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993A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993A
KR20030034993A KR1020010066849A KR20010066849A KR20030034993A KR 20030034993 A KR20030034993 A KR 20030034993A KR 1020010066849 A KR1020010066849 A KR 1020010066849A KR 20010066849 A KR20010066849 A KR 20010066849A KR 20030034993 A KR20030034993 A KR 2003003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con
cursor
electronic devi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396B1 (ko
Inventor
서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396B1/ko
Priority to JP2002281154A priority patent/JP4412888B2/ja
Priority to US10/270,147 priority patent/US20030081009A1/en
Priority to EP02257419A priority patent/EP1315369B1/en
Priority to CN2006100092494A priority patent/CN1825909B/zh
Priority to CNB021469598A priority patent/CN1265623C/zh
Publication of KR200300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작에 따라 커서 이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와 기능 변경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 초기화 시 설정된 기능을 나타내는 다수 개의 아이콘과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 및 설정된 기능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여 제2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콘의 기능을 온/오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표시부의 초기 화면에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고 기능 변경을 위해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간단한 키 조작에 의해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기능 변경용 버튼을 외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복잡한 메뉴모드에서 설정메뉴를 변경하지 않고 간편하게 전자기기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On/off shifting app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제어상태 및 동작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이하 OSD라 약칭함)로 표시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간단한 키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동작시킬 경우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조작패널을 구비하고 기능에 따르는 키입력부를 설치하여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창을 설치하여 동작상태와 제어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근래의 전자제품은 그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디자인이 더욱 더 강조되는 경향으로 버튼 수의 최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는 그 조작을 위해서 기능에 따르는 버튼을 필요로 하여 모든 기능에 대한 온/오프 내지 기능 변경을 위한 버튼을 기기에 설치할 경우 복잡하고 디자인의 제약이 많으며 재료비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에스디 기능을 구비하여 OSD 메뉴를 이용하여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에 의한 메뉴 모드를 디스플레이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을 위해서는 먼저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메뉴모드를 온 시킨다(S10). 메뉴모드가 온되면 메뉴 중 첫번째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S11). 세부 기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뉴 리스트 중 변경하고자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로 커서(31)를 이동시키고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S12). S12단계를 수행하면 커서(31)가 위치한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이 메뉴 리스트 중 변경하고 싶은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조작하여 온/오프를 변경한다(S13,S14,S15).
도 2 는 상기와 같은 방법이 수행된 종래의 OSD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모드에서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 커서(31)를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로 이동시킨 후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온/오프를 변경하여야 기능이 변경된다.
한편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능을 설정한 후 전자기기의 사용중 한가지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위의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메뉴모드로 돌아가 복잡한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기의 사용중 직접 원하는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능 변경을 위한 키입력부(10)를 기기 외부에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수신된 영상을 나타내는 TV의 스크린이나, 촬상된 영상을 타나태는 캠코더의 화면에 상기 OSD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OSD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변경할 때에는 청취하던 방송 화면이나 촬상 중이던 영상 대신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메뉴모드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하위 메뉴로 이동하여 기능을 변경하는 복잡한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촬영 중이거나 시청 중에 기능의 온/오프와 같은 간단한 기능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촬영이나 시청 도중 기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메뉴화면을 불러내게 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화면의 대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많은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의 경우 OSD를 이용하여 메뉴모드에서 기능을 선택할 때에는 복잡한 방법에 의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조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작의 편의를 위해 기능 선택을 위한 버튼을 기기 외부에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키입력부가 복잡해지고, 디자인의 제약이 많으며 재료비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OSD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시 메뉴모드에서 변경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는 본래 화면을 보면서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기능을 변경할 수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SD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기기의 기능을 변경시킬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OSD 메뉴 모드를 디스플레이한 표시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용 키입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표시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입력부11 : 제1스위치
