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016A -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 - Google Patents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016A
KR20030045016A KR10-2003-7001351A KR20037001351A KR20030045016A KR 20030045016 A KR20030045016 A KR 20030045016A KR 20037001351 A KR20037001351 A KR 20037001351A KR 20030045016 A KR20030045016 A KR 2003004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bearing
arm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뫼니히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3004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01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피팅의 한 쪽에는 손잡이(15)가 장착되고, 도어 외부 패널(35)의, 서로 맞은편에 놓인 측면(34, 36)에는 지지대(25)가 장착된다. 지지대는 베어링 축(40)을 갖고 있다. 손잡이의 아암(11, 12)은 도어의 외부 패널(35) 내에 있는 2 개의 개구(37, 38)를 통해 끼워져서 커플링(41, 51)에 의해 베어링 아암(21, 22)에 연결되는데, 이 때 나사에 의해 맞물림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도어 형태에도 상기 피팅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 아암(11, 12)과 베어링 아암(21, 22) 간의 커플링(41, 51)의 상호연결이 본질적으로 도어 평면(3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동일한 커플링 평면의 양 단부에서 실시된다. 커플링의 한 유형으로서 스러스트 부재(41)가 있는데, 이 스러스트 부재는 맞물려지더라도 커플링 평면 내에서 상기 커플링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손잡이(15)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유형의 커플링으로는 도어 평면(35)에 대해 수직으로 상호 결합되는 핀 부재들(51)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DOOR FITTING FOR THE EXTERNAL OPERATION OF A DOOR, IN PARTICULAR A VEHICLE DOO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시된 방식의 도어 피팅에 관한 것이다. 이 피팅은 도어 외부 패널의 내부면에 고정된 지지대를 가지고, 이 지지대는 손잡이의 베어링 축을 위한 2 개의 부착물을 포함하는데, 상기 베어링 축은 도어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어 외부면에는 정지 상태일 때 본질적으로 수평인 손잡이 평면 내에서 연장되고, 손잡이의 베어링 축에 플랩식으로 움직이도록 장착되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손잡이와 지지대의 연결을 위해, 서로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는 2 개의 레버 아암으로 이루어진 2 개의 토글 레버(toggle lever)가 사용된다. 하나의 레버 아암(하기에서는 간단히 "손잡이 아암"이라고 표기함)은 손잡이의 양 단부 각각에 배치된다. 다른 하나의 레버 아암(하기에서는 간단히 "베어링 아암"이라고 표기함)은 지지대의 베어링 축에 사전 조립된다. 상기 베어링 아암, 베어링 축 및 지지대는 사전 조립된 하나의 부품을 형성한다. 손잡이의 조립은 도어 외부면으로부터 실시되는데, 거기서 양쪽 손잡이 단부가 도어 외부 패널에 있는 2 개의 개구를 통해 차례로 끼워져서 도어 내측에서 관련 베어링 아암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한 편으로 양쪽의 손잡이 아암과 다른 한 편으로 베어링 아암이서로 상보적인 커플링을 가지는데, 이 커플링은 짝을 이루도록 상이하게 형성된다. 연결시 먼저 손잡이의 한 쪽 단부 근처에 배치된 커버가 제거된다. 이 커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앞쪽 토글 레버의 커플링이 연결되고 나서야 비로소 상기 커버에 인접하는 후방 토글 레버의 커플링이 연결된다. 후방 토글 레버에서 커플링이 맞물리는 위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공지되어 있는 상기 방식의 피팅(DE 198 13 316 A1)의 경우 앞쪽 토글 레버의 커플링이 나선식 결합부(獨: Einrenkverbindung)로 형성된다. 거기서 도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연결축에 대해 양쪽 커플링 부품이 서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는 도어에서의 손잡이의 추후 수평 정지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손잡이의 각위치에서 실시된다. 후방 토글 레버에 배치된 연결 수단의 연결시, 상기 레버는 상기 각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전환되어야 하며, 상기 수평 위치에서는 양쪽 커플링이 서로에 대해 정지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정지 상태를 보증하기 위한 나사가 손잡이의 뒷쪽 손잡이 아암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도어 피팅은 검증된 것이기는 하지만, 특정 도어 형태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즉, 대부분의 도어 형태는 전술한 것처럼 도어 손잡이가 도어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놓이는 회전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편적으로 모든 도어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장착될 수 있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한 방식의 피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에 언급된 조치들을 통해 달성되며, 그러한 조치들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측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오로지 도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 내에서만 손잡이의 조립이 수행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전방 토글 레버에 배치된 커플링이 맞물리는 경우뿐만 아니라 후방 토글 레버의 커플링이 맞물리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즉, 손잡이 양쪽 단부의 결합은 도어에 대해 수직으로 놓이는 결합 평면 내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평면의 상부 및 하부의 프로파일 형성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어는 결합 평면의 상부 및 하부에서 임의의 불룩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전방 토글 레버의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평면 내에 놓이는 2 개의 스러스트 부재로 구성되고, 이 스러스트 부재는 손잡이 진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부재의 상호 슬라이딩 동작은 결합 평면 내에서만 실시된다. 