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963A - 올리고펩티드 - Google Patents

올리고펩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963A
KR20030032963A KR1020027016618A KR20027016618A KR20030032963A KR 20030032963 A KR20030032963 A KR 20030032963A KR 1020027016618 A KR1020027016618 A KR 1020027016618A KR 20027016618 A KR20027016618 A KR 20027016618A KR 20030032963 A KR20030032963 A KR 2003003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igopeptide
amino acid
oligopeptides
gln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1442B1 (ko
Inventor
오카유미코
히라이요헤
코시다쇼고
타케베쿄코
츠다호카리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하기의 아미노산 서열 (Ⅰ):Lys-Ser-Ile-Glu-Gln-Ser-Cys-Asp-Gln-Asp-Glu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아미노산 변이를 포함하는 상기 올리고펩티드 또는 비오틴 등으로 변형된 상기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들의 염은 모발성장 촉진제 등의 의약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올리고펩티드{Oligopeptides}
상피조직의 정상적인 형태형성은 상피조직 주변에 존재하는 간엽세포 유래의 인자에 의하여 조절되고, 상피조직의 형태형성 이상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수의 질환은 간엽세포의 이상을 원인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상피조직의 형태형성을 조절하는 간엽세포의 메카니즘 해명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나, 상피조직의 형태형성 조절에 관여하는 물질은 복잡한 시스템 내에서 시간적 및 공간적인 제약를 받아 발현되고, 전기 물질을 단리하여 기능을 해석하는 것의 곤란성, 상피조직의 형태형성을 단순화한 모델 실험계 구축의 곤란성 등의 이유로, 이 분야의 연구는 오늘날까지 큰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상피조직의 형태형성에 기인하는 질환의 발병기작의 해명과 전기 질환의 치료방법 확립 등을 위한 상피조직 형태형성 조절 메카니즘의 해석에 관심이 증가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피조직의 형태형성 조절에 관여하는에피몰핀(epimorphin)이 분리ㆍ정제되었다(참조: 일본특허공개번호 제 6-25295호). 전기 물질은 227 내지 28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아ㆍ단백질로 포함하는 생리활성물질이고, 주로 간엽세포에 의하여 생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에피몰핀은 상피세포에서의 작용을 통하여 상피조직의 형태형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에피몰핀이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직형성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에피몰핀의 구조에 대해서는, 에피몰핀 분자가 구조상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이 밝혀졌다(참조: 유럽특허공개 제 0698666호). 즉, 에피몰핀의 전장을 구성하는 폴리펩티드는 N말단 측에서 코일드 코일 영역(1), 기능영역(2), 코일드 코일 영역(3) 및 C말단의 소수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전기 영역 중, 기능영역(인간ㆍ에피몰핀의 경우, N말단으로부터 104번부터 187번까지의 아미노산으로 특정된 영역)은 세포접착에 관여하고, 에피몰핀의 생리활성 발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참조: 상기유럽특허공개).
에피몰핀이 정상적인 형태형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진다는 사실로부터, 전기 물질이 형태형성의 이상에서 기인하는 질환 등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의약 또는 모발 생성제 등의 의약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포유류동물에서 수득한 천연형 에피몰핀은 생리식염수 등의 수성매체에 난용성이고, 의약으로의 실용적인 공급이 곤란하다. 따라서, 천연형 에피몰핀의 형태형성 촉진작용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용해성이 뛰어난 에피몰핀 유도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면, C-말단부의 소수성 영역을 제거한변형체(단편 123)가 알려져 있다(참조: 일본특허공개 제 6-25295호).
에피몰핀의 부분구조를 가지는 폴리펩티드는 상피세포에 작용하여 상피조직의 형태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국제특허출원공개 제 W098/22505호). 상기 폴리펩티드는 생리식염수 등의 수성매체에 용해가능한 폴리펩티드로서, 모발성장 촉진작용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폴리펩티드의 부분구조로서 보다 짧은 단편에 대한 생물활성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모발성장 촉진작용을 가지는 올리고펩티드 및 전기 올리고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올리고펩티드(아미노산 서열 (Ⅱ)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의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a는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사각(대)는 올리고펩티드 b7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사각(소)는 대조군에 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1b는 S-S 결합되고,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원(대)는 올리고펩티드 ssb7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며, 원(소)는 대조군에 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모발성장 점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도포 개시 후의 일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올리고펩티드(S-S 결합되고,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 ss7)의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는 S-S 결합되고,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는 제 1 대조군(도 1에서의 대조군과 동일),는 제 2 대조군(무작위의 7-mer 올리고펩티드)에 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종축은 모발성장 점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도포 개시 후의 일수를 나타낸다.
