersatzteils
DE102005035474B4 (de) * 2005-07-28 2019-06-13 Institut Strauman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Zahnersatzteilen, Computer, Computerprogramm und computerlesbares Medium
JP4704244B2 (ja) * 2006-02-28 2011-06-15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補綴物用ブロック保持具
DE102006027397A1 (de) * 2006-06-13 2007-12-20 Amann Girrbach Gmbh Werkstück zum Bearbeiten in spanabhebenden Bearbeitungsvorrichtungen
DE102006040798A1 (de) * 2006-08-31 2008-03-20 Merz Dental Gmbh Seitenansatz
GB0702196D0 (en) * 2007-02-06 2007-03-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evice for producing a dental workpiece
DE102007013675B4 (de) * 2007-03-19 2011-01-13 Doceram Gmbh Halterung für keramische Rohlinge
DE102007014985A1 (de) 2007-03-28 2008-10-02 Aepsilon Rechteverwaltung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Zahnersatzteilen, Verfahren zum Erstellen eines Datensatzes und computerlesbares Medium
EP2014254B1 (en) * 2007-06-07 2018-10-31 Nobel Biocare Services AG Method and sintered product for forming a dental bridge
EP2000109B1 (en) 2007-06-07 2011-05-04 Nobel Biocare Services AG A method of producing a dental product
US8568897B2 (en) * 2007-07-20 2013-10-29 Ivoclar Vivadent Ag Addressable matrices/cluster blanks for dental CAD/CAM systems and optimization thereof
US8443502B2 (en) * 2007-09-14 2013-05-21 Ivoclar Vivadent Ag Blank arrangement
DE102007043837B4 (de) * 2007-09-14 2014-02-13 Ivoclar Vivadent Ag Rohlinganordnung
GB0719824D0 (en) * 2007-10-11 2007-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ental blank and method of making a dental ceramic blank
EP2072020A1 (en) * 2007-12-17 2009-06-24 Nobel Biocare Services AG A method of producing a dental ceramic product
DE102007061928B3 (de) * 2007-12-21 2009-08-06 Amann Girrbach Ag Anordnung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es in einer spanabhebenden Bearbeitungsvorrichtung
AT506486B1 (de) * 2008-02-15 2013-03-15 Steger Heinrich Aufspannvorrichtung für eine rechnergesteuerte, spanabhebende bearbeitungsmaschine
DE102008002952B4 (de) * 2008-07-18 2011-01-27 Degudent Gmbh Verfahren zum dimensionstreuen Sintern eines Formteils und Restrohling mit Formteil
GB0902814D0 (en) * 2009-02-19 2009-04-08 Renishaw Plc Billet and corresponding billet holder
US20090275000A1 (en) * 2009-04-28 2009-11-05 Yunoh Jung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Multiple Ceramic Dental Blocks for Milling
EP2263991A1 (en) 2009-06-19 2010-12-22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application coating
DE102009032703A1 (de) * 2009-07-09 2011-01-13 Mtu Aero Engin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ordnen eines Bauteils an einem Bauteilträger
DE102009026159A1 (de) 2009-07-13 2011-01-27 Degud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e Innen- und Außenkontur aufweisenden Formteils
DE102009044461B4 (de) 2009-11-06 2011-12-15 Degudent Gmbh Verfahren zum dimensionstreuen Sintern eines Formteils
DE102010016847A1 (de) * 2010-05-07 2011-11-10 Dentona Ag Dentalmodellrohling
EP2692311B1 (en) 2012-08-03 2016-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blank comprising a pre-sintered porous zirconia material , process of its production and dental article formed from said dental blank
WO2014062375A1 (en) 2012-10-17 2014-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 sectional dental zirconia milling block, proces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9675433B2 (en) * 2012-11-29 2017-06-13 Jensen Industries Inc. Adapter for dental milling blank
JP5955798B2 (ja) * 2013-03-18 2016-07-20 イボクラール ビバ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歯科用cad/camシステム用のアドレス可能なマトリックス/クラスターブランクおよびその最適化
USD854164S1 (en) * 2013-05-14 2019-07-16 Ivoclar Vivadent Ag Milling blank
DE102013210203A1 (de) * 2013-05-31 2014-12-04 Christof Ellerbrock Adapter zur Ausbildung einer Rohlingsanordnung sowie Rohlingsanordnung
EP2837357A1 (de) * 2013-08-14 2015-02-18 Medentika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Abutmentrohling, Abutmentrohling, System bestehed aus der Halterung und dem Abutmentrohling und Verfahren zum Haltern und Bearbeiten des Abutmentrohlings
