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993A -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993A
KR20030041993A KR10-2003-7004143A KR20037004143A KR20030041993A KR 20030041993 A KR20030041993 A KR 20030041993A KR 20037004143 A KR20037004143 A KR 20037004143A KR 20030041993 A KR20030041993 A KR 20030041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essel
container
filtrat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640B1 (ko
Inventor
조엘 리차드
빠뜨리스 로맹
Original Assignee
에띠빠흠
멘느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띠빠흠, 멘느랍 filed Critical 에띠빠흠
Publication of KR2003004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3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direct contact with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 B01D33/66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gases or by heating by indirect heat-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2Device for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8Position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201/282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rotation or symmetry axis

Abstract

본 발명은 챔버(6) 내부에 배열된 여과 용기(12)에 액상에서 분산 또는 부유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제약을 배치하는 단계, 챔버에서 용기를 통해 액상(52)의 분획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챔버에 유지된 용기에 여과된 조제약을 냉동 건조하기 위해서 챔버 전체에 온도와 압력을 다양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된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METHOD FOR ISOLATING AND DRYING MICROPARTICLES (MICROSPHERES OR MICROCAPSULES) INITIALLY DISPERSED OR SUSPENDED IN LIQUID PHASE}
제약용 미소립자와 마이크로캡슐과 같은 미립자는, 액상 내에서 일반적으로 제조된 후 고형의 건조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 추출되어, 분말 형태 또는 재조합 액상 현탁액 형태로 조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유탁액/용매 증발(또는 추출) 방법 또는 단순하거나 복잡한 보존 방법 등과 같이, 당분야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으로 준비되어도 된다. 액상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공지된 방법은 대부분의 액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조제약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성되는 여과액은 액상의 잔류물을 함유하는 미소립자의 농축된 반죽 케이크를 형성한다. 이 케이크를 필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긁혀지거나 칼퀴질되며 케이크는 냉동 건조실에 놓여진다. 냉동 건조는 건조한 미소립자의 덩어리를 얻기 위해서 잔류물 액상이 추출되도록 하며, 건조한 미소립자가 안정된 방법으로 보존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공업적 견지에서 많은 결점을 갖고 있다. 첫째, 주사(투입)되는 미립자(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약 형태의 경우, 제품은 무균 처리되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제조 단계는 등급 100 제어 분위기(무균 분위기)의 공간 내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대규모 작업실에서 이런 조건을 얻는 것은 매우 고비용이다. 따라서 각 단계에서 가능한 많은 제품을 한정하도록 노력한다. 그러나,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제품을 이송하는 것은 개방 환경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균성을 보장하기가 매우 어렵고 또한 매우 고비용이다.
게다가, 다양한 제품 취급 작업은 (필터, 냉동 건조기, 이송 용기 등에서) 손실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술한 방법은 보통의 수율을 갖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은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으로부터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분리 및 그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좌측에서 투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여과 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여과 용기의 축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용기의 우측에서 투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에서 다양한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무균의 건조 미소립자를 제조하고 그 수율을 개선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 챔버 내부에 배열되는 여과 용기에 액상으로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제약을 배치하는 단계,
- 챔버에서 용기를 통해 액상의 분획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 챔버에 유지된 용기에 여과된 조제약을 냉동 건조하기 위해서 챔버 전체에 온도와 압력을 다양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된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동일 챔버에서 여과와 냉동 건조를 실행함으로써 한정되는 부피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두 단계 사이의 제품의 이송이 없고, 이런 이송은 무균에서 손상과 생산 강하의 주 요인이었다. 따라서 무균의 건조 제품을 얻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일부 또는 전부의 여과 단계 동안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일부 또는 전부의 냉동 건조 단계 동안 이동된다.
이처럼, 이 이동은, 이들 단계 동안, 보다 균일하게, 용기의 내측면 위에 케이크를 추가로 분포시킨다. 형성하는 케이크의 층이 보다 미세하고 보다 균일하므로, 액상을 추출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여과 및/또는 냉동 건조가 보다 신속하게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이동은 회전 운동을 포함한다.
회전은 특히 이들 장점을 향상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은 용기의 대칭 축선을 중심으로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칭 축선은 용기의 회전 대칭 축선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은 비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실행된다.
