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472A -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472A
KR20050112472A KR1020040037574A KR20040037574A KR20050112472A KR 20050112472 A KR20050112472 A KR 20050112472A KR 1020040037574 A KR1020040037574 A KR 1020040037574A KR 20040037574 A KR20040037574 A KR 20040037574A KR 20050112472 A KR20050112472 A KR 20050112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insert
cutting insert
diameter po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응식
Original Assignee
민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응식 filed Critical 민응식
Priority to KR102004003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2472A/ko
Publication of KR2005011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에 사용되는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커팅인서트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나 팩스의 드럼과 같은 공작물의 외경 선삭(TURNING)을 위하여, 동일한 원주상에 절삭날이 원호형상으로 가공된 복수의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와 커팅인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팅인서트는,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 외주면에서 양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를 구비한 인서트본체와, 상기 인서트 본체의 타측을 향하는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절삭날이 위치하도록 가공된 복수의 절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 및 그 제조방법 {CUTTING INSERT HAVING CUTTING BODY FORMED OF CIRCULAR ARC CUTTING E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TTING INSERT}
본 발명은 절삭에 사용되는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커팅인서트를 포함하는 공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나 팩스의 드럼과 같은 공작물의 외경 선삭(TURNING)을 위하여, 동일한 원주상에 절삭날이 원호형상으로 가공된 복수의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와 커팅인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9에는 종래의 프린터나 팩스의 드럼의 외경을 선삭하기 위한 소결 다이마몬드 절삭체(5)가 홀더(1)의 생크부(2)에 부착된 절삭공구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절삭공구조립체(10)의 절삭체(5)는 총경합금 재질의 베이스판(2)과 다이아몬드 소결체(4)로 구성된다. 상기 절삭체(5)의 절삭날(6)은 생크부(2)에 부착된 후 원호형상을 갖도록 지석으로 가공된다. 또한, 사용시 절삭날(6)의 형상이 변형된 경우, 공구조립체(10)를 공작기계에서 분리하여 절삭날(6)을 재가공하여 사용한다. 도9에 도시된 형태의 절삭공구조립체(10)는 정밀한 치수를 갖는 원호형상의 절삭날(6) 가공이 어려워서 숙련공만이 가공을 할 수 있으며, 가공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제특허공개공보 제WO 00/37202호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7)과 소결 다이아몬드나 입방정계 질화붕소(Cubic Boron Nitride)로 된 링 형상의 절삭체(8)를 구비한 커팅인서트(10')가 공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커팅인서트(10')는 홀더에 용이하게 체결과 분리를 하기 위한 키그립(9)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공개된 커팅인서트(10')는 소결 다이아몬드나 입방정계 질화붕소로된 절삭체(8)의 절삭날(6)을 용이하게 가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절삭날(6)의 가공이 불편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절삭날의 가공이 용이한 복수의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커팅인서트에 있어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절착체의 단부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절삭날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팅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절삭날을 구비한 커팅인서트의 어느 하나의 절삭날이 마모된 경우 이웃하는 절삭날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절삭을 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3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커팅인서트를 홀더에 용이하게 고정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고정시 절삭력에 의하여 절삭날이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는 절삭공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절삭(cutting)이라는 용어는, 선삭(turning), 평삭(planning), 페이싱(facing), 그루빙(grooving), 파팅(parting) 등 절삭날로 공작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커팅인서트는,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 외주면에서 상부 및 하부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를 구비한 인서트본체와, 상기 인서트 본체의 타측을 향하는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절삭날이 위치하도록 가공된 복수의 절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절삭체는 천연 다이아몬드, 인조 다이아몬드, 입방정계 질화붕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절삭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서트본체의 중심에 가공된 관통구멍을 기준으로 인서트 본체를 지지하면서 회전시켜서,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에 부착된 절착체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절삭날을 연삭숫돌로 가공을 할 수 있다. 절삭날의 가공 전이나 가공 후에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홀더에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데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커팅인서트의 제조방법은,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 외주면에서 상부 및 하부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를 구비한 인서트본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의 상부면에, 절삭체지지부의 단부로 부터 일정길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절삭체를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서트본체의 관통구멍의 양단을 한쌍의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지지축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인서트본체를 회전시키면서 인서트본체의 중심축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회전하는 연삭숫돌로 각각의 절삭체의 단부를 가공하여 절삭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절삭공구조립체는, 상기의 커팅인서트와, 상부면에 상기 커팅인서트의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상기 복수의 절삭체지지부가 끼워지기 위한 복수의 그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그루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의 측면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인서트 