BR112016012730B1 (pt) 2013-12-04 2021-04-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loco bruto para usinagem de prótese dentária
JP2014168707A (ja) * 2014-05-19 2014-09-18 Ivoclar Vivadent Ag 歯科用cad/camシステム用のアドレス可能なマトリックス/クラスターブランクおよびその最適化
JP6820250B2 (ja) 2014-07-31 2021-01-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歯科用ミルブランク及び着色溶液を含むパーツキット
USD775359S1 (en) * 2014-12-04 2016-12-27 Ivoclar Vivadent Ag Dental blank holder
DE102015100666A1 (de) 2015-01-19 2016-07-21 Dentsply International Inc. Halterung für einen Rohling
DE102015204174A1 (de) * 2015-03-09 2016-09-15 Precis Glashütte GmbH Haltevorrichtung für Dentalrohlinge
US11185397B2 (en) 2015-03-19 2021-11-30 Kuraray Noritake Dental Inc. Workpiec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272305B1 (en) * 2015-03-19 2022-11-30 Kuraray Noritake Dental Inc. Workpiece unit
JP7075756B2 (ja) * 2015-03-19 2022-05-26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被加工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405185B (zh) * 2015-03-19 2021-06-18 可乐丽则武齿科株式会社 被加工单元及其制造方法
DE102015105167B4 (de) * 2015-04-02 2021-02-18 Rolf Wissner Verfahren und Fräsmaschine zum Fräsen eines Aufbaus für ein Zahnimplantat
DE102016106370A1 (de) * 2016-03-23 2017-09-28 Degud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gefärbten Rohlings sowie Rohling
GB201608336D0 (en) 2016-05-12 2016-06-29 Rolls Royce Plc A method of providing a fixture for a ceramic article, a method of machining a ceramic article and a method of investment casting using a ceramic article
US10905532B2 (en) 2016-08-26 2021-02-02 Shofu Inc. Mill blank for dental CAD/CAM with resin portion contacted with CAM device
JP6292704B1 (ja) * 2017-10-17 2018-03-14 株式会社松風 樹脂部分でcamの保持部とを繋ぐ歯科用cadcam用被切削体とそのアダプター
WO2019166920A1 (en) 2018-02-28 2019-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Kit of parts and process for fast firing a porous zirconia article in combination with a surface treating agent containing a glass powder
WO2019166938A1 (en) 2018-02-28 2019-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dental zirconia article with a fast sintering process
CN109028954B (zh) * 2018-07-19 2019-12-06 梅州一方土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日用陶瓷加工的烧制设备
CN109357528A (zh) * 2018-08-14 2019-02-19 长安大学 一种利用电场辅助的陶瓷材料烧结炉及其控制方法
US20210196579A1 (en) 2018-09-04 2021-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escent glazing composition for a dental zirconia article, process of sintering and kit of parts
CN112638349A (zh) 2018-09-04 2021-04-09 3M创新有限公司 用于牙科氧化锆制品的上釉组合物、烧结方法以及套件盒
CN109483300B (zh) * 2018-11-07 2021-10-08 昌河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自由锻多通接头批产快速定位装置的制造方法
US20220133601A1 (en) 2019-03-04 2022-05-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 Colored Dental Zirconia Article
JP2022547966A (ja) 2019-09-11 2022-11-1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Tb、Er及びCrの酸化物を含有する多孔質ジルコニア材料の歯科用ミルブランク、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US20220402830A1 (en) 2019-11-26 2022-1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Treating a Porous Dental Zirconia Block with Coloring Solutions
WO2022023871A1 (en) 2020-07-29 2022-0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of manufacturing a dental milling block with a homogeneous color and/or translucency gradient
JP2023546824A (ja) 2020-10-09 2023-11-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着色多孔質ジルコニア歯科用ミルブランクのセット及び製造方法
EP4186464A1 (de) 2021-11-25 2023-05-31 Ivoclar Vivadent AG Rohlinghalter und rohling
DE102022109993A1 (de) * 2022-04-26 2023-10-26 AM Global Hold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zelteilen eines additiv gefertigten Körpers
DE102022133401B3 (de) 2022-12-15 2024-03-28 CERAMIST On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ahnersatzteils, Adapter, Rohling und Set aus Adapter und Rohling, Set aus mehreren Adapter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063A (ja) * 1984-03-16 1985-10-03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ツクスの製法
US4828785A (en) * 1986-01-27 1989-05-09 Lanxide Technology Company, Lp Inverse shape replication method of making ceramic composite articles
DE59005464D1 (de) * 1990-05-09 1994-05-26 Siemens Ag Rohlingkörper zur Herstellung eines Zahnrestaurations-Passkörpers.