이처럼, 특히 용기의 벽 위에 케이크의 균일한 분포가 얻어지고, 전술한 장점을 추가로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선은 수평방향과 25° 이하의 각도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윤곽된 부분(profiled portion)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원통형 부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제약은 여과 단계 동안 과압 하에 놓여진다.
바람직하게는, 냉동 건조 단계 후, 챔버의 내부는 가스 과압 하에 놓여진다.
이 과압 때문에, 냉동 건조된 케이크의 적어도 일부가 벽으로부터 분리되어, 후속 회복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동 건조 단계 후, 용기로 볼이 도입되고 상기 용기가 이동된다.
이들 볼은 케이크를 분쇄하고 후속 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동 건조 단계 후, 용기의 내부가 긁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여과 용기, 챔버 및 챔버 전체의 온도와 압력을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로서, 여과 용기가 챔버 내에 놓이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갖는다.
- 여과 용기는 챔버에서 이동하기 위해서 장착되고,
- 여과 용기는 회전 이동하기 위해서 장착되고,
- 여과 용기는 용기의 대칭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기 위해서 장착되고,
- 축선은 용기의 회전 대칭 축선이고,
- 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축선이 경사지도록 설계되고,
- 장치는 회전 축선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포함하고,
- 용기는 원통형 여과 벽을 갖고,
- 장치는 용기의 일부로서 동일 형상을 갖고 상기 부분에 관해서 동축으로 놓이는 열교환수단을 포함하고,
- 용기는 도입 및/또는 분리용 개구를 축단부에 가지며,
- 장치는 용기의 내면을 긁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한정하지 않는 실시예에 의해 주어지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기 설명으로 보다 명료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상에서 미소립자를 초기에 분리 및 건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2)는 "트랩" 또는 응축기라 불리우는 상부 챔버부(6)와 하부 챔버부(8)로 이루어진 챔버(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두 챔버부는 서로에 대해 위에 놓여지고 연통하는 제한부(10)에서 서로 분리된다. 이 장치는 상부 챔버부(6)에 놓이는 여과 용기(12)를 포함한다. 여과 용기는 축선(16)을 갖고 있다. 이 축선을 따라 윤곽을 형성하는 원형 단면을 갖고 있다. 여과 용기는 여기서 원통형 필터 벽(14)을 갖고 있다. 이 벽은 액체, 이 경우 미소립자를 포함하는 조제약의 수용액, 액상을 통과시킬 수 있지만, 미소립자가 누출되지 않는 미세 오리피스를 갖고 있다. 이 벽은, 공지된 각종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 중공 세라믹,
- 소결 스테인레스 강, 또는
- 소결 합성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
변형예로, 벽(14)은 대경 구멍으로 천공되는 견고한 층, 및 내측에, 상기 층에 지지되는 미세 박막을 갖고 있다. 이 막은 스테인레스 강, 아세테이트셀룰로스,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물이어도 된다.
벽(14) 재료의 선택은 제거되는 미소립자의 특성(비용, 치수, 재료 호환성)에 의존한다.
용기는, 도 1에서 좌측 벽의 축방향 단부에서,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부(18)를 갖고 있다. 사다리꼴부(18)의 가장 큰 단면부가 원통형 벽(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원통형 벽(14)은 약 25 cm의 길이를 갖고 있다. 벽(14)은 나사, 클램핑 또는 용접으로 사다리꼴부(18)에 연결되어 있다. 용기의 다른 축방향 단부는 원판형 실린더 헤드(20)에 의해 막혀 있다.
용기(12)는 원통형 벽(14)의 내면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축선(16)의 디스크 형태로 스크레이퍼 피스톤(2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스크레이퍼는 축선(16)을 따라 놓이고 실린더 헤드(20)의 중앙을 관통하는 직선형 액츄에이팅 로드(24)에 연결되어 있다. 벽(1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슬라이드하도록 스크레이퍼가 이동할 수 있다.
여과 용기(12)는 챔버(4)에 대해 상부 챔버부(6)에서, 축선(16)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챔버 외부로부터 동작될 수 있도록 로드(24)가 챔버(4)의 벽을 관통하고 있다.
