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107B1 -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107B1
KR100374107B1 KR10-2000-0052993A KR20000052993A KR100374107B1 KR 100374107 B1 KR100374107 B1 KR 100374107B1 KR 20000052993 A KR20000052993 A KR 20000052993A KR 100374107 B1 KR100374107 B1 KR 10037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djustment
key
monitor
adjustm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773A (ko
Inventor
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테크
Priority to KR10-2000-005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1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OSD조정기능에 사용자도움(헬프)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쉽게 OSD조정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1) 키 입력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키를 누르면 제어부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필요한 조정기능에 해당하는 조정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3) 제어부가 헬프 키 입력신호을 감지하고 해당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하는 단계, (4) 단계(2)에서 선택된 조정기능을 자동실연 하는 단계, (5) 해당 조정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복잡 다양화 되어가는 모니터의 각종 조정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사용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Method of implementing help function to monitor having OSD adjustment function}
본 발명은 모니터의 OSD조정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OSD조정기능에 도움(헬프)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의 OSD(on screen display)조정기능이란, 모니터의 조정(밝기, 콘트라스트, 화면크기, 포지션, 색온도, 컬러게인, 핀쿠션, 디가우스 등)을 종래의 하드웨어 방식에 의해(가령 가변저항이나 가변 콘덴서를 노브로 돌리는 방식에 의해) 구현하지 않고,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모니터 화면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도1은 일반적인 OSD 조정화면이 표시된 모니터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모니터 전면에 설치된 메뉴 키(10)를 누르기만 하면 모니터 화면에 각종 조정기능의 아이콘 또는 명칭이 표시된 조작패널창(12)이 화면으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선택 키(14)와 조정 키(16)로 각 조정포인트를 조정한다.
도2는 종래기술의 기능실현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메뉴 키와 조정 키(UP/DOWN 키), 선택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18),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20), 메모리(22) 및 동작부(2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동작부(24)는 각 조정포인트의 조정을 실제로 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는데, 가령 밝기 조정에 관여하는 회로, 디가우스를 실행하는 회로등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에는 다양한 조정기능들이 아이콘이나 명칭만으로 OSD상에 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나 잘 알고 있는 사용자 이외의 일반사용자는 각 기능의 사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움(HELP) 기능을 OSD조정기능에 포함시켜서 사용자가 특정기능에 대한 도움기능을 선택하고, 모니터에서는 해당 기능의 조작법을 실연해 보여준다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될 것이다. 모니터의 모든 기능은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데, 사용자가 OSD상에서 기능을 선택하고 조정을 하면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필요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특정 기능에 대해 알고싶을 경우 OSD상에서 그 기능의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별도의 도움키를 누르면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이를 인식하여 그 기능을 실연하여, 최소 제어값에서 최대 제어값까지 반복하여 자동실행한다. 자동실연을 하는 동안 초기저장값은 변하지 않고 기억되어 있다가 실연후 원래값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의 OSD조정기능에 사용자도움(헬프)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쉽게 OSD조정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OSD 조정화면이 표시된 모니터의 예시도
도2는 종래기술의 조정기능실현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절차 흐름도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예1
도4b는 본 발명의 실시예2
<도면주요부의 설명>
메뉴 키(10), 조작패널창(12), 선택 키(14), 조정 키(16), 키 입력부(18, 24), 제어부(20, 26), 메모리(22, 28), 동작부(24, 30), 헬프 아이콘(32)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메뉴 키, 조정 키, 선택 키 및 헬프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 메모리 및 동작부로 구성된 하드웨어를 포함하며,
(1) 키입력 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키를 누르면 제어부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필요한 조정기능에 해당하는 조정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3) 제어부가 헬프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저장하는 단계,
(4) 단계(2)에서 선택된 조정포인트에 해당하는 조정기능을 자동실연하는 단계,
(5) 해당 조정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입력 대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계(2)와 단계(3)의 순서를 바꾸어, 사용자가 헬프 키를 먼저 누른 후 필요한 조정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한 후 다음 단계로 이행되게 발명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4)에서 자동기능실연의 종료 전이라도 사용자가 메뉴 키, 조정 키, 선택 키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에는 동작을 멈추고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추가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3과 도4a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a는 키 입력부(24)에 별도의 "HELP"키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OSD조정기능의 사용중에 헬프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4a의 동작은 본 발명의 방법실행을 나타내는 도3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콘트롤러가 키신호를 읽고 있는 대기상태에서(100)컴퓨터 사용자가 메뉴 키를 누르면(102), 제어부의 구성요소인 마이크로콘트롤러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한다(104).
조작패널창의 메뉴를 구성하는 조정포인트(예를 들어, 아이콘)는 밝기, 콘트라스트, 포지션, 사이즈, 핀쿠션, RGB게인, 디가우스(degauss), 색온도(color temperature)등이며 이는 컴퓨터 사양마다 약간씩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필요한 조정기능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헬프 키를 누르면(106), 제어부의 마이크로콘트롤러는 헬프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고 선택된 아이콘을 인식하며(108), 해당 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한 후(110),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조정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112).
여기서, OSD조정기능의 수행 방법은 해당 조정기능의 특징에 따라 선택형과 제어값 가변형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선택형은 "디가우스(degauss)"의 경우처럼 해당 조정기능을 동작시킬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거나, "색온도(color temperature)"의 경우처럼 2 또는 그 이상의 제어값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값 가변형은 최소 제어값에서 최대 제어값까지 연속되는 값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값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밝기(bright)", "콘트라스트", "포지션", "사이즈", "핀쿠션", "RGB게인" 등의 조정포인트가 이에 속한다.