EP0455855B1 (de) * 1990-05-09 1995-04-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stellung von medizinischen, insbesondere zahnmedizinischen Prothetik- Passkörpern
ES2080206T3 (es) * 1990-10-10 1996-02-01 Mikrona Technologie Ag Pieza en bru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pieza mecanizada de tecnica dental y dispositivo de sujecion para la misma.
DE9407491U1 (de) * 1994-05-05 1995-02-23 Hintersehr Josef Halteelement für Werkstücke, die in eine Haltevorrichtung eingespannt werden, um eine exakte Plazierung des Rohmaterials zu ermöglichen
JP3197482B2 (ja) * 1996-03-08 2001-08-1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EP0807422B1 (de) 1996-05-17 2004-11-03 Brandestini, Marco, Dr. Verfahren zur Herstellung dentaler Rekonstruktionen und Rohli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0943296A1 (de) 1998-03-17 1999-09-22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Zahnkronen und/oder Zahnbrücken
DE29815486U1 (de) * 1998-08-28 2000-01-05 Espe Dental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Zahnersatzteils
CA2414082C (en) * 2000-06-22 2007-12-11 3M Espe A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s
JP4261182B2 (ja) * 2000-12-07 2009-04-30 アイトゲネシッシェ テクニッシェ ホーホシューレ チューリッヒ ニヒトメタリッシェ ヴェルクシュトッフェ セラミックブランク用保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67B1 (ko) * 2011-04-01 2013-06-11 홍석훈 인레이용 치아보철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31955D0 (no) 2003-04-29
JP4261182B2 (ja) 2009-04-30
EP1339345A1 (de) 2003-09-03
ATE430530T1 (de) 2009-05-15
EP1339345B1 (de) 2009-05-06
CA2427729C (en) 2010-05-18
DE50114888D1 (de) 2009-06-18
WO2002045614A1 (de) 2002-06-13
ES2327028T3 (es) 2009-10-23
KR100917303B1 (ko) 2009-09-14
JP2005501571A (ja) 2005-01-20
AU2335802A (en) 2002-06-18
MXPA03004709A (es) 2004-05-04
AU2002223358B2 (en) 2004-10-28
US7077391B2 (en) 2006-07-18
CN1230130C (zh) 2005-12-07
NO20031955L (no) 2003-06-02
BR0115981B1 (pt) 2010-06-01
CA2427729A1 (en) 2003-05-02
PT1339345E (pt) 2009-06-05
BR0115981A (pt) 2004-01-06
US20040072121A1 (en) 2004-04-15
HK1063144A1 (en) 2004-12-17
CN1479593A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303B1 (ko) 세라믹 블랭크용 고정장치
AU2001267551B2 (en)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s
US6485305B1 (en) Blank for producing a formed dental part
US20100233658A1 (en) Addressable matrices/cluster blanks for dental cad/cam systems and optimization thereof
EP3235468A1 (en) Cad/cam system for the fabrication of dental articles and method of milling using a cad/cam system
US20090075238A1 (en) Blank arrangement
KR20050107464A (ko) 초경합금 공구를 생산하는 원통 연삭법 및 초경합금 공구의생산시 원통 스타팅 바디를 연삭하는 원통 연삭기
US20150099243A1 (en) Axially elongate dental machining portion
Aoyama et al. Hybrid machining--Combination of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grinding
KR102213579B1 (ko) 가공물을 연마하기 위한 기계 가공 공구
JP2000280167A (ja) キャリアプレ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両面研磨装置
CN212020277U (zh) 用于光学玻璃的倒角磨头及磨床
JP2000287997A (ja) 歯科補綴物用ブロック
JP7284859B1 (ja) 歯科切削加工用セラミックス被切削体
CN113038905B (zh) 用来生产陶瓷假牙部件的方法、cad/cam机加工站、计算机程序和由最终强度牙科陶瓷制成的坯料
JPH06270139A (ja) 硬脆性材の穴加工方法
RU2755236C1 (ru) Заготовк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формованной части
JPH0226568Y2 (ko)
CN117582301A (zh) 牙科切削加工用陶瓷被切削体
JPH0131372Y2 (ko)
KR960005296B1 (ko) 원통형 구조물의 센터리스 외경 가공 장치 및 방법
JPH0451303B2 (ko)
JPS6315026Y2 (ko)
KR20050112472A (ko)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JPH11114785A (ja) ドリル研磨用のドリル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