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402A -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 Google Patents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402A
KR20030056402A KR1020010086606A KR20010086606A KR20030056402A KR 20030056402 A KR20030056402 A KR 20030056402A KR 1020010086606 A KR1020010086606 A KR 1020010086606A KR 20010086606 A KR20010086606 A KR 20010086606A KR 20030056402 A KR20030056402 A KR 2003005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unit
output sign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581B1 (ko
Inventor
정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5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입력신호가 전원전압의 절반 정도이더라도 안정되게 어드레스 변이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 버퍼 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입력 버퍼 회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Vin)이 전원전압(Vcc), 제1 기준전압(Vr1), 제2 기준전압(Vr2)에 대해 Vr1 < Vin < Vr2(여기서, Vr1 = Vcc/2 - V1 이고, Vr2 = Vcc/2 + V2)인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다른 경우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절반 전압 검출부와, 상기 입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제1 버퍼의 출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며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AN INPUT BUFFER CIRCUIT WITH GLITCH 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입력 버퍼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글리치 방지(glitch preventing)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에 관한 것이다.
에스램(SRAM)에서 입력 버퍼에 전원전압(Vcc)의 절반 정도 되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외부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 칩(chip)이 불안정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입력 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1에서 Vcc는 전원단자를, Vss는 접지단자를 각각 표시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IN)는 PMOS 트랜지스터(MP12)와 NMOS 트랜지스터(MN1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칩 선택 신호(CS)는 인버터(IV11)에 인가되어, 반전된 후 NMOS 트랜지스터(MP11, MN12)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먼저, 칩 선택 신호(CS)가 로우 레벨이면 NMOS 트랜지스터(MN12)가 턴온 되므로 노드(nd11)는 로우 레벨로 초기화된다. 그리고 칩 선택 신호(CS)가 하이 레벨이면 PMOS 트랜지스터(MP11)가 턴온 되므로 노드(nd11)는 입력신호(IN)의 반전된 레벨을 갖는다. 노드(nd11)의 신호는 3개의 인버터(IN12, IV13, IV14)를 경유하여 출력신호(OUT)로서 출력되고, 인버터(IV12)의 출력신호는 어드레스 변이 검출 발생부(102)로 인가된다. 어드레스 변이 검출 발생부(102)는 입력신호(IN)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마다 어드레스 변이 검출(address transition detection : 이하, "ATD"라고 함)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ATD 신호들을 합쳐서 칩 내부를 제어하는 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런데 입력신호(IN)가 전원전압(Vcc)의 절반 근처이면 노드(nd11)의 전위가 불안정해져서 ATD 신호가 계속 발생되거나, 또는 ATD 신호의 폭이 불규칙해진다. 이렇게 불안정한 ATD 신호들을 합쳐서 칩 내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면 칩이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입력신호가 전원전압의 절반 정도이더라도 안정되게 어드레스 변이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입력 버퍼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글리치 방지 기능이 있는 입력 버퍼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입력 버퍼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력 버퍼 회로의 회로도.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글리치 방지 기능이 있는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Vin)이 전원전압(Vcc), 제1 기준전압(Vr1), 제2 기준전압(Vr2)에 대해 Vr1 < Vin < Vr2(여기서, Vr1 = Vcc/2 - V1 이고, Vr2 = Vcc/2 + V2)인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다른 경우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절반 전압 검출부와, 상기 입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제1 버퍼의 출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며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제1 래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제2 버퍼부는 제1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한다. 제2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래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 변이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변이 검출부(address transition detect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력 버퍼에 Vcc/2 정도의 신호가 인가되면 이 신호를 입력 버퍼의 내부로 전달하지 않고, 제1 기준전압보다 작거나 제2 기준전압보다 큰 신호가 인가될 때에만 내부로 전달하여 입력 버퍼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변이 검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일관성을 위하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 및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력 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 버퍼 회로(200)는 절반 전압 검출부(201)와 버퍼부(205)와 지연부(206)와 제2 버퍼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래치부(208)와 제2 래치부(212)와 ATD 발생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서 IN은 입력신호를, CS는 칩 선택 신호를 가리키며, OUT는 입력 버퍼 회로(200)의 출력신호를, ATD는 어드레스 변이 검출 신호를 가리킨다.