서로 맞물리는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들은 결합 평면 내에서 손잡이가 회전할 수 있게, 더 정확히 말하면, 결합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후방 토글 레버에 있는 커플링이 자동으로 서로 바람직하게 맞물리게 된다. 후방 토글 레버는 도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삽입될 수 있는 2 개의 삽입 부재들로 구성되며, 이 삽입 부재들의 삽입 위치는 고정 나사에 의해 정해진다. 이러한 조립은 매우 간단하고, 숙련되지 않은 사람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과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이 하나의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어 외부 패널은 생략되어 있지만 그의 위치는 피팅의 부재들 사이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완전하게 조립된 도어 손잡이의, 도 2의 관찰 방향(I)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된 피팅의, 도 1의 관찰 방향(II)에서 바라본 간단한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도어에 장착된 피팅의 후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피팅 부품, 즉 아암을 가진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피팅 부품이 도어 외부 패널의 내부면에 고정된 후의, 상기 제 2 피팅 부품을 도 2의 관찰 방향(V)에서 바라본, 도 3에 상응하는 후면도로, 손잡이 및 도 2의 제 3 피팅 부품이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2 개의 피팅 부품의, 도 2에 상응하는 평면도로, 상기 두 피팅 부품의 앞쪽 단부는 이미 서로 결합되었으나, 다른쪽 단부는 아직 결합 해제 상태에 있다.
도 7은 도 6의 2 개의 피팅 부품의 양 단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 1에 상응하는 평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도면의 정면은 도 8의 화살표(VII)로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서로 결합된, 도 6의 2 개의 피팅 부품 뒷면의 사시도로, 관찰 방향은 도 2에서 화살표(VIII)로 표시되어 있으나, 도 2에는 이미 조립된 제 3 피팅 부품이, 도 7에서와 같이, 아직 도시되어있지 않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피팅이 장착되기 전 도어 외부 패널의 일부분의몸체 전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후방 피팅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피팅 부품과 제 2 피팅 부품 사이의 커플링의 맞물림 위치를 위한 고정 나사의 2 개의 대립 조임 위치, 즉 도 10의 경우 결합 해제 위치를 나타내고, 도 11에서는 결합 위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피팅은 3 개의 피팅 부품(10, 20, 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팅 부품들은 부분적으로 다수의 부재들로 미리 조립된다. 제 1 피팅 부품(10)은,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양쪽 단부에 제공된 아암(11, 12)을 가진 손잡이(15)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5)는 상기 아암(1, 12)과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팅 부품(10)은 그의 손잡이(15)에 의해 도 9에서 볼 수 있는 도어 외부 패널(35)의 외부면(34)으로부터 조립되며, 조립시 상기 손잡이(15)의 양쪽 아암(11, 12)은 2 개의 개구(37, 38)를 통해 끼워진다. 도 2에 도시된 모든 피팅 부품들(10, 20, 30)의 장착 위치에서 손잡이(15)가 사람의 손에 잘 잡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내부 굴곡부(39)가 패널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삽입시 상기 손잡이 피팅(10)의 두 아암(11, 12)은, 도어 외부 패널(35)의 반대편 내부면(36)에 배치된 상응하는 제 2 피팅 부품(20)의 아암(21, 22)과 접촉된다.
상기 제 2 피팅 부품(20)은 , 도 5에 가장 잘 나타난 것처럼, 서로 미리 조립되는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이다. 여기에는 먼저 도어 외부패널(35)의 내부 윤곽에 매칭되는 형태를 갖는, 바아(獨: Holm)와 브리지(獨: Stege)로 이루어진 지지대(25)가 속한다. 또한 지지대(25)는 상기 지지대(25)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부착물(24, 26)을 포함한다. 상기 부착물(24, 26)은 도어 내부에서 도어 평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어링 축(40)을 위한 베어링을 단부에 갖는다. 베어링 축(40)에는 조립시 전술한 손잡이 피팅(10)의 아암(11, 12)과 추후 더 자세히 기술될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2 개의 아암(21, 22)이 위치하며, 그로 인해 상기 아암들로부터 짝을 이루어 한 편으로는 도 8에 도시된 2 개의 앵귤러 아암(angular arm) (11, 21)가, 다른 한 편으로는 (12, 22)가 형성된다. 이 때 지지대는 도 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제 3 피팅 부품(30)을 위한 조립 영역(27)을 갖는데, 상기 제 3 피팅 부품(30)은 손잡이 조립시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즉, 처음부터 베어링 어셈블리(20)의 구성 부품인 것은 아니다.
