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317A -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 Google Patents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317A
KR20030064317A KR10-2003-0004563A KR20030004563A KR20030064317A KR 20030064317 A KR20030064317 A KR 20030064317A KR 20030004563 A KR20030004563 A KR 20030004563A KR 20030064317 A KR20030064317 A KR 2003006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ver
rotating member
rotating
forc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기다
Original Assignee
마코토 기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코토 기다 filed Critical 마코토 기다
Publication of KR2003006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1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both radial and axial friction, e.g. con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Mechanical means for force or torque adjust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회동부재가 회동부재의 자중으로 피회동부재(被回動部材)측으로 제멋대로 넘어지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하기 쉬운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회동기구는 피회동부재로서의 퍼스컴본체(2)와 윗커버(3)를 갖는 노트형 퍼스컴에 사용되고 있다. 이 회동기구는 제1힌지장치(21)와, 제2힌지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힌지장치(21)는 마찰체를 구비하고, 퍼스컴본체(2)에 대한 윗커버(3)의 회동에 마찰저항을 부여한다. 제2힌지장치(22)는 토션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퍼스컴본체(2)에 대한 윗커버(3)의 회동에 즈음하여, 윗커버(3)의 자중에 의해 윗커버(3)에 걸리는 퍼스컴본체측으로의 회전모멘트에 대항할 수 있도록 윗커버(3)를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가세한다.

Description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TURNING STRUCTURE WITH TURNING MEMBER AND BASE MEMBER}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이하, 퍼스컴이라고 약칭함.)등의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본체와 윗커버, 전기기기의 본체와 덮개체등의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로서, 예를 들면, 노트형 퍼스컴의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라 불리우는 것이 있다. 이 힌지장치는 수지제의 마찰체에 형성한 테이퍼상의 축받이구멍에 동일하게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형성한 금속제의 회전축을 끼워 넣고, 회전축의 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킨 너트에 의해, 그 마찰체와 회전축의 사이를 강하게 체결하여 마찰체 그 자체에 스프링기능을 발휘시켜 적당한 회전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적당한 지지력을 갖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힌지장치는 마찰체에 회전축을 가압체결하고, 그 마찰체 그 자체의 변형으로 스프링기능을 발휘시키기 때문에, 소형인 구조라고 해도 필요한 충분한 회전마찰력을 얻어 지지력을 갖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문헌 특개 2000-356214호 공보).
노트형 퍼스컴의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장치는 윗커버의 회동 기단 가장자리 부근을 지지하고, 이를테면 편측지지상태에서 윗커버를 지지한다. 윗커버에는 액정모니터등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장치에는 비교적 무거운 상태의 윗커버를 임의의 각도로 정지시키는 지지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윗커버를 지지하는 힌지장치의 저항력, 즉, 마찰력을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힌지장치는 너트에 의한 체결력을 상당히 높이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 만큼 힌지장치에는 상당한 부담이 걸리고, 이것이 힌지장치의 내구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힌지장치의 내구성을 높이려고 하면 힌지장치 자체를 대형화시킬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최근의 노트형 퍼스컴에서는 윗커버의 대형화와 퍼스컴전체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그 경향이 상당히 진전이 있고, 퍼스컴본체는 경량이다. 이 때문에, 힌지장치의 마찰력을 크게 하면, 재빨리 윗커버를 열려고 할때, 그 조작력으로 키보드측 본체까지 윗커버와 함께 들어 올려져 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힌지장치의 마찰력은 가능한한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액정모니터등을 구비한 무거운 윗커버는 개방한 임의의 각도로 윗커버를 정지시키는 편측지지상태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지지력이 필요했었다. 한편, 윗커버를 열고 닫을때의 조작력은 작고 일정한 것이 매끄러운 개폐조작을 행하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또, 윗커버를 열거나 닫을때 필요한 조작력은 윗커버의 위치에 의해서도 변하는 것이다. 즉, 윗커버를 닫기 시작할때는 윗커버의 자중중심위치가 회동축지지 중심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가장 떨어지고, 윗커버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가장 크다. 따라서, 윗커버를 열기시작할때는 그 회전모멘트에 대항하여 열기 때문에 조작이 어렵다. 반대로 윗커버가 열린 위치로부터 닫을때는, 최초, 윗커버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작지만, 닫음에 따라, 윗커버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차례로 커지게 되고, 이것이 윗커버를 닫는 조작력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윗커버를 닫을때의 조작력을 일정하게 했더라도, 윗커버가 완전히 닫히지 직전까지 윗커버가 가속을 받게 되어, 너무 세게 윗커버가 완전히 닫히는 일이 많게 된다. 즉, 윗커버의 열림과 닫힘조작의 수가감(手加減)이 어렵고 윗커버의 열림이나 닫힘의 조작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의 힌지장치에서는 임의의 각도로 윗커버를 정지시키는 지지력을 필요로 하고, 그 때문에 윗커버를 개폐할때의 마찰저항력을 높이지 않을 수 없지만, 마찰저항력을 높이면 윗커버를 개폐하는 조작이 어려워짐과 동시에, 힌지장치에 손상을 입히기 쉽고, 힌지장치에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힌지장치가 트러블을 일으키면, 사용 중, 액정모니터부 윗커버를 임의의 장소에서 지지하는 필요한 마찰력을 얻을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반대로 필요회전마찰력이 높아져 윗커버를 열려고 할때, 키보드측 본체가 윗커버와 함게 들어 올려진다는 사태를 일으키기 쉽게 되거나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회동부재가 회동부재의 자중으로 피회동부재측에 제멋대로 넘어지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하기 쉬운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휴대형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의 개폐조작이 가볍고, 또한 윗커버의 개폐조작력이 안정적이고, 윗커버를 매끄럽게 개폐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마찰을 이용한 힌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마찰지지력을 경감할수 있고, 윗커버를 지지하는 윗커버 개폐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모니터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윗커버를 개폐하는 것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동기구를 윗커버개폐장치로서 조립한 1실시형태의 노트형 퍼스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노트형퍼스컴의 윗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상기 윗커버개폐장치의 제1힌지장치 부근의 종단면도.
도 4는 상기 제1힌지장치의 수지제 마찰체와 칼라를 나타내는 전개사시도.
도 5는 상기 윗커버개폐장치의 제2힌지장치 부근의 종단면도.
도 6은 상기 제1힌지장치의 토션코일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윗커버개폐장치에 조립한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설명도.
도 8은 다른 기어열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A)는, 기어접속해제기구의 설명도, 도 9(B)는 기어접속해제기구에 의해 맞물린 기어를 뺀 상태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회동기구를 윗커버개폐장치로서 조립한 1실시형태의 전기밥솥의 밥솥본체와 뚜껑체와의 접속부의 요부설명도.
도 11(A)는 신속닫음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노트형 퍼스컴의 개략측면도, 11(B)는, 클리어런스지지부를 갖는 기어끼리의 맞물림부의 요부확대설명도, 도11(C)는, 스프링지지부를 갖는 스프링부착부의 요부확대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키보드 2. 퍼스컴본체
3. 윗커버 4. 표시화면
5. 조작보턴 10. 마우스
11. 잠금편 12. 계지부
13. 잠금해제보턴 21. 제1힌지장치
22. 제2힌지장치 23. 본체
24. 마찰체 25. 지지부
26. 다리부 27. 구멍
31. 내측구멍 37. 금속제 칼라
38. 절결부 39. 계지용 볼록부
41. 금속제 회전축 42. 지지프레임
43. 테이퍼외주면 46. 회전와셔
49. 너트 71. 축지지본체
72. 축 73. 토션코일스프링
74. 권선부 75. 고정구
81. 구동용 모터 82. 워엄휠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회동자유롭게 부착하고,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로서, 상기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동력을 이용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영역을,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것이다.
