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688A -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 - Google Patents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688A
KR20030051688A KR10-2003-7004546A KR20037004546A KR20030051688A KR 20030051688 A KR20030051688 A KR 20030051688A KR 20037004546 A KR20037004546 A KR 20037004546A KR 20030051688 A KR20030051688 A KR 20030051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ction
track
bea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258B1 (ko
Inventor
디에트제한스-울리히
쉬메데르스스테판
Original Assignee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5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0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 E01B9/42Tie-plates for flat-bottom rails of two or mor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5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E01B9/686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textur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01B9/685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지점의 형태로 서로 이탈하는 프로파일 섹션을 트랙 섹션을 따라 포함하는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어링은 연계된 철도 침목과 리브형판 사이에 배치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층(24)에 부가하여, 리브형판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지지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트랙의 섹션을 따라 동일한 침하를 획득하기 위해서, 각각의 또는 실질적인 각각의 지지점이 각 패여진 트랙 섹션 또는 트랙 섹션들에 관하여 동일한 최대 침하를 갖는다.

Description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Bearing for a section of a track}
로드베드(roadbed)를 위한 규정된 탄성을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음향의 감소를 얻기 위해서, 트랙을 수납하는 리브형판 같은 기부판과, 침목 또는 콘크리트판 같은 지지부 사이에 탄성 중간판이 배치되며, 이는 머캐덤(macadam) 구조 또는 솔리드형 도로 양자 모두에 사용된다. 사용되는 탄성 중간판은 기부판의 지지면에 실질적으로 선형적으로 의존하는 탄성 강도를 가지는 PU 발포체 같은 셀룰러 엘라스토머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을 따라 연장하는 지지점은 지점의 시점 또는 지점의 종점에 그들이 배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특히 지점의 일 지점의 영역에서, 다양한 강도를 가진다.
편향 곡선은 트랙을 통과하는 차륜을 위한 레일을 초래하고, 상기 편향 곡선은 실질적으로 그 위에 차륜 부하가 없는 레일 섹션의 관성 또는 저항 또는 모멘트에 의존하며, 순차적으로 중간판의 탄성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는 지지점의 탄성 강도에 의존한다. 리브형 판 같은 지지점의 기부판은 일반적으로 기부판의 변형 없이 차륜 부하가 전달되는 방식으로 치수설정된다.
결과적으로, 차륜 부하 및 침하로 구성되는 비율로부터 초래하는 트랙의 탄성 강도는 트랙내에서 일 지점 또는 교차부의 것으로부터 이탈한다.
탄성 중간판을 가지는 레일 배열은 D 198 23 812 A1호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단일부재 가황체로 구성되고,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영역으로 분할된 하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DE 32 30 565 A1은 용접에 의해 연결된 개별 판들의 섹션으로 구성된 스위치 구조를 위한 레일 기부에 관한 것이다.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은 힘의 정상 도입 동안 지지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하는 지지부 단부에 절삭된 돌출부를 가지는 DE 298 07 791 U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철도 침목 또는 콘크리트 판 같은 연계된 지지부와 기부판 사이에 배치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판에 부가하여, 활주 베드판 또는 지지 프레임을 가지는 리브형 판, 설상 돌기판, 리브형판 같은 기부판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특히, 전환점의 형태로 서로 이탈되어 있는, 트랙 섹션을 따른, 프로파일 섹션을 가지는 트랙의 섹션용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리브형 판의 상면도.
도 2는 도 1의 리브형 판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활주 베드판을 구비한 리브형판의 상면도.
도 7은 도 6의 리브형 판의 저면도.
도 8은 도 7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리브형판의 상면도.