상기 제 3 피팅 부품(30)은 특히 커버 기능을 갖고 있으며, 추가의 기능 부품들과 어셈블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형 커버(33)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능 부품으로서 로크 실린더(31)(lock cylinder)가 커버 유닛(30) 내에 통합되어 있는데, 상기 로크 실린더(31)의 제어 단부(32)가 지지대(25) 내 조립 영역(27) 내부에 존재하는 개구를 관통한다. 이 지지대 개구(28)는 도 9의 패널 개구(38)의 한 섹션 내에 놓이게 된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유닛(30)은 아직 베어링 유닛(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베어링 유닛(20)은,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도어 외부 패널(35)의 내부면(36)에 도 5에 도시된 고정 수단(29)을 통해장착된다. 도 5에 따르면 베어링 유닛(20)에서는 제어 레버(14)가 지지대(25)의 선회축(26)에 놓여있다. 제어 레버(14)의 자유 단부(18)에 의해 그곳의 베어링 아암(22)에 제공된 제어면(17)이 뒤로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 레버(14)가 스프링(19)에 의해 힘하중을 받는다. 이 제어 수단들(17, 18)을 통해 베어링 아암(22)이 스프링에 의해 도 5의 힘 화살표(49) 방향의 의미에서 뒤쪽으로 하중을 받으며, 이는 스토퍼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스프링력(49)은 조립된 손잡이 피팅(10)에서 상기 손잡이 피팅(10)의 손잡이(15)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 외부 패널(35)의 외부면(34) 내지는 거기에 제공된 밀폐 수단에 접촉되게 하는데 사용된다.
도어 외부 패널(35)의 내부측에 고정된 베어링 유닛(20)에 손잡이 피팅(10)을 조립하는 것이 한 쪽의 손잡이 아암(11, 12)과 다른 한 쪽의 베어링 아암(21, 22) 사이에서 차례로 실시된다. 이를 위해 거기에 각각 커플링(41, 42)이 제공되며, 도 6에서 투영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동일 평면(50)에서 상기 커플링들의 맞물림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평면(50)을 "결합 평면"이라고 말한다. 이 결합 평면(50)은 도 6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도어 외부 패널에 의해 정해지는 연장부를 갖는 도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 있다. 양측면의 커플링(41, 42 및 51, 52)은 상이하게 형성되고, 손잡이 피팅(10)의 조립시, 전술한 바와 같이, 차례로 맞물리게 된다.
도입부에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도어 피팅이 장착되면 커버 유닛(3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놓여 있는 아암(11, 21)이 "전방 토글 레버"를 형성하는 반면, 커버 유닛(30)에 인접하는 아암(12, 22)은 "후방 토글 레버"에 속한다. 그에 상응하게 (11, 21)의 경우 "전방 아암"이라고 말하고, (12, 22)는 "후방 아암"이라고 말한다. 손잡이 장착시에는 먼저 전방 토글 레버(11, 21)의 커플링(41, 42)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전방 커플링(41, 42)은 서로 상보적인 스러스트 부재들로 이루어지며, 여기서는 이 스러스트 부재들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 손잡이 아암(11)은 플레이트형 슬라이더(41)를 가지며, 이 슬라이더(41)는 측면 포오크(43)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41)는 연결시 작용하는 스러스트 부재(41)이다. 대응 커플링(42)은 베어링 유닛(20)의 전방 베어링 아암(21)에 위치하며,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볼트(44)에 의해 횡단되는 스러스트 수용부(42)로 이루어진다. 이 스러스트 수용부(42)는 베어링 아암(21)의 자유 단부에서 서로에 대해 높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2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제 손잡이 장착이 시작되면 베어링 유닛(20)의 베어링 아암(21, 22)이 바람직하게 정해진 예비조립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 예비 조립 위치는 한 편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손잡이 피팅(10)이 완전히 접힌 위치(손잡이(15)의 정지 위치)와 다른 한 편으로 손잡이(15)의 작동시 손잡이 피팅(10)이 완전히 펴지는 위치 사이에 있다. 