여기에, 「감소된다」라는 것은,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보다 크고,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경우,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와 동등하고, 양 회전모멘트가 상쇄되어 0이 되는 경우외에,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에 의한 회전모멘트보다 작고,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드라이브기구가,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회동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동력전달기구는, 모터의 동력을,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한 속도로 회동부재에 전달하는 감속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회동자유롭게 부착하고,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로서, 상기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수단과,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한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영역을,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관계되는 회동기구가, 회동부재에 동력을 부여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동기구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노트형 퍼스컴에 실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트형 퍼스컴은 그 상면에 키보드(1)를 구비한 피회동부재로서의 상자체의 퍼스컴본체(2)와, 이 퍼스컴본체(2)의 배면 가장자리부분에 추착(枸着)된 회동부재로서의 윗커버(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윗커버(3)는, 퍼스컴본체(2)에 추착되는 것에 의해 퍼스컴본체(2)측으로 넘어져 퍼스컴본체(2)의 상면측을 닫은 상태로부터 기립하여 퍼스컴본체(2)의 상면측을 연 상태로 될 수 있고,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개폐 자유롭게 되어 있다.
윗커버(3)의 내면에는 주변 가장자리를 남기고 대략 전면에 걸쳐 액정으로 된 표시화면(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퍼스컴본체(2)의 상면에는 상기 키보드(1)외에도 각종의 조작보턴(5)이나 트랙패드(6)등이 설치되어 있다.
퍼스컴본체(2)의 측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ROM드라이드(7)나 FD드라이브(8), 각종 단자(9)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 이 노트형 퍼스컴은 일반적인 노트형 퍼스컴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윗커버(3)를 열면, 표시화면(4)을 보면서 키보드(1) 또는 마우스(10)등을 조작할 수 있는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윗커버(3)를 닫으면, 윗커버(3)에 의해 퍼스컴본체(2)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윗커버(3)의 회동선단부분에는 잠금편(11)이 설치되고, 이 잠금편(11)은 윗커버(3)를 닫았을때, 퍼스컴본체(2)의 전방부 상면에 형성한 계지부(12)에 자동적으로 계지한다. 윗커버(3)의 회동선단가장자리에는 슬라이드조작이 자유로운 잠금해제보턴(13)이 설치되고, 이 잠금해제보턴(13)을 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계지부(12)에 계지하고 있던 잠금편(11)을 해제할 수 있다. 또, 잠금해제조작후에 잠금해제보턴(13)을 해방함으로써, 그 잠금해제보턴(13)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또한, 잠금해제보턴(13)이 부주위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방지보턴을 별도로 설치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퍼스컴본체(2)의 배면 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 좌우위치에는, 본 발명의 회동기구를 구성하는 다른 형식의 한쌍의 힌지장치(21)(22)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윗커버(3)는 이 한쌍의 힌지장치(21)(22)를 이용하여 개폐자유롭게 추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측에 배치된 제1힌지장치(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 마찰체를 이용한 마찰형식의 것이며, 좌측에 배치된 제2힌지장치(2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선스프링(토션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형식의 것이다.
먼저, 우측에 배치되는 제1힌지장치(21)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1힌지장치(21)는, 아연다이캐스트체 제품에 의해 형성한 축받이본체(힌지본체)(23)를 구비하고, 이 축받이본체(23)는 수지제 마찰체(24)를 지지하는 통형상의 지지부(25)와, 상기 퍼스컴본체(2)에 부착고정한 다리부(26)를 구비한다. 마찰체(24)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된 수지성형일체품으로서, 이 마찰체(24)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축받이구멍(27)을 형성하고 있다. 마찰체(24)에 있어서의 기단부(28)는 축받이본체(23)의 지지부(25)에 형성된 내측구멍(31)에 끼워 넣어지고, 마찰체(24)는 축받이본체(23)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지제 마찰체(24)의 기단부(28)의 외주면부는 둥근원주면이 아니고 이형(異形)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 마찰체(24)의 일부는 지지부(25)의 내공(31)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한 단부(35)의 외경은 상기 기단부(28)의 외경보다도 크다. 그리고, 이 돌출된 단부(35)로부터 상기 축받이본체(23)의 지지부(25)에 걸쳐, 그들의 외주에는 수지제 마찰체 팽창방지용 금속제칼라(37)가 밀접하게 끼워져 있다. 금속제 칼라(37)는 지지부(25)에 계지되고, 지지부(25)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 칼라(37)의 기단 가장자리부에 복수의 계지용 절결부(38)를 형성하고, 한편, 이 금속제 칼라(37)를 끼워 맞추고, 지지부(25)의 외주에는 복수의 계지용 볼록부(39)를 설치하여 금속제 칼라(37)를 지지부(25)의 외주에 끼웠을때, 각 절결부(38)가, 이것에 대응하는 계지용 볼록부(39)에 끼워 넣어져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금속제 칼라(37)는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25)에 접속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에는 회동부재로서의 윗커버(3)를 지지하는 금속제의 회전축(41)이 끼워 넣어져 있다. 회전축(41)은 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에 대하여 밀접하게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회전자유롭게 지지된다. 회전축(41)의 기단에는 윗커버(3)를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42)은 윗커버(3)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1)은, 예를 들면 스테인렌스강 등의 철로 만들어져 있다. 또, 축받이구멍(27)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은 적어도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형상에 맞춘 테이퍼 외주면(43)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외주면(43) 부분은 상기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내면에 밀착하여 끼워 맞추어져 있다. 회전축(41)의 테이퍼 소경측 단부는 마찰체(24)로부터 지지부(25)를 관통하고 있고, 이 돌출한 선단부(44)에는 본체고정와셔(45)와 회전와셔(46)가 끼워 넣어져 있다. 회전축(41)의 선단부(44)에는 숫나사(47)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47)에 나사결합하는 체결용 너트(49)에 의해 마찰체(24)에 회전축(41)을 체결시킨다. 또, 와셔(45)(46)의 사이에는 탄성적으로 짖눌리는 가압용 가세부재로서의 스프링부재가 개재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좌스프링의 일종인 접시스프링이 이용되고, 1매 또는 필요매수, 여기에서는 3매의 접시스프링(51)(52)(53)이 중첩되어 이용되어져 있다. 이들 접시스프링(51)(52)(53)을 직렬로 조합시킨 배열(교호로 다른 방향)이지만, 그들 접시스프링(51)(52)(53)을 병력로 조합시킨 배열(동일방향)으로 해도 좋다. 상기 와셔(45)(46)는 통상 금속제의 판상의 것이지만, 비교적 강도가 있는 가벼운 수지제의 것이라도 좋다. 접시스프링(51)(52)(53)은 스프링강등으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회전축(41)의 숫나사(47)에 너트(49)를 나사결합함으로써 그 너트(49)측에 회전축(41)을 강하게 당기고, 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상 내면에 회전축(41)의 테이퍼상 주면을 압접시키는 체결상태로 유지한다. 너트(49)를 체결하였을때, 접시스프링(51)(52)(53)은 와셔(45)(46)의 사이에서 압박되고, 그리고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적으로 밀착한 평탄하게 겹쳐지는 상태로 압축하여 유지된다. 접시스프링(51)(52)(53)이 전면적으로 밀착한 평탄한 상태에서 겹치는 상태가 되기까지 체결되었을때, 접시스프링(51)(52)(53)의 총합반발력(스프링력)은 최대가 된다. 통상은 그 이상으로 강하게 체결하고, 마찰체(24)에 대한 회전축(41)의 체결력을 접시스프링(51)(52)(53)의 총합반발력(스프링력)이상의 값의, 예를 들면 120%로 설정한다.
통상, 고정와셔(45)는 지지부(25)에 고정되고, 회전와셔(46)는 회전축(41)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와셔(45)(46)의 사이에 개재하는 접시스프링(51)(52)(53)자신의 상호간 및 와셔(45)(46)와의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고, 상기 회전축(41)은 매끄럽게 회전한다.
