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276A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276A
KR20030047276A KR1020010077726A KR20010077726A KR20030047276A KR 20030047276 A KR20030047276 A KR 20030047276A KR 1020010077726 A KR1020010077726 A KR 1020010077726A KR 20010077726 A KR20010077726 A KR 20010077726A KR 20030047276 A KR20030047276 A KR 20030047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mpact disc
sheet
case por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01007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276A/ko
Publication of KR2003004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33Multiple disc containers
    • G11B33/0444Multiple disc container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면 자동으로 콤팩트디스크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면 상의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 A의 일부는 케이스부 B의 내측으로 삽입하며 상기 케이스부 B의 일부도 케이스부 A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부 A와 B를 분리선을 중심으로 나누어지게 하며 연결고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도록 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및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Compact Disk Case and Sheet for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k: 이하 CD로 약칭함)를 보관하는 CD 케이스, CD 케이스용 제조용 시트 및 CD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 CD 케이스용 제조용 시트 및 CD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D를 보관하는 CD 케이스는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왔다. 통상 가장 많이 사용하는 CD 케이스는 CD 케이스의 상부 덮개를 위로 열어 젖히고 다시 손으로 CD를 꺼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CD 케이스 상부 덮개를 위로 열어 젖힐 때, 손바닥을 크게 펼쳐서 힘을 주어야 하며, 잘못 힘을 주다가는 CD 케이스가 파손되거나 손에서 놓치기 쉽다. 즉 통상의 CD 케이스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통하여 CD를 꺼내는 것이 용이하지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CD 케이스를 양손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열면, CD를 손쉽게 CD 케이스에서 꺼낼 수 있는 방법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4-1446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품화를 위해서는 양산을 고려해야 하지만, 상기에 개시된 CD 케이스는 일반적인 양산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 만큼 상품화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특히, 종이로 만들게 되는 CD 케이스의 경우 일일이 사람이 조립 및 접착을 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가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를 열면 자연스럽게 CD가 배출되도록 구성하되, 양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 A의 일부는 케이스부 B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케이스부 B의 일부도 케이스부 A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부 A와 B는 분리선을 중심으로 나누어지며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는 CD 케이스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한 회동결합수단은 케이스부 A 및 케이스부 B의 연결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연결고리이며, 상기 분리선은 회동결합수단에서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부 A는 본체부 A와 상기 케이스부 B의 본체부 B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부 A로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부 B는 본체부 B와 상기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하며, 상기 밀대부 A 및 B 각각의 밀대면의 폭은 본체부 B 및 A 각각의 내부폭 보다 작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밀대부 A 및/또는 밀대부 B의 밀대 앞면 혹은 뒷면을 절취하여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는 케이스를 열 때 내부에 수납된 CD를 밀게되는 밀대면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밀대면의 내부 모서리를 하나로 구성한다. 이때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의 결합 안내를 위해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의 어느 한 곳에 받침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되, 상기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연결구멍에 연결고리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의 하나가 회전 개폐되게 연결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는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는 연결쇠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중에서 어느 하나에 고정축이 결합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한 복수 케이스부 A 또는 케이스부 B 중에서 하나를 한 몸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 표면에 각각 도안을 표시하되, 케이스부 A와 B를 닫으면 표면 도안이 합쳐져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케이스부 A와 B를 열면 나타나는 삽입영역에 도안을 표시하고, 케이스부 A와 B를 열면 3부분의 도안이 합쳐져 새로운 의미의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부 A와 B를 분리선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당겨 열면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면 시트 상에 앞면, 뒷면, 접착면, 측변, 미는변 및 접는 선을 표시 형성하되, 상기 앞면과 뒷면을 접고 접착면을 접착하여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를 접어 형성할 수 있도록 한 CD 케이스용 시트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한 접착면에는 접착제를 코팅하여 형성하고, 케이스부 A 혹은 B에 하단 받침접착면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수부 A 혹은 케이스부 B에 대각선 방향으로 분리선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부 A와 B를 분리선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당겨 열면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앞면, 뒷면, 접착면, 하단 받침접착면, 측변, 미는변, 분리선 및 연결구멍이 있는 평면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케이스부 A를 형성하고; 앞면, 뒷면, 접착면, 측변, 미는변 및 연결구멍이 있는 평면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케이스부 B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부 A의 일부가 케이스부 B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상기 케이스부 B의 일부도 케이스부 A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연결고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하는 CD 케이스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도 1a와 도 1b는 양옆으로 여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시트 상태로 된 케이스부 A의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시트 상태로 된 케이스부 B의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시트로 만들어진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의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적층하여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적층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함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적층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콤팩트디스크 파일에 장착 가능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도면이다.
