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431A -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431A
KR20030057431A KR1020020084926A KR20020084926A KR20030057431A KR 20030057431 A KR20030057431 A KR 20030057431A KR 1020020084926 A KR1020020084926 A KR 1020020084926A KR 20020084926 A KR20020084926 A KR 20020084926A KR 20030057431 A KR20030057431 A KR 20030057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nel
locking
locking member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922B1 (ko
Inventor
우시로유타카
마사키가스유키
하마다유스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패널설치시에, 계지부재의 탄성계지편이 과도하게 굴곡되어도 파손되지 않는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내부에 관통구멍을 갖고 그 관통구멍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된 절연성하우징본체(11)와, 이 하우징본체(11)의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및/또는 상하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13)와, 이 플랜지(11)의 후면 양측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한쌍의 계지부재(30a, 30b)를 구비한다. 각 계지부재(30a, 30b)는, 플랜지(13)에 고정된 지주와, 이 지주의 두부로부터 거의 역 V자 형상으로 되접어 굴절된 가요성을 갖는 탄성계지편으로 이루어지며, 그 탄성계지편은, 그 선단부에 패널의 설치구멍 주위 가장자리와 걸어고정되는 계지단차부와, 이 계지단차부의 선단에 그 선단이 그 지주에 맞접되어 탄성계지편의 과도한 굴곡을 제한하는 설편을 갖는다.

Description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CONNECTOR HAVING LOCK-HOLDIG MEMBER FOR MOUNTING ON PANEL,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CONNECTOR ON PANEL, AND METHOD FOR COUPLING THE SAME CONNECTOR TO ANOTHOR CONNECTOR}
본 발명은,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특히 계지부재의 개량에 관계하며, 그 개량한 계지부재를 갖는 커넥터와 그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이 설치방법에 의해 설치된 패널부착 커넥터를 다른 패널에 고정된 커넥터로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자기기에서는, 그 기기를 구성하는 전자회로가 프린트패널 등에 탑재됨과 동시에 복수의 유닛으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의 유닛이 패널설치용 커넥터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패널설치용 커넥터는, 대부분, 대형 커넥터가 사용되며, 이들의 커넥터의 대다수는 상기 패널 혹은 기기샤시 등의 패널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전자부품 점수의 삭감 및 기기 조립작업의 효율화 등에 수반하여, 패널유닛도 소형화되고, 이들 패널에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착탈자유로운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패널부착 커넥터를 상호 결합하고자 하면, 커넥터의 설계·제조상의 오차, 혹은 패널로의 설치 오차 등의 원인에 의해, 결합시에 커넥터간에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원활한 결합이 될 수 없는 일이 있다. 또한, 위치 어긋남이 생긴채로 양 커넥터를 무리하게 결합하고자 하면, 각 커넥터의 콘택의 다리부에 과대한 응력이 걸려, 그 콘택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고자 하거나, 혹은 그 커넥터가 영구변형하거나, 때로는 파손 사고도 초래되고 있었다. 이러한 콘택의 영구변형, 파손 사항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제까지 각종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나사 고정패널 장착의 커넥터끼리를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도 7(a)∼도 7(d)에 보여지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7(a)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한쪽의 나사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또한 도 7(c)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7(d)는 도 7(c)의 한쪽의 나사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의 커넥터(100, 200)는, 하우징본체(101, 201)에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102a, 102b와 202a, 202b)가, 각 패널(110, 210)에 볼트(120a, 120b와 220a, 220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중 리셉터클형 커넥터(100)는, 각 플랜지(102a, 102b)에 설치된 설치구멍(103a, 103b)의 직경이 볼트(120a, 120b)의 나사부(122a, 122b)의 직경에 근사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구멍에 볼트(120a, 120b)가 삽통되며, 패널(110)에 천공 설치된 암나사(111a, 111b)에 나사결합, 혹은 너트(도시생략)에 의해 패널에 고정되어 있다. 도 7 (b)에는, 한쪽의 플랜지(102b)가 볼트(120b)에 의해 패널(110)에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 다른 플랜지(102a)도 볼트(120a)에 의해 같은 상태로 패널(110)에 설치되어 있다.
다른쪽의 플러그형 커넥터(200)는, 각 플랜지(202a, 202b)에 설치된 설치구멍(203a, 203b)의 직경이 볼트(220a, 220b)의 나사부(222a, 222b)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또한 볼트 두부(221a, 221b)의 직경 보다 작은 범위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설치구멍(203a, 203b)에 각 볼트(220a, 220b)가 삽입관통되며, 상기 설치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패널에 천공 설치된 암나사에 나사결합, 혹은 너트(도시생략)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통상, 그 볼트에는 단차 부착 나사가 사용되며, 그 볼트가 패널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트 측부와 패널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플랜지(202b)가, 이 간격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 7 (d)에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나사(220a)도 동일한 상태로 패널(2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각 패널(110, 210)에 설치된 각 커넥터(100, 200)끼리를 결합할 때, 양자간에 거리 d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그 커넥터(200)를 설치구멍(203a, 203b)내에서 이동시켜, 위치 어긋남이 조정된다. 이 위치 어긋남 조정방법에 의하면, 어긋남이 발생한 때, 일일이 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극히 조정작업이 번거로웠다.