또, 수지제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에 있어서의 테이퍼각(θ)을 10°~25°정도이며, 특히 14°가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41)의 테이퍼외주면의 테이퍼각은 그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각(θ)에 맞추어 형성된다. 양자의 테이퍼각은 테이퍼 끼워맞출 수 있는 관계라면 되는 것으로 엄밀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수지제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내면에는 그리스 저류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그리스 저류홈(61)은 수지제 마찰체(24)의 축 중심선에 평행으로 가늘고 길게 배치되어 있지만, 경사진 것이라도 좋다. 그리스 저류홈(61)의 횡단면형상은 예를 들면 대략 V자형의 것이다. 이들 그리스 저류홈(61)에는 윤활제로서의 그리스오일이 수납된다. 그리스 저류홈(61)은 회전축(41)의 테이퍼상 주면부가 접합하는 수지제마찰체(24)의 축받이구멍(27)의 테이퍼상 내면의 영역에 한정되어 배치된다.
또, 제1힌지장치(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41)에 대하여 수지제 마찰체(24) 및 칼라(37)를 덮고, 너트(49)로 금속제 회전축(41)을 체결시킴으로써 조립된다. 너트(49) 및 접시스프링(51)(52)(53)의 스프링력에 의한 체결력이 금속제 회전축(41)의 테이퍼주면을 통하여 수지제 마찰체(24)에 가해지고, 수지제마찰체(24)를 외측으로 신장하는 힘이 발생한다. 수지제 마찰체(24)는 이 힘을 받아 그 자체가 외측으로 신장하려고 하지만, 수지제 말찰체(24)의 외주에는 금속제 칼라(37)가 끼워져 있으므로, 외측으로의 신장은 저지되고, 체결력은 유효하게 작용한다. 수지제 마찰체(24)와 금속제 회전축(41)의 압접하는 힘을 높인다. 이 때문에, 수지제 마찰체(24)는 그 자체에서 강력한 탄성작용을 낳고, 충분한 스프링효과를 발휘한다. 또, 수지제마찰체(24)는 아주 두께가 얇은 부품이라도 강한 스프링효과를 발휘하고, 탄성체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달성한다.
그리고, 수지제 마찰체(24)의 테이퍼내면과 회전축(41)의 테이퍼외면이 쐐기작용에 의해 강하게 압접하고, 슬라이딩 마찰력을 높이고, 회전축(41)을 회전할때, 회전축(41)에 필요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들 수지제 마찰체(24)와 회전축(41)은, 퍼스컴본체(2)에 대한 윗커버(3)의 회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에서, 그리스 저류홈(61)에 봉입한 그리스오일이, 수지제 마찰체(24)와 금속제 회전축(41)과의 사이에 스며들어, 수지제 마찰체(24)와 금속제 회전축(41)과의 사이에 그리스막을 생성한다. 이 때문에, 수지제 마찰체(24)와 금속제 회전축(41)이 가압 체결되어도 견고하게 고착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금속제 회전축(41)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다. 결국, 금속제 회전축(41)을 회동할때의 저항력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거나, 회전축(41)이 잠겨져 움직이지 않게 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적절한 저항력에서의 필요한 저항감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금속제 회전축(41)을 회전시킨 임의 위치에 있어서 확실 또한 안정적인 잠금기능을 이룬다.
여기에서, 가령 마찰체(24)가 노화하고, 그 반발력을 약해진 경우, 그 반발력이 약해진 분만큼, 접시스프링(51)(52)(53)이 신장되고, 그 스프링력에 의해 회전축(41)에 부여하는 체결력을 자동적으로 취하므로, 회전마찰력이 장기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장치(21)의 회전마찰력은, 말하자면 반영구적으로 떨어지는 일 없고, 재조정작업은 불필요하다. 또, 체결용 너트(49)를 다시 체결하고, 재조정하는 작업도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제품의 내구성이나 신뢰성이 좋아진다. 이 힌지장치(21)에 의하면, 전체 플라스틱성형품의 마찰체(24)와 회전축(41)에서의 면압으로 저항감이 나오므로 회전의 매끄러움은 말하자면 반영구적으로 변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저항부여수단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축(41), 축(41)과의 회전에 즈음하여 축(41)에 마찰저항을 부여하는 마찰체(24)를 구비한 것임에 한정되지 않고, 피회동부재로서의 퍼스컴본체(2)에 대한 회동부재로서의 윗커버(3)의 회동에 저항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좌측에 배치되는 제2힌지장치(22)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힌지장치(22)는 퍼스컴본체(2)에 부착고정하는 다리부로서의 축지지 본체(71)와, 이 축지지 본체(71)에 지지되는 축(72)을 구비한다. 상기 축(7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세수단으로서의 토션코일스프링(73)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73)은 그 권선부(卷線部)(74)내에 축(72)을 통하여 축(7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축(72)은 상술한 제1힌지장치(21)의 축중심에 일치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토션코일스프링(73)의 권선부(74)도 제1힌지장치(21)의 축중심에 일치하여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토션코일스프링(73)은 2개의 권선부(74)를 설치한 더블권선부 형식의 것이며, 한개의 스프링선재를 이용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권선부(74)는 감기는 방향을 다르게 하여 토션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73)의 권선부(74)로부터 연장되는 일단측은 고정구(75)를 통하여 퍼스컴본체(2)에 고정된다. 토션코일스프링(73)의 타단측은 윗커버(3)를 부착고정하는 지지프레임(78)에 별도로 고정구(7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축지지 본체(71)와 고정구(75)는 유닛기판(79)에 고정되고, 이 유닛기판(79)을 퍼스컴본체(2)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78)은 축(72)의 일단에 추착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78)을 축(72)에 고정하고, 그 축(72)자체를 축지지본체(71)에 축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후자와 같이 하면, 지지프레임(78)을 축(72)에 추착하지 않아도 좋다. 물론 양자 모두 서로 추착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토션코일스프링(73)은 그 토션 반발력에 의해 축(72)을 중심으로 하여 윗커버(3)를 개방햐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수단을 구축한다. 즉, 토션코일스프링(7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를 수직으로 일어서려고 하는 열림방향의 회전모멘트를 윗커버(3)에 부여하도록 작용한다. 또, 윗커버(3)가 수직의 90°에서 앞, 대략 120°까지 넘어지면 본 힌지장치(22)에는 수직측으로 일어서려고 하는 토션반발력이 발생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의 토션코일스프링(73)은 권선부(74)가 더블형식의 것이었지만, 한개의 권선부(74)로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윗커버(3)는 퍼스컴본체(2)의 배면 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 동축적으로 배치된 좌우 한쌍의 힌지장치(21)(22)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지지된다.
다음에, 노트형 퍼스컴의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노트형 퍼스컴을 사용하지 않을때, 윗커버(3)는 닫고, 잠금편(11)은 계지부(12)에 계지한 잠금상태로 있다. 노트형 퍼스컴을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윗커버(3)의 전단 가장자리에 있는 잠금해제보턴(13)을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계지부(12)에 계지하고 있는 잠금편(11)을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윗커버(3)는 열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윗커버(3)를 손으로 열 수 있다. 그리고, 퍼스컴의 전원스위치를 넣고,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퍼스컴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노트형 퍼스컴의 사용을 종료하고, 윗커버(3)를 닫는 경우는 먼저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윗커버(3)를 닫는다. 윗커버(3)가 대략 완전히 닫히는 단계에서, 잠금편(11)은 계지부(12)에 계지된다. 그 후, 노트형 퍼스컴을 다시 사용할때까지 윗커버(3)는 닫힌 상태에서 계속 잠겨져 있다.