도 10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케이스부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체부와 밀대부로 구성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여러 개의 CD를 담을 수 있는 CD 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4b는 CD 케이스 표면 도안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결고리1a : 연결구멍
2 : 케이스부 A3 : 케이스부 B
7 : 분리선34 : 손잡이
2a : 케이스부 A 뒷면2b : 케이스부 A 앞면
3a : 케이스부 B 앞면3b : 케이스부 B 뒷면
2c : 케이스부 A 접착면2f : 케이스부 B 접착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CD를 보관하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배출 혹은 장착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a 와 도 1b는 양옆으로 여는 CD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는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회동결합수단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의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고리(1)로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화살표(4) 방향으로 열면, CD 케이스는 분리선(7)을 중심으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로 나누어 지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에 있던 CD(8)는 케이스 밖으로 나와 CD(8)를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CD 케이스를 화살표(4) 방향으로 열면, 케이스부 A(2)의 밀대면(20a)과 케이스부 B(3)의 밀대면(21a)이 상호 좁아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각각의 밀대면(20a)(21a)이 CD(8)를 밀어내는 효과를 갖게된다. CD 케이스를 열기 전에 밀대면(20a)(21a)의 각도는 90도 였으나, CD 케이스를 열면 밀대면의 각도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케이스부 A(2)는 도면에서 윗쪽에 CD 출입구인 개구(9a)가 형성되고, 케이스부 B(3)는 도면에서 오른쪽 윗쪽에 개구(9b)가 형성되고 각각 내부에는 CD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2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면, 케이스부 A(2)는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으로 내부에는 CD가 장착될 정도의 공간이 있고, 개구(9a)와 함께 개구 반대쪽(도면의 아래쪽)에 밀대구멍(9c)이 뚫려져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 A(2)의 앞 뒤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략 대각선의 1/3-2/3 정도가 절단되어 분리선(7)을 형성한다.
케이스부 A(2)의 분리선(7)에는 케이스부 B(3)의 밀대부(21)가 삽입되어져서, 결과적으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결합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케이스부 B(3)도 납작한 직육면체의 모양에서 개구(9b)와 함께 개구의 반대쪽에 밀대구멍(9d)이 뚫려져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기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본 구조에서, 앞면과 뒷면을 원호 모양으로 절개하여 밀대부(21)를 만든다.
CD 케이스가 결합되면, 케이스부 A의 밀대구멍(9c)은 케이스부 B(3)의 양옆의 밀대면 B(21a)에 의해 막혀지고, 케이스부 B의 밀대구멍(9d)은 케이스부 A(2)의 밀대면 A(20a)에 의해 막혀진다.
한편, 도 1과 도 2의 CD 케이스를 펼친 상태의 시트(sheet)로 구성하고, 상기 시트상에 일정 표식을 두어 손쉽게 CD 케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시트 상태의 CD 케이스를 만들어 표시된 대로 접어서 용이하게 CD 케이스를 만들 수 있으며, 그 실시 헝태를 도 3a 내지 도 4c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케이스부 A(2)의 시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일체형으로 된 A 시트(sheet)상에 뒷면(2a)과 앞면(2b)이 있고, 접착면(2c)과 하단 받침접착면(2f)이 있으며, 측변(2d)과 미는변(2e)이 있다. 그리고 연결고리(1)가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 구멍(1a)이 있고, 앞면과 뒷면의 일부 즉 1/3 에서 2/3 정도 절단하여 분리선(7)을 형성한다.