이러한 예비 조립 위치는 나사(60)에 의해 확정되는데, 상기 나사는 본 발명에서 매우 바람직한 방식으로 2 가지 기능, 즉 하나는 예비 조립 위치에서 플랩식으로 움직이는 도어 피팅 부재의 "위치 고정" 기능, 그리고 다른 하나는 서로 맞물려 있는 커플링(41, 42)의 "맞물림 고정"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따라서 상기나사(60)는 하기에 "고정 나사"라고 표기된다. 2 개의 기능을 위해 별도의 고정 수단도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구조상 공간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도 10에는 도 5에 도시된 베어링 어셈블리(20)의 한 섹션의 뒷면 일부분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아암(22)이 관통 보어(47)를 갖고 있고, 상기 보어(47) 내에는 고정 나사(60)를 위한 나사 수용부가 존재한다. 이 나사(60)는 도 10에서 조임 위치를 차지하며, 그 조임 위치에서 베어링 아암(22)이 베어링 어셈블리(20)에 고정되어 있는 쇼울더(53)를 뒤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베어링 아암(22)으로부터 나사의 내부 단부(61)가 돌출된다. 상기 쇼울더(53)는 제 2 피팅 부품(20)에 통합되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스프링 하중을 받으며 선회 운동을 하는 핑거(55)의 하우징에 속하는데, 상기 핑거(55)는 충돌이 일어나면 자동으로 작용된다. 충돌시 상기 핑거(55)는 손잡이(15)의 선회 운동을 방해함으로써, 제어 레버(14)의 릴리스 운동을 방해한다. 도 10에서는 상기 하우징(54)의 일 에지에서 쇼울더(53)가 나타난다.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는 추후 더 상세히 기술되는 엔드 스토퍼(62, 48)에 의해 도달된다.
고정 나사(60)가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에서 쇼울더(53)를 뒤로 고정시키면, 베어링 암(22)은 작용하는 스프링력(49)으로 인해 정해진 상기 예비 조립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후방 베어링 아암(22)의 위치는 베어링 축(40)과의 회전 불가능한 연결 때문에 도 5의 베어링 어셈블리(20)의 전방 베어링 아암(21)에도 전용된다. 즉, 예비 조립 위치에서 손잡이 피팅(10)의 연결 과정을 위해 매우 유리한 정해진 위치에 2 개의 아암(22, 21)이 배치된다.
이러한 예비 조립 위치에서는 후방 베어링 아암(41)에 있는 나사 수용부(42)가 대개 전체 손잡이 피팅(10)의 평면이기도 한 전술한 결합 평면(50)의 방향을 향한다. 손잡이 피팅(10)의 제 1 조립 상태에서는 전방 손잡이 아암(11)의 플레이트형 슬라이더(41)가 스러스트 수용부(42) 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1)의 포오크(43)가 수용부 내 볼트(44)를 둘러싼다. 이러한 결합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볼트(44)에 의해 전술한 결합 평면(5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도 5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회전축(45)이 정해진다. 이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후방 손잡이 단부(13)가 도 6의 운동 화살표(46)와 관련하여 수평 스윙운동을 한다. 이 때 후방 커플링(51, 52)이 서로 맞물린다. 손잡이 단부(13)에 대한 회전축(45)의 위치는 오랜 탐색 없이도 상기 커플링(51, 52)이 서로 확실하게 만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후방 커플링(51, 52)은 특별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 손잡이 아암(12)에 핀(51)이 연장되어 있다.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22)에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삽입 수용부(52)가 존재하며, 이 삽입 수용부는 도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어 평면은 거의 도어 외부 패널(35)의 연장 방향으로 놓여 있다. 후방 베어링 아암(22)에는, 도 10에 가장 잘 제시되어 있듯이, 삽입 수용부(52)에 고정 나사(60)의 맞은편에 놓인 외부 단부(63)가 배치된다. 도 7의 나사 수용부(47) 맞은편에 놓여 있는 삽입 수용부(52)의 벽에 회전 툴을 위한 구멍(56)이 제공되고, 이 구멍(56)은 나사 외부 단부(63)의 정면에 있는 회전 작동 지점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툴은 고정 나사(60)의 조임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외부 단부(62)에는 도 10의 나사조임 위치에서 보어(47)의 단계적 확장부로 진입하는 칼라(62)가 배치되어 있다. 보어(47) 확장부의 바닥(48)은 상기 바닥을 향하는 칼라(62) 단부면을 위한 엔드 스토퍼로서 사용되며, 이를 통해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칼라(62) 앞에는 자유 단부 섹션(64)이 존재하고, 이 자유 단부 섹션(64)과 칼라(62) 사이에 원추형 전이부(65)가 존재한다.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에서 단부 섹션(64)이 이미 삽입 수용부(52)의 영역 내에 존재하기는 하나, 거기에 제공된 프로파일 래그(profile rag)(57) 위로 돌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프로파일 래그(57)는 삽입 수용부(52)의 U자형 개구 프로파일(58)을 결정한다.