11': 제2스위치 20 : 제어부
30 : 표시부31 : 커서
32 : 아이콘33 : 날짜·시간 표시부
34 : 팁 박스35 : 오토 아이콘
50 : 리모콘51 : 제1버튼
51': 제2버튼52 : 표시창
60 : 송수신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프레이(이하 OSD라 칭함)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는, 현재의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에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 및 설정된 기능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할 때, 제 2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기능을 온/오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의 표시부는 온으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온하고,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오프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는 동안에는 아이콘의 OSD가 점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면 소정 시간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는 상기 아이콘과 커서의 OSD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중첩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회전시키면 커서를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신호가 출력되고 푸시하면 선택 신호가 출력되는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OSD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은, 표시부가 온되면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아이콘과 커서의 OSD를 온시키는 단계; 제 1 스위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수행 후 제 2 스위치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계 수행 후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소정시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에 의해 본래의 화면(촬상중인 화면)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아이콘은 화면의 외곽 부분에 배치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 및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동작 등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조작패널(도면중 미도시)을 구성하는 키입력부(10)와, 키입력부(10)에 포함되는 제 1스위치(11), 제 2스위치(11'), 기능이나 상태등을 나타내는 OSD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3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에서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콘(50)이 구비된 경우, 제1스위치(11)와 제2스위치(11')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는 제1버튼(51), 제2버튼(51')을 리모콘(50)에 설치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2는 리모콘에 설치된 표시창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 부호 60은 리모콘(50)과 제어부(20)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송수신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11)와 기능의 온/오프 설정상태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11')는 전자기기의 조작패널을 구성하는 키입력부(10)에 설치된다.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11)와 기능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11')는 각각 별도로 설치하거나, 다이얼 버튼을 설치하여 다이얼 버튼을 회전시키면 제1스위치(11)의 신호가 출력되고, 다이얼 버튼을 푸시하면 제2스위치(11')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기능이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30)는 조작패널(도면중 미도시)에 설치되는 LC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는 TV의 경우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캠코더의 경우 촬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0)는 복수의기능 및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32)과 신호에 따라 화면상을 이동하는 커서(31), 날짜, 상태 등을 표시하는 텍스트 등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키입력부(10)와 표시부(30)는 제어부(20)에 연결된다. 제어부(20)는 키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하는 OSD신호를 표시부(30)에 인가한다.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콘(50)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인 경우 리모콘(50)에 구비된 제1버튼(51)과 제2버튼(51')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전자기기에 상기 커서 이동 신호나, 기능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콘(50)에 표시창(52)을 구비하면 조작자가 원격에서 제1버튼(51), 제2버튼(51')의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부(30)의 화면상에 OSD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설정에 따라 아이콘(32), 커서(31), 및 날짜·시간(33)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아이콘(32)은 메뉴에 따라 각각 다른 모양으로 설정되며, 도면부호 32b와 같은 문자로 나타내거나 32a,32c,32d,32e와 같은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32)은 표시부(30)의 화면상에 메뉴 별로 설정된 위치가 있어 기능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아이콘이 온/오프 된다. 커서(31)는 초기화 시 일정 위치에서 온(ON) 되고 제1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여기서 오프(OFF)는 기능에 따라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동작되는 오토(AUTO)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부(10)를 조작하여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표시부(30)가 온된다. 표시부(30)가 온 되면 메뉴 별로 설정되어 있는 값에 따라 OSD가 온되어 해당되는 아이콘(32)과 커서(31) 및 날짜·시간 등이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 된다(S100,S110,S120). 제1스위치(11)가 조작되어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커서(31)를 이동시킨다(S200,S210). 커서(31)가 위치하면 온으로 설정되어 있던 아이콘은 역상으로 표시되고, 오프로 설정되어 OSD가 오프되어있던 아이콘은 점멸하거나 옅은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의 타이틀을 팁박스(34; Tip-box)형식으로 나타낸다(S220). 메뉴의 타이틀과 함께 온/오프 설정상태가 표시된다.