하단 받침접착면(2f)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결합되고 연결구멍(1a)을 중심으로 CD 케이스가 열리고 닫칠 때, 케이스부 B(3)를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즉 케이스부 A(2)의 하단 받침접착면이 케이스부 B(3)의 연결구멍(1a) 하단을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측변(2d)과 미는변(2e)을 중심선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a에서 미는변(2e)은 도 1과 도 2에서 밀대면(20a)에 해당된다. 즉 CD 케이스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밀대면(20a)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미는변(2e)으로 한 구조이다. 마찬가지로 측변(2d)도 두께를 최소화한 구조이다. 즉 모서리가 2개인 밀대면(20a)을 모서리가 1개인 미는변(2e)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접착면(2c)과 하단 받침접착면(2f)은 빗금으로 나타내었다.
도 3b는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시트로서 케이스부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앞면(2b)과 뒷면(2a)은 측변(2d)을 경계로 접혀지고, 접착면(2c)과 앞면(2b)은 미는변(2e)을 경계로 접혀진다. 그리고 하단 받침접착면(2f)도 뒷면(2a)의 테두리 선을 따라 접혀진다.
미는변(2e)과 측변(2d)은 선으로 표시하여 접는 부분임을 나타낼 수 있으며, 케이스부 A(2)의 시트 표면에 미는변(2e)과 측변(2d)을 따라서 가는 홈을 형성하여 접혀지기 쉽게 할 수 있다. 시트 상에 접혀지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미는변(2e)과 측변(2d)을 시트상의 한쪽면에는 선으로 다른 한쪽면에는 점선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한 시트상의 면을 안쪽으로 해서 접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펼쳐진 케이스부 A의 형상을 갖는 비닐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비닐 표면에 각각 종이로 따로 형성된 앞면(2b), 뒷면(2a), 접착면(2c) 및 하단 받침접착면(2f)을 부착함으로써, 케이스부 A의 시트를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구조적으로 보강되고, 미는변(2e)과 측변(2d)을 경계로 앞면(2b)과 뒷면(2a)이 더 잘 접히게 된다. 즉 케이스부 A의 형태를 갖는 하나의시트 상에 앞면(2b), 뒷면(2a), 접착면(2c)을 부착하여, 두 개 층으로 케이스부 A의 시트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c는 시트의 앞면과 뒷면이 완전히 접혀져 케이스부 A가 형성된 도면이다. 앞면(2b)과 뒷면(2a)이 완전히 접혀지고, 접착면(2c)도 완전히 접혀져 앞면(2b)과 뒷면(2a) 사이로 들어간다, 또한 하단 받침접착면(2f)도 완전히 접혀져 앞면(2b)과 뒷면(2a) 사이로 들어간다.
그리고 접착면(2c)과 하단 받침접착면(2f)에는 접착 물질이 코팅되어져 있어, 앞면(2b)과 뒷면(2a)을 서로 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a와 도 3b의 도면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면에 접착 물질을 코팅한다. 따라서 접착면(2c)은 뒷면(2a) 안쪽과 접착되고, 하단 받침접착면(2f)은 앞면(2b) 안쪽면과 접착된다.