한편, 패널에 착탈자유로운 계지부재를 갖는 커넥터끼리의 결합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18918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6-163125호 공보에 보여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어느 것도 공지이다.
도 8은, 일본국 특개평 10-189181호 공보에 기재된 패널쌍 패널의 커넥터시스템을 나타내고, 동 도면은 각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패널쌍 패널의 커넥터시스템은, 적층 상태에 있는 한쌍의 패널(310, 410)에 장착된 제 1커넥터(300)와, 제 2커넥터(400)로 이루어지며, 제 1, 제 2커넥터에장착된 콘택은 각각 패널면상에서 전자부품의 단자(도시생략)과 땜납 접속되어 있다. 제 1커넥터(300)는, 제 2커넥터(400)를 받아들이는 함몰부(302)를 갖는 하우징(300a, 300b)과, 이 하우징(300)에 고정된 콘택(301)을 구비하고, 그 콘택(301)은 제 2커넥터(400)의 콘택과 접촉하는 몸통부(301a)와 하우징(300)의 저면측에서 외측으로 뻗은 다리부(301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300a, 300b)으로 2분되며, 양 하우징(301a, 301b)간에 슬릿(304)이 설치되며, 콘택의 몸통부(301a)와 교부(도시생략)로, 양 하우징(301a, 301b)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제 2 커넥터(300, 400)을 결합하면, 제 1커넥터(300)는, 2분된 하우징(301a, 301b)이 슬릿(304)을 통하여 콘택의 몸통부(301a)와 교부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릿(304)에 있어서 콘택 몸통부(301a)가 하우징(300b)에 구속되는 일 없이 각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에 의해 수납부(302)의 개구측에 있는 하우징부분(300a)이 패널측의 하우징부분(300b)에 대하여, 패널에 평행한 내면에서의 회전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것에서, 폴로잉 기능이 양호하게 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6-1631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스트(505)의 삽입구멍(510)을 복수 관통시킨 하우징(500)과, 하우징의 하면으로부터 삽입구멍으로 압입고정되는 접촉스프링편(520a)과, 접촉스프링편의 하단에 일단이 연접되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역 U자 형상의 스프링편(520b)과 역 U자 형상의 스프링편의 타단에 연접되며, 프린트패널에 땜납부착 고정되는 단자(520c)로 구성된 콘택(520)과, 프린트패널에 대하여 고정되며, 하우징의 상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금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다른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상기 하우징(500)을 콘택의 역 U자 형상의 스프링편(520b)을 늘이면서 측방으로 이동시켜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고, 볼트(505)의 위치와 하우징의 삽입구멍(510)과의 위치맞춤시켜, 원활한 삽입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패널설치용 커넥터끼리를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패널로의 설치에 나사고정을 채용한 경우, 커넥터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그 나사고정에 의한 경우에는, 볼트·너트를 필요로 하며, 부품수도 많고, 또한 설치·분리작업도 번거로웠다.
이에 대하여, 일본국 특개평 10-189181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6-163125호 공보에 보여지는 패널쌍 패널커넥터는, 커넥터 결합시에 발생하는 위치 어긋남을 자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커넥터구조에서는, 각 패널에 장착되는 커넥터가 한정되며, 통상의 콘택끼리, 예를 들면 복수의 플러그핀을 식(植)설한 플러그 및 그 핀이 삽입되는 콘택을 갖는 리셉터클의 커넥터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 점에서, 후자의 커넥터는, 플러그핀 및 그 핀이 삽입되는 콘택을 갖는 커넥터로 있지만, 그 콘택은 접촉 스프링편에 역 U자 형상의 스프링편을 부설한 것으로, 특수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하우징 및 콘택단자를 특별한 형상으로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그 패널쌍 패널의 커넥터에서는, 통상의 플러그형 커넥터, 리셉터클형 커넥터를 채용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그 목적은, 패널 설치시에, 계지부재의 탄성계지편이 과도하게 굴곡되어도 파손되지 않는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계지부재의 탄성계지편에 부주의한 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패널과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고, 또한 탄성계지편의 영구변형 혹은 파손이 없는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여 패널에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패널 등에 고정된 커넥터와 결합할 때에, 양 커넥터간에 발생하는 설치위치의 오차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무리없이 결합할 수 있는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1(d)는 저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동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2(a)는 도 1(a)의 A-A 화살표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B-B 화살표로부터 본 측면도.
도 3은, 도 1(a)∼ 도 1(d)에 있어서의 1개의 대표 계지부재를 나타내고, 도 1(a)의 C-C 화살표단면도.