먼저 절반 전압 검출부(20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IN)의 전압(Vin)이 전원전압(Vcc), 제1 기준전압(Vr1), 제2 기준전압(Vr2)에 대해 Vr1 < Vin < Vr2(여기서, Vr1 = Vcc/2 - V1 이고, Vr2 = Vcc/2 + V2)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V1과 V2는 0.5V 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반 전압 검출부(201)는 2개의 센스 앰프(202, 203)와 배타적 논리합(exclusive-OR)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게이트(204)로 이루어진다. 센스 앰프(202)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MP21, MP22)와 3개의 NMOS 트랜지스터(MN21, MN22, MN23)로 구성된 차동 증폭기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입력신호(IN)와 제1 기준전압(Vr1)을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센스 앰프(203)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MP23, MP24)와 3개의 NMOS 트랜지스터(MN24, MN25, MN26)로 구성된 차동 증폭기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입력신호(IN)와 제2 기준전압(Vr2)을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논리 게이트(204)는 센스 앰프(202)의 출력단자(nd21)에 인가되는 신호와 센스 앰프(203)의 출력단자(nd22)에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버퍼부(210)로 제공한다.
버퍼부(205)는 칩 선택 신호(CS)에 의해 인에이블 되어 입력신호(IN)를 버퍼링하는 역할을 한다. 칩 선택 신호(CS)는 인버터(IV21)에 의해 반전되어 NMOS 트랜지스터(MN28)의 게이트와 PMOS 트랜지스터(MP25)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칩 선택 신호(CS)가 로우 레벨이면 NMOS 트랜지스터(MN28)가 턴온 되어 노드(nd24)는 로우 레벨로 초기화된다. 칩 선택 신호(CS)가 하이 레벨이면 PMOS 트랜지스터(MP25)가 턴온 되며, 입력신호(IN)가 하이 레벨이면 NMOS 트랜지스터(MN27)를 경유하여 노드(nd24)로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입력신호(IN)가 로우 레벨이면 PMOS 트랜지스터(MP26)를 경유하여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노드(nd24)의 신호는 인버터(IV22)에서 반전되어 지연부(206)로 인가된다.
지연부(206)는 버퍼부(205)의 출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켜서 래치부(208)로 제공한다. 입력신호(IN)와 칩 선택 신호(CS)의 인가에 따른 논리 게이트(204)의 출력신호와 버퍼부(205)의 출력신호가 거의 동일하게 버퍼부(210)에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래치부(208)는 인버터(IV23, IV24)로 이루어지며, 지연부(206)의 출력신호를 래치하고, 이를 버퍼부(210)로 제공한다. 래치부(208)는 절반 전압 검출부(201)의 출력신호와 버퍼부(205)의 출력신호가 버퍼부(210)에 도달하는 시간의 불일치로 입력 버퍼 회로(200)가 전체적으로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버퍼부(210)는 절반 전압 검출부(201)로부터 출력되어 노드(nd23)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디스에이블이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드(nd23)의 신호는 PMOS 트랜지스터(MP27)의 게이트로 제공되고, 인버터(IV25)에 의해 반전되어 NMOS 트랜지스터(MN30)의 게이트로 제공된다. PMOS 트랜지스터(MP27)의 소오스는 전원단자(Vcc)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노드(nd23)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MP28)의 소오스에 연결된다. PMOS 트랜지스터(MP28)의 소오스는 PMOS 트랜지스터(MP27)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래치부(208)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MN29)의 드레인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MN29)의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MP28)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버퍼부(210)의 출력단자를 구성하고, 게이트는 PMOS 트랜지스터(MP28)와 같이 래치부(208)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소오스는 NMOS 트랜지스터(MN30)의 드레인에 연결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MN30)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MN29)의 소오스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인버터(IV25)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소오스는 접지단자(Vss)에 연결된다. 버퍼부(210)는 노드(nd23)의 신호가 로우 레벨일 때 인에이블 되어 래치부(208)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서 인버터(IV26)로 제공한다.