접착 물질의 코팅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접착면에 비닐 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이 비닐 필름을 떼어내면, 접착 물질이 노출되어 접착효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시트 상태로 된 케이스부 B(3)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일체형으로 된 B 시트(sheet)상에 앞면(3a)과 뒷면(3b)이 있고, 접착면(3c)이 있으며, 측변(3d)과 미는변(3e)이 있다. 그리고 연결고리(1)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 구멍(1a)이 있다. 앞면(3a)과 뒷면(3b)은 일부를 절개하고 상호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측변(3d)과 미는변(3e)을 중심선으로 하여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에서 미는변(2e)은 도 1과 2에서, 밀대면(21a)에 해당된다. 즉 CD 케이스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밀대면(21a)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미는변(3e)으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측변(3d)도 두께를 최소화 하였다. 즉 모서리가 2개인 밀대면(21a)의 모서리가 1개인 미는변(3e)으로 하여 두께를 얇게 한 것이다.
도 4b는 부분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시트로서 케이스부 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앞면(3a)과 뒷면(3b)은 측변(3d)을 경계로 접혀지고, 접착면(3c)과 앞면(3a)은 미는변(3e)을 경계로 접혀진다. 미는변(3e)과 측변(3d)은 선으로 표시하여 접는 부분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c는 시트의 앞면과 뒷면이 완전히 접혀져 케이스부 B가 형성된 도면이다. 앞면(3a)과 뒷면(3b)이 완전히 접혀지며, 접착면(3c)도 완전히 접혀져 앞면(3a)과 뒷면(3b) 사이로 들어간다.
접착면(3c)은 접착 물질로 코팅되어 있어서, 앞면(3a)과 뒷면(3b)을 서로 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4a와 도 4b의 도면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에 접착 물질을 코팅한다. 따라서 접착면(3c)은 뒷면(3a) 안쪽과 접착된다. 그리고 케이스부 A의 분리선(7)에 삽입되는 삽입부(3f)가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시트로 만들어진 CD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시트를 접어서 만든 케이스부 A(2)와, 도 4a에 도시된 시트를 접어서 만든 케이스부 B(3)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시트를 접어서 도 4c와 같은 케이스부 B가 만들어지고, 도 4c 상태에서 90도 우회전하여 삽입부(3f)를 통하여 케이스부 A와 결합하면, 도 5a에 도시된 CD 케이스가 완성된다.
도 5b는 시트로 만들어진 CD 케이스의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시트로 만들어진 CD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시트로 만든 CD 케이스의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1 에서 도 4까지의 설명 내용과 동일하다.
도 6a는 CD 케이스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CD 케이스는 도 3c에 나타낸 케이스부 A(2)와 도 4c에 나타낸 케이스부 B(3)를 결합하여 완성된 CD 케이스를 적층하여 형성한다.
도면에서 처럼 각각의 CD 케이스는 연결 구멍(1a)을 통하여 연결고리(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결합된다. 또한 CD 케이스 측면에 손잡이(34)가 구비되어 적층 상태에서도 CD 케이스를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6b는 연결고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고리(1)는 연결축(1b)과 연결쇠(1c)로 구성된다. 연결쇠(1c)는 활대처럼 탄력재의 프라스틱이나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 윗 방향으로 연결쇠(1c)를 당기면 연결쇠(1c) 상단과 연결축(1b) 상단이 분리되고, 분리된 틈으로 CD 케이스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CD 케이스를 적층할 때, 연결고리(1)를 통하여 CD 케이스를 적층 상태에 더할 수도 있고, 적층상태에서 뺄 수도 있다.
도 7a와 도 7b는 적층된 CD 케이스를 CD 함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7a는 열려진 상태의 CD 함(50)을 보여주고 있다. CD 케이스는 CD 함(50)에 연결회전축(31)과 고정축(41)을 통하여 고정된다.
연결회전축(31)은 CD 케이스를 CD 함(50)에 고정하면서, CD 케이스를 열 수있도록 회전되어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즉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의 연결구멍(1a)에 연결회전축(31)이 삽입되어 CD 함(50)에 고정된 것이다. CD 함(50)을 열 경우 맨 위의 CD에 있는 분리선(7)이 노출된다.