도 4(a)는 커넥터가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b)는 리셉터클과 패널의 설치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패널의 평면도.
도 5(a)∼ 도 (5c)는, 도 1에 있어서의 하나의 대표 계지부재의 패널장착상태를 나타내고, 도 5(a)는 패널에 삽입중의 단면도, 도 5(b)는 패널에 삽입종료직후의 단면도, 도 5(c)는 패널에 설치후에 계지부재가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 6(a)∼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와 다른 커넥터의 결합에 관계하는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도 6(a)는 위치 어긋남이 없는 통상상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c)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a)∼ 도 7(c)는, 종래기술의 패널에 장착된 커넥터끼리를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도 7(a)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한쪽의 나사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c)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평면도, 도 7(d)는 도 7(c)의 한쪽의 나사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기술의 패널쌍 패널의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종래기술의 패널에 착탈자유로운 커넥터끼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절연하우징
13. 플랜지
30, 30a, 30b. 계지부재
31. 지주
31a, 31b. 록(lock)홈
34. 탄성계지편
34a. 계지단차부
35. 설편
50. 패널
53a, 53b. 설치구멍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3의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는, 내부에 관통구멍을 갖고 그 관통구멍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된 절연성하우징본체와, 그 하우징본체의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또는 상하 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그 플랜지의 후면 양측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한쌍의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그 각 계지부재는, 그 플랜지에 고정된 지주와, 그 지주의 두부로부터 역 V자 형상으로 되접어 굴절된 가요성을 갖는 탄성계지편으로 이루어지며, 탄성계지편은, 그 선단부에 패널의 설치구멍 주위 가장자리와 걸어고정되는 계지단차부와, 그 계지단차부의 선단에 그 선단이 그 지주에 맞접되어 그 탄성계지편의 과도한 굴곡을 제한하는 설(舌)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커넥터에서는, 계지부재가 패널의 설치구멍으로 삽입 관통될 때에, 탄성계지편이 지주의 방향으로 굴곡한다. 또한, 과도하게 굴곡되면, 탄성계지편은 지주와의 연결부에서 꺽여 파손되는 일이 있지만, 과도한 굴곡이 발생하기 전에 설편이 지주면에 맞접되어, 굴곡이 제한되므로 탄성계지편의 파손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고정 근원부에, 패널의 설치구멍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설치패널의 두께 보다 광폭의 록홈과, 상기 탄성계지편의 계지단차부로 이루어지는 계지기초부를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계지부재의 근원부에 형성된 계지기초부의 외주 직경은, 패널의 설치구멍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부재는, 설치구멍내에서 주위바깥방향으로 차분 만큼 이동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지는 것으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지주가 상기 하우징본체를 끼고 상기 각 탄성계지편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다.
각 탄성계지편이 상호 대향하여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에서, 계지부재에 외부로부터 물체가 충돌하여도 지주로 받아내어, 탄성계지편에 미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탄성계지편이 물체의 충돌에 의해 가압되어 계지단차부가 패널 주위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청구항 4의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은, 상기의 어느 것인가 1개의 커넥터와, 그 커넥터의 상기 계지부재의 외주직경 보다 약간 큰 설치구멍을 갖는 패널을 구비하고, 그 패널의 설치구멍에 그 계지부재가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삽입 관통된 때, 그 계지부재의 계지기초부가 그 패널의 설치구멍 내로 헐겁게 끼워지며, 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계지기초부는 록홈벽의 단차부와 탄성계지편의 단차부가 패널의 설치구멍의 주위가장자리에 걸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지부재의 근원부에 형성된 계지기초부의 외주 직경은, 패널의 설치구멍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부재는, 설치구멍내에서 주위 바깥방향으로 차분 만큼 이동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지는 것으로 된다. 통상의 설치상태에 있어서는, 계지기초부는 록홈벽의 단차부와 탄성계지편의 단차부로 패널개공의 주위 가장자리에 걸어 고정되며, 계지기초부가 개공내에서 이동하여, 단차부의 패널과의 계지면적이 작게 되어도, 그 만큼을 단차부가 걸어 고정되어, 상호 보완하면서 패널에 걸어 고정된다.
