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124A - 한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124A
KR20030060124A KR1020020000653A KR20020000653A KR20030060124A KR 20030060124 A KR20030060124 A KR 20030060124A KR 1020020000653 A KR1020020000653 A KR 1020020000653A KR 20020000653 A KR20020000653 A KR 20020000653A KR 20030060124 A KR20030060124 A KR 20030060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chinese medicine
semi
medicine
f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원
Original Assignee
김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원 filed Critical 김준원
Priority to KR1020020000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124A/ko
Publication of KR2003006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1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한약재를 가열하여 즙상태로 가변한 뒤, 즙상태의 한약재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 교반한 혼합물로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 교반하여 젤리상태의 반고체한약으로 가변하며, 반고체한약을 1회복용분 또는 1회복용분을 정수배로 분할한 양으로 분리하여 이를 밀봉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한약은 반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밀봉 포장하기가 용이하고, 밀봉 포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복용한 사람의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인체의 위에 부담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한약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ERB REMEDY}
본 발명은 조제된 한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고체 상태의 조제된 한약을 제조함으로써 이를 복용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복용할 수 있고 복용후에 용이하게 인체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한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약은 동물, 식물, 광물 등 자연계의 다양한 무생물과 생물을 이용하여 한방 이론에 입각하여 사람의 체질, 병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처방, 조제하게 된다.
주로 한약은 다수의 한약재를 혼합하여 이를 짓누르거나 물과 함께 끓여서 추출한 것이며, 상기 한약재는 황금, 가시오가피, 두충, 왜당귀, 천궁, 황기, 작약, 백출, 복령, 숙지황, 계피, 감초, 갈근, 강활 등이 있다.
여기서 상기 황금(黃芩, Skullcap, 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상기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는 북반구 극동아시아에 많이 분포되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관목식물이며, 고서인 신농본초경에는 가시오가피는 " 불로장생의 약초" 로 표기되어 있고, 본초강목에는 "한 묶음의 오가피를 얻는 것이 한 마차의 황금을 얻는 것보다 낫다" 고 기술되어 있으며,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한줌의 가시오가피를 먹어 수를 더하고 늙지 않으니 실로 신선의 약이다" 라고 적혀있다.
상기 두충(Eucommia ulmoide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두충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중국의 특산식물이며,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보약·강장제로 쓰고, 대뇌를 튼튼하게 하며, 폐와 무릎앓이·음습증을 다스리며,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고혈압에 쓰고 차로도 복용한다.
상기 왜당귀(倭當歸, Ligusticum acutilobum) 또는 당귀(當歸)는 쌍떡잎식물로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진통 ·배농(排膿) ·지혈 ·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복통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하고 있다.
상기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은 중국 쓰촨성의 궁궁(芎芎)이라는 뜻으로서,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말이 있이며, 쌍떡잎식물로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하며, 방향성 식물로 사용되어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둔다.
상기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로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지의 바위틈에 자라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여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 등에 처방하게 된다.
상기 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은 쌍떡잎식물로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고, 뿌리를 진통·복통·월경통·무월경·토혈·빈혈·타박상 등의 약재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백출(白朮)은 삽주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며, 소화관 및 피하조직에서 일어나는 수분대사(水分代謝)의 부전(不全)에 대하여 이뇨(利尿) ·발한(發汗) 작용을 하며, 동통 ·위장염 ·부종에 효험이 있고, 민간에서는 혈압강하제로도 쓰인다.
상기 복령(Poria cocos)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땅속에서 소나무 등의 나무뿌리에 기생하며, 한방에서는 강장·이뇨·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방광염·요도염에 이용한다.
상기 숙지황(熟地黃)은 지황(地黃)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으로서,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를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숙지황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상기 계피(桂皮)는 계수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桂枝]이며,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급성열병·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상기 갈근(葛根)은 칡뿌리의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서 소금물 또는 백반수에 담갔다가 말린 것으로 겉은 회백색의 섬유성이고 맛이 좀 쓰며, 한방에서는 발한 ·해열 ·완하제(緩下劑)로서 고열 ·두통 ·고혈압 ·심부전 ·설사 ·어깨가 결릴 때 등에 처방하게 된다.
상기 강활(羌活)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2년 - 3년의 뿌리이며, 한방에서는 발한, 해열, 진통제로서 감기, 부종 등에 쓰인다.
이와 같은 한약재는 각각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한약사가 다수개 혼합하여 한약으로 조제하게 되는 바, 종래의 한약은 통사 물과 혼합한 뒤, 이를 다려서 추출된 추출물을 복용하게 된다.
