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372A -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372A
KR20030066372A KR10-2003-0005880A KR20030005880A KR20030066372A KR 20030066372 A KR20030066372 A KR 20030066372A KR 20030005880 A KR20030005880 A KR 20030005880A KR 20030066372 A KR20030066372 A KR 2003006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ipe
load
injection mold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1945B1 (ko
Inventor
토무라노부히데
오우에모토야수
니시자와마코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16Feeding auxiliary material, e.g. colou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13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38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65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39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 B29C2945/76943Using stored or historical data sets compare with thresh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6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ower or energy, e.g. integral function of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재료와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가열해서 용융수지로 만드는 가열배럴과, 이 가열배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재료를 혼련하는 스크류 및, 이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갖춰 이루어진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이 사출성형기는,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이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를 유도하기 위한 관, 상기 수지재료가 상기 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된 필터,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밸브, 상기 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탱크,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상기 모터의 부하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이 행해지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하게 되는 구동부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adjusting viscosity of molten resin therein}
본 발명은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한 용융수지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를 사용해서 금속분말 또는 세라믹분말을 수지계통의 바인더 및 수지재료와 함께 가열혼련(加熱混鍊)해서 성형하는 분말사출성형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분말사출성형방법을 실시하려면, 사출성형기로 사출성형을 할 때 적당한 점도가 되도록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성형품의 종류에 맞춰 미리 선정해서 준비를 해놓아야만 한다. 더구나, 수지재료에 함유된 바인더는 엄격한 관리에 의해 소정의점도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성형품의 종류에 맞는 적당한 점도로 된 바인더 및 수지재료의 조합비율을 찾아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바꿔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사출성형기에서는 운전 중에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한 용융수지의 점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지가 않기 때문에, 수지재료 및 바인더를 미리 선정하고서 그 바인더의 점도가 유지되도록 특별한 관리를 해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한 것으로,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한 용융수지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분말재료와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가열해서 용융수지로 만드는 가열배럴(heating barrel)과, 이 가열배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재료를 혼련(混鍊)하는 스크류, 이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를 유도하는 관, 상기 수지재료가 상기 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된 필터,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밸브, 상기 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탱크,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상기 모터의 부하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서는,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한 가열된 용융수지를 스크류로 혼련할 때 상기 용융수지의 점도에 따라 상기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바, 이 부하가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되어 제어부에 설정되어 있는 모터의 부하기준치와 비교되고, 그 비교결과에 기인하여 구동부에 의해 밸브가 열려져 용매가 일정시간 또는 일정량씩 공급 또는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혼련이 계속되는 도중 상기 모터의 부하가 다시 검출되어, 부하가 소정의 값이 될 때까지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이 되풀이되고, 그 결과 사출성형기가 운전되고 있는 도중에도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한 용융수지의 점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관의 관로(管路)의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이 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렇게 관로의 도중에 펌프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밸브의 개폐와 더불어 펌프의 구동과 정지를 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매의 공급 및 배출능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 2관통구멍과, 이 제 2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를 유도하도록 된 제 2관, 이 제 2관으로 수지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관통구멍에 설치된 제 2필터,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제 2밸브 및, 상기 제 2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제 2탱크를 더 갖추어, 상기 구동부가 검출된 상기 부하의 값을 상기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행할 수 있게 상기 제 2밸브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는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제 2펌프가 설치되어, 이 제 2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제 2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지원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분말재료, 바인더, 수지재료 및 용매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고, 또 성형조건이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매의 소정량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소정시간만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매의 공급동작 및 배출동작 중 어느 한쪽을 보다 안정되게 행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은, 분말재료와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가열해서 