청구항 5의 커넥터 결합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와, 다른 패널 등에 고정된 커넥터를 결합하는 커넥터 접속방법에 있어서, 그 양 커넥터 결합시에 양 커넥터간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커넥터의 계지기초부를 상기 패널 설치구멍내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다른 고정커넥터로 결합시키고, 그 계지기초부를 상기 패널 설치구멍과 그 계지기초부의 외주 직경과의 차분 만큼 이동가능하여 그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 커넥터의 결합시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커넥터하우징이 다른 커넥터의 개공에 유입되며, 위치 어긋난 만큼 이동하여, 정상인 상태로 궤도 수정되어 결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그 때마다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 변경한 부분의 구조 및 기능은, 이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추측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정면도, 도 1(c)는 배면도, 도 1(d)는 저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동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2(a)는 도 1(a)의 A-A 화살표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a)의 B-B 화살표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시형태의 커넥터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형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리셉터클(10)은, 편평한 블록상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우징본체(11)는, 상하벽(11a, 11b) 및 좌우의 측벽(11c, 11d)과, 그 각 벽에 둘러싸이며 내부에 단자가 장착되는 가늘고 긴 개공(12a, 12b)과, 그 각 벽면상에 있어서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교하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13(13a∼13d))와, 그플랜지 중 양측벽으로부터 뻗은 플랜지(13c, 13d)에 대향하여 고정된 한쌍의 계지부재(30a, 30b)를 구비하고, 이들은 절연성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된다.
하우징본체(11)는, 플랜지(13)를 경계로 전후로 뻗은 전방하우징(15)과 후방하우징(16)으로 나뉘어지며, 전방하우징(15)은, 후방하우징(16)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방하우징(15)은, 상기 상하벽(11a, 11b) 및 좌우의 측벽(11c, 11d)과, 그 각 벽에 둘러싸이며 내부에 후술하는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되는 가늘고 긴 개공(12a)과, 그 좌우측벽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각추부(17a, 17b)와, 그 상벽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단차부(16a, 16b)로 이루어진다. 각추부(17a, 17b) 및 단차부(16a, 16b)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접속할 때에, 양자의 결합을 원활히 하는 삽입가이드의 기능을 한다. 개공(12a)은, 그 내부에 복수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이들의 격벽간에 커넥터단자(40a∼40i)가 장착된다.
한편, 후방하우징(16)은, 상기 전방하우징이 후방으로 연설된 상하벽(11a, 11b) 및 좌우의 측벽(11c, 11d)과, 그 각 벽에 둘러싸이고 내부에 커넥터가 삽입되며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되는 가늘고 긴 개공(12b)과, 그 하벽면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단차부(16e, 16f)로 이루어진다.
개공(12b)에는, 상기 커넥터단자에 접속된 복수의 플러그핀이 개공 안쪽부에 설치된 격벽간에 식설되며, 이들의 플러그핀(41a∼41i)에 다른 커넥터(도시생략)가 접속된다. 커넥터단자(40a∼40i)는, 파형으로 굴곡한 띠부재의 탄성접촉편과 이 접촉편에 연결된 핀형상의 단자로 이루어진다. 도 2 (a)에는, 1개 커넥터단자의 파상으로 굴곡한 띠부재의 탄성접촉편(40b)과 이 접촉편에 연결된 핀형상의 단자(41b)가 보여진다.
플랜지(13)는,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각으로 상하방향으로 돌출한 상하벽(13a, 13b)과, 또한 좌우방향으로 돌출한 좌우측벽(13c, 13d)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벽의 플랜지면은, 계지부재(30a, 30b)를 형성가능하게 일부분 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플랜지(13)의 배면측에는, 그 좌우측 벽면에 각각 계지부재(30a, 30b)가 형성되며, 상하 측벽 및 좌우 측벽이 동일 평면으로 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하우징 성형시에 일체 성형된다.
각 계지부재(30a, 30b)는, 두부에 테이퍼가 부여되며, 외형이 거의 원추형상으로 성형되어 패널의 설치구멍으로의 삽통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양 계지부재(30a, 30b)는, 어느 것도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고 있다. 그래서, 설명을 간략히 하여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 계지부재(30a, 30b)는, 정리 대표하여 1개의 계지부재(30)로 하고, 이 계지부재(30)와 동일의 숫자에 각각 a, b의 기호를 부여하여 양 계지부재(30a, 30b)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3은, 1개의 대표 계지부재를 나타내고, 도 1(a)의 C-C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대표의 계지부재(30)는, 도 1 (a)의 평면도로부터 보면 외형이 거의 갈고랑이 형상을 하고, 그 단면도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갈고랑이 형을 이루고 있다.
이 계지부재(30)는, 플랜지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주(31)와, 이 지주(31)의 정상부(33)로부터 거의 역 V자 형상으로 되접어 굴곡되며 가요성을 갖는 탄성계지편(34)로 이루어진다. 지주(31) 및 탄성계지편(34)은, 그 선단이 날카롭고, 외표면이 원호상으로 만곡성형되어 있다. 지주(31)는, 그 근원부가 플랜지 후면(13)에 일체성형되며, 이 근원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간 가늘게 형성된다. 지주(31)는, 그 근원부의 외주면에 패널의 설치구멍(후술한다)의 주위 가장자리와 계지되는 오목형의 록홈(32a)이 형성된다. 이 록홈(32a)은, 양측에 단차부(31a, 31b)를 갖고, 한쪽의 단차부(31b)는 플랜지(13)의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고, 다른 단차부(31a)는 패널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폭이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탄성계지편(34)은, 만곡된 박판형상편으로서, 지주(31)의 정상부(33)로부터 되접어져 거의 역 V자 돌기로 절곡되며, 가요성을 갖고, 그 선단이 플랜지 후면(13)에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이 자유단에는, 탄성계지편(34)의 선단에 지주(31)방향으로 향하여 패널면과 계지하는 계지단차부(34a)와, 이 계지단차부(34a)의 선단에 탄성계지편(34)의 과도한 굴곡을 제한하는 설편(35)이 부설되어 있다.