즉 종래의 한약은 액체 상태로 다려진 추출물을 밀봉 포장한 것 또는 다수의 한약재를 짓눌러서 환형상으로 만든 뒤에 이를 건조한 것으로 만들어서 이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액체 상태의 추출물인 한약은 복용한 뒤에 인체에 흡수되는 능력이 뛰어나지만, 반드시 포장지에 밀봉 포장해야지만 보관하기 쉽기 때문에 포장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지하고 다니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고체의 환형상태의 한약은 보관하거나 소지하고 다니면서 복용하기가 쉽지만, 한약재가 딱딱하게 굳어진 상태이므로 한약을 복용한 뒤, 굳어진 상태를 해제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체의 위의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고체 상태의 조제된 한약을 제조함으로써, 한약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을 소지하고 다니기가 간편하고, 이를 복용한 사람의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는 한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한약재로 한약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한약재를 가열하여 즙상태로 가변한 뒤, 즙상태의 한약재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 교반한 혼합물로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 교반하여 젤리상태의 반고체한약으로 가변하며, 반고체한약을 1회복용분 또는 1회복용분을 정수배로 분할한 양으로 분리하여 이를 밀봉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한약재를 중탕하거나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끓여서 반고체 상태의 한약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한약재로 조제된 것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즙상태의 한약재로 만든 뒤, 이 한약재에 꿀, 밀가루, 쌀가루를 혼합하여 젤리상태의 반고체 상태로 만들어서 소지하거나 복용하기 쉽도록 밀봉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한약재를 가열하여 즙상태로 만들고, 즙상태의 한약재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 교반한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 교반하여 젤리상태의 반고체한약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고체한약을 1회복용분 또는 1회복용분을 정수배로 분할한 양으로 분리하여 이를 밀봉 포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즙상태의 한약재를 여과포 등으로 감싸서 압착하여 한약 추출물을 분리하거나, 초기에 한약재를 가열할 때에 물과 함께 끓인 한약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즙상태의 한약재와 한약 추출물 중의 어느 하나에 상기 꿀 25중량% - 35중량%를 첨가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5중량% - 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꿀을 25중량%보다 작게 첨가되면 반고체 상태의 한약재를 가변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꿀의 고유 성질인 방부제의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없게 되어 최종적인 제품의 보존 기간이 짧아지게 되며, 꿀을 35중량%보다 많이 첨가되면 한약 추출물의 양이 작아서 한약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쌀가루와 밀가루 전체의 함량이나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의 함량이 5중량%보다 작을 때에는 한약재 또는 이의 추출물을 반고체 상태로 만들기 어렵게 되며, 15중량%보다 클 때에는 반죽되지 않게 되는 가루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 성분이 상대적으로 작게 함유되어 이를 복용하는 사람들을 부담을 초래하고 밀가루 성분이 사람의 체질에 따라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을 첨가할 수 없는 것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으로 경옥고를 제조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경옥고는 동의보감에 기재되어 있듯이 정과 수를 채워주고 진기를 고르게 하며, 원기를 보하여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고, 모든 허손증을 보하며 온갖 병을 낫게 하며, 정신이 좋아지고 오장이 충실해지고, 흰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오며, 걸음걸이가 뛰는 말과 같이 빨라지게 하는 것이다.
우선 짓눌러서 즙을 낸 생지황 9600g, 가루 형상의 인삼 960g, 가루 형상의 백복령 1920g, 졸여서 찌꺼기를 버린 꿀 6000g를 혼합 교반하여 도자기 항아리에 넣고, 종이로 항아리를 밀봉한 뒤, 항아리가 잠기지 않도록 물을 넣은 솥에 놓아두고, 3일 - 4일동안 솥을 가열한다.
물론 솥에 물이 줄게 되면 계속해서 뜨거운 물을 솥에 넣게 되며, 3일 - 4일동안 중탕 가열한 항아리를 솥으로부터 꺼내서 다시 밀봉한 뒤, 냉수에 24시간동안 냉각하고, 이미 꿀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최대한 작은 양의 꿀인 4620g의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중탕한 한약재이므로 밀가루 924g을 혼합하여 이들을 교반하고, 상기 솥에 다시 담궈서 24시간동안 가열한다.