도 11은 도 10의 리브형판의 저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형 상태 결과, 즉, 예로서, 일 지점 또는 교차부의 영역내의 편향 곡선이 정상 트랙의 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특히 일 지점의 형태로, 그 프로파일 섹션이 서로 이탈된 레일 섹션을 가지는, 트랙의 섹션을 위한 상술한 유형의 베어링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그로부터 제거된 레일 섹션 또는 섹션들을 고려하여, 각각의 또는 실질적으로 각각의 트랙 섹션의 지지점이 동일 최대 침하를갖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이는 중간판이 실질적으로 그 위에 지지된 레일 섹션 또는 기부판상에 지지된 레일 섹션에 의해 결정되는 저항의 모멘트에 관련하여, 차륜이 트랙 섹션을 통해 주행할 때, 각 지지점내의 트랙섹션을 따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침하가 초래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각 중간판은 저항의 동일한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섹션을 위해 의도된 지지점을 위해 중간판에 대면하는 기부판의 부하제거 기부면에 무관한 기부면을 제거하는 표면 연장부를 가진다. 달리 말해서, 항상 동일한 제거면을 가지는 탄성 중간판이 그 표면 연장부에 독립적으로 기부판 아래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어떠한 차륜 부하도 없을 때, 실질적으로 지지부에 대면한 그 전방 단부 영역에서 중간판이 기부판을 보강한다.
중간판 그 자체는 적어도 횡단축에 대칭으로, 특히, 또한, 중간판의 종축에 대칭으로 연장하는 중앙 영역내의 각 종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하는 뼈대형 오목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오목부의 형상은 각 오목부가 기부의 횡단축에 평행한 길이(la)를 가지고, 횡단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열내에 배치된 두 오목부가 1.1 x la≤lz≤1.5 x la의 거리(lz)를 갖는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이 적합하다. 그에 의해, 리세스는 평상시 동안, 즉, 기부판을 지지하며 전방 단부에서 연장하는 중간판의 섹션의 자유 외면에 대하여 허용 불가한 차륜 부하가 적용되지 않는 동안 셋 백(set back) 방식으로 연장하는 중간판의 연속 섹션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이는 허용불가한 응력이 배제되도록 기부판으로부터 선행하는 레일 섹션 바로 아래에 기부판의 견고한 지지를 보증한다.
또한, U-형 추가 리세스가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와 접하는 각 횡단 에지 영역에서 중간판내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종방향 측면은 각 외주 오목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최대폭을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 설명, 장점 및 특징은 청구항에서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에도 특징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발견할 수 있다.
스위치 지점을 따른 지지점의 소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제한하지 않는 도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오히려, 이는 그 위에 레일 섹션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점이 서로로부터 이탈하는 저항의 모멘트를 가지는 트랙 섹션에 매우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지에 기초하여, 동일 부하를 가지는 차륜이 이를 통과할 때 각 지지점에서 동일 최대 침하가 초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는 각 리브형판과 침목 또는 콘크리트 판 같은 지지부 사이에 탄성 중간판을 배치함으로써 달성되며, 이는 주로 동일 최대 침하를 보증하기 위해 스톡 레일 및 설상 레일 같은 지지된 레일 섹션이나 리브형판상에 지지된 레일 섹션의 저항의 모멘트에 기초하여 설계된다. 리브형판의 변형 없이 차륜 부하가 통과하는 방식으로 리브형판이 치수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발명의 교지를 실시하기 위한 중간판을 설계할 때, 저항의 모멘트도 고려된다.
리브형판(1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예로서, 스위치 지점의 시발부에 배치된다. 순차적으로 리브(12, 14, 16, 18) 사이에서 연장하며, 스트레이너(미도시)에 의해 유지되는 스톡 레일(미도시)이 이에 고정된다. 이브형판(10) 그자체는 개구(20, 22)를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침목 또는 콘크리트판 같은 지지부에 결합된다.
저면상에서, 리브형판(10)은 탄성 중간판(24)을 구비한다. 중간판(24)은 도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및 단부 양자모두상에서 리브형판(10)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중간판(24)과 리브형판(10) 사이의 연결부는 가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브형판(10)은 중간판(24)의 전방 단부 섹션(26, 28)에 의해 지지된다. 리브형판(10)이 정상 휠 부하를 받지 않을 때, 또는, 휠 부하가 제거되었을 때, 상기 전방 단부 섹션 사이의 섹션은 중간판(24)을 직접 지지하는 판에 또는 침목 또는 콘크리트판의 표면에 대응할 수 있는 중간판(24)의 지지면(34)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한다. 그러나, 이에 관하여, 충분히 공지된 구조를 참조하라.