용융수지로 만드는 가열배럴과, 이 가열배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재료를 혼련하는 스크류, 이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가 유도되도록 하는 관, 상기 수지재료가 상기 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된 필터, 상기 관의 관로도중에 설치된 밸브, 상기 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탱크,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상기 모터의 부하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하게 되는 구동부를 갖춘 사출성형기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준치를 설정하게 되는 기준치설정공정과, 상기 부하검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치검출공정,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공정 및,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밸브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매이송공정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성형기에서는,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이 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펌프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에서는, 상기 사출성형기가,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설치된 제 2관통구멍과, 이 제 2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 2관, 이 제 2관으로 수지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관통구멍에 설치되는 제 2필터,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제 2밸브 및, 상기 제 2관의 관로의끝에 설치된 제 2탱크를 더 갖춰 이루어져, 상기 구동부가,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을 상기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쪽을 행하도록 상기 제 2밸브를 구동하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의 양쪽이 별도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사출성형기에서는,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제 2펌프가 설치되어, 이 제 2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제 2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지원할 수 있게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제 2펌프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의 어느 다른 쪽이 지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준치설정공정에서는, 분말재료, 바인더, 수지재료 및 용매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기준치설정공정에서는, 성형조건이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용매의 소정량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가 소정의 시간만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용매의 공급동작 및 배출동작의 어느 한쪽을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정지공정이 더 갖춰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제 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실시예의 사출성형기(1)는 가열배럴(2)의 내부에 계량용 모터(3)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스크류(4)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열배럴(2)의 후단부에는 금속 및 세라믹 등의 분말재료(51)와 수지재료(53), 이들 분말재료(51)와 수지재료(53)를 결합시키는 바인더(52)를 가열배럴(2) 내로 공급하는 호퍼(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지재료(53)는 가열배럴(2)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가열장치로부터의 가열과 스크류(4)의 회전에 따른 전단열(剪斷熱)에 의해 용해되어 스크류(4)의 전방(도면에서 보아 왼쪽방향)에서 계량(計量)되게 된다. 스크류(4)가 다시 더 전진(도면에서 보아 왼쪽방향)하게 되면, 계량된 용융수지가 가열배럴(2) 앞끝의 노즐(7)로부터 금형(도시되지 않음) 내로 사출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금형 내로 사출된 수지가 금형캐비티의 구석구석까지 도달하면 성형 후의 제품의 모양새가 양호해지게 된다. 그 때문에, 분말재료(51), 바인더(52) 및 수지재료(53)를 함유한 용융수지의 점도가 조정되어야 하고, 이렇게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용매(54)가 쓰이게 된다. 이러한 용매(54)로는 물이나 에탄올, 벤젠 및 톨루엔을 들 수가 있다. 한편, 용매(54)의 상태는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액체 및 기체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용매(54)를 공급하기 위해, 가열배럴(2)의 측면에는 이 가열배럴(2)의 내부까지 관통하는 구멍(8)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구멍(8)에는 가열배럴(2)로부터 분말재료(51)나 바인더(52) 및 수지재료(53)가 누설되지 않도록 필터(1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는 용매이송장치(41)에 대해 설명한다. 이 용매이송장치(41)는, 밸브(9)와 탱크(10), 펌프(11), 관(12), 구동부(19), 부하검출부(30) 및 제어부(31)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들 중 구동부(19)와 부하검출부(30) 및 제어부(31)는 사출성형기(1)에 탑재된 제어반(도시되지 않음)에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9)에서 연결되어 나온 전선은 밸브(9) 및 펌프(11)를 구동하기 위해 이들 밸브(9) 및 펌프(11)의 접속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배선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부하검출부(30)에서 연결되어 나온 전선은 모터(3)의 부하를 검지하기 위해 모터(3)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배선되어져 있다. 그리고, 탱크(10)로부터 용매(54)를 유도하는 관(12)이 구멍(8)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관(12)의 관로 도중에는 밸브(9)가 설치되어, 이 밸브(9)가 개폐됨으로써 용매(54)의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정지되어 용융수지의 점도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기(大氣)로부터 밀폐된 탱크(10) 내의 압력이 가열배럴(2) 내의 압력보다 충분히 높게 되면 밸브(9)가 열려 상기 용융수지가 가열배럴(2)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압력의 차이가 보충되거나 또는 대기로 개방시켜진 탱크를 쓰는 경우에는 관로의 도중에 설치된 펌프(11)가 구동되게 된다.
다음에는 밸브(9) 및 펌프(11)가 제어부(31)에서 제어되어 구동부(19)에서 구동됨으로써 점도를 조정하게 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부(19)의 앞단계에 도시된 제어부(31)에서 모터(3)의 부하에 관한 기준치(S)가 설정되어 구동부(19)로 입력되게 된다. 제어부(31)에 나타내어져 있는 S1, S2,‥‥ Sn 은 분말재료(51), 바인더(52), 수지재료(53) 및 용매(54)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은 모터(3)의 부하에 관한 기준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S1, S2, ‥‥ Sn 중 어떤 것이 기준치(S)로 선택되어 구동부(19)로 입력되면, 구동부(19)에서는 부하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모터(3)의 부하의 값(L)과 제어부(3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터(3)의 기준치를 비교하게 된다. 그 결과 L>S 인 경우에는 가열배럴(2) 내의 용융수지의 점도가 높고 용매가 적다고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밸브(9) 및 펌프(11)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D1 및 D2)가 구동부(19)에서 출력되어 밸브(9) 및 펌프(11)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밸브(9)가 열려짐과 더불어 펌프(11)가 구동하게 되어 탱크(10)로부터 용매가 가열배럴(2) 내로 공급된다.
