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200B1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2200B1 KR100432200B1 KR10-2001-0063770A KR20010063770A KR100432200B1 KR 100432200 B1 KR100432200 B1 KR 100432200B1 KR 20010063770 A KR20010063770 A KR 20010063770A KR 100432200 B1 KR100432200 B1 KR 100432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ompact disc
- pusher
- opened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콤팩트디스크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는 연결고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로 나누어지고, 케이스부 A는 본체부 B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A와 본체부 A로 구성되고, 케이스부 B도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됨으로써, 콤팩트디스크를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얇게 하는 구조를 하면서도, 콤팩트디스크를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k: 이하 CD로 약칭함)를 보관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CD를 보관하는 CD 케이스는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왔다. 통상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CD 케이스는, CD 케이스의 윗면을 위로 열어 젖히고 다시 손으로 CD를 꺼내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CD 케이스 윗면을 위로 열어 젖힐 때, 두바닥을 크게 펼쳐서 힘을 주어야 하며, 잘못 힘을 주다가는 CD 케이스를 손에서 놓치거나 파손되기 쉽다. 즉 통상의 CD 케이스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통하여 CD를 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CD 케이스를 양손으로 열면, CD를 손쉽게 CD 케이스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한 방법이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4-1446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CD 케이스는, 두 개로 나뉘어진 부분이 결합되면서 CD 케이스가 여러겹으로 형성되어 얇으면서도 견고하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하였다.
특히, CD의 내용을 설명하는 인쇄물을 CD 케이스 내에 담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 주지 못함에 따라, 상품성과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서, 상기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로 나누어지고, 케이스부 A는 본체부 B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A와 본체부 A로 구성되고, 케이스부 B도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인쇄물 등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도 아울러 CD 케이스에 부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CD를 CD 케이스 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하고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CD 케이스를 얇게 하는 구조를 하면서도, CD를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CD 케이스에 인쇄물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 CD 케이스에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서, 상기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로 나누어지고, 케이스부 A는 본체부 B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A와 본체부 A로 구성되고, 케이스부 B도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결합하는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며, CD 케이스를 벌려서 열때, 밀대부를 걸리게 하여 CD 케이스가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대부는 본체부 보다 낮은 층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체부 A의 내부에는 밀대부 B가 움직이는 데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뿌리 A를 더 포함하고, 본체부 B의 내부에는 밀대부 A가 움직이는 데에 가이드 역할을 하는 있는 뿌리 B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밀대부 A와 밀대부 B는 결합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CD 케이스에 인쇄물 등을 장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CD 케이스 내부의 측면에는 CD 가 고정되기 위한 홈이 있고, 입구쪽의 홈이 내부의 홈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 A는 개구의 반대쪽 면이 뚫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D를 미는 역할을 하는 밀대면이 있고, 상기 밀대면에는 보강수단을 더 포함하고 내부에 먼지를 방지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CD 케이스 내부의 측면에는 CD가 고정되기 위한 홈이 있고, 입구쪽의 홈이 내부의 홈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CD 케이스 내부에는 격리판을 더 포함한다. 한편, 케이스부 A와 케이스 부 B에 격리판이 있을 때, 케이스부 A에있는 격리판은 케이스부 B에 있는 격리판과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CD 케이스의 윗면과 아래면이 서로 맞 닿게하며, CD 케이스를 적어도 2 개 이상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측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는 케이스부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케이스부 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간단 구조의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만들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의 홈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내에서 콤팩트디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입구 쪽의 또 다른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분리선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인쇄물 장착이 가능한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인쇄물 장착이 가능한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2 개 이상의 콤팩트디스크가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적층하여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를 적층하는 방법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결고리 2,3 : 케이스 A부, 케이스 B부
20a, 21a : 밀대면 7 : 케이스 분리선
20, 21 : 밀대부A, B 22, 23 : 본체부 A, B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CD를 보관하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는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회동결합수단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의 모서리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연결고리(1)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CD 케이스를 화살표(4) 방향으로 열면, CD 케이스는 분리선(7)을 중심으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로 나누어 지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에 있던 CD(8)는 케이스 밖으로 나와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CD 케이스를 화살표(4) 방향으로 열면, 케이스부 A(2)의 밀대면(5a)과 케이스부 B(3)의 밀대면(6a)이 상호 좁아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각각의 밀대면(5a)(6a)이 CD(8)를 밀어내는 효과를 갖게된다. CD 케이스를 열기 전에 밀대면(5a)(6a)의 각도는 90도 였으나, CD 케이스를 열면 밀대면의 각도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케이스부 A(2)는 도면에서 윗쪽에 CD 출입구인 개구(9a)가 형성되고, 케이스부 B(3)는 도면에서 오른쪽 윗쪽에 개구(9b)가 형성되고 각각 내부에는 CD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면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로 나누어져 있고, 다시 케이스부 A(2)는 밀대부 A(20)와 본체부 A(22)로 구성되며, 케이스부 B(3)는 밀대부 B(21)와 본체부 B(23)로 구성된다.
