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866B1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866B1
KR100662866B1 KR1020030072581A KR20030072581A KR100662866B1 KR 100662866 B1 KR100662866 B1 KR 100662866B1 KR 1020030072581 A KR1020030072581 A KR 1020030072581A KR 20030072581 A KR20030072581 A KR 20030072581A KR 100662866 B1 KR100662866 B1 KR 10066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function
cursor
electronic device
o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530A (ko
Inventor
서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8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가 개시된다. 본 기능 변경 장치는, 현재의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 가장 자리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콘 상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면 대응되는 메뉴 타이틀을 소정 시간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 및 외부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커서가 위치하는 상기 아이콘의 기능을 온/오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을 손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OSD, 기능, 선택, 변경, 메뉴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On/off shifting app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도 1은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OSD 메뉴 모드를 디스플레이한 표시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전자기기의 기능 선택용 키입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표시화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입력부 11 : 제1스위치
11': 제2스위치 20 : 제어부
30 : 표시부 31 : 커서
32 : 아이콘 33 : 날짜·시간 표시부
34 : 팁 박스 35 : 오토 아이콘
50 : 리모콘 51 : 제1버튼
51': 제2버튼 52 : 표시창
60 : 송수신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제어상태 및 동작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이하 OSD라 약칭함)로 표시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간단한 키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를 동작시킬 경우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동작상태 및 제어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해 조작패널을 구비하고 기능에 따르는 키입력부를 설치하여 키입력부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창을 설치하여 동작상태와 제어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근래의 전자제품은 그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디자인이 더욱 더 강조되는 경향으로 버튼 수의 최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는 그 조작을 위해서 기능에 따르는 버튼을 필요로 하여 모든 기능에 대한 온/ 오프 내지 기능 변경을 위한 버튼을 기기에 설치할 경우 복잡하고 디자인의 제약이 많으며 재료비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오에스디 기능을 구비하여 OSD 메뉴를 이용하여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종래의 OSD 메뉴를 이용한 기능 변경 방법에 의한 메뉴 모드를 디스플레이한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을 위해서는 먼저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메뉴모드를 온 시킨다(S10). 메뉴모드가 온되면 메뉴 중 첫번째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S11). 세부 기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뉴 리스트 중 변경하고자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위 메뉴로 커서(31)를 이동시키고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S12). S12단계를 수행하면 커서(31)가 위치한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이 메뉴 리스트 중 변경하고 싶은 기능에 해당하는 메뉴에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조작하여 온/오프를 변경한다(S13,S14,S15).
도 2는 상기와 같은 방법이 수행된 종래의 OSD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뉴모드에서 하위 메뉴로 이동한 후 커서(31)를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메뉴로 이동시킨 후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온/오프를 변경하여야 기능이 변경된다.
한편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능을 설정한 후 전자기기의 사용중 한가지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위의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메뉴모드로 돌아가 복잡한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 기기의 사용중 직접 원하는 기 능의 온/오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능 변경을 위한 키입력부(10)를 기기 외부에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수신된 영상을 나타내는 TV의 스크린이나, 촬상된 영상을 나타내는 캠코더의 화면에 상기 OSD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OSD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변경할 때에는 청취하던 방송 화면이나 촬상 중이던 영상 대신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시켜 메뉴모드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하위 메뉴로 이동하여 기능을 변경하는 복잡한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촬영 중이거나 시청 중에 기능의 온/오프와 같은 간단한 기능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촬영이나 시청 도중 기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메뉴화면을 불러내게 되면 촬영하고자 하는 화면의 대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많은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의 경우 OSD를 이용하여 메뉴모드에서 기능을 선택할 때에는 복잡한 방법에 의해 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고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작의 편의를 위해 기능 선택을 위한 버튼을 기기 외부에 별도로 설치할 경우에는 키입력부가 복잡해지고, 디자인의 제약이 많으며 재료비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OSD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시 메뉴모드에서 변경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되는 본래 화면을 보면서 동시에 간단한 방법으로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SD를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전자기기의 기능을 변경시킬수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프레이(이하 OSD라 칭함)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는, 