계지단차부(34a)의 위치는, 플랜지 후면(13)으로부터 이격되며, 패널두께보다 약간 넓은 간격 F를 비운 위치에 설치된다. 또, 설편(35)은, 계지부재(30)가 패널의 설치구멍으로 삽통될 때에, 탄성계지편(34)이 지주(31)의 방향으로 굴곡하는 것으로 되지만, 과도히 굴곡되면, 탄성계지편(34)은 지주(31)와 연결부에서 절곡되어 파손될 수가 있다. 이 과도한 굴곡이 발생하기 전에 설편(35)이 지주면으로 맞접되며, 굴곡이 제한되므로 탄성계지편(34)의 파손이 방지된다.
지주(31)는, 그 근원부에 오목형의 록홈벽(31a, 31b)과, 계지단차부(34a)로형성된 계지기초부(32)를 갖는다. 이 계지기초부(32)는, 패널의 설치구멍으로 삽통된 때, 그 설치구멍 내에서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 있어서, 탄성계지편(34)의 단차부(34a) 혹은 록홈벽의 단차부(31a) 쌍방의 단차부, 혹은 한쪽의 단차부(31a)가 패널의 설치구멍 가장자리와 걸어맞춤되는 것으로 된다.
계지부재(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며 패널의 설치구멍으로 삽입관통되지만,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계지부재(30a, 30b)는, 플랜지 후면(21b)의 좌우측 양방에, 각각 탄성계지편(34, 34)이 대향하도록 고정된다. 각 탄성계지편(34, 34)이 상호 대향하여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에서, 계지부재(30a, 30b)에 외부로부터 물체가 충돌하여도 지주(31, 31)에서 받아내져, 탄성계지편에 미칠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 탄성계지편이 물체의 충돌에 의해 가압되어 계지단차부가 패널설치구멍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제까지의 계지부재는, 원주형상 혹은 원추형상이였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4각주형상, 3각주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리셉터클 본체는, 편평한 블럭상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교한 절단면이, 원통형상, 타원형상, 사각형상 등 임의 형상의 하우징에 형성할 수 있다. 이 형상의 변경에 의해, 계지부재의 고정위치는, 플랜지의 좌우측면뿐만 아니라, 상하 벽면 등 임의의 벽면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커넥터가 패널에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리셉터클(10)과 패널의 설치구멍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패널의 정면도이다.
패널(50)은, 그 패널상에 2개의 계지부재(30a, 30b)가 삽입관통되는 설치구멍(53a, 53b)과, 이들 계지부재의 사이에 하우징(16)이 삽입관통되는 개공(54)이 설치된다. 설치구멍(53a, 53b)의 직경은, 계지기초부(32, 32)의 외주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계지부재가 설치구멍내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걸어맞춤된다. 개공(54)은, 후방하우징(16)이 삽입되는 구멍이지만, 그 개구의 크기는 후방하우징(16)의 외형형상에서, 후술하는 위치 어긋남 조정이 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5(a)∼도 5(c)는, 대표 계지부재의 패널장착상태를 나타내고, 도 5(a)는 패널에 삽입중 단면도, 도 5(b)는 패널에 삽입 종료직후의 단면도, 도 5(c)는 패널에 설치후의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1개의 대표 계지부재(30)을 사용하여 양 계지부재(30a, 30b)를 패널(50)에 설치된 패널의 설치구멍(53)으로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대표 계지부재(30)는, 그 설치방법 및 패널로의 계지상태는, 양 계지부재(30a, 30b)의 어느 것에도 들어맞고, 양방의 계지부재의 설치상태는, 대칭적으로 이동방향이 다를뿐이며, 기능은 동일하다.
패널의 설치구멍(53)에 계지부재(30)가 삽입되면, 지주(31) 및 탄성계지편(34)의 외주면이 설치구멍(53)의 개공 가장자리에 맞접되며, 탄성계지편(34)이 지주(31)의 방향으로 휘어지는 개공을 통과한다. 이 때, 설편(35)의 내면이 지주(31)의 내면에 부딪힌다. 이 부딪힘에 의해, 탄성계지편(34)의 굴곡이 제한되므로, 과도한 굴곡이 탄성계지편에 가해지는 것에의해, 탄성계지편이 파손되는 일은 없다(도 5(a) 참조).