밀대부 A(20)는 본체부 B(23)의 내부로 결합되고, 밀대부 B(21)는 본체부 A(22)의 내부로 결합된다. 밀대부 A(20)와 밀대부 B(21)는 결합 상태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되므로서, CD 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얇게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겹치게 되는 면을 최소화하여 CD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한다.
도 2a는 CD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도면이다. 연결고리(1)에 의하여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CD(8)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b는 CD 케이스가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완전히 열면 본체부 A(21)와 본체부 B(23)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일정 각도는 40±10도 정도가 적당하다.
이때 CD 케이스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비된 밀대부 A(20)와 밀대부 B(21)이다. CD 케이스를 열면 밀대부 A의 가장자리(20b)와 밀대부 B의 가장자리(21b)가 서로 만나게 되어 서로 걸리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따라서 CD 케이스는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림에서 처럼 CD 케이스를 열면,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연결고리(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밀대부 A(20)의 밀대면 A(20a)와 밀대부 B(21)의 밀대면 B(21a)의 각도가 당초 90도에서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자동적으로 CD를 미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CD 케이스를 완전히 열어도 CD가 케이스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b의 상태로 유지되어 손으로 CD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케이스부 A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부 A(22)와 밀대부 A(20)는 뿌리 A(20c)에 의하여 결합되고 고정된다. 뿌리 A(20c)는 본체부 A(22)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부 A(22)와 밀대부 A(20)를 고정 결합되게 한다.
그림에서 보면, 밀대부 A(20)의 층은 본체부 A(22)의 층보다 낮은 층을 이루 도록 안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 A(22)의 아래면, 즉 개구(9a)의 반대쪽 면에는 밀대구멍(9c)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뚫려져 있는 밀대구멍(9c)는 케이스부 B(3)의 밀대부 B(21)의 하단 밀대면 B(21a)이 삽입되어 막아준다.
도 4는 케이스부 B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케이스부 B(3)의 사시도이다. 본체부 B(23)와 밀대부 B(21)는 뿌리 B(21c)에 의하여 결합되고 고정된다. 즉 뿌리 B(21c)는 본체부 B(23)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부 B(23)와 밀대부 B(21)를 고정 결합되게 한다.
그림에서 보면, 밀대부 B(21)는 본체부 B(23)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 B(23)의 좌측 상면, 즉 개구(9b)의 반대쪽 면에는 밀대구멍(9d)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도 2b 참조) 이렇게 뚫려져 있는 밀대구멍(9d)는 케이스부 A(2)의 밀대부 A(20)의 끝 부분에 위치한 밀대면 A(20a)이 막아준다.
여기서, 뿌리 A(20c)와 뿌리 B(21c)의 역할에 대하여 잠시 설명한다. 도 2b에 도시한 것 처럼 뿌리 A(20c)는 밀대부 B(21)가 움직이는 데에 가이드 역할을 하고, 뿌리 B(21c)는 밀대부 A(20)가 움직이는 데에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는 서로에 대해서 원호 모양의 운동을 한다. 뿌리 부분은 본체부 A(22)와 본체부 B(23)의 내부에 있으므로, 그림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도 5a와 도 5b는 간단 구조의 CD 케이스를 만들기 위한 실시예 도면이다.
도면에서의 간단 구조 실시예는 CD 케이스를 종이나 탄력성 있는 프라스틱 등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보면, 케이스부 A(2)는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으로 내부에는 CD가 장착될 정도의 공간이 있고, 개구(9a)와 함께 개구 반대쪽(도면의 아래쪽)도 뚫려져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 A(2)의 앞 뒤면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략 대각선의 1/3-2/3 정도가 절단되어 분리선(7)을 형성한다.