섹션(32) 그 자체는 중앙 섹션(36)과, 함께 섹션(32)을 형성하는 오목부(38, 40, 42, 44) 사이에서 연장하는 섹션(46, 48, 50, 52, 54, 5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면도에서 직사각형인 추가 오목부(60, 62)가 섹션(32)과 전방 단부 영역(30, 28) 각각의 사이에서 중간판(24)의 종축(58)에 대각선으로 연장한다.
종방향 단부 영역으로 연장하는 오목부(38, 40, 42, 44)는 뼈대 형상을 가지며, 중간판(24)의 종축(58) 및 횡축(64) 양자 모두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오목부(38, 40, 42, 44, 60, 62)는 중간판(24)의 전체 지지면을 형성하고, 따라서, 강체이며, 그래서, 그 위에 레일 섹션의 관성 또는 저항 모멘트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배열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도, 리브형판(10)에 의해 주어진 지지점의 최대 침하가 특성량으로서 지점의 영역에서 다른 지지부에 의해 사전결정된 양호한 값을 달성한다. 이는 영구적인 방식으로 저항의 모멘트가 증가할 때, 중간판의 강성이 최대 지지면을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다른 탄성을 가지는 중간판 재료를 사용하여 그에 따라 감소된다.
달리 말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지지레일 섹션 또는 섹션들의 저항의 증가하는 모멘트와 함께 중간판이 보다 유연해진다.
도 6 내지 도 9에서, 중간 활주 베드판(68)을 가지는 리브형판(66)이 도시되어 있고, 그를 따라, 그 하측면 및 그 에지(70)를 포함하는 탄성 중간판(72)이 배치되고, 이는 중심의 섹션(74)이 기부(76)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하는 반면에, 무부하 또는 정상 부하가 존재할 때, 실질적으로 우변 영역에서 리브형판을 둘러싼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라서, 섹션(74)은 중간판(72)의 횡축(88) 및 종축(86)에 대칭적으로 연장하는 뼈대형 오목부(78)를 한정한다. 에지상에서, U-형 오목부(86, 88)가 제공되고, 이는 실제로 두 개의 U형 기부 섹션(90, 92) 및 그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하는 L형 섹션(94, 96, 98, 100)으로 구성되고, 횡축(8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그 측면(104, 106, 108 및 110)은 중간판(72)의 횡축(88)에 평행하게 오목부(78, 80, 82, 84)의 것에 대응하는 연장부를 가진다. 오목부(78, 80, 82, 84, 86, 88)는 도 7의 중간판(72)상의 상면도와 단면도 8 및 9의 비교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중간판(72)의 섹션(74)에 의해 한정된다.
도 1 내지 도 5의 오목부(38, 40, 42, 44)와 같이, 횡축(88)의 바로 근방에서 연장하는 내부 오목부(78, 80, 82, 84)는 뼈대 형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오목부(78, 80, 82, 84)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판(72)의 섹션은 상면도에서 원형이다. 동일한 형상이 L형 오목부(94, 96, 100, 102) 및 인접 오목부(78, 80, 82, 84) 사이에 연장하는 영역에 대하여 적용된다.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78, 80, 82) 또는 횡(8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측면(104, 106, 108, 110)은 각각 오목부(78, 82 또는 80, 84) 사이의 거리(lz)보다 작은 길이(la)를 갖는다. 거리(lz)는 약 리세스(la)의 길이 보다 약 20 내지 50% 크다.
리브형판(10)에 고정된 스톡 레일의 저항의 모멘트에 비해, 활주 베드판(68), 스톡레일 및 설상 레일을 가지는 리브형판(66)상에 지지된 레일 섹션의 저항의 모멘트가 보다 크기 때문에, 중간판(72)은 도 2의 중간판(24) 보다 낮은 강도를 갖는다.