또, 계지부재(30)가 설치구멍(53)에 압입되며, 단차부(34a)가 패널(50)의 내측 단면을 통과하여 지나면, 탄성계지편(34)의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패널(50)은 계지부재의 계지기초부(32)내로 입입되고, 계지부재(30)에 의해, 리셉터클(10)이 패널(50)에 고정된다(도 5 (c)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지부재(30)의 근원부에 형성된 계지기초부(32)의 외주직경은, 패널의 설치구멍(5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계지부재(30)는, 설치구멍(53)내에서 주위 바깥방향으로 차분만큼 이동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지는 것으로 된다.
통상의 설치상태에 있어서는, 계지기초부(32)는 록홈벽의 단차부(31a)와 탄성계지편의 단차부(34a)에서 패널의 설치구멍(53)의 주위 가장자리에 계지되며, 계지기초부(32)가 개공(53)내로 이동하고, 단차부(34a)의 패널(50)과의 계지면적이 적게 되어도, 그 만큼을 단차부(31a)가 계지되며, 상호 보완하면서 패널(50)에 계지된다.
그러나, 계지부재(30)가 설치구멍(53)내에서 부재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이동하고, 패널의 설치구멍(53)의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단차부(31a)가 분리되고, 계지면적이 작게 되지만, 그 작게되는 만큼은, 다른 단차부(34a)에서 설치구멍(53)의 주위 가장자리에 충분히 계지된다. 즉, 계지부재가 통상의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 단차부가 설치구멍의 주위 가장자리에 맞접되어 계지됨과 동시에, 다른 단차부도 설치구멍의 주위 가장자리에 계지되어 패널면과의 계지면적이 많게 되므로, 안정적인 계지상태가 달성된다. 또, 극단으로 한쪽방향으로 이동되며, 단차부(31a)가 분리되어도 다른 단차부가 설치구멍 주위가장자리에 깊이 계지되어, 양호한 계지상태가 달성된다. 지금까지 계지부재(30)로 설명해 왔던 패널의 설치구멍(53)과의 계지상태는, 계지부재(30a, 30b)와 설치구멍(53a, 53b) 사이에서도 양호한 안정된 계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계하는 커넥터와 다른 커넥터의 결합에 관계하는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도 6(a)는 위치 어긋남이 없는 통상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b)는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c)는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리셉터클(10)과 결합되는 플러그(60)는, 하우징본체가 플랜지를 경계로 전방 및 후방하우징(61a, 61b)으로 2분되며, 그 하우징본체의 양측벽에 한쌍의 계지부재(63a, 63b)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70)로는, 그 패널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그 플러그의 후방하우징(61b)으로부터 삽입하고, 한쌍의 계지부재에 의해 패널에 강고히 고정된다.
도 6(a)∼도 6(c)를 참조하여, 리셉터클(10), 예를 들면 8개의 커넥터단자를 구비한 8극 리셉터클을 패널(50)에 설치하는 방법, 및 다른 패널(70)에 고정되며 그 리셉터클(10)과 결합되는 플러그(60)와의 사이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리셉터클(10)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패널(50)에 설치된다. 패널(50)은, 각 계지부재(30a, 30b)가 삽입되는 2개의 설치구멍(53a, 53b)과, 이 설치구멍 사이에커넥터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개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설치구멍의 직경은, 계지부재의 계지기초부의 외주 직경보다 크고, 예를 들면 1.2mm정도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8극 리셉터클(10)은, 양 사이드의 단자중심간의 길이를 A, 하우징본체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횡폭을 B로 한 때, A, B의 길이는, A = 10.5mm로 되므로, B = 32.5mm로 설정된다. 패널(50)은, 2개의 설치구멍(53a, 53b)의 중심간의 거리 C, 개공(54)의 횡폭 D1, 개공(54)의 종폭 D2, 각 설치구멍(53a, 53b)의 직경 E로 한 때, C = 27.6mm, D1= 16.8mm, D2= 7.7mm, E = 5.2mm로 설정된다. 또, 계지기초부(32)의 직경 G로 한 때, 패널의 설치구멍의 직경 E와의 관계는, 예를 들면 G = 4.0mm로 설정된다.
그래서, 계지기초부(32)가 설치구멍(53)에 삽입되면, 패널의 설치구멍의 직경 E와 계지기초부의 직경 G와의 차, 즉, E - G = 5. 2-4. 0 = 1.2(mm)가 발생하여, 계지기초부가 설치구멍내에서 헐겁게 끼워지며, 다른 계지기초부도 설치구멍에 동일하도록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 있으므로, 각 계지기초부는 각 설치구멍내에서, 예를 들면 좌우방향으로 각각 0.6mm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 5.2mm의 설치구멍에, 계지기초부 외주직경 4.0mm의 계지부재가 삽입되면, 전술한 설치구멍(53b)과 계지부재(30b)의 걸어맞춤상태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지기초부의 외주직경이 설치구멍의 직경보다, 1.2mm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는, 설치구멍 내에서 주위 외방향으로 차분의 반분 0.6mm 만큼 이동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지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사양에 의해,패널(50)에 리셉터클(10)을 장착하고, 이 리셉터클(10)을 이미 별개의 패널에 고정된 플러그(60)에 결합한다. 이 때, 플러그(60)는, 도 6(a)∼도 6(c)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좌우 혹은 상하로 이동할 수 없고 강고히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i)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에 위치 어긋남 X가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도 6(a) 참조).