한편 CD 함(50)에는 고정축(41)이 있어서 CD 케이스를 CD 함(50)에 지지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축(41)은 도 5에서 도시된 고정구멍(1a')에 연결된다. 한편, 고정구멍(1a')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 중에서 하나의 케이스부에 만 형성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부 B(3)에 고정구멍(1a')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케이스부 A에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CD 케이스가 결합되었을 때, 고정구멍(1a')이 형성된 부분과 만나는 케이스부 A 부분을 절개한다. 즉 도 5c에서 케이스부 A(2)의 촤측 상단에 점선으로 표시된 원이 케이스부 B(3)의 고정구멍(1a')과 만나는 지점이다. 따라서 케이스부 A(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원이 포함되도록 케이스부 A(2)의 모서리를 절개한다. 그렇게 하여야만 고정축(41)에 케이스부 B 만이 고정된다.
도 7b는 CD 함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림에서처럼 CD 함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는 적층된 CD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적층된 CD 케이스를 CD 파일(file)의 형태로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CD 파일(55)에는 고정축(41)과 연결회전축(31)이 구비된다. 연결회전축(31)은 CD 케이스의 연결구멍(1a)과 결합된다. 그리고 CD 파일(55) 내부에는 CD 케이스와 인쇄물(24)이 장착된다. 또한 고정축(41)은 도 9a에 도시한 고정구멍(1a')과 연결된다.
도 8b는 CD 파일 상단을 열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CD 파일(55) 상단을 열고 CD를 볼 수가 있다. CD 파일(55)의 접철부(55a)를 중심으로 접어서 CD 파일(55)을 열 수 있는 것이다. CD 파일(55)을 열 경우 맨위의 CD에 있는 분리선(7)이 노출된다.
도 9a, 9b 및 9c는 CD 파일에 장착 가능한 CD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케이스부 B(3)를 보여주고 있다. 케이스부 A와는 별도로 고정부(3a')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3a')에 연결구멍(1a)과 고정구멍(1a')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9b는 케이스부 A(2)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부 A에는 연결부(2a')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a')에는 연결구멍(1a)을 형성한다. 즉 CD 케이스를 적층하여 형성하고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 중에서 하나에만 형성한다.
도 9c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를 결합한 구조이다.
케이스부 B(3)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케이스부 A(2)에 결합한.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고정부(3a')를 고정구멍(1a')이 형성될 정도로 일정 폭의 크기로 하였으나, 반드시 고정구멍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지 않고, CD 케이스를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부를 꺽어서 CD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강한 줄등을 사용하여 CD 케이스를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양산성을 위한 자동 조립도 생각 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를 자동 조립하기 위한 구조 변경이 필요하다. 또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사출 제작할 때도 한번에 사출 제작을 하도록 구조가 만들어지면 편리하다. 도 10과 도 11은 CD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산 및 조립하기 위하여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구조 변경한 실시 형태이다.
도 10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케이스부 A(2)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조립될 때, 도 3c에 도시된 케이스부 A의 연결구멍(1a) 하단으로, 도 4c에 도시된 케이스부 B(3)의 삽입부(3f)가 삽입되어져서 결합된다.