도 6 및 도 7a,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화면 상에 OSD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상하는 영상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이 화면을 확인하며 원하는 장면을 촬영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캠코더의 경우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커서를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과 커서는 촬상 중인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화면 가장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32a는 색감선택, 32b는 특수효과(DSE), 32c는 손떨림보정(EIS), 32d는 바람소리제거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서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들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초기화 시에는 커서(31)가 일측에 위치하게 되고,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해 놓은 경우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이 도면부호 33과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촬상 중에 색감선택을 오토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뉴 모드로 OSD를 변경하지 않고, 촬상 중인 영상을 확인하면서 간단히 제1스위치(11)를 조작하여 커서를 색감선택 아이콘(32a)로 이동시키고, 제2스위치(11')를 조작하여 기능을 오토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도 7a, 7b는 색감선택을 온에서 오토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용자가 제1스위치(11)를 조작하면 커서 이동 신호가 제어부(20)로 입력된다. 제어부(20)는 커서(31)의 위치를 도 7a와 같이 이동시킨다. 커서(31)가 위치하면 색감선택 아이콘(32a)은 역상으로 표시되고 색감선택 아이콘(32a)에 해당하는 메뉴 타이틀인 "색감선택" 과 기능설정 상황 "온"이 팁박스(34) 형태로 표시된다.
커서(31)가 "색감선택" 아이콘(3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스위치(11')를 조작하여 기능 변경 신호를 제어부(20)에 입력하면 "색감선택" 메뉴는 온(ON)에서 오토(AUTO)로 그 설정 상태가 변경되고 화면상에도 오토를 나타내는 오토 아이콘(35)으로 변경되어 나타난다. 또한 팁박스(34)에도 "온" 표시가 "오토"로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본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전자기기의 기능 설정 상태를 아이콘(32)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기능 변경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커서(31)를 이동시킨 후 간단한 조작으로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한편, 아이콘에 의해 본래의 영상(촬상 중인 영상이나 방송되는 영상)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아이콘은 화면의 외곽 부분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OSD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설정 변경시 OSD의 메뉴모드로 들어가 해당하는 디렉토리를 찾아 기능을 변경하는 복잡한 과정을 되풀이 하지 않고, 각 기능의 상태를 아이콘으로 본래 디스플레이되던 화면과 함께 초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메뉴의 아이콘과 커서를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엿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전자기기의 복수의 설정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로서,
    현재의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에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
    상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 및
    설정된 기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할 때, 상기 제2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기능을 온/오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온으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온하고,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오프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는 동안에는 아이콘의 OSD가 점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아이콘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면 소정 시간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아이콘과 상기 커서의 OSD를 디스플레이되던 영상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회전시키면 상기 커서를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신호가 출력되고 푸시하면 선택신호가 출력되는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7. 전자기기의 복수의 설정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으로서,
    표시부가 온되면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아이콘과 커서의 OSD를 온시키는 단계;
    제1스위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수행 후 제2스위치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 수행 후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소정시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
KR10-2001-0066849A 2001-10-29 2001-10-29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43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49A KR100433396B1 (ko) 2001-10-29 2001-10-29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JP2002281154A JP4412888B2 (ja) 2001-10-29 2002-09-26 Osd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の機能変更装置及び方法
US10/270,147 US20030081009A1 (en) 2001-10-29 2002-10-15 Function shifting apparatus for use with an electronic appliance, such as a video recorder, having an on-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02257419A EP1315369B1 (en) 2001-10-29 2002-10-25 User-configurable electronic apparatus
CN2006100092494A CN1825909B (zh) 2001-10-29 2002-10-29 用于带在屏显示的电子设备的功能转换装置和方法
CNB021469598A CN1265623C (zh) 2001-10-29 2002-10-29 用于带在屏显示的电子设备的功能转换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49A KR100433396B1 (ko) 2001-10-29 2001-10-29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81A Division KR100662866B1 (ko) 2003-10-17 2003-10-17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93A true KR20030034993A (ko) 2003-05-09