홀더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팅인서트의 체결부의 암나사에 체결된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로 상기 커팅인서트를 체결할 경우 상기 홀더의 일단부의 측면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그루부와 이웃하는 그루부에 삽입된 커팅인서트의 절삭체지지부의 측면과 그루부의 측벽이 밀착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중심이 상기 수용부의 중심으로부터 홀더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절삭날의 진동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중심을 상기 일단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커팅인서트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일측 단부면에서 연장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소경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인서트본체와, 상기 대경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과 대경부측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대경부의 타측 단부면에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상에 절삭날이 위치하도록 가공된 디스크절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본체에는 공작물의 절삭시 상기 절삭날의 특정 부분만이 절삭에 사용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인덱싱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팅인서트를 견고하게 체결시키기 위하여 공구홀더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밀착 되도록,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연결부에 형성된 소경부를 향하여 원형의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을 정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절삭날을 일정한 각도로 분할되도록 회전시켜서 절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팅인서트에 부착되는 절삭체는 소결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다이아몬드 및/또는 인조다이아몬드(PCD) 소결체, 입방정계질화붕소(CBN, cubic boron nitride) 소결체를 포함한다. 또한 절삭체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제조된 모노크리스탈 다이아몬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절삭체는 세라믹 재료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공구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이고, 도 3(a)는 각각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평면도 및 도 3(b)는 도 3(a)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구조립체의 홀더의 부분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조립체는 커팅인서트(30)와 상기 커팅인서트(30)가 장착 고정되는 홀더(20)와, 상기 커팅인서트(30)의 암나사(39)에 체결되어 커팅인서트(30)와 홀더(20)를 밀착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인서트(30)는, 체결부(31a)와 상기 체결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31b)로 이루어진 인서트본체(31)와, 상기 절삭체지지부(32)의 상부면에 솔더링에 의하여 부착 고정된 복수의 절삭체(34)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1a)는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39)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절삭체지지부(31b)는 각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체결부(31b)의 암나사(39)가 형성된 반대 측의 외주면에서 4개가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절삭체지지부(31b)는 동일한 폭과 높이와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단부는 동일한 원통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 원통 곡면을 하고 있다. 또한, 절삭체지지부(31b)의 상부 및 하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체결부(31b)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31a)와 상기 절삭체지지부(31b)는 초경합금으로 사출이나 소결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각의 절삭체(34)는 인조 다이마몬드 및/또는 천연다이아 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34b)와 상기 소결체(34b)의 하부에 고정된 초경합금으로 된 베이스(34a)로 구성된다. 소결체(34b)를 절삭체지지부(31b)이 직접 소결하여 절삭체(34)를 제조할 경우에는 베이스(34a)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소결체는 다결정 인조 다이아몬드(PCD)를 사용하였으나, 천연다이아모드나 다결정 CBN과 같은 절삭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하여 제조된 모노크리스탈 다이아몬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절삭체(34)는 절삭체지지부(31b)의 일측면에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절삭날(34c)이 위치하도록 가공되어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중심에 관통구멍(33)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31a)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31b)를 구비한 인서트본체(31)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복수의 절삭체지지부(31b)의 상부면(31c)에 각각 절삭체(34)를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절삭체(34)는 상기 절삭체지지부(31b)의 단부(31d)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본 실시예의 절삭체(34)는 인조다이아몬드와 같은 절삭 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34b)와 상기 소결체를 지지하는 초경합금 베이스(34a)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34a)를 절삭체지지부(31b)에 용접시 열에 의한 소결체(34b)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스(34a)는 적절한 두께를 갖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서트본체(31)의 관통구멍(33)의 양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한쌍의 지지축(61, 62)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지지한다. 상기 한쌍의 지지축(61, 62)은 회전중심이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에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테이퍼(61a, 62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인서트본체(31)를 회전시키면서 인서트본체(31)의 중심축과 일정한 각도(θ)로 경사져서 회전하는 연삭숫돌(70)로 절삭체(34)의 단부를 가공하여 복수의 절삭체의 단부에 절삭날(34c)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절삭날(34c)을 가공하면, 각각의 절삭체(34)의 절삭날(34c)은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게 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 인서트본체(31)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클램프(63)을 사용하였으나, 회전하도록 설치된 척을 사용하여 체결부(31a)의 외주면을 잡고서 회전시키거나, 지지축(62) 자체를 가압하면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조립체의 홀더(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면에 상기 커팅인서트의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21)와 상기 