다음에,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특유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윗커버(3)는 퍼스컴본체(2)의 배면 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 좌우로 동축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힌지장치(21)(22)를 이용하여 개폐 자유롭게 추착되어 있다. 윗커버(3)는 열림각도에 따라 그 자신 무게의 중심위치가 수평으로 이동하고, 윗커버(3)가 닫혔을때 윗커버(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윗커버(3)의 중심위치까지의 수평거리가 가장 길고, 윗커버(3)가 열리는 방향으로 기상함에 따라 그 거리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윗커버(3)의 회동위치에 따라 변하고, 그것에 필요한 지지력도 변한다. 결국, 윗커버(3)가 열린 위치에 있을때보다도윗커버(3)가 닫히는 위치 가까이에 있는 쪽이 큰 지지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힌지장치(21)는 마찰형식의 것이며, 윗커버(3)를 회동시킨 위치에 마찰력으로 지지하는 기능의 형식이기 때문에, 그 마찰력은 윗커버(3)가 어느 위치라도 일정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힌지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는 윗커버(3)가 닫히는 위치근처에 있는 경우에, 필요한 최대의 지지력에 맞추어 그 마찰력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1힌지장치(21)의 마찰력만으로 지지력을 갖도록 하면 마찰력이 커져 버리고, 윗커버(3)의 개폐조작이 어려워져 버린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2힌지장치(22)의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으로,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를 극력 상쇄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1힌지장치(21)의 마찰력에 의한 부담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즉, 제2힌지장치(22)의 토션코일스프링(73)은 윗커버(3)를 가세하기 때문에, 이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 반발력이 윗커버(3)를 여는 방향으로 가해져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를 상쇄시키고, 제1힌지장치(21)에 의한 수지제마찰체(24)의 마찰지지력의 부담을 경감한다. 그 결과, 제1힌지장치(21)의 마찰지지력은 작아도 좋기때문에, 윗커버(3)의 개폐조작은 매우 쉽고 원활해진다.
더욱이, 제2힌지장치(22)는 윗커버(3)를 느슨하고 회전자유롭게 축지지하는 형식의 것이기 때문에, 동시에,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 반발력에 의해 축(72)을 중심으로 하여 윗커버(3)를 상향으로 열도록 가세하게 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를 연직으로 일어서는 방향의 회전력을 윗커버(3)에 부여한다.여기에서,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은 윗커버(3)의 위치에 의해 다르다. 즉, 윗커버(3)를 닫았을때,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량이 가장 크고, 토션 반발력은 최대가 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량이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윗커버(3)가 연직으로 열리는 위치에서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션코일스프링(73)의 가세력에 낭비가 없다. 토션코일스프링(73)의 가세력은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와 역방향의 힘이며, 양자는 상쇄하는 관계이다. 그리고, 윗커버(3)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는 논리적으로 수직인 위치에서 제로이지만, 수직으로부터 서서히 넘어져 가는 각도가 증가할때마다 윗커버(3)의 무게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증가해 간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가 수직의 위치에서 윗커버(3)가 닫히는 0°의 위치까지 윗커버(3)의 무게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증가한다. 여기에서, 토션코일스프링(73)에 의한 윗커버(3)의 무게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반발하는 힘을 갖게 하고, 어느 각도라도 윗커버(3)가 회동하는 조작력이 0, 혹은 0에 가까워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힌지장치(21)로서는 윗커버(3)를 임의의 각도로 정지시키기 위한 것만큼의 마찰력을 부여하면 좋게 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를 여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제2힌지장치(22)는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을 윗커버(3)가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90°로 열렸을때 0이 되도록 설계한다. 윗커버(3)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최대의 토션반발력이 윗커버(3)에 걸리게 되고, 그리고 제2힌지장치(22)의 토션코일스프링(73)의 가세력으로 윗커버(3)의 각 회동위치의 무게를 지탱하고, 윗커버(3)를 회동하였을때의 각 회동위치에서의 윗커버(3)의 무게는 대략 일정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윗커버(3)가 90°의 위치로 열리고, 즉, 수직상태일때, 토션반발력이 0이 되도록 하면, 윗커버(3)의 수직의 90°에서 앞, 100°,120°로 액정화면상 커버(3)를 넘어뜨리면 본 힌지장치(22)에는 수직측으로 일어서려고 하는 반발력이 발생한다. 즉, 윗커버(3)가 접힌 상태에서 수직인 상태에 이르기까지(반대방향도 동일) 윗커버(3)에 걸리는 중력은,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거의 상쇄된다.
따라서, 토션코일스프링(73)의 반대측에 사용하는 제1의 힌지장치(21)는 윗커버(3)를 임의의 곳에서 정지시킬뿐의 목적으로 좋게 된다. 이 때문에, 제1힌지장치(21)는 소형이고 회전마찰력이 작은 것이라도 좋다. 제1힌지장치(21)에 의한 수지제 마찰체(24)의 마찰지지력은 작아도 되고, 그 제1힌지장치(21)의 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힌지장치(21)를 퍼스컴본체(2)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퍼스컴본체(2)의 좌우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면 좋은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제1힌지장치(21)에 의한 수지제 마찰체(24)의 마찰지지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1힌지장치(21)의 라이프를 2배이상으로 할 수도 있고, 힌지장치(21)의 경량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제2힌지장치(22)는 토션코일스프링(73)을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힌지장치(21)와 비교하여 극히 간단한 구조이며, 종래품의 힌지장치의 절반이하의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안정성을 위해 한쌍힌지장치를 윗커버(3)의 좌우 각각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들 힌지장치 전체의 간략 소형화가 도모되며, 또한 각 힌지장치를 저가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때문에, 제품의 신뢰감을 대폭 향상시키고, 저가이면서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조립된 개폐장치에 의하면, 윗커버(3)가 매우 가볍게 움직이고, 이전과 같이 윗커버(3)를 손으로 열때도 하측에 위치하는 퍼스컴본체(2)측이 함께 올라가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굳이 말하자면 한손으로도 가볍게 간단히 들어 올릴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서 간단히 정지되며,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취급조 작성이 향상되었다. 또 수지제 마찰체(24)를 이용한 제1힌지장치(21) 형식의 힌지장치를 복수조, 예를 들면 좌우로 각각 배치할 필요성은 없어지며,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또, 본 발명은 퍼스컴본체(2)측에 설치한 모터(81)(도 7에 도시)에 의해 윗커버(3)를 개폐하는 윗커버드라이브기구를 구축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윗커버(3)를 지지하는 힌지장치로서는 상술한 제1힌지장치(21)와 제2힌지장치(22)를 그대로 이용하여 윗커버(3)를 축지지하도록 해도 좋지만, 다음과 같이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쪽의 힌지장치에는 상술한 제2힌지장치(22)를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쪽의 제1힌지장치(21)에는 도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컴본체(2)에 부착고정하는 다리부로서의 축지지본체(710)와, 이 축지지본체(710)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는 축(720)을 설치한다. 상기 축(720)에는 윗커버(3)를 부착고정하는 지지프레임(780)을 고정한다. 윗커버(3)와 함께 회동하는 축체인 상기 축(720)에는 동력전달기구로서의 감속기어열을 통하여 퍼스컴본체(2)측에 설치한 모터(81)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힌지장치(21)의 축(720)의 노출축 부분에 워엄휠(82)을 부착고정하고, 이 워엄휠(82)에 상기 모터(81)의 출력축(81a)에 부착한 워엄기어(83)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 워엄휠(82)과 워엄기어(83)에 의해 구성되는 기어열은, 감속기구를 구성하고, 이 기어열에 의해 모터(81)의 회전수를 줄이고, 윗커버(3)가 열리고 닫힐때의 회동속도를 줄이고, 윗커버(3)를 회동하는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구동력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감속기어열에 의해 윗커버(3)를 회동위치에 지지하는 잠금기구를 구성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워엄휠(82)과 워엄기어(83)를 직접 맞물린 기어열이기 때문에 그 감속비율이 크다. 또, 상기 모터(81)의 출력축(81a)에 직접 워엄기어(83)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어열이 컴팩트화되고, 윗커버드라이브기구 및 그 주변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동력전달기구는, 구동부재로서의 모터(81)와 윗커버(3)에 설치된 축(720)에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하는 전달부재라면 좋다. 또, 전달부재로서, 예를 들면, 복수의 결합부재를 구비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결합부재로서는 상기 워엄 휠(82)과 워엄기어(83)의 기어열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윗커버(3)와 함께 회동하는 축체에 구동용 모터(81)의 출력축(81a)을 연결하는 기어열을 이용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평기어(84)를 이용한 평기어열(85)로 해도 좋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기어열에 우산기어등을 끼워 장착하면, 그 축 방향의 변경등의 배치가 적절하고 자유롭다. 또, 복수의 결합부재는 기어열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찰전동방식이나 벨트전동방식등의 전동방식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여 구동용 모터(81)의 회전구동력을 윗커버(3)에 전달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전동계에 드래그기구를 개재시키면 윗커버(3)에 이상한 외력이 가해져도 그 과승한 외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전동방식이나 벨트전동방식에서는 그 자체에서도 드래그기구를 구축하고 있다.