케이스부 A(2)의 분리선(7)에는 케이스부 B(3)의 밀대부(20)가 삽입되어져서, 결과적으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결합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케이스부 B(3)도 납작한 직육면체의 모양에서 개구(9b)와 함께 개구의 반대쪽에 밀대구멍(9d)이 뚫려져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 기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본 구조에서, 앞면과 뒷면을 원호 모양으로 절개하여 밀대부(21)를 만든다.
CD 케이스가 결합되면, 케이스부 A의 밀대구멍(9c)은 케이스부 B(3)의 양옆의 밀대면 B(21a)에 의해 막혀지고, 케이스부 B의 밀대구멍(9d)은 케이스부 A(2)의 밀대면 A(20a)에 의해 막혀진다.
또한, 도 5b는 보강수단(19)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CD 케이스가 종이로 만들어질 경우에는, CD 케이스에서 CD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밀대면(20a)(21a)이 약해지게 되므로, 이곳에 보강수단(19)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보강수단(19)은 도면에서와 같은 구조물로 되어 있고, 프라스틱과 같이 종이보다 강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밀대면(20a)(21a)에 덧대는 것이다. 덧댈 때 밀대면(20a)(21a)과 함께 도면에서 처럼 밀대면의 양측면도 아울러 보강하여 준다.
아울러, 종이 등으로 CD 케이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CD 케이스 내부에 먼지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게 위하여 기름종이 등으로 코팅을 하거나, 얇은 비닐 등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도 6a와 도 6b는 CD 케이스의 홈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CD 케이스 입구쪽의 홈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서 부분(10)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그림에서 보면, 입구쪽 홈(11)의 폭이 안쪽 홈(12)의 폭보다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CD를 CD 케이스에 넣을 때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D 는 CD 케이스 내부의 측면(16)에 구비된 홈(11)(12)에 장착된다.
도 6b는 CD 케이스 홈(12)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홈(12) 단면에서, 표면 폭(14)이 기저면 폭(13) 보다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홈의 단면은 도면에서 처럼 경사면(15)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CD가 홈(11)(12) 내에서 좀 더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도 7은 CD 케이스 내에서 CD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빗금친 영역은 CD가 CD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로 움직일 때 지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즉 CD가 CD 케이스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움직일 때 지나지 않게 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 CD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재 등을 설치하여, CD가 CD 케이스 측면(16) 내에서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재는 스폰지나 고무 등을 소재로 하여, CD 케이스 내부에서 CD를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CD 케이스 입구 쪽의 또 다른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b의 CD 케이스의 입구 부분(10)을 다른 구조로 하였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면, 입구 부분(10)은 대향하는 케이스부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CD 케이스를 손으로 열 때,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CD 케이스를 너무 세게 열 경우 여는 힘에 의하여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17)를 고무 등의 탄성재로 하여 CD를 꺼낼 때, 좀더 부드러움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CD 케이스 분리선(7)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결합되고, CD 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에서 케이스 분리선(7)의 단면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보면, 단면이 단차를 가지고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CD 케이스 내에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CD 케이스를 좀 더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도 10a와 도 10b는 인쇄물 장착이 가능한 CD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CD 케이스 한쪽면에 바인더(25)를 형성하고, 상기 바인더(25)를 통하여 CD 케이스와 부착부(24)를 결합시킨다. 하지만 부착부(24)는 파일(File)처럼 CD 케이스와 접철 가능하게 접혀지거나 밀착될 수 있다.
도 10a는 부착부(24)를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부착부(24)에는 삽입부(24a)가 있어서, 인쇄물 등을 삽입할 수가 있다. 삽입부(24a)는 부착부(24)에 별도의 판재(24b)를 결합시켜 인쇄물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인쇄물은 CD 관련 설명을 인쇄한 종이 같은 것이다.
도 10b는 부착부(24)를 CD 케이스에 밀착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CD 케이스에 부착부(24)가 밀착된 상태에서는, 부착부(24)가 고정되도록 CD 케이스에는 고리 모양의 고정수단(26)이 구비된다. 그리고 CD 케이스 입구쪽에는 부착부(24)에 절취부(27)를 형성하여, CD 케이스를 열 때 CD 케이스 본체를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1a와 도 11b는 인쇄물 장착이 가능한 다른 실시예 도면이다.