용기(12)는 사다리꼴부(18)의 좁은 단부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챔버의 벽을 통과하는, 축선(16)의 원통형 중공 샤프트(26)에 의해 회전 지지되도록 안내되고 있다. 샤프트(26)의 내부는 용기(12)쪽으로 개통하고 있다. 볼 베어링은 안착하는 벽과 샤프트 사이에 베어링으로 기능한다. 외부로부터 챔버의 내부를 고립하기 위해서 실링수단이 이 지점에 제공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용기(12)에서 가장 이격된 샤프트(26)의 단부가 동일 직경의 파이프 엘보우(28)에 연결되어 있고, 미소립자를 준비하는 반응장치(30)에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챔버의 내부가 용기, 특히 벽(14)의 오리피스를 통해서만 반응장치에 연통하고 있다. 이 장치는 기밀 방법으로 반응장치(30)로부터 챔버의 내부를 고립하기 위해서 샤프트(26)와 파이프 엘보우(28)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밸브(3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축선(16)을 중심으로 용기(12)와 함께 샤프트(26)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15)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가열장치 또는 냉동장치(-60℃ 내지 40℃ 범위)를 갖는 챔버 외부와 유체 연통하는 파이프가 형성된 열교환코일(34)을 포함하고있다. 코일(34)은 반 쉘(half-shell)을 형성하기 위해서, 반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그 내경은 벽(12)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코일(34)은 벽(14)의 상부 반원통에 대향하는 상부 챔버부(6)에 놓여져, 벽을 덮고 있다. 이 장치는, 트랩을 예컨대 -60℃로 유지하기 위해서 트랩(8)에서, 냉동장치를 갖는 챔버 외부와 유체 연통하는 응축기코일(36)을 포함하고 있다.
두 코일은 적절한 열전달유체가 순환된다.
이 장치는 냉동 건조 이전에, 신속한 냉동을 유발하기 위해 상부 챔버부(6)로 액체질소를 도입하는 도입수단(38)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펌프(40), 예컨대 베인펌프를 구비하여, 냉동 건조를 위해 챔버(4) 전체에 고압 진공을 발생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트랩(8)의 하단부가 실링밸브(42)에 의해 마음대로 차단될 수 있다.
챔버와 그 내부에 포함된 부품으로 형성하는 전체 조립체가 장착되어 도 1의 평면에 수직한 수평방향 축선(44)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고 제한부(10)를 기하학적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이 회전을 허용하도록 베이스에 챔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46)을 포함하고 있다. 이 회전은 축선(16)의 경사를 수평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챔버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용접된 조립체이고, 단열 재킷으로 덮혀져 있다. 내부는 둥근 코너와 세척이 용이하도록 정체된 영역을 갖지 않도록 매끄럽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 경우에서 제약용 미소립자를 제조하기 위해서 다음 방법으로 실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이프(26)는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기밀 회전 플랜지를 통해 반응장치(30)에 연결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피스톤(22)은 후퇴 위치에 놓여져 있다.
모든 부품(용기, 챔버 등)을 살균하기 위해서 120℃의 가압 증기가 반응장치(30)로부터 20분 동안 분사된다. 일부 응축액이 트랩(8)의 바닥으로부터 재생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온으로 복귀된 용기(14)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축선(16)과 수평방향 사이의 각도(a)가 5°로 챔버의 경사가 선택되어 있다.
반응장치(30)는 수용액상태의 부유물로 미소립자의 분산액(48)을 포함한다. 예컨대, 유탁액/용매 추출로 준비되고, 50㎛ 의 평균직경을 갖는 젖산/글리콜산 공중합체(PLGA) 미립자의 수용액 분산액(48)이어도 된다. 이 분산액은 가압된 후 용기(12)로 보내진다. 압력과 중력의 효과에 의해, 액체가 파이프 엘보우(28), 샤프트(26) 및 여과 용기(12)를 따라 이동한 후(여기서 약간의 경사가 어떠한 지체 영역을 제거함), 벽(14)을 통과하고 트랩(8)의 바닥으로 가능한 멀리 진행한다. 밸브(42)가 개방되고 저장통(50)에 연결되기 때문에, 액체(52)는 저장통에 수집된다. 용기에서 회전 효과에 의해 얇은 층으로 벽(14)의 전체 내주면에 걸쳐 분포되는 미소구체의 풀 반죽의 케이크가 놓여져 있다.
다음에, 두 밸브를 밀폐함으로서 챔버 내부가 기밀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차단된다. 기계는 반응장치(30)와 저장통(50)으로부터 단절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수평이 되도록 축선(16)의 경사가 변경된다. 챔버의 전체내부를 -60℃까지 강하하고 미소립자의 케이크를 신속하게 냉동하기 위해서 액체질소가 상부 챔버부(6)로 보내진다. 용기(12)는 계속 회전한다. 고압 진공이 펌프(40)에 의해 두 챔버부(6, 8)(즉 챔버의 내측 전체)에서 생성된다.