도 3은 올리고펩티드 b7△C1, b7△C2, b7△C3, b7△C4, b7△C5, b7△N1, b7△N2, 및 b7△N3의 IL-8 유도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 중, Scont는 블로킹시약, PBS는 인산완충 생리식염수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종축은 IL-8 분비량의 상대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아미노산 서열(Ⅰ)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의 N-말단을 비오틴화한 올리고펩티드 bk7 및 올리고펩티드 b7의 IL-8 유도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PBS는 인산완충 생리식염수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종축은 IL-8 분비량의 상대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아미노산 배열 (Ⅰ)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국제특허출원공개 제 W098/22505호에 개시된 폴리펩티드(Ⅱ)의 C-말단 11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올리고펩티드이다. 상기의 아미노산 서열 (Ⅱ)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Ⅰ)의 N-말단으로부터 1개의 아미노산 잔기(Lys)가 결실된 올리고펩티드에 상응한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 (Ⅲ) 내지 (Ⅵ)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Ⅱ)의 C-말단으로부터 각각 1개, 2개, 3개 및 4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올리고펩티드이다. 또한, 상기의 아미노산 서열 (Ⅶ) 내지 (Ⅸ)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 (Ⅱ)의 N-말단에서 각각 1개, 2개, 및 3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올리고펩티드에 상응한다.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하기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듯이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진다. 이렇다 하는 특정이론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미노산 서열 (Ⅵ)의 C-말단의 시스테인은 활성에 필수적일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는 전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에서 하나 내지 수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펩티드(이하, "변이 올리고펩티드"라 함)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또는 상기 변이 올리고펩티드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에 기초하여 변형된 올리고펩티드가 포함된다.
상기의 변이 올리고펩티드 또는 변형된 올리고펩티드가 상기 아미노산 서열(Ⅰ) 내지 (Ⅸ)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진다는 것은 본 명세서의 실세예에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기재한 시험방법에 따라, 또는, 상기 시험방법에 약간의 변형을 첨가함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변이 올리고펩티드에서, 부가 또는 치환되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L-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 또는 치환되는 아미노산의 수 및 위치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부가되는 아미노산의 수는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이다. N-말단 또는 C-말단에 1개 내지 수개,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아미노산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에서, "변형(modified)"이라는 용어는 화학적 변형 및 생물학적 변형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확대해석하지 않으면 안된다. 변형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화, 에스테르화, 할로겐화, 또는 아미노화 등의 관능기도입, 산화, 환원, 부가 또는 탈리 등에 의한 관능기변환, 당화합물(단당, 이당, 올리고당, 혹은 다당) 또는, 지질화합물 등의 도입, 인산화, 혹은 비오틴화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의 바람직한 예는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비오틴이 N-말단에 결합된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한다. 상기의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에서, 비오틴에는 목적하는 생리활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화학적 수식이 부가될 수 있다.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의 제조방법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적절한 길이의 스페이서를 가지는 비오틴을 올리고펩티드의 N-말단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NHS-Biotin 또는, NHS-LC-Biotin(피어스사에서 입수가능)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올리고펩티드 내 시스테인 잔기의 황화그룹에 의하여 이량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올리고펩티드는 유리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산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염기부가염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산부가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 등의 금속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 구연산염, 옥살산염, 말레인산염 및 타르타르염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염기부가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산염; 메틸 암모늄염, 트리에틸암모늄염 등의 유기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올리고펩티드는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과 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분자내에서 쯔비터이온(zwitter ion)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티드의 이량체 등의 다량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S-S 결합에 의하여 이량체화된 올리고펩티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그리고, 이들의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은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로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올리고펩티드는 다수의 비대칭 탄소원자(plural asymmetric carbon atom)을 가진다. 