인버터(IV26)를 경유하여 버퍼부(210)의 출력신호는 래치부(212)로 제공된다. 래치부(212)는 2개의 인버터(IV27, IV28)로 이루어져 있으며, 래치부(208)와 같이 안정된 동작을 위해 구비된다. 인버터(IV29)를 경유하여 래치부(212)의 출력신호는 반전되어 출력신호(OUT)로서 출력된다. ATD 발생부(214)는 래치부(21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ATD 신호를 생성한다. 래치부(212)의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또는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ATD 신호가 발생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력 버퍼에 Vcc/2 정도의 신호가 인가되면 이 신호를 입력 버퍼의 내부로 전달하지 않고, 제1 기준전압보다 작거나 제2 기준전압보다 큰 신호가 인가될 때에만 내부로 전달하여 입력 버퍼의 글리치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어드레스 변이 검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글리치 방지 기능이 있는 입력 버퍼 회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Vin)이 전원전압(Vcc), 제1 기준전압(Vr1), 제2 기준전압(Vr2)에 대해 Vr1 < Vin < Vr2(여기서, Vr1 = Vcc/2 - V1 이고, Vr2 = Vcc/2 + V2)인 경우에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다른 경우에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절반 전압 검출부와,
    상기 입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 버퍼부와,
    상기 제1 버퍼의 출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부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며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제1 래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래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어드레스 변이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변이 검출부(address transition detecto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반 전압 검출부는
    상기 입력전압(Vin)과 상기 제1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1 비교수단과,
    상기 입력전압(Vin)과 상기 제2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는 제2 비교수단과,
    상기 제1 비교수단과 제2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에 대해 배타적 논리합(Exclusive-OR)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부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소오스는 전원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 PMOS 트랜지스터와,
    소오스는 상기 제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2 PMOS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은 상기 제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상기 지연부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제1 NMOS 트랜지스터와,
    드레인은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며, 소오스는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제2 N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버퍼부의 출력단자는 상기 제1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버퍼 회로.
KR1020010086606A 2001-12-28 2001-12-28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KR10080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06A KR100808581B1 (ko) 2001-12-28 2001-12-28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06A KR100808581B1 (ko) 2001-12-28 2001-12-28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402A true KR20030056402A (ko) 2003-07-04
KR100808581B1 KR100808581B1 (ko) 2008-03-03

Family

ID=3221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606A KR100808581B1 (ko) 2001-12-28 2001-12-28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5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998B1 (ko) * 2005-10-06 2007-05-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퍼
KR100838367B1 (ko) * 2007-04-05 2008-06-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단 입력버퍼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7778374B2 (en) 2005-08-26 2010-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reference input receiver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input data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037B1 (ko) * 1993-12-18 1998-04-06 김광호 동작전압의 변동에 대응 가능한 반도체집적회로의 입력버퍼회로
KR100196331B1 (ko) * 1996-10-09 1999-06-15 윤종용 입력버퍼회로의 트립조정회로
KR100422813B1 (ko) * 1997-06-30 2004-05-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입력버퍼
KR100549935B1 (ko) * 1998-12-0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입력버퍼
KR20000043230A (ko) * 1998-12-28 2000-07-15 김영환 데이타 입력버퍼
KR100616493B1 (ko) * 1999-06-30 2006-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디디알 에스디램의 입력버퍼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8374B2 (en) 2005-08-26 2010-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reference input receiver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input data signal
KR100712998B1 (ko) * 2005-10-06 2007-05-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버퍼
KR100838367B1 (ko) * 2007-04-05 2008-06-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단 입력버퍼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7672183B2 (en) 2007-04-05 2010-03-02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wo-stage input buf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581B1 (ko) 2008-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2653B2 (en) Multimode data buff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pagation delay time
US7366041B2 (en) Input buffer for low voltage operation
US668716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roviding address access time and data access time at a high speed
KR100272167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기준 신호 발생 회로
KR100533384B1 (ko) 저진폭 전압구동 글로벌 입출력 라인을 갖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US6256260B1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nput buffers and latch circuits
US6803792B2 (en) Input buffer circuit with constant response speed of output inversion
KR100416625B1 (ko) 기준전압 변동을 감소시키는 차동 타입의 입출력 버퍼
US658031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table high voltage signal
KR100808581B1 (ko) 글리치 방지 기능을 갖는 입력 버퍼 회로
KR10020660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870416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clock enable buffer to produce stable internal clock signal
US5940330A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clock input buffers
KR20010004957A (ko) 동기식 디램의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KR100558477B1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압 발생회로
KR19990041486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클럭보정장치
KR100668747B1 (ko) 데이터 입출력 장치
KR100997430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6228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명령 디코딩 회로
KR10043152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의 입력버퍼회로
KR100243020B1 (ko) 출력버퍼회로
US7843223B1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81353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래치 회로
KR20050015819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인에이블 신호 입력 버퍼
KR20070073023A (ko) 반도체 소자의 입력 버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