또, 전달부재는 모터(81)의 회전을 받아 가동하고, 모터(81)의 회전속도를 줄인 속도로 윗커버(3)에 설치한 축(720)을 회전시키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이것을 감속기구로서 채용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모터(81)나 기어열등의 윗커버드라이브기구는 통상 상기 제1힌지장치(21)와 함께 유닛화되고, 유닛기판(86)을 통하여 퍼스컴본체(2)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이 유닛은 퍼스컴본체(2)측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윗커버드라이브기구를 구축하는 경우는, 윗커버(3)의 회동선단부분에 설치된 잠금편(11)의 잠금해제보턴(13)을 이용하여 전원스위치의 조작보턴을 겸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 잠금해제보턴(13)을 해제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전원스위치를 입력하는 조작이 행해지도록 한다. 즉, 윗커버(3)를 열기 위해 잠금해제보턴(13)을 슬라이드하면, 전원스위치가 ON되고, 상술한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모터가 작동을 개시한다. 또, 동시에 퍼스컴의 기동을 개시하도록 한다.
또한, 잠금해제보턴(13)이 부주위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방지보턴을 별도로 설치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전원스위치는 예를 들면 마우스(10)에 설치하고, 동일하게 마우스(10)에 설치한 조작보턴(14)을,마우스(10)를 조작하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노트형 퍼스컴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노트형 퍼스컴을 사용하지 않을때, 윗커버(3)는 닫히고, 잠금편(11)은 계지부(12)에 계지한 잠금상태에 있다.
이 윗커버 드라이브기구를 조립한 형식의 노트형 퍼스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윗커버(3)의 전단 가장자리에 있는 잠금해제보턴(13)을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계지부(12)에 계지하고 있던 잠금편(11)을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윗커버(3)를 열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잠금해제보턴(13)은 전원스위치의 조작보턴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해제보턴(13)을 슬라이드시키는 동시에 퍼스컴의 전원스위치가 들어가고, 퍼스컴은 기동상태에 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모터(81)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윗커버(3)가 열리기 시작한다. 윗커버(3)가 열리기 시작하여 잠금해제보턴(13)을 해방하면, 잠금해제보턴(13)은 원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상기 모터(81)의 회전은 그 출력축(81a)으로부터 워엄기어(83) 및 워엄휠(82)을 통하여 감속되고, 증폭된 구동력이 제1힌지장치(21)의 축(720)에 전달되고, 축(720)과 함께 윗커버(3)를 회동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커버(3)는 열린다.
이 윗커버(3)를 회동하는 양은, 예를 들면, 윗커버(3)가 도 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열렸을때를 종단으로 하지만, 그 윗커버(3)의 회동종단위치는 미리 퍼스컴에 기억시킨 설정치에 의해 모터(81)의 회동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결정한다.또, 퍼스컴본체(2)의 배면 가장자리 부근에 윗커버(3)의 회동종단위치를 검출하는 리밋스위치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윗커버(3)의 회동종단위치를 검출하고, 모터(81)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양자의 방식을 병행시켜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노트형 퍼스컴의 사용을 종료하고, 윗커버(3)를 닫을 경우에는, 프로그램적으로 종료동작에 들어간다. 프로그램의 종료동작에 맞추어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모터(81)가 작동을 개시하고, 윗커버(3)를 자동적으로 닫는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컴본체(2)의 측면에 특별한 커버용 스위치보턴(88)을 설치하고, 프로그램 종료동작 후, 이 커버용 스위치보턴(88)을 조작하고, 이것에 의해 윗커버(3)의 닫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물론, 통상의 전원스위치(89)로 행해져도 좋다.
그리고, 윗커버(3)가 대략 완전히 닫히는 단계에서 잠금편(11)은 계지부(12)에 계지된다. 그 후, 노트형 퍼스컴을 다시 사용할때까지 윗커버(3)는 닫힌 상태로 잠금된다.
이상과 같이, 노트형 퍼스컴의 사용개시 또는 사용종료에 따라 윗커버(3)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윗커버드라이브기구는 윗커버(3)를 회동위치에 지지하는 잠금기구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윗커버(3)의 힌지등을 이용한 마찰수단으로 윗커버(3)를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힌지장치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더욱이 윗커버(3)를 개폐할때의 힘은 작아도 되므로, 그것의 개폐를 모터로 구동하는 경우라도 소형모터로 충분하다. 소형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것에 의해 액정화면부착의 윗커버(3)가 임의로 회전하고 정지할 정도의 힘을 얻을 수 있다. 윗커버(3)를 확실하게 임의의 각도로 정지하고 싶은 경우는 최종단의 기어를 워엄기어로 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었다. 또, 액정화면의 윗커버(3)를 개폐하는 전동회로를 어떻게 해서든 끼어 넣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도, 100~130°정도는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폐했을때 자동으로 소프트기동을 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소형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손으로 개폐하는 동작이 없게 되며, 더욱이, 일정한 스피드로 개폐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고급감이 나올 뿐만 아니라, 저항감은 모터의 토크와 감속기어비로 낼 수 있고, 각 기어의 강도 선정으로 개폐회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윗커버(3)가 열려 있고, 노트형 퍼스컴 내장 밧데리가 없어지며, 윗커버(3)를 개폐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는 충전하면 개폐할 수 있지만, 충전기가 없는 경우는 외측으로부터 최종단의 기어를 간단히 빼내는 기구나, 또는 기어를 드라이버등으로 돌리도록 해두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회전전달가능하게 결합한 결합부재로서의 기어끼리의 결합을 해제하는 결합해제수단으로서,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결합해제수단은, 모터(81)를, 모터(81)에 부착한 제2의 결합부재로서의 워엄기어(83)가, 윗커버(3)에 부착시킨 제1의 결합부재로서의 워엄휠(82)로 퇴행·접근하는 방향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퍼스컴본체(2)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워엄기어(83)를, 워엄휠(8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한다. 또, 모터(81)와 퍼스컴본체(2)와의 사이에, 워엄기어(83)를 모터(81)를 통하여 워엄휠(82)에 접근하는 방향의 상방향으로 가세하는 결합용 가세부재로서의 만곡형상의 판스프링(91)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또, 모터(81)의 상하위치를 조정함과 동시에, 워엄기어(83)를 워엄휠(82)로부터 결합해제한 위치에 유지시키는 스토퍼로서의 볼트(92)에 의해 모터(81)에 부착한 워엄기어(83)와 워엄휠(82)이 원활하게 맞물리도록 모터(81)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해 둔다.
그리고, 모터(81)가 회전할 수 없게 된 것과 같은 경우는, 볼트(92)를 체결시킴으로써, 모터(91)를, 판스프링(9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측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엄기어(83)가 모터(81)와 함께 하방측으로 이동하고, 워엄기어(83)와 워엄휠(82)과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워엄휠(82)의 회전저항이 적어지며, 윗커버(3)를 손으로 회동시켜서 닫을 수 있다.