리셉터클(10)과 플러그(60)는, 각각 결합방향의 중심위치(도면의 일점쇄선의 위치)에 있어서, 리셉터클(10)은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좌우의 방향, 혹은 결합방향에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전혀 이동하는 일 없이, 플러그(60)의 개공으로 리셉터클(10)의 전방하우징(15)이 끼워 맞춤되며, 양자는 원활히 결합된다.
(ii) 리셉터클(10)과 플러그(60) 사이에서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어긋남 X가 발생한 경우(도 6 (b), 도 6(c) 참조).
리셉터클(10)이 플러그(60)에 삽입된 때, 리셉터클(10)의 전방하우징의 경사부(17a, 17b)가 플러그(60)의 개구주변의 모떼기면에 유입되고, 위치 어긋남 만큼 이동하여, 정상인 상태로 궤도수정되어 결합된다.
또, 이 위치 어긋남 X는, 상기의 위치 어긋남과 반대방향으로 발생하여도, 같은 방법으로 궤도수정된다. 또한 이 위치 어긋남은, 리셉터클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좌우의 방향뿐만 아니라, 결합방향에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발생한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궤도수정된다.
따라서, 이 위치 어긋남 X는, 설치구멍의 직경과 계지기초부의 직경과의 차, 즉 E - G = 5.2 - 4.0 = 1.2(mm), 가 양 설치구멍에 존재하는 것에서, 각 설치구멍내에서는, 계지기초부의 최대이동량은, 상기 차분의 1/2, 즉 0.6mm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이동량이, 궤도수정되어 흡수량으로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패널설치시에, 계지부재의 탄성계지편이 과도하게 굴곡되어도 파손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계지부재의 탄성계지편에 부주의한 응력이 가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에 의해, 탄성계지편의 영구변형 혹은 파손하는 일이 없게 됨과 동시에, 탄성계지편의 계지단차부가 패널 주위 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강도와 안정성을 확보하여 패널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 고정된 다른 커넥터로 설치할 때에, 양 커넥터간에 발생하는 패널설치위치의 오차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무리없이 접속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복수의 커넥터단자가 장착된 절연성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커넥터 삽탈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및/또는 상하 벽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후면 양측에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한쌍의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 계지부재는, 그 플랜지에 고정된 지주와, 그 지주의 두부로부터 역 V자 형상으로 되접어 굴절되며 가요성을 갖는 탄성계지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계지편은, 그 선단부에 패널의 설치구멍 주위 가장자리와 걸어고정되는 계지단차부와, 상기 계지단차부의 선단에 그 선단이 그 지주에 맞접되어 그 탄성계지편의 과도한 굴곡을 제한하는 설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고정 근원부에, 패널의 설치구멍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설치패널의 두께 보다 광폭의 록홈과, 상기 탄성계지편의 계지단차부로 이루어지는 계지기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는, 상기 지주가 상기 하우징본체를 끼고 상기 각 탄성계지편이 상호 대향하도록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4. 상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커넥터와, 그 커넥터의 상기 계지부재의 외주직경 보다 약간 큰 설치구멍을 갖는 패널을 구비하고, 그 패널의 설치구멍에 그 계지부재가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삽입관통된 때, 그 계지부재의 계지기초부가 그 패널의 설치구멍 내에서 헐겁게 끼워지며, 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계지기초부는 록홈벽의 단차부와 그 탄성계지편의 단차부가 패널의 설치구멍의 주위가장자리에 걸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5. 상기 제 4항의 방법으로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와, 다른 패널 등에 고정된 커넥터를 결합하는 커넥터 접속방법에 있어서, 그 양 커넥터 결합시에 양 커넥터간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상기 커넥터의 계지기초부를 상기 패널의 설치구멍내에 헐겁게 끼운 상태로 상기 다른 고정커넥터로 결합시키고, 그 계지기초부를 상기 패널의 설치구멍과 그 계지기초부의 외주 직경과의 차분 만큼 이동가능하게 하여 그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결합방법.