상기 구동신호(D1 및 D2)는 L>S의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만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을 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다 확실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즉 1쇼트)씩 공급되도록 한다. 즉, L>S의 상태로 있는 기간에서 소정시간만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쇼트의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회로(도시는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서, 구동신호(D1 및 D2)가 1쇼트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아직 L>S의 상태로 있게 되면, 다시 1쇼트씩의 구동신호(D1 및 D2)가 출력된다. 이는 L ≤S의 상태로 될 때까지 되풀이되고, 그에 따라 용융수지의 점도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용매(54)의 공급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정지신호가 제어부(31)에서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정지신호를 써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구동부(19)의 구동신호(D1 및 D2)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터(3)의 부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기간이 마련되어 있어서, 그 기간 이외의 경우에는 구동신호(D1 및 D2)가 오프(OFF)되어 용매(54)의 공급이 정지되게 된다. 즉, 공급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 모터(3)의 부하(L)>기준치(S)가 되더라도 밸브(9)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부(31)에서 정지신호가 구동부(19)로 송출되어 구동신호(D1, D2)가 차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되풀이됨으로써 용융수지가 소망하는 점도로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용매(54)가 공급되어 용융수지의 점도가 조정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용매(54)가 미리 분말재료(51)와 바인더(52) 및 수지재료(53)에 혼합되어 있어서, 당해 용매(54)가 구멍(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융수지의 점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가열배럴(2) 내의 압력과 탱크(15) 내의 압력과의 차이가 충분할 경우에는, 밸브(14)를 열려지게 하면 용매(54)가 탱크(15) 내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용매(54)의 배출능력을 높이려면 관로의 도중에 펌프(16)를 설치하고서, 이 펌프(16)의 회전방향을 배출방향(공급시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구동부(19)가 모터(3)의 부하(L)<기준치(S)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가열배럴(2) 내의 용융수지의 점도가 낮고 용매(54)가 많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 관(17)의 관로 도중에 있는 밸브(14) 및 펌프(16)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D1 및 D2)가 구동부(19)에서 출력되어 밸브(14) 및 펌프(16)에 작용하게 된다. 그에따라, 밸브(14)가 열려짐과 더불어 펌프(16)가 구동하게 됨으로써, 가열배럴(2) 내에서 용매(54)가 배출되어 탱크(15)로 되돌려지게 된다. 또,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지신호를 써서 구동부(19)가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제 3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에서 용매(54)를 공급하도록 된 방식과 도 2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서 용매(54)를 배출하는 방식을 함께 갖추고서, 그 중 어느 한가지가 선택되더라도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혼련이 개시되면서부터 점도조정이 끝날 때까지의 사이에 조정기간이 설정되어 있는 바, 이 조정기간 이외에는 다음에 설명되는 용매의 공급조건이 갖춰지더라도 공급동작이 제지되어 용매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일단 점도조정이 끝난 후의 근소한 부하의 변동에 응답해서 공급동작을 한다거나, 공급동작의 응답시간이 늦어져 너무 많은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결국, 1쇼트씩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조정기간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안정된 제어가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지동작과 1쇼트씩의 공급동작 및 조정기간은 모두 정지신호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이 공정을 정지공정이라 부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정지공정에서 정지신호가 점검된다. 이 정지신호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이는 조정기간에 해당한다. 이때, 다음의 부하검출공정에서 모터의 부하의 값(L)이 검출된다. 또, 기준치설정공정에서 모터의 부하의 값(L)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치(S)가 설정된다. 그리하여, 비교공정에서 상기 부하값(L)과 기준치(S)가 비교된다. 이렇게 해서 비교된 결과가 L>S일 때 용매이송공정에서 밸브가 작동하게 되어 가열배럴(2) 내로 용매(54)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용매(54)가 공급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정지신호가 온(ON)되게 됨으로써 1쇼트의 공급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여러 공정이 되풀이됨으로써 용융수지가 소망하는 점도로 조정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용매(54)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능력을 높이려 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매(54)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를 상기 관로의 도중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용매가 공급 및 배출되는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당해 펌프가 회전구동하게 됨과 더불어 밸브가 열리게 된다.