지지점의 레일 섹션의 저항의 모멘트가 현저히 큰 경우에, 이때, 중간판의 강도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로 예시되게 되는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추가로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14)을 가지는 리브형판(112)은 그로부터 안내 레일이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달리 말해서, 리브형판(112)은 프로그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에 따라서, 주변(도 10의 중간판(116)의 에지(118))상에서 리브형판(114)을 둘러싸는 탄성 중간판은 리브형 판(112)의 하측면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중간판(116)은 주변 섹션(118, 120)을 가지고, 이를 경유하여 리브형판(112)이 일반적으로 제거된다. 뼈대형 오목부(122, 124) 또는 U형 오목부(126, 128, 130, 132)는 리브형판(112)의 중앙 영역에 제공되고, U형오목부(126, 128)는 도 7의 오목부(86, 88)에 대응한다. 뼈대형 오목부(122, 124)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대응하며, 이는 중간판(116)의 종축에 대한 대칭 배열을 형성한다. 또한, 중간판(116)의 섹션(136)은 오목부(122, 124, 126, 128, 130, 132)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섹션은 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형판(112)상에 작용하는 정상 차륜 부하 동안 주변 섹션(118, 120)에 대하여 셋 백되는 방식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이에 무관하게, 중간판(116)의 강도는 리브형판(112)에 의해 사전결정된 지지점을 차륜이 통과할 때 최대 침하가 리브형판(10, 66)을 포함하는 지지점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Claims (9)

  1. 철도 침목 또는 콘크리트판 같은 연계된 지지부와 기부판 사이에 배치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중간판에 부가하여, 지지판 또는 활주 베드판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이브형 판 같은 기부판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특히 전환점 형태로 서로 이탈하는 프로파일 섹션을 트랙 섹션을 따라 가지는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에 있어서,
    각각의 또는 실질적으로 각각의 지지점은 각 제거된 트랙 섹션 또는 트랙 섹션들에 관하여 동일한 최대 침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섹션을 위한 지지점은 동일한 부하 제거면을 가지는 탄성 중간판(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이한 저항 모멘트를 가지는 레일 섹션을 위한 지지점은 상이한 강도를 가지는 중간판(24, 72, 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24, 72, 116)은 각 종방향 에지를 따라 중앙 영역으로 연장하는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38,40, 42, 44, 78, 80, 82, 84, 122, 1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8, 40, 42, 44, 78, 80, 82, 84, 122, 124)는 적어도 상기 중간판(24, 72, 116)의 종축(58, 86, 134)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8, 40, 42, 44, 78, 80, 82, 84)는 상기 중간판(24, 72)의 횡축(64, 88) 및 종축(58, 86) 양자 모두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각 오목부(38, 40, 42, 44, 78, 80, 82, 84, 122, 124)는 길이(la)를 가지고,
    횡축(64, 88)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열내에 배치된 오목부는 1.1 x la≤lz≤1.5 x la의 거리(lz)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38, 40, 42, 44, 78, 80, 82, 84)는 정상 차륜 부하하에서 하부 중간 판의 지지면(34, 76)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연장하는 중간판(24, 72)의 연속 섹션(36, 7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24, 22)은 뼈대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78, 80, 82, 84, 122, 124)에 인접하는 각 횡단 단부 영역에서 U형 추가 오목부(86, 88, 126)를 가지고,
    상기 U형의 추가 오목부의 종방향 측벽은 뼈대형 기하학적 형상, 뼈대형 오목부의 길이(l2)에 대응하는 최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
KR1020037004546A 2000-09-29 2001-09-25 트랙의 섹션을 위한 지지장치 KR100609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8787.4A DE10048787B4 (de) 2000-09-29 2000-09-29 Lagerung für einen Gleisabschnitt
DE10048787.4 2000-09-29
PCT/EP2001/011046 WO2002027099A1 (de) 2000-09-29 2001-09-25 Lagerung für einen gleisabschni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688A true KR20030051688A (ko) 2003-06-25
KR100609258B1 KR100609258B1 (ko) 2006-08-04

Family

ID=765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546A KR100609258B1 (ko) 2000-09-29 2001-09-25 트랙의 섹션을 위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60433B2 (ko)
EP (1) EP1322817A1 (ko)
JP (1) JP3753175B2 (ko)
KR (1) KR100609258B1 (ko)
AU (2) AU2002213956B2 (ko)
BR (1) BR0114329A (ko)
CA (1) CA2424847A1 (ko)
CZ (1) CZ2003889A3 (ko)