또, 윗커버(3)에 예측하지 못한 외력이 작용하고, 그 힘이 워엄휠(82)로부터 워엄기어(83)에 걸린 것과 같은 경우에도, 워엄기어(83)로부터 모터(81)에 힘이 걸리면 모터(81)가 판스프링(9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 기어(82)(83)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고, 윗커버(3)를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양 기어(82)(83) 혹은 모터(8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81)는 볼트(92)를 체결함으로써 판스프링(9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측으로 가압하는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손으로 모터(81)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워엄기어(83)를 하방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액정을 구비한 윗커버(3)의 크기나 무게에 의해 기어비의 증폭력과 소형모터의 토크를 변경하는 것으로 어떠한 노트퍼스컴이라도 윗커버(3)를 임의의 각도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방식은 모바일 노트퍼스컴과 같은 화면이 작고 상자체가 작고 소형모터가 부착되는 스페이스가 없는 것에는 유효하다. 물론, A-4사이즈 노트퍼스컴형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손으로 개폐하는 동작이 필요없게 되며, 전동이고, 더욱이 일정한 스피드로 개폐가 행해지는 것에 의해 고급감이 나올 뿐만 아니라, 저항감은 모터의 토크와 감속기어비로 출력하고, 각 기어의 강도선정으로 개폐회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제품의 신뢰감을 대폭 향상시키고, 고급감을 갖게 한 것이다.
또한, 가세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션코일스프링(73)으로 구성하는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스프링, 공기스프링의 여러가지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션코일스프링(73)을 대신하여, 또 토션코일스프링(73)과 함께,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윗커버(3)를 가세하는 판스프링, 공기스프링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세수단의 가세력으로서의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을, 윗커버(3)가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수직으로 열린 위치에서 0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윗커버(3)의 자중에 의해 윗커버(3)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윗커버(3)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영역인 모멘트 상쇄영역을, 퍼스컴본체(2)에 대한 윗커버(3)의 각도가 0°가 되는 닫힘위치의 대략 수평위치로부터 대략 120°로 열린 위치까지의 윗커버(3)의 회동가능범위의 전체범위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멘트상쇄영역을, 퍼스컴본체(2)에 대한 윗커버(3)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예를 들면, 토션코일스프링(73)의 토션반발력을, 윗커버(3)가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수직이상, 열었을 때 0이 되도록 설정하고, 모멘트상쇄영역을 윗커버(3)의 대략 수평위치로부터 수직으로 열린 위치까지의 범위로 형성한다. 혹은 토션 코일스프링(73)의 토션 반발력을, 윗커버(3)가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대략 45°정도 열렸을 때 0이 되도록 설정하고, 모멘트 상쇄영역을 윗커버(3)의 대략 수평위치로부터 45°의 각도위치까지의 범위로 형성한다.
또, 토션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힌지장치의 경우에는, 이 형식의 힌지장치를 윗커버의 좌우로 밸런스가 좋게 배치하고, 그 중간위치에 윗커버드라이브기구의 동력전달기구를 연결하도록 구축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좌우밸런스가 좋고 윗커버의 개폐동작이 행해지고, 윗커버의 개폐가 안정되게 된다.
또, 윗커버(3)를 빨리 닫기 위한 신속닫힘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들면, 신속닫힘수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11(B),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81)의 출력축(81a)에 부착한 동력전달기어(830)와 윗커버(3)에 설치한 축(720)에 부착한 피전달기어(820)에 의해 구성되는 기어열의 기어끼리를, 클리어런스(860)를 가지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한다. 또, 토션코일스프링(73)의 상단부를 윗커버(3)에 지지부재(760)에 의해 지지한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를 클리어런스(77)를 가지고 토션코일스프링(73)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윗커버(3)가 퍼스컴본체(2)에 대하여 대략 120°열리고 전체 개방상태로부터 모터(81)를 작동시키면, 출력축(81a)의 회전에 수반되는 동력전달기어(830)의 회전에 의해 피전달기어(820)가 회전하고, 윗커버(3)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커버(3)가 수직의 상태를 통과하고 윗커버(3)의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가 윗커버(3)에 걸리기 시작하면, 도 11(A) 및 도 11(C)중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커버(3)는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의 클리어런스(77)분만큼, 동력전달기어(830)의 회전에 의하지 않고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윗커버(3)를 모터(81)에 의한 회전속도보다도 빠르게 닫을 수 있다. 더욱이, 도 11(B)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전달기어(820)과 동력전달기어(830)과의 사이에 형성된 클리어런스(860)에 의해, 피전달기어(820)는 동력전달기어(830)에 맞접하지 않고 동력전달기어(830)로부터 회전저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피전달기어(820)가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클리어런스(860)분만큼, 동력전달기어(830)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그 결과, 윗커버(3)를 동력전달기어(830)보다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고, 윗커버(3)를 더욱 빠르게 닫을 수 있다.
또한, 신속닫힘수단은, 상기와 같이 클리어런스(860)를 형성한 기어(830)(820)끼리의 결합과, 클리어런스(77)를 갖는 스프링지지부(761)에 의해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77)를 갖는 스프링지지부(761)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스프링지지부(761)과, 클리어런스(860)를 형성하는 기어(830)(820)끼리와의 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스프링지지부(761)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어(830)(820)끼리와의 결합에 즈음하여 형성되는 클리어런스(860)분만큼 윗커버(3)를 동력전달기어(830)보다도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고, 윗커버(3)를 더욱 빠르게 닫을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클리어런스(77)를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에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을 설치하지 않고, 토션코일스프링(73)의 하단부를 퍼스컴본체(2)에 지지부재(750)에 의해 지지한 본체스프링지지부(751)에 설치한다. 혹은,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와 본체스프링지지부(751)과의 양방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 및 본체스프링지지부(751)는, 토션 코일스프링(73)의 권선부(74)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돌설된 아암(740)(7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하도록 하면 좋다. 따라서, 윗커버스프링지지부(761) 또는 본체스프링지지부(751)에 의해 지지하는 스프링의 단부에는, 단부 및 단부근방을 포함한다.
또, 클리어런스(860)는, 모터(81)의 출력축(81a)과 동력전달기어(830)와의 결합부, 상술한 동력전달기어(830)와 피전달기어(820)가 맞물리는 결합부와, 피전달기어(820)와 윗커버(3)의 축(720)과의 결합부 내의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어를 세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결합부에 결합하는데 즈음하여 클리어런스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두면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회동기구를, 노트퍼스컴에 실시하고 있지만, 노트퍼스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것으로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밥솥에 있어서의 전기 밥솥본체와 뚜껑체에 적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전기밥솥(100)의 피회동부재로서의 전기밥솥본체(101)와 회동부재로서의 뚜껑체(102)는, 뚜껑체(102)에 고정된 회동축(103)을 통하여 회동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회동축(103)에는 가세수단으로서의 토션코일스프링(120)이 구비되어 있다.