냉동 건조 상태가 시작된다. 이를 위해, 트랩(8)은 코일(36)에 의해, 잠깐 동안, 반쉘 코일(34)에 의해 -60℃로 유지되고, 상부 챔버부(6)의 온도가 적절한 주기에 걸쳐 점차로 -60℃에서 +40℃로 이르게 된다. 용기는 계속해서 회전한다.
냉동 건조 단계 이후, 액체가 케이크로부터 추출되고 트랩(8)에서 결정화된다. 여과 용기(12)에서 미소립자의 케이크가 즉시 건조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용기의 하류부를 형성하는 수평방향 부분(18)으로 축선(16)이 40° 각도를 이루도록 챔버가 (도 7에 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밸브(32)를 개방하여 스크린에 연결함으로써 챔버의 내부는 실온에 이르게 된다. 케이크(49)를 용기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케이크를 벽(14)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압축공기가 상부 챔버부(6)로 펄스로 주입되므로, 스크린에서 가능한 멀리 적어도 일부의 케이크가 중력에 의해 흘러 떨어진다. 잔류 케이크의 분리 및/또는 제거를 완료하기 위해서 용기의 내부는 피스톤(22)을 이용하여 상류 단부로부터 하류 단부로 긁혀진다.
게다가, 또는 선택적으로, 용기에 포함된 볼의 이동 효과에 의해 케이크를 분쇄하고 벽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볼을 회전하는 용기로 도입하는 것을 준비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품에 사람의 아무런 간섭 없이, 특히 용기로부터 이송 없이, 동일 용기와 동일 챔버 내에 여과와 건조를 조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살균(증기 압력 공정)을 위해 기계 장치가 미리 반응장치에 연결되어도 된다. 그 후에, 분리, 냉동 건조 및 회수 공정은, 제품의 무균을 완전히 보장하는 엄격하게 한정된 조건 하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회전하는 여과 시스템의 원통형 특성은 미소립자의 케이크가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고, 이는 최적 냉동 건조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또한, 원통형상의 전개된 표면적은 평면을 갖는 필터에 비해 작은 케이크 두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관식 냉동건조기(shelf freeze dryer)보다 기계장치가 보다 조밀하게 구성된다.
냉동 건조된 제품의 케이크가 냉동 건조의 말기에 응집되기 때문에, 스크레이핑 시스템은 수동 간섭(트레이에 건조된 제품을 재생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취급) 없이 냉동 건조(lyophilizate)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공지된 방법에서 종종 있는 일이지만, 미소립자에 넣어지는 제품의 방출을 시작하는 결점을 갖는, 대량의 물로 케이크를 세척하는 것을 회피한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간 또는 가축의 약학분야, 화장품분야 및 다른 공업분야, 예컨대 직물, 미세화학, 인쇄 등에서,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제조에 적용되어도 된다.
여과 용기는 실린더 이외에 축대칭 형상을 가져도 된다. 긁기를 허용하지는 않지만, 예컨대, 구 형상이어도 된다.
여과 용기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체 이외의 형상, 예컨대 다각형 단면의 윤곽 형상을 가져도 된다.
게다가, 작동 매개변수(경사, 온도, 지속시간 등)가 변경되어도 된다.
제2 실시예로서, 반응장치(30)에 복합 코아세르베이션에 의해 초기에 준비되고 100㎛ 의 평균 크기를 갖고, 동일한 미립자 고립 및 건조 과정이 지방상태에서 분산된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교차결합된 젤라틴/알긴산(alginate) 마이크로캡슐의 수용액 분산액에 적용되어도 된다.

Claims (16)

  1. - 챔버(6) 내부에 배열된 여과 용기(12)에 액상에서 분산 또는 부유되는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제약(48)을 배치하는 단계,
    - 챔버에서 용기를 통해 액상(52)의 분획물(fraction)을 여과하는 단계, 및
    - 챔버에 유지되는 용기에 여과된 조제약을 냉동 건조하기 위해서 챔버 전체에 온도와 압력을 다양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된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용기(12)는 일부 또는 전부의 여과 단계 동안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용기(12)는 일부 또는 전부의 냉동 건조 단계 동안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특히 용기(12)의 대칭 축선(16)을 중심으로, 바람직하게는 용기(12)의 회전 대칭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원통형 부분(14)을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제약(48)은 여과 단계 동안 과압 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동 건조 단계 후, 챔버(6)의 내부는 가스 과압 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동 건조 단계 후, 용기(12)로 볼이 도입되고 상기 용기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동 건조 단계 후, 용기(12)의 내부가 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방법.