KR1020020084926A 2001-12-28 2002-12-27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KR100956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402065A JP4201505B2 (ja) 2001-12-28 2001-12-28 パネル取付用係止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のパネルへの取付方法並びに他のコネクタへの結合方法
JPJP-P-2001-00402065 200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431A true KR20030057431A (ko) 2003-07-04
KR100956922B1 KR100956922B1 (ko) 2010-05-11

Family

ID=1918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926A KR100956922B1 (ko) 2001-12-28 2002-12-27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52642B2 (ko)
EP (1) EP1324428B1 (ko)
JP (1) JP4201505B2 (ko)
KR (1) KR100956922B1 (ko)
CN (1) CN1260860C (ko)
DE (1) DE60217816T2 (ko)
TW (1) TWI2487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8860A (ja) * 2002-12-09 2006-03-1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弾性材料からなる固定部材
US7308731B2 (en) * 2004-05-14 2007-12-18 Newfrey Llc Dampened slide for an anti-chucking wedge assembly
JP5027560B2 (ja) * 2007-05-22 2012-09-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SG151115A1 (en) * 2007-09-21 2009-04-30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 connector
CN101752755B (zh) * 2008-12-11 2012-07-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DE102009028187A1 (de) * 2009-08-03 2011-02-1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Schale
US8435063B2 (en) 2011-06-07 2013-05-0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3122877A (ja) * 2011-12-12 2013-06-2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コネクタ
EP2890226B1 (en) * 2012-08-24 2017-08-09 Yazaki Corporation Connection structure for substrate connector and connection method
JP6050196B2 (ja) * 2013-08-09 2016-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TWI499140B (zh) * 2014-05-21 2015-09-01 Wistron Corp 具有導孔結構之連接器機構、具有導柱結構之連接器機構及其相關電子裝置組合
TWI583072B (zh) 2014-07-17 2017-05-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定位結構及連接器組件
EP3176804B1 (en) * 2015-12-01 2023-06-28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Snap-lock relay socket
CN106907277A (zh) * 2015-12-23 2017-06-30 上海欧菲滤清器有限公司 滤清器
JP6145199B1 (ja) * 2016-06-28 2017-06-07 山佐株式会社 遊技機用部材の固定構造及び遊技機
US9887484B1 (en) * 2017-02-16 2018-02-0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Two-part floating electric connector
JP6622267B2 (ja) * 2017-09-15 2019-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2133A (en) * 1988-06-30 1989-03-14 Amp Incorporated Floating mounting means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605189B2 (ja) * 1991-08-27 1997-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装置
JP3025924B2 (ja) * 1991-11-18 2000-03-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H06163125A (ja) 1992-11-25 199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US5575673A (en) * 1994-07-22 1996-11-19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and/or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H0997652A (ja) * 1995-09-29 1997-04-08 Yazaki Corp 可動コネクタの回転防止構造
DE19607786C2 (de) * 1996-03-01 2002-11-21 Harman Audio Electronic Sys Verbindungselement
JPH1022001A (ja) * 1996-07-04 1998-01-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線におけるシールド層の処理構造
JPH1064636A (ja) 1996-08-23 1998-03-06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H10129299A (ja) * 1996-11-01 1998-05-19 Yazaki Corp 機器の接続固定構造及び接続固定方法
JP4183102B2 (ja) 1996-11-11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EP0902506B1 (en) * 1997-09-09 2004-03-3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6113423A (en) * 1999-07-12 2000-09-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nel attachment for electrical connector
JP3567856B2 (ja) 2000-06-08 2004-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03723A (ja) 2003-07-18
EP1324428A3 (en) 2004-02-04
JP4201505B2 (ja) 2008-12-24
CN1260860C (zh) 2006-06-21
US20030124896A1 (en) 2003-07-03
DE60217816T2 (de) 2007-05-24
DE60217816D1 (de) 2007-03-15
CN1428901A (zh) 2003-07-09
EP1324428B1 (en) 2007-01-24
TWI248714B (en) 2006-02-01
TW200301601A (en) 2003-07-01
US6752642B2 (en) 2004-06-22
KR100956922B1 (ko) 2010-05-11
EP1324428A2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922B1 (ko) 패널설치용 계지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의 패널로의 설치방법 및 다른 커넥터로의 결합방법
US6592382B2 (en) Simplified board connector
PT89888B (pt) Conector electrico para montagem num cartao de circuitos impressos e dispositivo de fixacao do mesmo
US20080026632A1 (en) Top mount right angle header
JPH08180940A (ja) 電気コネクタ
KR101045120B1 (ko) 전기 커넥터
JPH11204181A (ja) コネクタ
US20030124886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compliant section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H0926603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US5569054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231345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382228Y1 (ko) 컨넥터용 단자
JP3899331B2 (ja) 電気コネクタ
JP3991988B2 (ja)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JP7463023B2 (ja) ケーブル接続構造
KR200398884Y1 (ko) 연결 확인용 플랫 케이블 커넥터
JP3980944B2 (ja) 接続装置
JP3317210B2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8298388A (ja) 表面実装型電気機器
JP3451390B2 (ja) 光部品の取り付け装置
JP2004165694A (ja)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KR940004192B1 (ko) 두개의 기판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개량된 전기커넥터
JP2504985Y2 (ja) 高周波回路装置
JP2006073229A (ja) 配線基板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