핀(51)은 전술한 삽입 수용부(52)의 U자형 개구 프로파일(58)에 대해 상보적인 핀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는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는 나사 단부 섹션(64)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 홈 깊이를 갖는 세로 홈(59)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한 경우, 도 10에 따라, 도 6과 관련하여 기술된, 회전 운동(46)시 핀(51)의 삽입을 위해 개구 프로파일(58)이 노출된다. 그런 다음 후방 커플링(51, 52)이 맞물림도 수행되고,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커플링 맞물림의 고정은, 이미 전술한 것처럼, 고정 나사(60)가 다시 작동됨으로써 실시된다. 상기 고정 나사는, 도 10의 나사 조임 위치에서부터, 전술한 회전 툴에 의해 풀린다. 상기 회전 툴은 아암(22)의 구멍(56)을 통하여 나사 외부 단부(63)의 단부면에 접촉될 때까지 나아간다. 나사가 풀리면 먼저 하우징에 고정된 쇼울더(53)에 나사 내부 단부(61)가 뒤로 고정되는 것이 중단된다. 또한 상기 단부 섹션(64)는 4, 6 및 11에 도시된 핀(51)의 관통 개구(66) 내로 점차 삽입된다. 그로 인해 상기 핀(51)이 베어링 아암(22)의 삽입 수용부(52) 내에 고정된다. 나사(60)가 확실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즉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커플링 맞물림(51, 52)의 고정을 위해 상기 나사(60)와 나사 수용부(47) 사이에 "좌나사"가 제공된다. 고정 나사(60)의 나사 풀림 위치도 도 11에 따라 엔드 스토퍼에 의해 정해진다. 이를 위해 고정 나사(60)의 칼라(62) 외부면이 도 11에 도시된 핀(51)에 부착된 세로 홈(59)의 홈 바닥(67)을 향하여 움직인다. 그런 다음 (51, 52)에서 커플링 맞물림의 포지티브 결합 및 넌포지티브 결합에 의한 고정이 일어난다.
(51, 52)에서의 이러한 커플링 고정은 자동적으로 상기 두 전방 아암(11, 21)에 제공되는 스러스트 부재(41, 42)의 맞물림 안정성도 보증한다. 한 편으로 (41)의 포크(43)와 다른 한 편으로 (42)의 볼트(44)의 영역 내에서의 포지티브 결합에 의한 맞물림을 통해 모든 커플링(41, 42)의 결합이 결합 평면(50)의 방향으로만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쪽 단부에 제공되는 삽입 부재(51, 52)의 맞물림을 통해 방해되고, 상기 삽입 부재들은 그 결합 위치에서 고정 나사(60)에 의해 고정된다. 도 11의 고정 나사(60)의 나사 풀림 위치는 도어에 완전하게 장착된 도어 피팅의 피팅 부품들(10, 20)의 결합을 보증한다.
도어의 은촉이음(rabbet) 영역에서는 이미 여러 번 언급한 고정 나사(60)의 회전 툴을 위한 접근이 일 구멍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접근은, 베어링 어셈블리(20)의 플랩식으로 움직이는 부재들이 전술한 예비 조립 위치에서 지지대(25)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경우에, 도 10 내지 도 11의 후방 베어링 아암(22)의 구멍(56)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멍은 도 8에 가장 잘 나타나있는 지지대(25)의측면 틈새(68)와 동일 평면에 놓여 있다. 상기 틈새(68)는 회전 툴이 나사 외부 단부(63)의 단부면에 회전 접촉되는 위치까지 정확한 목표를 향해 안내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원추부(65)가 나사 풀림 위치에서 핀(51)의 관통 개구(66) 내로 삽입되고, 그럼으로써 삽입 부재(51, 52)의 규정 결합 위치를 위한 센터링 효과가 발생한다. 나사(60)의 고정 및 해제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한 편으로 고정 나사(60)와 다른 한 편으로 보어(47) 내 나사 수용부 사이에 좌나사 형태의 나사 맞물림이 구현되는 것이 권장된다.