  10. 여과 용기(12), 챔버(6) 및 챔버 전체의 온도와 압력을 변경하는 변경수단(34, 36, 38, 40)을 구비하고, 여과 용기(12)가 챔버(6)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에서 초기에 분산되거나 부유된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2).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2)는 챔버(6)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며, 특히용기(12)의 대칭 축선(16)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전 축선(16)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수단(44, 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용기(12)는 원통형 여과 벽(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2)의 일부분(14)과 동일 형상을 갖고 상기 일부분에 관해서 동축방향으로 놓이는 열교환수단(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2)는, 그 축방향 단부에, 도입 및/또는 분리용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12)의 내면을 긁기 위한 스크레이핑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 분리 및 건조 장치.
KR1020037004143A 2000-09-21 2001-09-21 액상으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 KR100766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2027A FR2814089B1 (fr) 2000-09-21 2000-09-21 Procede pour isoler et secher des microparticules (microspheres ou microcapsules) initialement dispersees ou suspendues en phase liquide
FRFR00/12027 2000-09-21
PCT/FR2001/002943 WO2002024305A1 (fr) 2000-09-21 2001-09-21 Procede pour isoler et secher des microparticules (microspheres ou microcapsules) initialement dispersees ou suspendues en phase liq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993A true KR20030041993A (ko) 2003-05-27
KR100766640B1 KR100766640B1 (ko) 2007-10-15

Family

ID=885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143A KR100766640B1 (ko) 2000-09-21 2001-09-21 액상으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354514B2 (ko)
EP (1) EP1412049B1 (ko)
JP (1) JP5138143B2 (ko)
KR (1) KR100766640B1 (ko)
CN (1) CN1221301C (ko)
AT (1) ATE293001T1 (ko)
AU (2) AU2001291970B2 (ko)
CA (1) CA2423197C (ko)
DE (1) DE60110130T2 (ko)
ES (1) ES2237600T3 (ko)
FR (1) FR2814089B1 (ko)
IL (2) IL155020A0 (ko)
MX (1) MXPA03002451A (ko)
NO (1) NO324151B1 (ko)
WO (1) WO2002024305A1 (ko)
ZA (1) ZA200302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2127B2 (en) 2006-11-08 2015-01-13 Paltronics Australasia Pty Limited Secondary game system for a gaming terminal network
US8137186B2 (en) * 2006-11-08 2012-03-20 Paltronics Australasia Pty Limited Secondary game system, a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t least one secondary game in a gaming system
US9178757B2 (en) 2013-12-31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Serial link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12564A1 (en) * 2014-07-23 2016-01-28 Roche Diagnostic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microparticles containing immobilized enzyme
KR101642349B1 (ko) 2015-03-06 2016-07-26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접합선이 없는 시임리스 캡슐용 건조장치
CN110453199B (zh) * 2019-09-11 2024-04-23 光驰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原子层沉积设备用工艺残余气体的过滤装置
CN110715538A (zh) * 2019-11-15 2020-01-21 快思瑞科技(上海)有限公司 可膨胀微球干燥系统和方法
CN112642212B (zh) * 2020-09-25 2022-11-25 长沙市建设发展工程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水资源循环利用装置
CA3173146C (en) * 2020-11-16 2023-10-31 Joel Peter LENNON-MEYER Continuous throughput lyophilizer/powder filler within a sterile boundar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86855A (en) * 1927-02-10 1928-03-15 Edward Charles Elsmor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ntrifugal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sludge
DE505887C (de) * 1927-03-16 1930-08-27 Buckau R Wolf Akt Ges Maschf Heizbares Schwenk-Ruehrwerk fuer Drehfilter
US3952541A (en) * 1968-11-05 1976-04-27 Mario Rigoli Apparatus for quick freezing of aqueous solutions or suspensions to be submitted to lyophilization
