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457A -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 Google Patents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457A
KR20030060457A KR1020020001171A KR20020001171A KR20030060457A KR 20030060457 A KR20030060457 A KR 20030060457A KR 1020020001171 A KR1020020001171 A KR 1020020001171A KR 20020001171 A KR20020001171 A KR 20020001171A KR 20030060457 A KR20030060457 A KR 20030060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molokia
flour
dumplings
wheat f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진
Original Assignee
박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진 filed Critical 박주진
Priority to KR102002000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457A/ko
Publication of KR2003006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Landscapes

  • Noodles (AREA)

Abstract

몰로키아(MOLOKIA, CORCHORUS OLITORIUS L.)는 이집트가 원산지인 피나무과 식물로 어린잎을 수확하여 식용으로 사용하는 녹황색의 야채로서 장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함으로서 고혈압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A, B1, B2, C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POLYPHENL)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노화를 촉진하고 암을 일으키는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 산화작용을 하는 야채로 알려져 있어 몰로이카만으로 차나 건강식품으로 제조하고는 있으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물에 부 재료 또는 원 재료로 사용되고 있지 못하여 그 사용 효용성이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진 몰로키아를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밀가루 음식의 재료로 사용하여 그 사용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A MAKING METHODS OF THE FOODSTUFF USING THE WHEAT FLOUR AND THE MOLOKIA AND THE FOODSTUFF USING THE WHEAT FLOUR AND THE MOLOKIA THEREOF}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국수와 같은 밀가루 음식을 제조함에 있어서 주 원료로 사용하는 밀가루에 몰로키아를 첨가하여 국수, 만두피와 같은 밀가루 음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와 같은 음식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수와 같은 밀가루 음식물은 밀가루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제조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밀가루 음식물은 영양, 기호등을 감안하여 밀가루에 여러 종류의 첨가물을 투여하여 여러 종류의 밀가루 음식물을 제조하고 있다.
한편 몰로키아(MOLOKIA, CORCHORUS OLITORIUS L.)는 이집트가 원산지인 피나무과 식물로 어린잎을 수확하여 식용으로 사용하는 녹황색의 야채로서 장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함으로서 고혈압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A, B1, B2, C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POLYPHENL)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노화를 촉진하고 암을 일으키는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 산화작용을 하는 야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몰로키아의 생리기능적 효과가 알려지면서 몰로키아를 건조하여 차로 제조하거나 몰로키아에서 엑기스를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각종 건강식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리기능적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이 몰로키아만을 이용하여 차나 각종 건강식품만 제조하여 판매하여 오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그 이용도가 낮은 문제점과 그 가격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인은 이러한 생리기능적 특성을 가진 몰로키아를 식품의 원재료 또는 부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오다가 금번에 밀가루 음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밀가루와 함께 몰로키아를 사용하여 밀가루 음식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완성하기까지 수 많은 시행 착오를 거듭하였는데 이는 밀가루와 몰로키아 분말을 혼합하여 반죽등의 제조과정을 거치면서 제조한 국수가 쉽게 불어나고 또한 쉽게 끊어져서 젖가락을 사용하여 먹을 수 없다는 문제점과 만두피로 제조하였을때는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어 만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만두피가쉽게 훼손되어 만두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시행착오를 거듭한 결과, 밀가루와 몰로이카 분말을 혼합할때 활성 글루텐을 소량 첨가하여 반죽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국수 또는 만두피를 제조하였드니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밀가루에 몰로키아를 건조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얻은 몰로키아 분말을 혼합하면서 활성 글루텐을 소량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그 반죽을 이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밀가루 음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밀가루와 몰로이카 분말을 서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그 반죽을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국수사 쉽게 불거나 쉽게 국수가락이 끊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식품으로서 기능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반죽을 이용하여 만두피를 제조한 경우에는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훼손되어 