각 비대칭 탄소원자의 입체화학(stereochemistry)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아미노산 잔기는 L-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비대칭 탄소원자에 기초하는 광학이성질체 또는 디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 등의 입체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의 임의의 혼합물 및 라세미체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티드는, 펩티드합성에 일반적으로 이용되어지는 고상법 및 액상법 등의 화학법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펩티드 합성에서 아미노기 등의 보호기 및 축합반응의 축합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다. 고상법에서는, 시판하는 각종 펩티드의 합성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관기능의 보호 및 각종 펩티드 합성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보호기 도입 및 탈리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프로텍티브ㆍ그룹스ㆍ인ㆍ오거닉ㆍ신세스(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es), 그린(T.W. Greene)저, 존ㆍ윌리ㆍ앤드ㆍ선즈ㆍ인포레이테드(Jon Wiley & Sons, Inc.) (1981년)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유전자 발현방법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의 올리고펩티드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백터를 제조한 다음, 전기 백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형질전환체)을 제조하고, 전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한 배양물에서 목적하는 올리고펩티드를 분리ㆍ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올리고펩티드의 제조방법은 화학적 방법 및 생물학적 방법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화학적 변형 또는 생물학적 변형 등을 포함하는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의 제조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고,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상기 올리고펩티드는, 모발성장 촉진제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의약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medicament)"이라는 용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질병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의약뿐만 아니라, 의약부 외품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는 모발성장촉진제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발성장촉진제(hair growth promoting agent)"라는 용어는 모발 재생, 모발성장 촉진 및 탈모예방 등을 포함하여 확대해석해야 하고, 어떠한 의미에서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의약으로서는, 상기의 올리고펩티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물질을 그 상태로 이용해도 무방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제제용 첨가물을 이용하여 상기물질의 1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조성물을 제조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올리고펩티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제는, 크림제, 분무제, 도포용 용액제, 또는 패치 등의 외용제로 적용할 수 있지만, 주사제로서 환부에 직접 투여해도 무방하고, 모발성장 촉진제로서 사용목적에 적합한 형태제제로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샴푸와 린스에 유효성분인 상기의 올리고펩티드를 첨가해도 무방하고, 상기의 올리고펩티드를 리포좀 등으로 봉입하여 제제를 조제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형태의 조성물도 본 발명의 의약에 포함된다. 피부의 케라틴층을 통하여 유효성분인 올리고펩티드를 효율적으로 경피흡수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계면활성제와 지용성물질 등을 크림제 등에 배합하는 것도 적합하다. 상기의 모발성장 촉진제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제제형태, 유효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서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투여량을 참고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성장 촉진작용을 갖는 올리고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올리고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바람직하게는 모발성장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예의노력을 한 결과, 에피몰핀의 부분구조를 가지는 올리고펩티드가 뛰어난 모발성장 촉진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아미노산 서열 (Ⅰ);
Lys-Ser-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마노산 서열 (Ⅱ);
Ser-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미노산 서열 (Ⅲ);
Ser-Ile-Glu-Gln-Ser-Cys-Asp-Gln-Asp
아미노산 서열 (Ⅳ);
Ser-Ile-Glu-Gln-Ser-Cys-Asp-Gln
아미노산 서열 (Ⅴ);
Ser-Ile-Glu-Gln-Ser-Cys-Asp
아미노산 서열 (Ⅵ);
Ser-Ile-Glu-Gln-Ser-Cys
아미노산 서열 (Ⅶ);
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미노산 서열 (Ⅷ);
Glu-Gln-Ser-Cys-Asp-Gln-Asp-Glu, 또는
아미노산 서열 (Ⅸ);
Gln-Ser-Cys-Asp-Gln-Asp-Glu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1), 전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에서 하나 내지 수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펩티드(2), 및, 전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전기 (1) 또는 (2)에 정의된 올리고펩티드에 기초하여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한다.
상기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상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 및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는 그의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상기 아미노산 서열 (Ⅱ) 내지 (Ⅴ) 중 어느 하나, 및 아미노산 서열 (Ⅱ) 내지 (Ⅴ)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는 그의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서열 (Ⅰ) 또는 아미노산 서열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이 제공된다.