전기밥솥본체(101)에는, 출력축(81a)을 갖는 모터(81)가 부착되어 있다. 또, 모터(81)의 출력축(81a)과 회동축(103)에는 동력전달기구로서의 복수의 기어(111)…(115)로 된 기어열(110)이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이들 기어열(110)은 감속기구를 구성하도록 배열됨으로써, 모터(81)의 출력축(81a)의 회전속도를 감한 속도로 회전축(103)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닫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모터(81)가 정회전을 개시하고, 기어열(110)을 통하여 회동축(103)을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기밥솥본체(101)에 대하여 뚜껑체(102)가 회동하고, 뚜껑체(102)를 열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뚜껑체(102)의 자중에 의해 뚜껑체(102)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저항하여 토션코일스프링(120)의 가세력이 뚜껑체(102)에 걸려 있음과 동시에, 감속기구를 구성하는 기어열(110)에 의해 모터(81)의 동력을, 회전속도를 감하여 큰 회전토크로 회전축(103)에 걸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뚜껑체(102)를 열 수 있다. 따라서, 모터(81)를 출력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전기밥솥(100)에 조립하기 쉽고, 더욱이,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81)가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하면, 모터(81)가 정지하고, 뚜껑체(102)의 회동이 정지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정지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모터(81)가 정지하고, 뚜껑체(102)를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때, 예를 들면 뚜껑체(102)를 닫힘상태에서 근소하게 회동한 위치에서, 정지스위치를 조작한 것과 같은 경우, 뚜껑체(102)의 회동축(103)은 회동축(103)으로부터 큰 힘을 가하여 기어열(110)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뚜껑체(102)는 기어열(110)에 의해 큰 회전저항을 받은 상태가 된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토션코일스프링의 가세력이 뚜껑체(102)에 걸려 있다. 따라서, 뚜껑체(102)를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시켜도, 뚜껑체(102)가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제멋대로 닫혀 버리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뚜껑체(102)를 닫을 경우는, 도시하지 않은 닫힘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모터(81)가 역회전을 개시하고, 이것에 의해 뚜껑체(102)를 닫은 닫힘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이, 본 발명의 회동기구를 갖는 전기밥솥의 설명이다.
또, 본 발명의 회동기구는, 전기포트등의 각종 전기기구에 있어서의 본체와 뚜껑체, 변기에 있어서의 본체와 뚜껑체, 혹은 본체와 좌변기, 접이가능한 침대에 있어서의 헤드본체와 접이부, 벽 등의 피부착부재에 접이가능하게 부착한 선반에있어서의 피부착부재와 책장, 혹은 벽등의 피부착부재에 접이 가능하게 부착한 의자에 있어서의 피부착부재와 의자, 또한, 복사기에 있어서의 복사기 본체와 뚜껑체등, 피회동부재에 회동자유롭게 부착한 회동부재에 적응할 수 있다.
또, 드라이브기구는, 구동부재로서의 모터(81)와, 모터(81)와의 윗커버(3)에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된 전달부재를 구비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달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구동부재만을 구비한 것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윗커버(3)에 구동부재와 동력전달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접속부를 설치하고, 이 구동부재를 윗커버(3)의 접속부에 접속시켜 윗커버(3)를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상, 이 실시형태의 발명은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즉, 가세수단은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스프링은 토션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는 각각 스프링의 단부를 지지한 스프링지지부를 구비하고, 이들 스프링지지부의 적어도 한 개는, 유동을 갖게 하여 스프링을 지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속기구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결합부재를,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한 속도로 모터의 동력을 회동부재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력전달기구는 모터와 결합부재와의 사이, 결합부재끼리의 사이, 및 결합부재와 회동부재와의 사이의 적어도 한 개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결합해제수단을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해제수단은, 복수의 결합부재에 있어서의 서로 결합하는 제1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와의 어느 한쪽이,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와의 어느 다른 쪽에 대하여, 적어도 결합가능한 위치로부터 결합불능상태가 되는 결합불능위치까지의 범위를 이동가능하게 되고, 그 이동에 의해,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가 결합·결합해제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해제수단을 설치하여 두는 것에 의해, 모터의 동작정지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저항을 감소시킨 상태로 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할 수 있다. 또,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에 불예측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결합이 해제되어 회동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 혹은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기구는,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와의 어느 한쪽을, 결합가능위치로부터 결합가능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결합용 가세부재를 구비하고, 이 결합용 가세부재에 의해,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가 결합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가 결합해제한 경우, 결합용 가세부재의 가세력에 의해,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를 결합상태로 자연스럽게 복귀시킬 수 있다.
회동기구는, 제1의 결합부재와 제2의 결합부재와의 어느 한쪽을, 결합불능위치로 유지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결합부재는, 워엄과, 이 워엄에 맞물리는 워엄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복수의 평기어를 갖는 평기어열을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와 결합부재와의 사이, 결합부재끼리의 사이, 및 결합부재와 회동부재와의 사이의 적어도 한 개의 사이가, 유동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회동부재는, 전기기기에 설치된 전기기기 본체이며, 회동부재는, 전기기기본체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뚜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회동부재는, 휴대형 정보기기에 설치된 휴대형 정보기기본체이며, 회동부재는, 휴대형정보기기본체에 개폐자유롭게 부착된 윗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항부여수단은,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축과,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어 마찰체를 구비하고,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축은 마찰체에 맞접하여 마찰체에 대하여 회동하고, 마찰체에 대한 축의 회동에 즈음하여 마찰체는 축에 마찰저항을 부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은,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마찰체는 축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축받이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저항부여수단에는 축받이구멍에 수용한 축의 외주면과 축받이구멍의 내면을 가압시키도록 가세하는 가압용 가세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받이구멍의 내면에는, 그리스를 넣기 위한 그리스 저류홈이 구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정보처리기기본체에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축지지한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토션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윗커버측에 부착하고, 토션코일스프링의 타단을 정보처리기기본체측에 부착하고,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에 의해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은 윗커버를 여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력을 윗커버에 부여하는 윗커버를 지지하는 힌지장치와, 감속기어열을 통하여 상기 정보처리기기본체에 조립된 모터의 동력을 상기 윗커버에 전달하고, 상기 윗커버를 개폐하는 윗커버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 개폐장치이다.
또, 제1힌지장치와 제2힌지장치에 의해 정보처리기기본체측에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축지지하고, 상기 제1힌지장치는 수지제 마찰체에 형성한 테이퍼상의 내면을 갖는 축받이구멍에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갖는 축을 압입하고, 테이퍼상의 내면과 테이퍼상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으로 회전할때 저항을 갖게 하여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축지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2힌지장치는 토션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토션코일스프링의 일단을 윗커버측에 부착하고, 토션코일스프링의 타단을 정보처리기기본체측에 부착하고,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에 의해 윗커버를 개폐자유롭게 축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토션코일스프링은 윗커버를 여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력을 윗커버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 개폐장치이다.