수용부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상기 4개의 절삭체지지부(31b)가 끼워지기 위한 4개의 그루부(22, 23, 24, 25)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그루부 중 적어도 하나(23)는 길이방향으로 홀더(20)의 일단부의 측면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절삭체지지부(31b) 중 절삭 작업을 수행할 절삭체지지부(31b)의 단부가 홀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에는 체결볼트(40)가 끼워져서 커팅인서트(30)의 체결부(31a)의 암나사(39)와 체결되기 위한 관통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홀더(20)는 상기 체결볼트(40)로 상기 커팅인서트(30)를 체결할 경우, 절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홀더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설치된 절삭체지지부(31b)를 그루브(22)의 측벽(26, 27)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수용부(21)의 바닥면(21a)에 형성된 관통구멍(26)은 중심(C2)이 상기 수용부(21)의 중심(C1)으로부터 홀더(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d)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절삭력을 받는 절삭날(34c)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절착체지지부(31b)의 측벽(27, 28)과 절삭날(34c) 사이의 거리를 최소로 하여 절삭시 절삭력에 의한 모우멘트와 진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26)의 중심(C2)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더의 단부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0)에 커팅인서트(30)를 체결할 경우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의 단부에서 멀리 있는 그루부(23)에 틈새(T)가 발생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부(23)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23) 보다 관통구멍(26)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26)이 홀더(20)의 단부 측으로 일정거리(d) 이격되어 있어서, 체결볼트(40)를 조이면 커팅인서트(30)가 홀더의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또한, 홀더의 하부면에는 관통구멍에 삽입된 체결볼트(40)의 머리부(41)를 수용하기 위한 머리수용홈(29)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서 도면부호 P는 홀더에 장착 고정된 커팅인서트(30)의 절삭날(34c)이 동일한 원주상(P)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절삭공구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된 절삭공구조립체와 다른 점은 커팅인서트(30)의 절삭체지지부(31b)가 6개이고 방사상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상기 절삭체지지부(31b)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20)의 홈이 4개이며,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체를 지지하기 위한 홈과 이웃하는 홈의 측벽이 이웃하는 절삭체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가 형성된 점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의 다양한 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절삭체지지부(31b)의 숫자를 필요에 따라서, 2개부터 6개까지(그 이상도 물론 가능하다) 등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공구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삭공구조립체는 홀더(140)의 수용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볼트(150)로 고정된 커팅인서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인서트(100)는 대경부(112)와 상기 대경부(112)의 일측 단부면에서 연장된 소경부(111)를 구비하고,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115)이 형성된 인서트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구멍(115)의 소경부측 내주면에는 홀더(140)에 체결볼트(150)와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팅인서트(100)는 상기 대경부(120)의 외경보다 큰 외경과 대경부측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대경부(120)의 소경부(110)가 연장된 타측 단부면에 고정된 디스크절삭체(1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절삭체(130)는 초경합금으로 된 베이스(131)과 상기 베이스(131)의 상부에 결합된 인조다이아몬드와 같은 절삭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132)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크절삭체(13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상에 절삭날(133)이 위치하도록 가공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커팅인서트(100)는 홀더(140)에 고정하여 공작물의 절삭시 상기 절삭날(133)의 특정 부분만이 절삭에 사용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인덱싱 수단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텍싱 수단은 대경부(112)에도 형성할 수 있으나, 소경부(111)의 외주면의 단면이 정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40)의 수용부(141)의 내주면에 소경부의 외주면의 정다각형과 동일한 정다격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면 체결하여 사용할 때, 절삭날(133)의 특정 부위만 분할하여 회전시켜 가면서 절삭에 사용할 수 있다. 홀더(140)의 수용부(141)의 바닥면에는 체결볼트(150)로 커팅인서트(100)를 체결하기 위한 관통구멍(1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팅인서트(100')가 도 7에 도시된 커팅인서트(100)와 다른 점은 대경부(112)와 소경부(111)의 연결부에 형성된 소경부를 향하여 원형의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113)가 형성된 점이다. 상기 테이퍼부(113)는 커팅인서트(100')를 체결볼트로 홀더에 체결할 때, 절삭날에 가해지는 절삭력을 지지하고 절삭날의 절삭위치에 관계없이 커팅인서트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복수의 절착체와 중심에 가공 및 체결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한 커팅인서트를 제공하여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복수의 절삭날을 동일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절삭날을 구비한 커팅인서트의 어느 하나의 절삭날이 마모된 경우 이웃하는 절삭날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절삭을 할 수 있는 홀더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커팅인서트를 홀더에 용이하게 고정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고정시 절삭력에 의하여 절삭날이 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는 절삭공구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사용시 마모된 절삭날을 용이하게 교환하고, 절삭력에 의한 진동과 변형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공구 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커팅인서트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
도 3(a)는 각각 도 1의 공구 조립체의 부분평면도 및 도 3(b)는 도 3(a)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공구조립체의 홀더의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공구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의 다양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와 상기 커팅인서트를 구비한 공구조립체의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팅인서트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세라믹 재료로 된 절삭체을 구비한 공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세라믹 재료로 된 절삭체을 구비한 커팅인서트의 사시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홀더 21 수용부