JPS5014386B1 (ko) * 1968-11-21 1975-05-27
FR2298777A2 (fr) * 1975-01-22 1976-08-20 Air Liquide Appareil de lyophilisation
FR2383412A1 (fr) 1977-03-11 1978-10-06 Usifroid Congelateur rotatif pour lyophilisateur ou analogue
US4248709A (en) * 1979-09-07 1981-02-03 Robert Irving Method of filtering sewer scum and apparatus therefor
JPS6186913A (ja) * 1984-10-04 1986-05-02 Ulvac Corp 回転真空濾過乾燥装置
JP2579755B2 (ja) * 1986-07-17 1997-02-1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新規懸濁性農薬製剤
JPS63116712A (ja) * 1986-10-31 1988-05-21 Nippon Shiyuumatsuhaa Kk 分離乾燥装置
JPH01184008A (ja) * 1988-01-19 1989-07-21 Nissen Corp 濾過乾燥装置
DE4006015A1 (de) 1990-02-26 1991-09-05 Leybold Ag Gefriertrocknungseinrichtung
GB9505523D0 (en) * 1995-03-18 1995-05-03 Wellcome Found Lyophilization process
EP0854911B1 (en) * 1995-09-22 2004-11-24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ntainer for drying biological samples, method of making such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same
DE19654134C2 (de) * 1996-04-25 2003-08-07 Messer Griesheim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Gefriertrocknen
US5858531A (en) * 1996-10-24 1999-01-12 Bio Syntech Method for preparation of polymer microparticles free of organic solvent tr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302225B (en) 2003-10-03
JP2004522925A (ja) 2004-07-29
US20040009230A1 (en) 2004-01-15
AU9197001A (en) 2002-04-02
EP1412049B1 (fr) 2005-04-13
WO2002024305A1 (fr) 2002-03-28
ATE293001T1 (de) 2005-04-15
JP5138143B2 (ja) 2013-02-06
US7354514B2 (en) 2008-04-08
MXPA03002451A (es) 2004-12-06
FR2814089B1 (fr) 2003-07-04
NO20031298L (no) 2003-05-21
EP1412049A1 (fr) 2004-04-28
IL155020A (en) 2006-07-05
AU2001291970B2 (en) 2006-08-17
CA2423197C (fr) 2008-04-22
NO20031298D0 (no) 2003-03-20
CA2423197A1 (fr) 2002-03-28
IL155020A0 (en) 2003-10-31
DE60110130D1 (de) 2005-05-19
ES2237600T3 (es) 2005-08-01
FR2814089A1 (fr) 2002-03-22
NO324151B1 (no) 2007-09-03
KR100766640B1 (ko) 2007-10-15
DE60110130T2 (de) 2006-03-02
CN1469767A (zh) 2004-01-21
CN1221301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640B1 (ko) 액상으로 초기에 분산 또는 부유된 미립자 (미소립자 또는 마이크로캡슐) 분리 및 건조 방법
JP2957750B2 (ja) 遠心分離式乾燥機
JP6894450B2 (ja) 凍結乾燥方法及び装置
JP3174044B2 (ja) 球形化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5743840A (en) Centrifuge with a heating jacket for drying collected solids
US20080155853A1 (en) Powder formation by atmospheric spray-freeze drying
US7089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d drying a product
WO1997049495A9 (en) Centrifuge with device for drying collected solids
RU200412197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сыпучей продукции перегретым паром
JP7097907B2 (ja) 熱不安定性物質を工業的カプセル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922798B2 (en) Granulator device
US2987444A (en) Preparation of a gelatin-vitamin mixture
JPH02503400A (ja) 粉体の造粒用流動床装置
EP1273861A1 (en) Device for pulverizing desiccated bulk product in a freeze-drying apparatus for foodstuffs, medicaments, and so forth
US2415527A (en) Method of atomizing and desiccating substances and apparatus therefor
Bullich Continuous freeze drying
JP2023528418A (ja) 凍結室と凝縮器の組み合わせによる凍結乾燥
KR20010090012A (ko) 단백질 결정을 건조시키는 방법
JP4019220B2 (ja) 真空乾燥方法並びにその装置
WO2013071316A2 (en) Porous polymeric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US20140251927A1 (en) Porous Polymeric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3169080B2 (ja) 被洗浄物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JP2022028316A (ja) 容器、乾燥装置、および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の乾燥物の製造方法
Rodriguez—Fernandez et al. 9 Downstream Operations of Fermented Products
JPS5854353B2 (ja) 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