도면부호 목록:
10: 제 1 피팅 부품, 손잡이 피팅
11: 10의 전방 아암, 손잡이 아암(도 4)
12: 10의 후방 아암, 손잡이 아암(도 4)
13: 15의 후방 손잡이 단부(도 4)
14: 제어 레버(도 5)
15: 10의 손잡이
16: 20에서 14의 선회축(도 5)
17: 18을 위해 22에 제공된 제어면
18: 14의 자유 단부
19: 14의 스프링
20: 제 2 피팅 부품, 베어링 어셈블리
21: 20의 전방 아암, 베어링 아암(도 3)
22: 20의 후방 아암, 베어링 아암(도 3)
24: 25의 전방 부착물(도 5)
25: 20의 지지대
26: 25의 후방 부착물
27: 30을 위해 25에 제공된 조립 영역(도 7)
28: 31을 위헤 25 내에 제공된 개구(도 5, 7)
29: 20을 위해 35에 제공된 고정 수단(도 5)
30: 제 3 피팅 부품, 커버 유닛
31: 로크 실린더
32: 31의 제어 단부
33: 30의 하우징형 커버
34: 35의 외부면
35: 도어 외부 패널, 도어 평면
36: 35의 내부면
37: 11을 위해 35 내에 제공된 제 1 개구(도 9)
38: 12를 위해 35 내에 제공된 제 2 개구(도 9)
39: 35의 내부 굴곡부(도 9)
40: 20 내 베어링 축
41: 1에 제공된 커플링, 슬라이더(도 4)
42: 21에 제공된 대응 커플링, 스러스트 수용부(도 5)
43: 41에 제공된 포오크(도 4)
44: 43 내에 제공된 볼트(도 4)
45: 10과 20 사이의 회전축(도 5, 6)
46: 13의 회전운동 화살표(도 6)
47: 스러스트 수용부, 60을 위해 22 내에 제공된 보어
48: 47의 확장부의 바닥면, 60을 위헤 2에 제공된 엔드 스토퍼
49: 22의 힘 화살표(도 5)
50: 결합 평면(도 3)
51: 12에 제공된 커플링, 삽입 부재, 핀
52: 22에 제공된 커플링, 삽입 부재, 삽입 수용부
53: 61을 위해 54에 제공된 쇼울더(도 10)
54: 55를 위해 25에 제공된 하우징
55: 25에 제공된 핑거
56: 22의 구멍(도 10)
57: 52의 프로파일 래그(도 10, 11)
58: 52의 U자형 개구 프로파일(도 10)
59: 51의 세로 홈(도 11)
60: 고정 나사
61: 60의 내부 단부
62: 칼라, 47에서 60의 엔드 스토퍼
63: 60의 외부 단부
64: 60의 단부 섹션(도 10)
65: 62와 64 사이의 원추형 전이부, 원추부(도 10)
66: 51의 관통 개구
67: 62를 위해 59 내에 제공된 홈 바닥(도 11)
68: 25의 틈새(도 8)

Claims (5)

  1. 손잡이 연장부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기울어지게 배치된 베어링 축(40)을 중심으로 플랩식으로 움직이는, 도어 외부 패널(35)의 외부면(34) 상의 손으로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15),
    상기 도어 외부 패널(35)의 내부면(36)에 고정된, 상기 손잡이(15)의 베어링 축(40)을 지지하는 지지대(25), 및
    상기 손잡이(15)와 지지대(25) 사이에서 연장되는 2개의 토글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레버는 서로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는 레버 아암(11, 21; 12, 22)으로 구성되며,
    한 쪽 레버 아암(손잡이 아암 11, 12)이 상기 손잡이의 두 단부 각각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한 쪽의 레버 아암(베어링 아암(21, 22))은 베어링 축(40)에 예비 조립되며, 상기 지지대(25)와 베어링 축(40)을 포함하는 어셈블리(20)가 형성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대(25)에서 손잡이(15)의 한쪽 단부(13) 근처에 고정된 커버(33)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필요한 경우 로크 실린더(31) 또는 버튼 스위치와 같은 기능 부품들을 가지고,
    도어 외부면(34)으로부터 피팅 장착시 2 개의 손잡이 아암(11, 12)이 도어 외부 패널(35)의 2개의 개구(37, 38)를 통해 끼워지고, 도어 내부에서 관련 베어링 아암(21, 22)과 차례로 연결되며,
    더 정확히 말해서 먼저 커버(33)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전방 토글레버(11, 21)의 커플링(41, 42)이 연결된 다음, 상기 커버에 인접한 후방 토글 레버(12, 22)의 커플링(51, 52)이 연결되며,
    후방 토글 레버(12, 22)의 커플링(51, 52)의 맞물림 위치가 나사(60)에 의해 고정되는,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아암과 베어링 아암 사이에 커플링(41, 42; 51, 52)이 서로 결합되는 것은 전방 토글 레버(11, 21)의 경우뿐만 아니라 후방 토글 레버(12, 22)의 경우에도 도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동일한 결합 평면(50) 내에서 실시되고,
    상기 전방 토글 레버(11, 12)의 커플링은 상기 결합 평면(50) 내에 놓인, 손잡이 진행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스러스트 부재들(41, 42)로 구성되는 한편,
    맞물림시 결합 평면(50) 내에서 손잡이(15)의 회전(46)은 결합 평면(50)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실시되며,
    상기 후방 토글 레버(12, 22)의 커플링은 도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서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부재들(51, 52)로 구성되고, 이 삽입 부재들의 삽입 위치는 상기 나사(6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피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51, 52)의 삽입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고정 나사(60))가 후방 토글 레버의 베어링 아암(22) 내에서 조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피팅.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측 어셈블리(20) 내에서 상기 베어링 축(40)에 배치되는 베어링 아암(21, 22)이 손잡이(15)의 플랩 운동과 관련하여 도어 외부 패널(35)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피팅.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손잡이 아암(11)에 놓여 있는 스러스트 부재는 측면 포오크(43)를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슬라이더(41)이고,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21)에 놓여 있는 상보적 부재는 손잡이(15)의 세로 방향을 가리키는 스러스트 수용부(42)이며, 이 스러스트 수용부(42)는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는 볼트(44)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슬라이더(41)의 포오크 베이스가 상호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스러스트 수용부(42)의 볼트(44)를 움켜쥐며, 후방 손잡이 아암(22)과 도어측 베어링 아암(12) 사이에 삽입 부재가 바람직하게 상호 삽입되도록(46) 하기 위한 회전 베어링(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피팅.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손잡이 아암(12)에 놓이는 상기 삽입 부재는 모방절삭된(獨: profiliert) 핀(51)이고,