또,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의 양쪽 방식을 갖추고서 그 중 어느 한 방식이 선택되더라도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멍과 관, 필터, 밸브 및 탱크를 모두 하나의 계통이 되도록 설치해서, 용매이송공정에서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이 계통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양 계통의 공급능력 및 배출능력을 다시 더 높이려면, 상기 양 계통에 각각 펌프를 설치하여, 용매이송공정에서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이 계통별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또, 분말재료나 바인더, 수지재료 및 용매의 종류가 각각 다르고 성형조건도 다르게 되어 있음에 대응해서 보다 정확한 점도조정을 하려는 경우에는, 기준치설정공정에서 값이 다른 기준치를 복수로 설정하고서 그 중 적절한 기준치를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용매이송공정에서는, 밸브가 소정시간만 작동하게 됨으로써 소정량의 용매가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정지공정에서는, 용매의 공급동작 및 배출동작을 보다 안정시키기 위해 구동신호(D1, D2)를 차단해서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구멍이 가열배럴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구멍이 가열배럴의 어떤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 이 구멍은 용매가 용융수지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또는 보다 배출능력이 높여지도록 필요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 이유로, 스크류를 따라 길이가 긴 슬릿형상의 구멍이 1개 이상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사출성형기에서 용융수지가 혼련되었을 때에 소망하는 점도가 되도록 하는 데 가장 적합한 수지재료를 미리 찾아, 그것으로 바꿔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한다는 결점이 있던 것을 제거하여, 사출성형기를 운전하는 도중에 분말재료 및 바인더를 함유하는 용융수지를 소망하는 점도로 조정해서 사출성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분말재료와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가열해서 용융수지로 만드는 가열배럴과, 이 가열배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재료를 혼련하는 스크류, 이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가 유도되는 관, 상기 수지재료가 상기 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된 필터,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밸브, 상기 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탱크,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상기 모터의 부하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이 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할 수 있게 기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설치된 제 2관통구멍과, 이 제 2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가 유도되도록 하는 제 2관, 이 제 2관으로 수지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관통구멍에 설치된 제 2필터,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제 2밸브 및, 상기 제 2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제 2탱크가 더 갖춰져, 상기 구동부가 검출된 상기 부하의 값을 상기 기준치와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이 행해질 수 있게 상기 제 2밸브를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제 2펌프가 설치되어, 이 제 2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제 2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지원할 수 있게 기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분말재료, 바인더, 수지재료 및 용매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성형조건이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용매의 소정량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소정시간만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용매의 공급동작 및 배출동작 중 어느 한쪽을 보다 안정되게 행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9. 분말재료와 바인더 및 수지재료를 가열해서 용융수지로 만드는 가열배럴과, 이 가열배럴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지재료를 혼련하는 스크류, 이 스크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 이 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가 유도되는 관, 상기 수지재료가 상기 관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된 필터, 상기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밸브, 상기 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탱크,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검출부, 상기 모터의 부하에 대한 기준치를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하게 되는 구동부를 갖춘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기준치를 설정하는 기준치설정공정과, 상기 부하검출부에 의해 상기 모터의 부하의 값을 검출하는 부하치검출공정,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공정 및,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밸브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매이송공정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이 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하도록 기능함과 더불어,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펌프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지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가, 상기 가열배럴의 측면에 설치된 제 2관통구멍과, 이 제 2관통구멍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수지재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매를 유도하는 제 2관, 이 제 2관으로 상기 수지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관통구멍에 설치된 제 