현재의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화면에 표시해주기 위한 표시부,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스위치,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스위치, 및 설정된 기능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할 때, 제 2 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아이콘의 기능을 온/오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 장치의 표시부는 온으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온하고,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은 OSD를 오프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오프로 기능 설정된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는 동안에는 아이콘의 OSD가 점멸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면 소정 시간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는 상기 아이콘과 커서의 OSD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중첩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회전시키면 커서를 소정 간격 이동시키는 신호가 출력되고 푸시하면 선택 신호가 출력되는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OSD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은, 표시부가 온되면 설정된 기능에 따라 아이콘과 커서의 OSD를 온시키는 단계; 제 1 스위치의 이동 신호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 수행 후 제 2 스위치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계 수행 후 커서가 위치하는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능의 타이틀과 온/오프 셋팅 상태를 소정시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아이콘에 의해 본래의 화면(촬상중인 화면)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아이콘은 화면의 외곽 부분에 배치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6 및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기능을 선택하거나 동작 등을 조절하기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조작패널(도면중 미도시)을 구성하는 키입력부(10)와, 키입력부(10)에 포함되는 제 1스위치(11), 제 2스위치(11'), 기능이나 상태등을 나타내는 OSD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3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에서 전자기기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리모콘(50)이 구비된 경우, 제1스위치(11)와 제2스위치(11')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는 제1버튼(51), 제2버튼(51')을 리모콘(50)에 설치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2는 리모콘에 설치된 표시창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 부호 60은 리모콘(50)과 제어부(20)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송수신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11)와 기능의 온/오프 설정상태를 변경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11')는 전자기기의 조작패널을 구성하는 키입력부(10)에 설치된다.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11)와 기능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11')는 각각 별도로 설치하거나, 다이얼 버튼을 설치하여 다이얼 버튼을 회전시키면 제1스위치(11)의 신호가 출력되고, 다이얼 버튼을 푸시하면 제2스위치(11')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기능이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30)는 조작패널(도면중 미도시)에 설치되는 LC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는 TV의 경우 복합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캠코더의 경우 촬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0)는 복수의 기능 및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32)과 신호에 따라 화면상을 이동하는 커서(31), 날짜, 상태 등을 표시하는 텍스트 등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키입력부(10)와 표시부(30)는 제어부(20)에 연결된다. 제어부(20)는 키입력부(1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하는 OSD신호를 표시부(30)에 인가한다.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콘(50)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인 경우 리모콘(50)에 구비된 제1버튼(51)과 제2버튼(51')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전자기기에 상기 커서 이동 신호나, 기능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콘(50)에 표시창(52)을 구비하면 조작자가 원격에서 제1버튼(51), 제2버튼(51')의 조작에 따라 변경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부(30)의 화면상에 OSD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설정에 따라 아이콘(32), 커서(31), 및 날짜·시간(33)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아이콘(32)은 메뉴에 따라 각각 다른 모양으로 설정되며, 도면부호 32b와 같은 문자로 나타내거나 32a,32c,32d,32e와 같은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아이콘(32)만으로는 사용자가 각 아이콘이 어떤 메뉴를 의미하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커서(31)가 위치하는 아이콘(32)에 대해 그 아이콘이 의미하는 메뉴의 타이틀을 소정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메뉴 타이틀 뿐만 아니라, 각 메뉴의 설정 상태, 즉, ON/OFF 상태도 표시하여 사용자가 현 설정 상태를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 아이콘(32)은 표시부(30)의 화면상에 메뉴 별로 설정된 위치가 있어 기능 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아이콘이 온/오프 된다. 커서(31)는 초기화 시 일정 위치에서 온(ON) 되고 제1스위치(11)의 조작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여기서 오프(OFF)는 기능에 따라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동작되는 오토(AUTO)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능 변경방법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키입력부(10)를 조작하여 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표시부(30)가 온된다. 표시부(30)가 온 되면 메뉴 별로 설정되어 있는 값에 따라 OSD가 온되어 해당되는 아이콘(32)과 커서(31) 및 날짜·시간 등이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 된다(S100,S110,S120). 제1스위치(11)가 조작되어 커서를 이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커서(31)를 이동시킨다(S200,S210). 커서(31)가 위치하면 온으로 설정되어 있던 아이콘은 역상으로 표시되고, 오프로 설정되어 OSD가 오프되어있던 아이콘은 점멸하거나 옅은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아이콘이 나타내는 메뉴의 타이틀을 팁박스(34; Tip-box)형식으로 나타낸다(S220). 메뉴의 타이틀과 함께 온/오프 설정상태가 표시된다.