따라서 자동 결합시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케이스부 A의 연결구멍(1a) 하단을 절개하여, 절개부(2g)를 형성하였다. 도면에서는 절개부(2g)의 절개된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연결 구멍(1a)의 하단이 절개되므로 하단 받침접착면(2f)도 연결구멍(1a) 오른쪽 하단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체부와 밀대부로 구성되는 CD 케이스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a는 본체부(22)와 밀대부(20)로 형성된 케이스부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밀대부(20)는 밀대면(20a), 밀대 뒷면(20c) 및 밀대 앞면(20d)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b는 밀대 앞면(20d)이 절개된 상태의 케이스부 A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밀대부(20)에서 밀대 앞면(20d)을 절개하여도, 도면에서와 같이 CD 홈(11)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밀대 앞면(20d)을 절개하면, 사출시 한 벌의 사출 작업에 의하여 케이스부 A를 제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밀대면(20a)의 폭(B)이 본체부 내부폭(A)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자동 조립할 때, 본체부에 삽입되는 밀대부(20)의 밀대면(20a)의 폭이 작게 형성되어야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c는 케이스부 B(3)를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부 B도 밀대부(21)와 본체부(23)으로 구성된다.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자동 조립할 때, 케이스부 A의 밀대면(20a)이 삽입되어지는 위치가 케이스부 B의 본체단면부(23a)이다. 즉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자동 조립할 때, 본체부(23)에 삽입되는 밀대부(20)의 밀대면(20a)의 폭이 본체부(23) 내부폭 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2는 여러 개의 CD를 담을 수 있는 CD 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체와 CD 함을 일체로 하였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부 A와 본체부 B 중에서 하나의 본체부를 일체형의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부 B의 본체부를 하나의 함 형태로 하여 본체함(23')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함(23')의 측면에 CD 홈(11-1, 11-2, 11-3, ...)을 다수개 형성하며, 밀대부(21-1, 21-2, 21-3, ...)도 다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여기에 도 11a에 도시한 케이스부 A(2) 다수개를 각각 삽입 결합한다.
결합시에는 1개의 CD 케이스에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를 겹합하는 원리와 동일하다. 즉 케이스부 A(2)의 밀대부(20)를 본체함(23')에 삽입하고, 본체함(23')에 형성된 밀대부(21-1)를 케이스부 A의 밀대구멍(9c)에 삽입한다. 한편 케이스부 A의 본체부(22)는 본체함(23')에 형성된 밀대부 사이(21-1a, 21-2a, ...)에 삽입된다.
그러한 방법으로, 다수개의 케이스부 A(2)를 본체함(23')에 층층히 삽입할 수가 있으며, 그런 다음 연결 회전축으로 각각의 CD 케이스를 고정한다.
도 12b는 케이스부 B 본체함에 케이스부 A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여러개의 케이스부 A(2)가 본체함(23')에 삽입되므로, 케이스부 A의 본체부(22-1, 22-2, 22-3, ...)에도 일렬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케이스부 A의 밀대부(20-1)에도 일렬 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도 11a에 도시된 케이스부 A(2)를 본체함(23')에 결합할 때, 케이스부 A의 본체 앞면(22a)과 본체 뒷면(22b)을 절개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체함(23') 맨위에 결합되는 케이스부 A의 경우에는 본체 뒷면(22b)을 절취하고, 본체함(23') 맨 아래에 결합되는 케이스부 A의 경우에는 본체 앞면(22a)을 절취한다. 그리고 가운데 결합되는 케이스부 A의 경우에는 본체 앞면(22a)과 본체 뒷면(22b)이 모두 절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CD 케이스 함을 좀더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본체함(23')에 다수개의 케이스부 A를 결합하여 CD 보관함을 만들면,손잡이(34)를 통하여 하나 하나씩 열 수가 있으며, 따라서 원하는 위치의 CD를 꺼낼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로 인쇄물 등을 보관하는 부착부(24)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부 A의 본체부를 본체함과 일체로 하여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케이스부 B를 본체함에 삽입할 수가 있다.
한편, 열고 닫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이용하면, 표면 도안을 종래의 CD 케이스와 다른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어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다음의 실시예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CD 케이스의 표면 도안의 실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표면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11 등에서 본체부 외부 표면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처럼 평상시의 CD 케이스는 닫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CD 케이스의 표면 도안도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를 기준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즉 CD 케이스는 분리선(7)을 중심으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표면 도안도 케이스부 A(2) 케이스부 B(3) 모두에 걸쳐서 만들어져야 한다. 도에서는 사각형(7a)의 도안을 예로 나타내었다.