변형된 올리고펩티드의 예는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비오틴이 N-말단에 결합된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하며, 올리고펩티드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황화그룹에 의하여 이량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으로는, 상기의 올리고펩티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이 제공된다. 상기 의약은 포유동물을 위한 모발성장 촉진제로 이용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올리고펩티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상기의 의약, 바람직하게는, 모발성장 촉진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및, 상기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의 아미노산 서열 (Ⅱ)의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펩티드를 Fmoc를 이용한 고상법에 의해 합성하였다(이하, "pep7"이라 함). 또한, N-말단이 비오틴으로 변형된 변형 올리고펩티드(이하, "b7"이라 함)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각 올리고펩티드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제하고, HPLC 및 질량분석기(Mass)를 통하여 순도가 90% 이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HPLC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컬럼: ODS-UG3(모노머릭 ODS, 노무라화학제) 내경 1.0mm, 전장 100mm
측정: 실온(25℃)
검출: UV 214mn, 280nm
용출용매: 용매 A 및 용매 B의 구배(용매 A: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매 B: 9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분 후(용매B: 0%)에서 55분 (용매: 55%)의 직선농도구배)
유속: 75ml/ml
반응시간(retention time)
pep7: 21.52분(dimer), 20.59분(monomer)
b7: 29.89분(monomer), 32.85분(dimer)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올리고펩티드를 0.3mg/ml이 되도록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BS)에 용해시키고, 전기 용액에 동일한 용량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여 0.15mg/ml의 50% 에탄올ㆍPBS용액을 제조하였다. 올리고펩티드의 이량체화는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PBS에 용해한 1mg/ml의 올리고펩티드 용액(5ml)에 33㎍/㎕이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로 용해한 BMH(65㎕)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밤새도록 4℃에서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6.6ml의 PBS 및 5mg/ml이 되도록 PBS에 용해한염산시스테인 용액(5ml)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최종농도 0.3mg/ml의 S-S 결합된 올리고펩티드 용액을 제조하였다(이하, "pep7"의 교차결합에 의하여 수득된 올리고펩티드를 "ss7"라고 하고, 비오틴화된 ss7을 "ssb7"이라 한다). 상기의 조건하에서 HPLC의 반응시간은 33.01분이었다. 대조군 용액으로서, 올리고펩티드 용액 대신에 PBS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약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조하였다. 교차결합된 올리고펩티드 용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최종농도 0.15mg/ml의 50% 에탄올ㆍPBS 용액을 제조하였다.
C3H와 C57BL/6 마우스는 생후 45일부터 95일 전후까지 약 50일간 휴지기가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피부색은 휴지기의 핑크에서 성장기의 회색 또는 검은 색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모발주기(hair cycle)의 판정이 용이하다. 전기 마우스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올리고펩티드 투여에 의하여 성장기로의 이행이 촉진되는지 아닌지를 평가하였다. C57BL/6 마우스의 7주령(48 내지 50일령, 암컷)을 구입하여, 등(약 3 ×2.5㎠)을 동물용 털깎기로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깊게 예모하고, 피부색으로부터 모발주기가 휴지기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조제한 올리고펩티드 용액을 0.2ml씩 매일 1회, 주 5일간, 실험개시 후 38일까지 각 군의 5마리씩 도포하였다. 도포는 바늘이 없는 주사기를 이용하였다. 또한, N-말단이 비오틴화된 디펩티드(Ile-Lys) 및 트리펩티드(Glu-Ile-Lys)를 혼합하고, 교차연결 시약을 첨가하여, 대조군 용액을 제조하였다.
평가는 주 2회 마우스를 관찰하고, 모를 깎은 면적에 대하여 재생한 면적의 비율에 따라 점수를 5단계로 설정하여, 복수인(2인)이 육안판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사진촬영도 하였다. 모발 성장 점수는 이하의 요령으로 계산하였다. 모를 깍은 부분 중, 피부색이 회색 또는 검게된 부분의 비율에 따라, 0 내지 20%: 1, 20 내지 40%: 2, 40 내지 60%: 3, 60 내지 80%: 4, 80~100%: 5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각군에서 상기 점수의 합계를 모발성장 점수로 하였다. 판정자 1인당 모발성장 점수의 각 군의 최대치는 50이고, 판정자를 2인으로 하였기때문에 모발성장 점수의 최대치는 100이다. S-S 결합되고,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도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7일 이상 성장기로의 이행이 빨랐고, 거의 완전하게 모가 재생하여 정돈될 때까지 어떤 시점에서라도 명확하게 모의 재생이 촉진되었다. 한편,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도포한 군에서는, 도포개시 후 30일까지는 S-S 결합된 올리고펩티드와 유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의 재생이 촉진되어 있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ss7에 의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아미노산 서열 (Ⅱ)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는 모발성장 촉진작용을 가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b7의 C-말단으로부터 1개,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아미노산을 결실시켜, 올리고펩티드 b7△C1, b7△C2, b7△C3, b7△C4 및 b7△C5을 합성하고, 황화그룹을 블로킹시켰다. 또한, b7의 N-말단으로부터 1개, 2개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을 결실시켜, 올리고펩티드 b7△N1, b7△N2 및 b7△N3을 합성하였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 (Ⅰ)로 나타내어지고, N-말단에 리신(lysine)이 결합된 올리고펩티드 bk7(황화그룹이 보호되지 않은)을 합성하였다.