도 6 및 도 7a,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캠코더의 화면 상에 OSD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경우 촬상하는 영상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이 화면을 확인하며 원하는 장면을 촬영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캠코더의 경우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커서를 상기 화면상에 디스플레 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과 커서는 촬상 중인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화면 가장 자리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32a는 색감선택, 32b는 특수효과(DSE), 32c는 손떨림보정(EIS), 32d는 바람소리제거를 나타내는 아이콘으로서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들이 온으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초기화 시에는 커서(31)가 일측에 위치하게 되고,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해 놓은 경우 해당하는 날짜와 시간이 도면부호 33과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촬상 중에 색감선택을 오토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뉴 모드로 OSD를 변경하지 않고, 촬상 중인 영상을 확인하면서 간단히 제1스위치(11)를 조작하여 커서를 색감선택 아이콘(32a)로 이동시키고, 제2스위치(11')를 조작하여 기능을 오토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도 7a, 7b는 색감선택을 온에서 오토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용자가 제1스위치(11)를 조작하면 커서 이동 신호가 제어부(20)로 입력된다. 제어부(20)는 커서(31)의 위치를 도 7a와 같이 이동시킨다. 커서(31)가 위치하면 색감선택 아이콘(32a)은 역상으로 표시되고 색감선택 아이콘(32a)에 해당하는 메뉴 타이틀인 "색감선택" 과 기능설정 상황 "온"이 팁박스(34)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의 아이콘이 의미하는 메뉴의 내용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커서(31)가 "색감선택" 아이콘(3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스위치(11')를 조작하여 기능 변경 신호를 제어부(20)에 입력하면 "색감선택" 메뉴는 온(ON)에서 오토(AUTO)로 그 설정 상태가 변경되고 화면상에도 오토를 나타내는 오토 아이콘(35)으로 변경되어 나타난다. 또한 팁박스(34)에도 "온" 표시가 "오토"로 변 경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본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전자기기의 기능 설정 상태를 아이콘(32)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기능 변경시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커서(31)를 이동시킨 후 간단한 조작으로 기능의 온/오프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한편, 아이콘에 의해 본래의 영상(촬상 중인 영상이나 방송되는 영상)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아이콘은 화면의 외곽 부분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OSD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 설정 변경시 OSD의 메뉴모드로 들어가 해당하는 디렉토리를 찾아 기능을 변경하는 복잡한 과정을 되풀이 하지 않고, 각 기능의 상태를 아이콘으로 본래 디스플레이되던 화면과 함께 초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메뉴의 아이콘과 커서를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기능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1)

  1. 전자기기의 현재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신호,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신호, 상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해당 기능을 변경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현재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아이콘의 현재의 기능 설정 상태의 표시 및 상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기능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아이콘의 OSD는 온 되고,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아이콘의 OSD는 오프 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아이콘에 커서가 위치하는 동안은 상기 아이콘의 OSD는 점멸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아이콘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아이콘이 표시하는 메뉴의 타이틀과 온 오프 세팅 상태가 표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이미 표시되고 있던 영상과 상기 아이콘 및 상기 커서의 OSD가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회전시키면 상기 제1신호가 출력되고, 푸쉬하면 상기 제2신호가 출력되는 다이얼 버튼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장치.
  8. 전자기기의 현재 기능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커서를 통해 선택된 아이콘의 현재 기능 설정 상태의 표시 및 상기 커서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기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아이콘에 상기 커서가 위치하면, 상기 아이콘이 표시하는 메뉴의 타이틀과 온 오프 세팅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기능이 온으로 설정된 아이콘의 OSD는 온하고,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아이콘의 OSD는 오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이미 표시되고 있던 영상과 상기 아이콘 및 상기 커서의 OSD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30072581A 2003-10-17 2003-10-17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66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81A KR100662866B1 (ko) 2003-10-17 2003-10-17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581A KR100662866B1 (ko) 2003-10-17 2003-10-17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849A Division KR100433396B1 (ko) 2001-10-29 2001-10-29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30A KR20030086530A (ko) 2003-11-10
KR100662866B1 true KR100662866B1 (ko) 2007-01-02

Family

ID=3238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81A KR100662866B1 (ko) 2003-10-17 2003-10-17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46Y1 (ko) * 2007-12-17 2010-07-28 비엔지 주식회사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200453703Y1 (ko) * 2009-05-08 2011-05-23 비엔지 주식회사 마감재 결합이 용이한 기둥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530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39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437104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메뉴제어 방법
EP1855215B1 (en) Television apparatus
EP1714481A1 (en) On-screen control of a video playback device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58792A (ja) 表示ガイドシステム及び表示ガイド方法
KR10066286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기능변경장치 및 방법
KR1007162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003512B1 (ko) Osd 메뉴 제어방법
JP314425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686176B1 (ko)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
JP2008153732A (ja) リモコン装置、リモコ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761661B2 (ja) 映像選択装置
KR100247593B1 (ko) 오에스디 메뉴 선택방법
JP4809759B2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1006992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30169B1 (ko) 한 화면에 영상과 가이드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0185942B1 (ko) 영상기기의 메뉴선택방법
KR10037410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조정기능을 갖는 모니터의사용자도움 기능 구현방법
JP3409332B2 (ja) 表示装置
KR20060005144A (ko) Osd 화면상의 채널 배너 화면 제어방법
KR20070058923A (ko) 텔레비전 메뉴 설정 방법
KR2008002802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장치의 입력 신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