도 11a는 부착부(24)에서 CD 케이스와 접착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빗금친 곳이 CD 케이스와 접착이 되는 곳이다. 부착부(24)의 두 변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부착부(24)가 CD 케이스에 항시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림에서 점선으로된 대각선은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를 분리하는 가상선이다. 따라서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 둘중에 하나에만 부착부(24)가 접착되어 고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11b는 부착부(24)가 접착되고 CD 케이스가 열려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부착부(24)는 CD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부착부에는 판재(24b)에 의해 형성된 삽입부(24a)가 있어서, 인쇄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a와 도 12b는 2 개 이상의 CD가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a는 케이스부 중간에 얇은 격리판(2a)(3a)을 삽입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처럼 얇은 격리판을 케이스부 중간에 삽입하므로서, CD를 2 개 이상 장착할 수가 있다. 즉 CD 케이스에 CD를 2 개 이상 삽입할 수 있도록 CD와 CD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한 것이다.
도 12b는 격리판(2a)(3a)의 평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CD 케이스의 평면도에 빗금을 그은 형태로 격리판의 평면 모양을 나타내었다. 격리판(2a)(3a)은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 모두에 삽입될 수 있지만, 둘중의 하나의 케이스부에만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 A와 케이스 B가 결합되어 하나의 CD 케이스를 형성하여 움직일때, 케이스부 A(2)에 있는 격리판(2a)은 케이스부 B(3)와 중첩되어 겹치지 말아야 하며, 케이스부 B(3)에 있는 격리판(3a)은 케이스부 A(2)와 중첩되어 겹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므로서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가 서로 방해를 받지 않고, 하나의 CD 케이스를 형성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격리판은 도면에서 처럼 밀대부 A(20)와 밀대부 B(21)가 위치하는 영역 안에 설치되어, 서로 중첩되거나 방해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격리판(2a)(3a)이 없는 CD 케이스는 홈(11)(12)이 하나이지만, 격리판(2a)(3a)이 구비된 CD 케이스는 홈(11)(12)도 2개를 만들 수 있다.
도 13은 CD 케이스를 적층하여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처럼, CD 케이스의 윗면과 아래면이 서로 맞닿게하며, CD 케이스를적어도 2 개 이상 적층하여, 여러개의 CD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CD 케이스에서 연결고리(1)를 삽입하는 홈에 연결고리 대신 연결축(31)을 삽입하여, 여러개의 CD 케이스를 고정하고, 각각의 CD 케이스는 회전운동을 하면서 열리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대(40)(도면에서 생략을 하였으나, CD 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를 사용하여 케이스부의 다른 한 쪽을 고정한다.
도면과 같이 CD 케이스를 적층하므로, CD 케이스의 측면만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된 측면에 CD의 제목 등이 쓰여진 종이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를 만들 수도 있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CD 케이스를 적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도 2b 구조의 CD 케이스에서 윗면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2)와 케이스부 B(3)로 구성되며, 케이스부 A와 B의 상판을 제거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케이스부 A와 B의 하판을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4b는 CD 케이스에 결합홈(33a)과 결합돌기가 구비된 도면이다. 결합돌기는 결합홈(33a)의 반대쪽(도면에서 케이스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적층되는 다른 CD 케이스의 결합홈(33a)과 결합되어진다. 결합홈(33a)과 결합돌기(도시생략)가 구비되므로서, CD 케이스를 개별적으로 가지고 다닐 수도 있고, 결합홈(33a)과 결합돌기를 서로 결합하므로서 CD 케이스를 서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 중에서, 어느 한 곳에만 설치하여야 하며 동시에 두 곳에 설치 할 수는 없다.