자동 조정기능실연의 방식도 선택형과 제어값 가변형에 따라 달리한다. 제어값 가변형의 경우는 자동으로 최소 제어값에서 최대 제어값까지 연속적으로 수차례 반복하여 해당 조정기능을 수행시키고, 선택형의 경우에는 선택요소 별로 해당 조정기능을 수차례 수행시킨다.
자동 조정기능실연을 끝마치면 해당 조정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입력 대기상태로 복귀한다(116).
추가적으로, 자동 조정기능실연의 종료 전이라도 사용자가 메뉴 키, 조정 키, 선택 키 중 어느 하나를 누를 경우에는 자동실연동작을 멈추고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추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인터럽트"기능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사항이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4b가 이를 도시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헬프 키를 키입력부(18)에 별도로 추가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조작패널창의 메뉴안에 헬프 아이콘(32)을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1) 키입력 대기상태에서 제어부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메뉴의 구성요소인 헬프 아이콘(32)을 선택하는 단계,
(3) 원하는 조정기능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가 해당 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하는 단계,
(4) 단계(3)에서 선택된 아이콘의 조정기능을 자동실연하는 단계,
(5) 해당 조정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
위에서, (4)단계의 자동기능실연의 방법은 선택형과 제어값 가변형에 따라 다르며, 이는 실시예1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또한, 단계(2)와 단계(3)의 순서를 뒤바꿀 수 있음은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모니터의 OSD 기능에 사용자 도움(HELP)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복잡 다양화 되어가는 모니터의 각종 조정기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사용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메뉴 키, 조정 키, 선택 키 및 헬프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 메모리 및 동작부로 구성되어 OSD조정기능을 수행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1) 키입력 대기상태에서 제어부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필요한 조정기능에 해당하는 조정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3) 제어부가 헬프 키 입력신호을 감지하고 해당 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하는 단계,
    (4) 단계(2)에서 선택된 조정기능을 자동실연 하는 단계,
    (5) 해당 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구성된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2. 청구항 1에서, 단계(4)의 자동실연은 해당 조정기능을 최소 제어값에서 최대 제어값까지 반복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3. 청구항 1에서, 단계(4)의 자동실연은 조작패널창에서 제공되는 조정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4. 메뉴 키, 조정 키 및 선택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마이크로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부, 메모리 및 동작부로 구성되어 OSD조정기능을 수행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1) 키 입력 대기상태에서 제어부가 메뉴 키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모니터에 조작패널창을 표시하는 단계,
    (2) 사용자가 조정 키를 조작하여 메뉴의 구성요소인 헬프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
    (3) 원하는 조정기능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가 해당 조정기능의 현재 제어값을 저장하는 단계,
    (4) 단계(3)에서 선택된 아이콘의 조정기능을 자동실연 하는 단계,
    (5) 해당 조정기능의 제어값을 원래의 저장된 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키 입력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로 구성된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5. 청구항 4 에서, 단계(4)의 자동실연이 해당 아이콘의 조정기능을 최소에서 최대까지 반복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6. 청구항 4 에서, 단계(4)의 자동실연은 조작패널창에서 제공되는 조정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2)와 단계(3)의 순서를 뒤바꾼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8.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4)의 기능 자동실연 도중, 사용자가 메뉴 키, 조정 키 또는 선택 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누르면 동작을 멈추고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기능을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9. 청구항 7에서, 단계(4)의 기능 자동실연 도중, 사용자가 메뉴 키, 조정 키 또는 선택 키 중에서 어느 하나를 누르면 동작을 멈추고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기능을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SD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 사용자 도움 기능 구현방법.
KR10-2000-0052993A 2000-09-07 2000-09-07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KR10037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993A KR100374107B1 (ko) 2000-09-07 2000-09-07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993A KR100374107B1 (ko) 2000-09-07 2000-09-07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73A KR20020019773A (ko) 2002-03-13
KR100374107B1 true KR100374107B1 (ko) 2003-03-03

Family

ID=19687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993A KR100374107B1 (ko) 2000-09-07 2000-09-07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1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73A (ko)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85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changes of on-screen items
KR10079007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빠른 접근 방법및 장치
US20080252604A1 (en) OSD controll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058252A1 (en) Gesture guid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uter system by a gesture
US9792030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a configuration of a screen displaying function items
KR10043339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CN106919301B (zh) 壁纸预览方法和系统以及壁纸更换方法和系统
JP2008165693A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306743A2 (en) Menü-gesteuerte Konfigurierung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US808696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initializing setting items thereof
KR100764763B1 (ko) 사용자 메뉴 구성 방법
US20080141109A1 (en) OSD system for achieving user-defined display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1023117A (ja) 携帯電話装置
US20040125152A1 (en) User customizable, locale dependent, variant character entry method and apparatus
KR10037410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CN111510554A (zh) 拨号盘切换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H07297891A (ja) 通信端末
JP3354549B2 (ja) 携帯電話装置
US20040217940A1 (en) Method of Displaying Items in an On Screen Display
JPH11184602A (ja) アイコン表示自動変更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123604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0338979B1 (ko) 휴대폰에 다중 기능 및 메뉴 정보를 표시하고 선택하는 방법
KR20040013761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화면설정방법
KR20080101995A (ko)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CA2325589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changes of on-screen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