또, 수지제 마찰체는 축받이구멍의 내면에, 그리스를 넣기 위한 그리스저류홈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휴대형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개폐장치는 동력전달기구를 통하여 상기 정보처리기기본체에 조립된 모터의 동력을 상기 윗커버에 전달하고, 상기 윗커버를 개폐하는 윗커버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의 개폐조작이 가볍고, 또한 윗커버의 개폐조작력이 안정되고, 윗커버를 매끄럽게 개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을 이용한 힌지장치에 의한 마찰지지력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고, 정보처리기기의 윗커버의 개폐조작력을 작고, 가능한 한 일정하게 하는 것에 의해 윗커버를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다. 더욱이 커버를 손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고, 소형모터등을 이용하여 윗커버를 개폐하는 것으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윗커버를 지지하는 윗커버개폐장치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감소되는 영역을,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기 때문에,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부재의 중량이 큰 경우에도 작은 힘으로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기구에 의해 회동부재에 작은 동력이 전달되면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때문에, 예를 들면 드라이브기구로서,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모터의 부착이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의 경량화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감속기구를 갖는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모터의 동력을, 속도를 늦추어 큰 회전토크로 회동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의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행할 수 있다. 또, 보다 작은 출력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고, 더 한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모터가 작동을 정지하고 있는 사이, 회동부재는 감속기구를 갖는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큰 회전저항을 받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를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시켜도, 그 정지위치에서 확실하게 회동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 회동부재가 자중에 의한 회전모멘트에 의해 제멋대로 넘어지는 것과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가세수단에 의해,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항부여수단에 의해 걸리는 회동부재의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의 저항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재를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회동조작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드라이브기구에 의해 회동부재를 손으로 회동조작시키지 않아도 되고, 사용편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회동자유롭게 부착하고, 회동부재를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로서,
    상기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가세수단과, 동력을 이용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서 줄어드는 영역을,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기구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회동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모터의 동력을,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한 속도로 회동부재에 전달하는 감속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3.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회동자유롭게 부착하고,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대하여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로서,
    상기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수단과,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세수단은,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에 즈음하여, 회동부재의 자중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가 가세수단의 가세력에 의해 회동부재에 걸리는 회전모멘트에 의해서 줄어드는 영역을, 피회동부재에 대한 회동부재의 회동가능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를 피회동부재에 대하여 가세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구는 회동부재에 동력을 부여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드라이브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회동부재와 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KR10-2003-0004563A 2002-01-25 2003-01-23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KR20030064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6630 2002-01-25
JP2002056630 2002-01-25
JPJP-P-2002-00099233 2002-04-01
JP2002099233 2002-04-01
JPJP-P-2002-00329996 2002-11-13
JP2002329996A JP2004003594A (ja) 2002-01-25 2002-11-13 回動部材と被回動部材との回動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317A true KR20030064317A (ko) 2003-07-31

Family

ID=2761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63A KR20030064317A (ko) 2002-01-25 2003-01-23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40457A1 (ko)
JP (1) JP2004003594A (ko)
KR (1) KR20030064317A (ko)
CN (1) CN1434223A (ko)
TW (1) TW2003024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7766A1 (zh) * 2014-02-28 2015-09-03 创乐电子实业(惠州)有限公司 自动翻转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201A (ja) * 2003-09-12 2005-04-21 Makoto Kid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上扉開閉式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TWM251049U (en) * 2004-02-20 2004-11-21 Benq Corp Cover and hinge thereof
JP4774694B2 (ja) * 2004-07-06 2011-09-14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US20060165389A1 (en) * 2005-01-25 2006-07-27 Dongyang Electronics Co., Ltd. DVD player
US7513011B2 (en) * 2005-12-29 2009-04-07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multiple torsion springs
KR100769518B1 (ko) * 2006-01-26 2007-10-3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플랜지형 디스크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장치
CN100582506C (zh) * 2006-04-28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转动机构
CN101105981B (zh) * 2006-07-14 2010-08-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壳体
TWI331501B (en) * 2006-12-06 2010-10-01 Teco Image Sys Co Ltd Mechanism for supporting
JP2008253595A (ja) * 2007-04-06 2008-10-23 Aloka Co Ltd 超音波診断装置
EP2277451A1 (en) 2007-04-06 2011-01-26 Aloka Co., Lt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CN101408220B (zh) * 2007-10-09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转动制动结构及组件
CN101737412A (zh) * 2008-11-25 2010-06-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装置
CN102022423B (zh) * 2009-09-11 2013-04-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1589276B1 (ko) * 2009-10-12 2016-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TWI475948B (zh) * 2012-07-09 2015-03-01 Acer Inc 折疊式電子設備
TWI502316B (zh) * 2012-09-13 2015-10-01 Acer Inc 電子裝置
CN103838562B (zh) * 2012-11-27 2019-03-0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JP6349901B2 (ja) * 2014-04-15 2018-07-04 富士通株式会社 チルト可能筺体を備える機器の転倒防止装置
US9823638B2 (en) * 2015-08-13 2017-11-21 Apple Inc. Variable resistance electronic device brake clutch
CN105739625A (zh) * 2016-02-01 2016-07-06 孝感市科莱达商贸有限公司 一种抗震的感应式计算机装置
CN105739626A (zh) * 2016-02-01 2016-07-06 孝感市科莱达商贸有限公司 一种节能型计算机装置
CN105465166A (zh) * 2016-02-01 2016-04-06 孝感市科莱达商贸有限公司 一种调速式计算机组件
CN105739624A (zh) * 2016-02-01 2016-07-06 孝感市科莱达商贸有限公司 一种可调的笔记本式计算机装置
TWI649020B (zh) * 2017-09-15 2019-01-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支撐結構
CN108652485A (zh) * 2018-06-01 2018-10-16 刘锋 一种投料盒及具有其的面包机
CN108468707B (zh) * 2018-06-29 2021-04-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转轴装置和电子设备
JP7249228B2 (ja) * 2019-07-18 2023-03-30 株式会社マキタ 電動作業機
JP2021028510A (ja) * 2019-08-09 2021-02-25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CN110789459B (zh) * 2019-11-28 2023-07-07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后排大扶手储物盒盖解锁组件的安装结构
US11304328B2 (en) * 2020-01-16 2022-04-12 Seagate Technology Llc Data storage retain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220357776A1 (en) * 2021-05-10 2022-11-1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otorized hinge dual clutch
TWI796171B (zh) * 2022-03-18 2023-03-11 英業達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樞軸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6920A (en) * 1975-05-23 1977-04-12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Flexible guiding track and release mechanism for an overhead rolling door assembly
KR920004386B1 (ko) * 1989-10-16 1992-06-04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랩톱컴퓨터의 액정표시겸 키보드커버 개폐 및 각도조정장치
US5847685A (en) * 1992-08-19 1998-12-08 Alpine Electronics, Inc. Vehicle-mounted display mechanism
US5465862A (en) * 1994-08-25 1995-11-14 Dabico, Inc. Aircraft servicing pit lid with lift control
US5754395A (en) * 1995-08-29 1998-05-19 Acer Advanced Labs, Inc. Ergonomic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er which is moveable between two positions
US6129270A (en) * 1995-09-19 2000-10-10 Piazza; Attilio Scanner for checks, or similar financial documents,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for housing a keyboard
JPH09196048A (ja) * 1996-01-18 1997-07-2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US6002217A (en) * 1997-08-19 1999-12-14 Dorma Door Controls, Inc. Door operating system
US6102355A (en) * 1998-03-27 2000-08-15 Rood; Richard K. Motion imparting support for CRT monitors and similar devices
US6053589A (en) * 1998-09-10 2000-04-25 Inventec Corp. Automatic inclination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DE19964436B4 (de) * 1999-01-14 2005-12-29 Dorma Gmbh + Co. Kg Drehtürantri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7766A1 (zh) * 2014-02-28 2015-09-03 创乐电子实业(惠州)有限公司 自动翻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0457A1 (en) 2003-07-31
JP2004003594A (ja) 2004-01-08
TW200302412A (en) 2003-08-01
CN1434223A (zh)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4317A (ko) 회동부재와 피회동부재와의 회동기구
US7512376B2 (en) Automatic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automatic original cover closer
EP1524394B1 (en) Hinge assembly and housing
WO2006035757A1 (ja) ヒンジ装置及びそのヒンジ装置を使用した開閉機構
CN201496396U (zh) 枢纽器
CN112577253A (zh) 旋转门用铰链装置
CN111503981A (zh) 一种冰箱自动开关门装置及冰箱
US11507145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924778A (zh) 一种冰箱
JP2007197991A (ja) 電気錠に於けるデッドボルト駆動機構
JP3402417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CN109750927A (zh) 一种自动推出上翻复位机构及其工作方法
CN212773991U (zh) 一种便捷式门锁结构
CN112344163A (zh) 屏幕翻转装置及其应用的自助设备
JP4512416B2 (ja) 開閉部材の自動開閉装置
KR200421868Y1 (ko) 작동복귀도어용 댐퍼힌지장치
JP3133271B2 (ja) 収納装置
CN210928253U (zh) 一种掀盖电器铰接结构
CN216741143U (zh) 烤箱的门铰链装置及烤箱
CN215169117U (zh) 一种轴传动自动控制门
CN216199795U (zh) 便于输出和释放干涉力的枢轴结构
CN210460275U (zh) 一种用拉手控制天地插销的中控锁
CN209817707U (zh) 一种自动翻转装置
CN218375870U (zh) 一种电子锁
CN116074425A (zh) 用于车辆的手机支架组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