만두의 형상을 가출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활성 글루텐을 첨가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때 상기한 활성 글루텐은 밀가루와 몰로이카 분말 20㎏당 100g부터 1㎏사이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이때 상기한 활성 글루텐의 첨가량을 100g이하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인 국수가 쉽게 불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그대로 나타났고, 또한1㎏이상을 첨가하는 것은 별다른 문제점은 없었으나 활성 글루텐이 고가인 점을 감안하면 그 이상으로 첨가하는 것은 매우 비 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국수 및 만두피를 제조하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밀가루 9㎏과 몰로이카 분말 1㎏을 혼합한 다음 활성 글루텐 300g을 투여하면서 반죽을 한 다음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국수 제조기에 투여하여 국수로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한 국수의 색상은 연두색을 띄었다.
이러한 국수 가락을 삶은 다음, 상온의 물에 투여한 다음 5분 경과한 후에 꺼내어 보았더니 국수 가락이 본래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고, 또한 젖가락으로 꺼내어 보았으나 국수 가락이 끊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2
밀가루 5㎏과 몰로이카 분말 5㎏을 혼합한 다음 활성 글루텐 250g을 투여하면서 반죽을 한 다음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국수 제조기에 투여하여 국수로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한 국수의 색상은 강한 연두색을 띄었다.
이러한 국수 가락을 삶은 다음, 상온의 물에 투여한 다음 5분 경과한 후에꺼내어 보았더니 국수 가락이 본래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고, 또한 젖가락으로 꺼내어 보았으나 국수 가락이 끊어지지 않았다.
실시예 3
밀가루 2.5㎏과 몰로이카 분말 7.5㎏을 혼합한 다음 활성 글루텐 200g을 투여하면서 반죽을 한 다음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국수 제조기에 투여하여 국수로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한 국수의 색상은 녹색을 띄었다.
이러한 국수 가락을 삶은 다음, 상온의 물에 투여한 다음 5분 경과한 후에 꺼내어 보았더니 국수 가락이 본래의 모습을 지니고 있었고, 또한 젖가락으로 꺼내어 보았으나 국수 가락이 끊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1
밀가루 9㎏과 몰로이카 분말 1㎏을 혼합한 다음 반죽을 한 다음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국수 제조기에 투여하여 국수로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한 국수의 색상은 연두색을 띄었다.
이러한 국수 가락을 삶은 다음, 상온의 물에 투여한 다음 5분 경과한 후에 꺼내어 보았더니 국수 가락이 불어 있었고, 또한 젖가락으로 꺼내어 보았드니 국수 가락이 쉽게 끊어져서 젖가락으로 꺼낼 수 없는 정도였다.
실시예 4
밀가루 9㎏과 몰로이카 분말 1㎏을 혼합한 다음 활성 글루텐 300g을 투여하면서 반죽을 한 다음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가지고 만두피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어 만두를 제조하였고, 또한 제조한 만두를 삶은 상태에서 꺼내어 다시 상온의 물에 투여한 다음 5분 경과한 후에 꺼내어 보았더니 만두피가 불어나지도 않았고, 또한 원래 제조된 만두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비교예 2
밀가루 9㎏과 몰로이카 분말 1㎏을 혼합한 다음 반죽하여 편평한 형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편평한 형상의 반죽을 가지고 만두피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만두피에 만두속을 넣어 만두를 제조하였으나 만두피가 쉽게 파손되었고, 어렵게 완성한 만두를 삶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풀어져서 원래의 만두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한 국수나 만두피의 맛은 통상의 국수나 만두피의 유사하였으나 몰로이카의 고유향이 약간 나타내었고, 몰로이카의 함유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몰로이카 고유향을 강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로이카를 주 재료로 사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몰로이카를 식품에 적용 가능하게 하여 그 사용 효용성을 극대화화하고, 이러한 이유로 몰로이카를 음식물의 한 종류인 식품으로 손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몰로이카를 손 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에 주 재료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몰로이카의 사용 효용성을 극대화면서도 몰로이카의 우수한 영양의 섭취, 성인병의 예방등의 생리기능적 영향을 인체에 미치게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밀가루를 이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에 몰로키아를 건조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얻은 몰로키아 분말을 혼합하면서 활성 글루텐을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그 반죽을 이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활성 글루텐은 밀가루와 몰로이카 분말 20㎏당 100g부터 1㎏사이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 제조방법.
  3. 밀가루를 이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물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에 몰로키아를 건조한 다음 이를 분쇄하여 얻은 몰로키아 분말을 혼합하면서 활성 글루텐을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그 반죽을 이용하여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물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
KR1020020001171A 2002-01-09 2002-01-09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KR20030060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71A KR20030060457A (ko) 2002-01-09 2002-01-09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171A KR20030060457A (ko) 2002-01-09 2002-01-09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457A true KR20030060457A (ko) 2003-07-16