    지지대측 베어링 아암(22)에 있는 대응 삽입 부재는 도어 평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개방되어 있는 삽입 수용부(52)이며,
    상기 고정 나사(60)는 베어링 아암(22) 내에서 조여질 수 있고, 고정시 상기삽입 수용부(52) 내로 맞물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피팅.
KR10-2003-7001351A 2000-08-03 2001-07-19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 KR20030045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7913.3 2000-08-03
DE10037913A DE10037913C2 (de) 2000-08-03 2000-08-03 Türbeschlag zur Außenbetätigung einer Tür, insbesondere einer Fahrzeugtür
PCT/EP2001/008334 WO2002012663A1 (de) 2000-08-03 2001-07-19 Türbeschlag zur aussenbetätigung einer tür, insbesondere einer fahrzeug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016A true KR20030045016A (ko) 2003-06-09

Family

ID=765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351A KR20030045016A (ko) 2000-08-03 2001-07-19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122385A1 (ko)
EP (1) EP1305490B1 (ko)
KR (1) KR20030045016A (ko)
AU (1) AU2001289692A1 (ko)
DE (2) DE10037913C2 (ko)
ES (1) ES2221906T3 (ko)
WO (1) WO20020126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2647B2 (en) 2015-04-03 2017-06-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de-registering optical network unit (ONU) by using plurality of sub-channels i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4473A1 (de) * 2001-01-31 2002-08-01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FR2871500B1 (fr) * 2004-06-09 2006-08-04 Fabi Automobile Soc Par Action Mecanisme d'ouverture/fermeture d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WO2006013831A1 (ja) * 2004-08-05 2006-02-0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ドアハンドル装置
JP4534662B2 (ja) * 2004-08-23 2010-09-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
DE102007027848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8472A (en) * 1923-03-30 1928-10-23 Sargent & Co Latch
US1764154A (en) * 1929-04-15 1930-06-17 Otto P Cramer Latch
US3159415A (en) * 1962-10-29 1964-12-01 Gen Motors Corp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US3967844A (en) * 1971-10-14 1976-07-06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s
US4475754A (en) * 1982-05-10 1984-10-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ll out door handle assembly
US4892342A (en) * 1989-01-13 1990-01-09 Chrysler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handle mounting arrangement
GB2250534B (en) * 1990-11-29 1994-10-12 Nissan Motor Automotive door with power window
US5174619A (en) * 1991-11-25 1992-12-29 Bender Frederick F Tailgate handle assembly with sliding and pivoting lever
US5238276A (en) * 1992-12-21 1993-08-24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handle attaching arrangement
US5340174A (en) * 1993-04-12 1994-08-23 Chrysler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vehicle door handle
JP3319878B2 (ja) * 1994-06-15 2002-09-03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US5706554A (en) * 1994-12-02 1998-01-13 Ewald Witte Gmbh & Co. Kg Handle fitting,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 opening in a door, particularly a motor-vehicle door
DE29521920U1 (de) * 1995-03-04 1998-10-22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as Türschloß einer Kraftfahrzeugtür
DE19521082C1 (de) * 1995-06-09 1996-08-14 Ymos Ag Ind Produkte Kraftfahrzeug-Türgriff