도 13b는 CD 케이스를 열었을 때 표면 도안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CD 케이스를 열면 CD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었던 삽입영역(21f)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분리선(7)을 중심으로 CD 케이스의 표면 도안도 분리된다. 도면에서처럼,CD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는 사각형이었던 표면 도안이, CD 케이스를 닫으면 삼각형의 형태로 되는 것이다.
CD 케이스의 표면 도안은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를 기준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분리선(7, 7')을 중심으로 해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 표면 모두에 도안을 표시하게 되면,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 각각의 표면 도안이 합쳐져서 하나의 완성된 도안이 만들어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CD 케이스를 열었을 때를 이용하는 도안의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와 CD 케이스를 열었을 때 표시되는 도안을 다르게 하여, CD 케이스를 열고 닫음에 따른 디자인적 효과를 최대로 한다.
도 14a에서처럼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에는 "I YOU" 의 도안이 표시되었지만, CD 케이스를 열었을 때에는 "I ♡ YOU" 의 도안이 표시된다. 즉 CD 케이스를 열었을 때와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의 도안의 내용이나 의미가 달라지게 되어, CD 케이스를 여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CD 열게 됨에 따라 삽입영역(21f)이 외부로 노출되고, CD 케이스를 닫았을 때 그려진 표면 도안과 삽입 영역의 도안이 합쳐져서 새로운 도안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CD 케이스의 표면 도안과 삽입 영역(21f)의 도안이 합쳐져서 하나의 도안을 형성하도록 미리 도안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욱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CD 케이스 표면 도안과 삽입영역(21f)의 합쳐져 만들어진 도안의 개념이 서로 달라지게 도안 구상을 하므로서 CD 케이스를 여는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품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부 A와 B를 펼친 상태의 평면 시트로 형성하여 표시된 대로 손쉽게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용이하게 CD 케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층 상태의 CD 케이스를 제안하고, 이것을 일체형의 함이나 파일 형태로 연결하여, 여러개의 CD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9)

  1.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 A의 일부는 케이스부 B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부 B의 일부도 케이스부 A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부 A와 B는 분리선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A 및 케이스부 B의 연결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은 회동 결합부에서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A는 본체부 A와 상기 케이스부 B의 본체부 B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부 A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부 B는 본체부 B와 상기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되며, 상기 밀대부 A 및 B 각각의 밀대면의 폭은 본체부 B 및 A 각각의 내부폭 보다 작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부 A 및/또는 밀대부 B의 밀대 앞면 혹은 뒷면을 절취하여 제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는 케이스를 열 때 내부에 수납된 CD를 밀게되는 밀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대면은 내부 모서리가 하나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의 결합 안내를 위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된 받침접착면을 포함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9. 제 1 항, 제 4 항 혹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복수개 적층하여 결합하되, 상기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연결구멍에 연결고리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의 하나가 회전 개폐되게 연결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의 연결 구멍에 삽입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는 연결쇠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 A 혹은 케이스부 B중에서 어느 하나에, 고정축이 결합되는 고정구멍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케이스부 A 또는 케이스부 B 중에서 하나를 한 몸체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 표면에 각각 도안을 표시하되, 케이스부 A와 B를 닫으면 표면 도안이 합쳐져 하나의 완성된 도안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의 표면에 도안을 표시하고, 케이스부 A와 B를 열면 나타나는 삽입영역에 도안을 표시하되, 케이스부 A와 B를 열면 3부분의 도안이 합쳐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15.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부 A와 B를 분리선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당겨 열면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평면 시트 상에 앞면, 뒷면, 접착면, 측변,미는변 및 접는 선을 표시 형성하되, 상기 앞면과 뒷면을 접고 접착면을 접착하여 케이스부 A 및/또는 케이스부 B를 접어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17. 제 15 항에 있어서, 하단 받침접착면이 더 형성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수부 A 혹은 케이스부 B에 대각선 방향으로 분리선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