도 14c는 입구쪽에 손잡이가 있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CD 케이스가 적층되어 있으면, CD를 열기 위하여 CD 케이스를 손으로 잡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CD 케이스 입구쪽 측면에 손잡이(34)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 적층된 CD 케이스를 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CD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서, CD를 CD 케이스 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 및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CD 케이스를 얇게 하는 구조를 하면서도, CD를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CD 케이스에 인쇄물 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져, CD 케이스에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6)
- CD 케이스를 양옆으로 열고 닫으면 자동으로 CD가 케이스 밖으로 나오게 되는 구조를 갖는 CD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CD 케이스는 케이스부 A와 케이스부 B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부 A와 B는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지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 A는 본체부 A와 상기 케이스부 B의 본체부 B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밀대부 A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부 B는 본체부 B와 상기 본체부 A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는 밀대부 B로 구성될 때, 상기 밀대부는 본체부 보다 낮은 층으로 구성되어 본체부 내부로 삽입되고, 밀대부가 본체부 내부에서 걸림작용을 하여 CD 케이스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밀대부 A와 B는 CD 케이스를 열 때 상호 걸림되어 일정 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CD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는 CD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있고, 상기 홈의 입구쪽은 내부 보다 넓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CD 케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내부에 설치되는 격리판을 더 포함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CD 케이스의 윗면과 아래면을 서로 맞닿게하여 적층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3770A KR100432200B1 (ko) | 2001-10-16 | 2001-10-16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3770A KR100432200B1 (ko) | 2001-10-16 | 2001-10-16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2181A KR20030032181A (ko) | 2003-04-26 |
KR100432200B1 true KR100432200B1 (ko) | 2004-05-22 |
Family
ID=2956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3770A KR100432200B1 (ko) | 2001-10-16 | 2001-10-16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220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065U (ja) * | 1982-07-02 | 1984-01-13 | 東芝イ−エムアイ株式会社 | デイスク・ケ−ス |
JPS5939475U (ja) * | 1982-09-06 | 1984-03-1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収納ケ−ス |
JPS60105390U (ja) * | 1983-12-23 | 1985-07-18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デイスク収納用ケ−ス |
JPH02124883U (ko) * | 1989-03-22 | 1990-10-15 | ||
KR960002911U (ko) * | 1994-06-21 | 1996-01-22 | 박의열 | 컴팩트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
KR20010039684A (ko) * | 2000-06-21 | 2001-05-15 | 박춘옥 | 콤팩트디스켓보관함 |
-
2001
- 2001-10-16 KR KR10-2001-0063770A patent/KR100432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5065U (ja) * | 1982-07-02 | 1984-01-13 | 東芝イ−エムアイ株式会社 | デイスク・ケ−ス |
JPS5939475U (ja) * | 1982-09-06 | 1984-03-13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収納ケ−ス |
JPS60105390U (ja) * | 1983-12-23 | 1985-07-18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デイスク収納用ケ−ス |
JPH02124883U (ko) * | 1989-03-22 | 1990-10-15 | ||
KR960002911U (ko) * | 1994-06-21 | 1996-01-22 | 박의열 | 컴팩트 디스크 보관용 케이스 |
KR20010039684A (ko) * | 2000-06-21 | 2001-05-15 | 박춘옥 | 콤팩트디스켓보관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2181A (ko) | 2003-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77960A (en) | Compact disk case | |
US5421452A (en) | Data disk case with slidable tray section | |
US5180058A (en) | Expandable disc holder assembly | |
US4817792A (en) | Individual container that can be assembled to a multiple storage container | |
US6540071B2 (en) | Case for holding two compact discs | |
JP3765107B2 (ja) | 少なくとも1つのデータ媒体デイスクを収容するためのカセツト | |
US6910717B1 (en) | Outside-hinged cover for protecting articles stored therein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 |
JP3541045B2 (ja) |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 | |
KR100752611B1 (ko) | Cd 홀더를 구비한 책 | |
KR100432200B1 (ko)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 |
WO2007133591A2 (en) | Media package | |
US20080047854A1 (en) | Package for discs | |
KR200347362Y1 (ko) | 메탈 cd 케이스 | |
JP2002284154A (ja) | 収納箱 | |
KR200198599Y1 (ko) | 콤팩트 디스크용 수납철 | |
KR200244409Y1 (ko) | 씨디 케이스 | |
US200301783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ompact discs for portable storage | |
JP3057774U (ja) | ディスク状記録媒体用ケース | |
US20080017535A1 (en) | Disc storage device | |
KR20030047276A (ko) | 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콤팩트디스크 케이스용 시트,콤팩트디스크 케이스 제조방법 | |
JP2831336B2 (ja) | ディスク収納袋 | |
KR100999172B1 (ko) | 디스크 카트리지 | |
JP4358847B2 (ja) | 記録媒体用パッケージ | |
JP2880949B2 (ja) | 記録ディスクホルダ | |
JP2003054675A (ja) | データディスクの収納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