그리고 한약의 상태가 젤리와 같은 반고체 상태인지를 확인한 뒤, 솥으로부터 한약을 꺼내서 1회복용분씩 분리하고, 분리된 한약을 각각 밀봉 포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약을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서는 서늘한 곳에 놓아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봉 포장된 상태이므로 복용자가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다수의 한약재로 조제된 한약을 반고체 상태로 제조하여 이를 밀봉 포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한약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한약은 반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밀봉 포장하기가 용이하고, 밀봉 포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소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복용한 사람의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인체의 위에 부담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다수의 한약재로 한약을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한약재를 가열하여 즙상태로 가변한 뒤, 즙상태의 한약재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 교반한 혼합물로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가열 교반하여 젤리상태의 반고체한약으로 가변하며, 반고체한약을 1회복용분 또는 1회복용분을 정수배로 분할한 양으로 분리하여 이를 밀봉 포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약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즙상태의 한약재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한 뒤, 추출물에 꿀을 혼합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약의 제조방법.
  3.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즙상태의 한약재와 추출물 중의 하나에 상기 꿀 25중량% - 35중량%를 첨가함과 더불어 쌀가루와 밀가루 중의 하나 이상을 5중량% - 15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의 제조방법.
KR1020020000653A 2002-01-07 2002-01-07 한약의 제조방법 KR20030060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653A KR20030060124A (ko) 2002-01-07 2002-01-07 한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653A KR20030060124A (ko) 2002-01-07 2002-01-07 한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124A true KR20030060124A (ko) 2003-07-16

Family

ID=3221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653A KR20030060124A (ko) 2002-01-07 2002-01-07 한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124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158A (ja) * 1982-09-29 1984-04-04 Kinichi Hayashi 薬草シロツプの製造方法
JPH0543474A (ja) * 1991-06-05 1993-02-23 Tsumura & Co 易服用性漢方製剤組成物
KR950016551A (ko) * 1993-12-10 1995-07-20 최유풍 생약잼의 제조방법
KR100286390B1 (ko) * 1998-01-12 2001-04-16 대한민국 양갱형 경옥고 제조방법 및 그 경옥고
KR20010070386A (ko) * 2000-01-11 2001-07-25 이양희 당귀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0142A (ko) * 2000-09-08 2002-03-14 윤기평 복용간편한 한약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2714A (ko) * 2001-08-04 2003-02-12 양상철 성장촉진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48767A (ko) * 2001-12-13 2003-06-25 이동현 홍삼젤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9158A (ja) * 1982-09-29 1984-04-04 Kinichi Hayashi 薬草シロツプの製造方法
JPH0543474A (ja) * 1991-06-05 1993-02-23 Tsumura & Co 易服用性漢方製剤組成物
KR950016551A (ko) * 1993-12-10 1995-07-20 최유풍 생약잼의 제조방법
KR100286390B1 (ko) * 1998-01-12 2001-04-16 대한민국 양갱형 경옥고 제조방법 및 그 경옥고
KR20010070386A (ko) * 2000-01-11 2001-07-25 이양희 당귀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0142A (ko) * 2000-09-08 2002-03-14 윤기평 복용간편한 한약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2714A (ko) * 2001-08-04 2003-02-12 양상철 성장촉진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48767A (ko) * 2001-12-13 2003-06-25 이동현 홍삼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9936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0939906B1 (ko) 한방 추출액을 이용한 어류 양식용 사료첨가제
KR100731160B1 (ko) 골절 회복을 촉진하는 생약재 조성물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5733900A (zh) 一种铁皮石斛酒及其制备方法
KR20030012359A (ko) 항산화 효과와 장내유용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갖는 기능성 조성물
CN104825612A (zh) 一种治疗胃炎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26022A (zh) 一种用于治疗乳腺增生的中药
CN106474437A (zh) 一种清肝明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oster et al. Herbal emissaries: bringing Chinese herbs to the West: a guide to gardening, herbal wisdom, and well-being
KR100913072B1 (ko) 생약재 조성물을 티백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KR20150015206A (ko) 생리 통증 완화용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30060124A (ko) 한약의 제조방법
KR100579315B1 (ko) 말 고기 및 뼈를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CN109528984A (zh) 一种通过涂抹乳房治疗乳腺疾病的膏霜配方及制备方法
CN104352705A (zh) 治疗乳腺小叶增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823330A (zh) 一种红骨羊骨补肾药酒及其制备方法
KR20090074475A (ko) 한방생약 관절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815453A (zh) 一种美白养颜豆浆粉
CN101530592A (zh) 一种治疗糖尿病性胃轻瘫的中药
CN105106602A (zh) 一种用于治疗牙周炎的药物制剂
CN105106781A (zh) 一种治疗口臭的中药
CN111803612A (zh) 一种增强血液循环的中药组合物及中药制剂
CN105106822A (zh) 一种用于治疗胃病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