DE (1) DE10048787B4 (ko)
HU (1) HUP0302205A3 (ko)
PL (1) PL360665A1 (ko)
RU (1) RU2249642C2 (ko)
WO (1) WO20020270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06B1 (ko) * 2006-08-14 2008-01-28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가드상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9605B1 (fr) * 2006-04-06 2008-06-20 Vossloh Cogifer Sa Platine double de fixation de deux rails contigus
CN101591875B (zh) * 2008-05-30 2013-05-22 郑丙林 数字编码轨枕垫及垫片、枕底垫板及垫板片、尼龙座及垫片座
DE202010009778U1 (de) * 2010-03-12 2010-10-14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und Unterlegplatte für ein solches System
CZ23382U1 (cs) 2011-12-20 2012-02-06 DT - Výhybkárna a strojírna, a.s. Podkladnicová sestava pro upevnení kolejnic
DE102016108097B3 (de) * 2016-05-02 2017-07-13 Semperit Ag Holding Schienenzwischenlag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842A (en) * 1972-11-02 1974-08-27 Mura G Rail fastening device
US4155507A (en) * 1977-12-19 1979-05-22 Holland Company Tie plate arrangement for railroad track
GB2024289B (en) * 1978-06-30 1983-03-30 Clouth Gummiwerke Ag Resilient rail support
AT372434B (de) 1981-09-18 1983-10-10 Semperit Ag Schienenunterlage fuer den weichenbereich
US4618093A (en) * 1983-12-13 1986-10-21 Ralph Mckay Limited Rail insulation pads
DE4138575A1 (de) * 1991-11-23 1993-05-27 Butzbacher Weichenbau Gmbh Zwischenlage zwischen einer unterlageplatte und einer unterlage eines oberbaus
DE4201631A1 (de) * 1992-01-22 1993-07-29 Butzbacher Weichenbau Gmbh Schwelle fuer schienen eines oberbaus fuer schienenfahrzeuge
US6471139B1 (en) 1997-06-18 2002-10-29 Phoenix Aktiengesellschaft Rail arrangement
DE29807791U1 (de) 1998-04-30 1998-07-30 Butzbacher Weichenbau Gmbh Lagerung für einen Gleisabschnit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306B1 (ko) * 2006-08-14 2008-01-28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가드상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395602A (en) 2002-04-08
CZ2003889A3 (cs) 2003-08-13
DE10048787A1 (de) 2002-04-18
CA2424847A1 (en) 2003-03-11
JP3753175B2 (ja) 2006-03-08
US20040035946A1 (en) 2004-02-26
DE10048787B4 (de) 2020-05-07
WO2002027099A1 (de) 2002-04-04
KR100609258B1 (ko) 2006-08-04
US6860433B2 (en) 2005-03-01
PL360665A1 (en) 2004-09-20
HUP0302205A3 (en) 2004-03-01
JP2004510081A (ja) 2004-04-02
EP1322817A1 (de) 2003-07-02
AU2002213956B2 (en) 2006-04-27
RU2249642C2 (ru) 2005-04-10
BR0114329A (pt) 2003-10-14
HUP0302205A2 (hu) 200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319B2 (en) Concrete railroad tie with guide plates for the rail base
US9932711B2 (en) Rail pad
CA1323013C (en) Railway switch comprising a frog having a movable main point and auxiliary point
DE3345388A1 (de) Elastisches stuetzlager fuer schienen von strassenbahnen
CN205024544U (zh) 一种用于隧道内的嵌入式轨道系统
CN105256669A (zh) 一种用于隧道内的嵌入式轨道系统
KR20030051688A (ko) 트랙의 섹션을 위한 베어링
CA2600746C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insulate rail ends
AU9735998A (en) Rail system
CA2920961A1 (en) Rail-mounting assembly
TW200821428A (en) Railway track
AU739329B2 (en) Rail arrangement
WO2009046748A1 (de) Bahnschwelle
US6581848B1 (en) Sleeper frame for a rail system for rail-mounted vehicles, especially for a ballasted track
KR200390690Y1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의 철골구조
EP3992051A1 (en) Treadplate for a floor of a gangway and gangway
CA2593426C (en) Tie for a ballasted track
EP1041201B1 (de) Lagerung für einen Gleisabschnitt
WO1995006166A1 (de) Schienenlager
RU2003112620A (ru) Опора участка пути
JPH0428841B2 (ko)
WO2008078977A1 (en) Canted rail for railway locomotion
RU2100514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ереезд
WO2023149809A1 (en) Positive under sleeper pad
CN216551368U (zh) 重载铁路用铁垫板下弹性垫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