22, 23 그루브 26 관통구멍
26, 27 그루부 측벽 30 커팅 인서트
31 인서트본체 33 관통구멍
34 절삭체 34c 절삭날
37, 38 측면 40 체결볼트

Claims (11)

  1.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 외주면에서 상부 및 하부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를 구비한 인서트본체와,
    상기 인서트 본체의 타측을 향하는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상에 절삭날이 위치하도록 가공된 복수의 절삭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삭체는 연삭 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입자는 천연 다이아몬드, 인조 다이아몬드, 입방정계 질화붕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4.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일측 단부면에서 연장된 소경부를 구비하고,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의 소경부측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인서트본체와,
    상기 대경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과 대경부측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대경부의 타측 단부면에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상에 절삭날이 위치하도록 가공된 디스크절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본체에는 공작물의 절삭시 상기 절삭날의 특정 부분만이 절삭에 사용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인덱싱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인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와 소경부의 연결부에 형성된 소경부를 향하여 원형의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수단은 정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인서트본체의 소경부의 외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인서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절삭체는 연삭 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입자는 천연 다이아몬드, 인조 다이아몬드, 입방정계 질화붕소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9.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일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 외주면에서 상부 및 하부 측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방사상으로 일정한 폭과 두께와 길이를 갖고 등간격으로 연장된 복수의 절삭체지지부를 구비한 인서트본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절삭체지지부의 상부면에, 절삭체지지부의 단부로 부터 일정길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절삭체를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인서트본체의 관통구멍의 양단을 한쌍의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지지축으로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인서트본체를 회전시키면서 인서트본체의 중심축과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서 회전하는 연삭숫돌로 각각의 절삭체의 단부를 가공하여 절삭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삭체는 연삭 입자를 포함하는 소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 입자는 천연 다이아몬드, 인조 다이아몬드, 입방정계 질화붕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인서트.
KR1020040037574A 2004-05-25 2004-05-25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2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74A KR20050112472A (ko) 2004-05-25 2004-05-25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574A KR20050112472A (ko) 2004-05-25 2004-05-25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472A true KR20050112472A (ko) 2005-11-30

Family

ID=3728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574A KR20050112472A (ko) 2004-05-25 2004-05-25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24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52B1 (ko) * 2019-09-16 2020-10-08 한국기계연구원 미소절삭장치의 정직진형 절삭헤드
US11103932B2 (en) 2018-09-17 2021-08-31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Cutting head ope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cu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932B2 (en) 2018-09-17 2021-08-31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Cutting head ope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cut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63652B1 (ko) * 2019-09-16 2020-10-08 한국기계연구원 미소절삭장치의 정직진형 절삭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867B2 (en) Tooling insert with mating surface
US7607868B2 (en) Side locking insert and material removal tool with same
JP5431627B2 (ja) 切屑除去自由端に交換可能なチップを有した回転可能な工具
JP5746734B2 (ja) カッターバーを備えた傘歯車切削工具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40218987A1 (en) Cutting tool for rough and finish milling
EP0130592B1 (fr) Plaquette de coupe pour usinage par rotation, outil garni de telles plaquettes et procédé d&#39;affûtage de telles plaquettes
US6764257B2 (en) Tool for milling, a milling body and method for milling
JPH0248109A (ja) カートリッヂ式フライス
KR20050112472A (ko)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를 구비한 커팅인서트및 그 제조방법
JP2004136436A (ja) ねじフライスツール又はねじ切りバ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817567B2 (ja) 超硬刃研削工具及び超硬工具の製造方法
EP1755840B1 (en) Cutting tool for rough and finish milling
KR20050112473A (ko) 절삭날이 원호상으로 가공된 절삭체가 부착된커팅인서트를 구비한 절삭공구조립체
US6626613B2 (en) Cutting tool
KR100448687B1 (ko) 원형 인서트를 가지는 절삭공구
JPH11245167A (ja) 砥石車用ドレッシングロ―ル
JP3539210B2 (ja)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8856A (ja) 砥石フランジ組立体
JP2506640Y2 (ja) スロ―アウエイ式カツタ―
JPS6243685Y2 (ko)
KR100520922B1 (ko) 자동차 압축기의 피스톤 볼시트 절삭날 결합구조 및제작방법
JPS6138810A (ja) 多刃フライスカツタ−
JPS614613A (ja) 多刃カ−トリツジ型フライスカツタ−
JPS61131810A (ja) フライスカツタ−用カツタ−ボデイ
JP2003159656A (ja) 切削研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