KR100433396B1 KR100433396B1 (ko) 2004-06-02

Family

ID=3693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849A KR100433396B1 (ko) 2001-10-29 2001-10-29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81009A1 (ko)
EP (1) EP1315369B1 (ko)
JP (1) JP4412888B2 (ko)
KR (1) KR100433396B1 (ko)
CN (2) CN1265623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2027B2 (en) 2003-12-13 2009-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US8683382B2 (en) 2005-12-21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1131B1 (ko) * 2009-12-24 2014-10-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이용한 osd 구현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96B1 (ko) * 2001-10-29 200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CN1914907A (zh) * 2004-01-29 2007-02-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视频重放设备的屏幕上的控制
JP2005267000A (ja) * 2004-03-17 2005-09-29 Sony Corp 電子機器および機能割り当て方法
JP4095071B2 (ja) 2004-03-19 2008-06-04 株式会社リコー 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ディスプレイ付き電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99802B (zh) * 2004-03-19 2011-03-02 株式会社理光 附带显示器的装置及信息处理方法
CN100459756C (zh) * 2004-08-23 2009-02-04 英华达股份有限公司 移动通讯装置
US8402384B2 (en) * 2004-11-09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EP1659766B1 (en) * 2004-11-09 2007-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JP2006323504A (ja) * 2005-05-17 2006-11-30 Sharp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印刷制御装置
JP4312738B2 (ja) * 2005-05-20 2009-08-1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処理設定装置、データ処理設定方法、データ処理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63188B1 (ko) * 2005-07-21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장치
US20070260988A1 (en) * 2006-05-04 2007-11-08 Syntax Brillian Corp. Optimum initial settings for a display device
US7937662B2 (en) * 2006-07-21 2011-05-03 Cyberlink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mote control functions in a mouse in a video playback system
JP5354946B2 (ja) * 2007-05-28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KR101809947B1 (ko) * 2010-12-14 201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11198A3 (en) * 2011-12-30 2013-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o provide a single-view or multi-view mode
US8539387B1 (en) * 2012-10-22 2013-09-17 Google Inc. Using beat combination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JP2014085767A (ja) * 2012-10-22 2014-05-12 Ntt Docomo Inc 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状態切替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573130B (zh) 2015-12-15 2018-05-15 意诺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面板及控制方法
JP6685185B2 (ja) 2016-06-21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撮像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6254937B (zh) * 2016-08-09 2019-12-03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电视机及其信号源的切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6324A (ja) * 1988-08-15 1990-03-1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項目選択装置と方法
US5119079A (en) * 1990-09-17 1992-06-02 Xerox Corporation Touch screen user interface with expanding touch locations for a reprographic machine
US5485200A (en) * 1990-12-26 1996-01-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onal information renewing and memor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hotographing instrument
JPH04368081A (ja) 1991-06-14 1992-12-2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一体型vtr
JP3223987B2 (ja) * 1992-12-08 2001-10-29 株式会社東京精密 アイコンの配置変更装置
JP3504738B2 (ja) * 1994-09-09 2004-03-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及び電子的撮像システム
JPH08255067A (ja) * 1995-03-17 1996-10-01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US5606374A (en) * 1995-05-31 1997-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receiver display of menu overlaying video
KR970064198A (ko) * 1996-02-27 1997-09-12 김광호 영상기기의 그림메뉴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H10304234A (ja) * 1997-04-24 1998-11-13 Sony Corp 撮像システム、及びビデオカメラ装置
JP3599973B2 (ja) 1997-10-02 2004-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DE69811203T2 (de) * 1997-10-28 2003-11-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nformationsverarbeitungssystem
US5995101A (en) * 1997-10-29 1999-11-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ulti-level tool tip
US6930709B1 (en) * 1997-12-04 2005-08-16 Pentax Of America, Inc. Integrated internet/intranet camera
JPH11355617A (ja) * 1998-06-05 1999-12-2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器付きカメラ