JP3572766B2 (ja) * 1995-11-28 2004-10-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US6042159A (en) * 1997-08-01 2000-03-28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US6108979A (en) * 1997-10-09 2000-08-2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Vehicle handle linear pull action
DE19758078C2 (de) * 1997-12-30 2000-05-0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US6059329A (en) * 1998-03-13 2000-05-09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with self-actuated mounting
DE19813316A1 (de) * 1998-03-26 1999-10-07 Huf Huelsbeck & Fuerst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Türschloß mit klappbeweglichem Griff,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chloß
FR2781247B1 (fr) * 1998-07-17 2000-08-18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de securite pour 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ache de protection
US6099052A (en) * 1998-10-15 2000-08-08 Adac Plastics, Inc.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lock
FR2789426B1 (fr) * 1999-02-05 2001-06-15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789428B1 (fr) * 1999-02-05 2001-04-13 Valeo Securite Habitacle Poigne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blocage d'un element externe
JP4345128B2 (ja) * 1999-03-30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及び該車両ドアロック操作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ドア
US6234041B1 (en) * 1999-08-23 2001-05-22 Adac Plastics, Inc. Combined cushion and seal for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DE19940379C2 (de) * 1999-08-25 2001-07-12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530251B1 (en) * 1999-11-18 2003-03-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US6406075B1 (en) * 1999-12-30 2002-06-18 Delphi Technologies, Inc. Latch handle assembly
US6565134B1 (en) * 2000-04-21 2003-05-20 Adac Plastics, Inc. Handle with side impact counterweight having installation 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2647B2 (en) 2015-04-03 2017-06-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de-registering optical network unit (ONU) by using plurality of sub-channels i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103022D1 (de) 2004-09-02
AU2001289692A1 (en) 2002-02-18
EP1305490A1 (de) 2003-05-02
US20030122385A1 (en) 2003-07-03
DE10037913A1 (de) 2002-03-07
ES2221906T3 (es) 2005-01-16
EP1305490B1 (de) 2004-07-28
DE10037913C2 (de) 2002-06-20
WO2002012663A1 (de)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302B1 (en) Motor vehicle opening leaf handle
US6523871B1 (en) Motor vehicle opening-leaf handle including improved means for immobilizing an external element
US5423582A (en) Power-assist motor-vehicle door latch
RU2407871C2 (ru) Запирающий узел
WO2012070280A1 (ja) 車両用開閉扉の開閉操作装置
RU2764429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блокировки дверного замка
US20050134058A1 (en) Pinless inside door handle assembly
JPH0557391B2 (ko)
KR20120096938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에서의 액추에이터
US8403378B2 (en) Door latch device for a vehicle
JP2010531938A (ja) ドア用の操作ハンドル
US6974177B2 (en) Dual-axis door hinge assembly for vehicles
KR20040039374A (ko) 손잡이 피팅
JP2001032620A (ja) 窓操作装置
US20210310272A1 (en) Door-unlatching device
JP2002147090A (ja) 自動車両
KR20030045016A (ko) 도어, 특히 자동차 도어의 외부 작동을 위한 도어 피팅
KR100882997B1 (ko) 차량용 도어 외부 손잡이 킷
US7387004B2 (en) Latch for a mobile part of a vehicle body, such as a flap or a door, especially a rear opening
CA1152766A (en) Key safe having improved bar locking system
US8864191B2 (en) Device for actuating the closure of a movable part
AU746319B2 (en) Closure, especially for vehicles
JP4637313B2 (ja) 把持用レバーを取付けるための改良された手段を含む自動車の開放リーフハンドル
US6032496A (en) Door lock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US6581990B1 (en) Power-closing bolt for motor-vehicle door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