  19.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부 A와 B를 분리선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당겨 열면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앞면, 뒷면, 접착면, 하단 받침접착면, 측변, 미는변, 분리선 및 연결구멍이 있는 평면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케이스부 A를 형성하는 단계;
    앞면, 뒷면, 접착면, 측변, 미는변 및 연결구멍이 있는 평면 시트를 접고 접착하여 케이스부 B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부 A의 일부가 케이스부 B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상기 케이스부 B의 일부도 케이스부 A의 내부로 삽입되게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연결고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KR1020010077726A 2001-12-10 2001-12-10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KR20030047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26A KR20030047276A (ko) 2001-12-10 2001-12-10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26A KR20030047276A (ko) 2001-12-10 2001-12-10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276A true KR20030047276A (ko) 2003-06-18

Family

ID=295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726A KR20030047276A (ko) 2001-12-10 2001-12-10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276A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75U (ja) * 1982-09-06 1984-03-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収納ケ−ス
JPH02139379A (ja) * 1988-11-14 1990-05-29 Teac Corp 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H02191178A (ja) * 1989-01-19 1990-07-27 Shoei Pack:Kk 光ディスク用携帯容器
JPH0353099A (ja) * 1989-07-19 1991-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基材の加工方法
KR960002911U (ko) * 1994-06-21 1996-01-22 박의열 컴팩트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JPH0872958A (ja) * 1994-08-29 1996-03-19 Seiko Kanagata:Kk 記録媒体ディスク用ケース
WO2000023355A1 (en) * 1998-10-19 2000-04-27 The Mead Corporation Carton and carton blank
JP2000281165A (ja) * 1999-03-31 2000-10-10 System Products:Kk ディスク送付媒体
EP1199257A1 (en) * 2000-04-25 2002-04-24 Masateru Hasemi Disk storage cas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475U (ja) * 1982-09-06 1984-03-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収納ケ−ス
JPH02139379A (ja) * 1988-11-14 1990-05-29 Teac Corp 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H02191178A (ja) * 1989-01-19 1990-07-27 Shoei Pack:Kk 光ディスク用携帯容器
JPH0353099A (ja) * 1989-07-19 1991-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a基材の加工方法
KR960002911U (ko) * 1994-06-21 1996-01-22 박의열 컴팩트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JPH0872958A (ja) * 1994-08-29 1996-03-19 Seiko Kanagata:Kk 記録媒体ディスク用ケース
WO2000023355A1 (en) * 1998-10-19 2000-04-27 The Mead Corporation Carton and carton blank
JP2000281165A (ja) * 1999-03-31 2000-10-10 System Products:Kk ディスク送付媒体
EP1199257A1 (en) * 2000-04-25 2002-04-24 Masateru Hasemi Disk storag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2002A (zh) 用于演出的立体书
JP4236162B2 (ja) 紙製箱
KR20030047276A (ko)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KR20030038279A (ko) Cd 케이스
JP4573955B2 (ja) 分離可能な複数の収容部を備えたカートン
KR100432200B1 (ko)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JP2003341253A (ja) ケース
JPS636016Y2 (ko)
JP3221168U (ja) カラーボックス用引き出し
KR102377738B1 (ko) 카드 홀더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70116Y1 (ko) 인출이 용이한 피지제거용 필름의 보관케이스
JPH0344712Y2 (ko)
JP6881733B2 (ja) ヒンジ付き構造体
JPH08256942A (ja) ユニットティッシュ
KR200347362Y1 (ko) 메탈 cd 케이스
JPH09301344A (ja) 化粧箱
JP2002308351A (ja) ティシュペーパー収容容器
JP3225732B2 (ja) ディスク収納体
JP3109060U (ja) 名刺入れ
JP3951600B2 (ja) 電報用台紙
JP2565660Y2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H11301769A (ja) ディスク用ケース
JPH1016948A (ja) クッキングペーパーの収納箱
JPH0226810Y2 (ko)
BE1003839A5 (fr) Coffret pour au moins un disque a haute densite d'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