2필터,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설치된 제 2밸브 및, 상기 제 2관의 관로의 끝에 설치된 제 2탱크를 더 갖추고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부하검출부에서 검출된 부하의 값과 상기 기준치를 비교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행하도록 상기 제 2밸브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의 양쪽이 별도로 행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관의 관로 도중에 상기 용매를 송출하기 위한 제 2펌프가 설치되어, 이 제 2펌프가 상기 구동부에 의한 제 2밸브의 구동과 협조해서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다른 쪽을 지원하도록 기능하고,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출력신호에 기해 상기 제 2펌프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용매의 공급 및 배출의 어느 다른 쪽을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설정공정에서는, 분말재료, 바인더, 수지재료 및 용매의 종류가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가 설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설정공정에서는, 성형조건이 다름에 따라 값이 다른 복수의 기준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이송공정에서는, 상기 용매의 소정량의 공급 및 배출 중 어느 한쪽을 행하도록 상기 밸브가 소정의 시간만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공급동작 및 배출동작의 어느 한쪽을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정지공정이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KR10-2003-0005880A 2002-02-01 2003-01-29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KR100511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5072 2002-02-01
JP2002025072A JP2003225935A (ja) 2002-02-01 2002-02-01 射出成形機および溶融樹脂粘度調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372A true KR20030066372A (ko) 2003-08-09
KR100511945B1 KR100511945B1 (ko) 2005-09-02

Family

ID=2765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80A KR100511945B1 (ko) 2002-02-01 2003-01-29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49212B2 (ko)
JP (1) JP2003225935A (ko)
KR (1) KR100511945B1 (ko)
TW (1) TW587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0637B4 (de) * 2007-07-02 2009-10-29 Adcuram Maschinenbauholding Gmbh Verfahren zum Spritzgießen und Spritzgießmaschine
US20090057938A1 (en) * 2007-08-28 2009-03-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losed Loop Control for an Injection Unit
CN105058698A (zh) * 2015-07-31 2015-11-18 成都亨通兆业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余料观测挤塑机的使用方法
US11010816B2 (en) * 2015-08-27 2021-05-18 Imflux Inc Methods of selecting thermoplastic materials for use with plastic article forming apparatuses that control melt flow
WO2017035179A1 (en) * 2015-08-27 2017-03-02 iMFLUX Inc. Plastic article form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lt flow in real time using additives
LT6658B (lt) * 2017-12-08 2019-09-25 Douglas Craig Pet apdorojimo būda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0122C2 (de) * 1980-05-27 1984-04-26 Battenfeld Maschinenfabriken Gmbh, 5882 Meinerzhagen Schaltungsanordung zum Zudosieren von gasförmigen oder flüssigen Stoffen, insbesondere physikalischen Treibmitteln, in eine fließfähige Schmelz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3310484C1 (de) * 1983-03-23 1984-07-12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Verfahren zur Erzielung eines maximalen Ausstosses eines Doppelschneckenextruders
DE19848151C2 (de) * 1998-10-20 2002-09-19 Battenfel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ritzgießen von Kunststoff-Formteil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945B1 (ko) 2005-09-02
US6849212B2 (en) 2005-02-01
JP2003225935A (ja) 2003-08-12
TW200302770A (en) 2003-08-16
US20030146531A1 (en) 2003-08-07
TW587006B (en) 200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945B1 (ko) 사출성형기 및 그의 용융수지 점도조정방법
JP3146368B2 (ja) 連続可塑化式射出成形方法
JP3303213B2 (ja) 連続可塑化式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JPH0534135B2 (ko)
JPH0525869Y2 (ko)
JP2564237B2 (ja) 射出成形機の制御方法
JPH0659746A (ja) 油圧装置
JPH0857901A (ja) 原料供給量の自動設定が可能な射出成形機とその方法
JPH0732028Y2 (ja) 射出成形機の油圧回路
JP3281995B2 (ja) 連続可塑化式射出成形方法及び装置
JP3409202B2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射出成形機における射出シリンダの駆動方法及びその装置
JP3142718B2 (ja) ディスク成形機の制御方法
JPH084273Y2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油圧波形監視装置
JPH089189B2 (ja) 射出成形機の射出工程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219108A (ja) 作動油昇温制御装置
JPS633730B2 (ko)
JPH0565516U (ja) 射出成形機の製品良否判定装置
JPH06857A (ja) 射出成型機の制御装置
JPH08187755A (ja) 射出成形機の保圧制御方法
JPH04175480A (ja) 油圧ポンプ制御回路
JPH0825445A (ja) 射出圧縮成形機
JP3243298B2 (ja) 射出制御方法及び装置
JPS6054170B2 (ja) 射出油圧回路の圧力監視装置
JPH0262221A (ja) 射出成形機の射出圧力制御方法
JPH057431U (ja) 射出成形機用油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