Family

ID=3221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71A KR20030060457A (ko) 2002-01-09 2002-01-09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4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456A (ko) * 2002-01-09 2003-07-16 박주진 몰로키아를 부 재료로 사용한 두부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두부
KR100474936B1 (ko) * 2002-06-17 2005-03-08 박주진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냉면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한 음식
KR100561093B1 (ko) * 2003-12-16 2006-03-15 (주)엄지식품 만두피 또는 면용 반죽물의 제조 방법
KR101315334B1 (ko) * 2013-07-24 2013-10-07 주식회사 에스씨해미 몰로키아를 함유한 구이 김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379A (ko) * 1990-12-27 1992-07-24 이동균 메밀가락국수의 제조방법
KR970005124A (ko) * 1995-07-08 1997-02-19 한동근 식물엽을 주재로 한 유산발효 생균음료의 제조방법
KR19980019298A (ko) * 1998-03-04 1998-06-05 김영순 신규한 제면용 조성물(Novel composition of moodle)
KR20020003177A (ko) * 2001-09-27 2002-01-10 이도훈 생식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60456A (ko) * 2002-01-09 2003-07-16 박주진 몰로키아를 부 재료로 사용한 두부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두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379A (ko) * 1990-12-27 1992-07-24 이동균 메밀가락국수의 제조방법
KR970005124A (ko) * 1995-07-08 1997-02-19 한동근 식물엽을 주재로 한 유산발효 생균음료의 제조방법
KR19980019298A (ko) * 1998-03-04 1998-06-05 김영순 신규한 제면용 조성물(Novel composition of moodle)
KR20020003177A (ko) * 2001-09-27 2002-01-10 이도훈 생식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60456A (ko) * 2002-01-09 2003-07-16 박주진 몰로키아를 부 재료로 사용한 두부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두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개발 연구원, 2001년 12월 26일, p35, p71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456A (ko) * 2002-01-09 2003-07-16 박주진 몰로키아를 부 재료로 사용한 두부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두부
KR100474936B1 (ko) * 2002-06-17 2005-03-08 박주진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냉면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한 음식
KR100561093B1 (ko) * 2003-12-16 2006-03-15 (주)엄지식품 만두피 또는 면용 반죽물의 제조 방법
KR101315334B1 (ko) * 2013-07-24 2013-10-07 주식회사 에스씨해미 몰로키아를 함유한 구이 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035B1 (ko) 생약재를 이용한 한방 기능성 빵의 제조방법
CN103749603A (zh) 一种桑叶蛋糕预拌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30060457A (ko)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국수나 만두피와 같은 음식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음식
KR101331064B1 (ko) 천년초를 함유한 밀가루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76320A (zh) 一种无花果饼干制品及其制备工艺
KR20190066854A (ko) 냉면 제조방법
KR102112494B1 (ko) 모링가를 이용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과자
KR100746882B1 (ko) 지황이 함유된 면류 제조방법
KR20040000709A (ko) 쌀국수의 제조 방법
KR100474936B1 (ko) 몰로키아를 재료로 사용한 냉면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제조한 음식
JP5129671B2 (ja) サラシア属植物の葉の粉砕物を配合した麺類
KR20060135277A (ko) 몰로키아를 첨가한 면류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3876041A (zh) 多风味高营养熟化面条及加工方法
KR20010019728A (ko) 죽순죽엽냉면의 제조방법
KR20130130215A (ko) 보리순을 이용한 국수의 제조 방법
KR20130060695A (ko) 토마토 막국수의 제조방법
KR100772062B1 (ko) 백년초의 과즙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5155A (ko) 몰로키아를 이용한 즉석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1438214B1 (ko) 양파를 주재료로하여 이미 및 이취를 최소화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킨 양파 대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1000A (ko) 만두피용 반죽의 제조방법
KR100441797B1 (ko) 오가피 냉면 제조방법
KR100974121B1 (ko) 칼국수 및 수제비 반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3151840A (ja) 紅花含有ドウ製品の製造法
KR20050013826A (ko) 단호박을 이용한 찐빵의 제조방법
KR20000021197A (ko) 만두피용 반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