US6496122B2 (en) *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JP4123608B2 (ja) * 1998-12-14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6430314B1 (en) * 1999-01-20 2002-08-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data strings including hangul (Korean) and ASCII characters
DE69921956T2 (de) * 1999-02-11 2006-02-0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Edgerät für die drahtlose Tele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Symbolen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eines solchen Endgeräts
US6710771B1 (en) * 1999-05-13 2004-03-2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dium
KR100331828B1 (ko) * 1999-08-24 2002-04-09 구자홍 티브이의 방송정보 설정장치 및 방법
JP4196394B2 (ja) 2000-01-27 2008-1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電子カメラ
WO2001071478A2 (en) * 2000-03-22 2001-09-27 Sony Electronics Inc Data entry user interface
US6765557B1 (en) *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US6661434B1 (en) * 2000-04-13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atus of critical indicators on diverse display devices
US7818691B2 (en) * 2000-05-11 2010-10-19 Nes Stewart Irvine Zeroclick
JP2001326843A (ja) * 2000-05-18 2001-11-22 Sony Corp 撮像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US7636079B2 (en) * 2000-11-29 2009-12-22 Palm Inc. Application access and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KR100377222B1 (ko) * 2000-12-27 2003-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osd 제어방법
JP2002232371A (ja) * 2001-01-31 200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放送受信システム
JP4127982B2 (ja) * 2001-05-28 2008-07-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US6886138B2 (en) * 2001-07-05 2005-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recting users′ attention to specific icons being approached by an on-screen pointer on user interactive display interfaces
US20030013483A1 (en) * 2001-07-06 2003-01-16 Ausems Michiel R. User interface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100433396B1 (ko) * 2001-10-29 200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JP2003162355A (ja) *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US7111788B2 (en) * 2002-04-22 2006-09-26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pplications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117009B2 (en) * 2002-12-20 2006-10-0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control
US20050193340A1 (en) * 2004-03-01 2005-09-01 Amburgey James T. Apparatus and method regarding dynamic icon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860536B2 (en) * 2006-01-05 2010-12-28 Apple Inc. Telephone interface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D561193S1 (en) * 2006-05-26 2008-02-05 Google Inc. Display device showing user interf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2027B2 (en) 2003-12-13 2009-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US8683382B2 (en) 2005-12-21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1131B1 (ko) * 2009-12-24 2014-10-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이용한 osd 구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5369B1 (en) 2012-05-30
CN1416265A (zh) 2003-05-07
JP2003224757A (ja) 2003-08-08
CN1825909A (zh) 2006-08-30
CN1825909B (zh) 2013-05-08
EP1315369A1 (en) 2003-05-28
KR100433396B1 (ko) 2004-06-02
JP4412888B2 (ja) 2010-02-10
US20030081009A1 (en) 2003-05-01
CN1265623C (zh)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39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437104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메뉴제어 방법
EP1714481A1 (en) On-screen control of a video playback device
EP1855215B1 (en) Television apparatus
KR20050074762A (ko) 기어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방법
JP2007158792A (ja) 表示ガイドシステム及び表示ガイド方法
KR10066286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EP1851953A1 (en) Display appar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6176B1 (ko)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
JP314425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003512B1 (ko) Osd 메뉴 제어방법
JP2008217322A (ja) 表示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123604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8153732A (ja) リモコン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08153A (ko)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영상기기 제어 방법
KR100247593B1 (ko) 오에스디 메뉴 선택방법
KR10037410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JP4809759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0185942B1 (ko) 영상기기의 메뉴선택방법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992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64269A (ko) 영상기기의 입력모드 전환방법
KR2008002802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입력 신호 수신 방법
MXPA060083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