인간 케라티노사이트(NHEK 세포, Clonetics, 산코준약 판매)를 30㎍/ml의 BPE, 0.1ng/ml의 인간 EGF, 5㎍/ml의 인슐린, 0.5㎍/ml의 하이드로코르티손, 50㎍/ml의 젠타마이신, 50ng/ml의 암포테린을 포함하는 증식배지(Clonetics사제)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1 ×10⁴cells/ml의 농도로 상기 증식배지 성분 중 EGF, 인슐린, 하이드로코티손을 제외한 배지에 재현탁하고, 배양상층에 포함된 IL-8의 양을 ELISA kit(ENOGEN사제)로 측정하였다. NHEK세포가 분비하는 IL-8에 대한 유도활성과 모발성장 활성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참조: 표 1).
표 1
올리고펩티드 IL-8 유도활성 모발성장 활성
b7 O
ssb7
ss7
대조군 × ×
올리고펩티드 b7△C1, b7△C2, b7△C3, b7△C4, b7△C5, b7△N1, b7△N2, 및 b7△N3의 IL-8 유도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N-말단의 아미노산을 결실시키면 IL-8의 분비량이 다소 감소하지만, C-말단의 아미노산을 4개까지 결실시키더라도 IL-8분비량은 유지되었다. 한편, C-말단의 아미노산을 5개 결실시킨 경우에는 IL-8의 분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올리고펩티드 b7과 동일한 모발성장 활성을 C-말단으로부터 4개까지의 아미노산이 결실된 또는 N-말단으로부터 3개까지의 아미노산이 결실된 올리고펩타이드에서도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서 보듯이, 11-mer인 올리고펩티드 bk7도 올리고펩티드 b7과 거의 동일한 IL-8 유도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올리고펩티드 pep7의 N-말단을 NHS-비오틴 또는 NHS-LC-비오틴(피어스사제)를 이용하여, 첨부한 설명서의 조건에 따라 비오틴화하였다. NHS-비오틴을 이용한 경우에는 올리고펩티드의 N-말단과 비오틴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O-CO-(CH2)4- (13.5Å)가 도입되었고, NHS-LC-비오틴을 이용한 경우에는 올리고펩티드의 N-말단과 비오틴과의 사이에 -O-CO-(CH2)5-NH-CO-(CH2)4- (22.4Å)가 도입되었다. 상기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IL-8의 분비량을 조사한 결과, 상기 올리고펩티드는 올리고펩티드 b7과 동일한 IL-8 유도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올리고펩티드의 N-말단을 직접 비오틴화한 올리고펩티드와 스페이서를 가지는 비오틴으로 비오틴화한 올리고펩티드가 거의 동등한 모발성장 활성을 가지고, 비오틴을 도입하지 않은 올리고펩티드와 비교하여 모두 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티드는 모발성장 촉진작용을 가지며, 모발성장 촉진제 등의 의약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3)

  1. 아미노산 서열 (Ⅰ);
    Lys-Ser-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마노산 서열 (Ⅱ);
    Ser-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미노산 서열 (Ⅲ);
    Ser-Ile-Glu-Gln-Ser-Cys-Asp-Gln-Asp
    아미노산 서열 (Ⅳ);
    Ser-Ile-Glu-Gln-Ser-Cys-Asp-Gln
    아미노산 서열 (Ⅴ);
    Ser-Ile-Glu-Gln-Ser-Cys-Asp
    아미노산 서열 (Ⅵ);
    Ser-Ile-Glu-Gln-Ser-Cys
    아미노산 서열 (Ⅶ);
    Ile-Glu-Gln-Ser-Cys-Asp-Gln-Asp-Glu
    아미노산 서열 (Ⅷ);
    Glu-Gln-Ser-Cys-Asp-Gln-Asp-Glu, 또는
    아미노산 서열 (Ⅸ);
    Gln-Ser-Cys-Asp-Gln-Asp-Glu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1), 전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에서 하나 내지 수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펩티드(2), 및, 전기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며, 전기 (1) 또는 (2)에 정의된 올리고펩티드에 기초하여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스페이서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비오틴이 N-말단에 결합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상기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황화그룹에 의하여 이량체화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5. 제 1항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 및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와 동일한 모발성장 촉진활성을 가지는 그의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비오틴화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스페이서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비오틴이 N-말단에 결합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올리고펩티드는 상기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시스테인 잔기의 황화그룹에 의하여 이량체화된 올리고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9. 제 1항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Ⅰ) 내지 (Ⅸ)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지는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염.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모발성장 촉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12. 제 10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 10항 또는 11항의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13.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올리고펩티드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
KR1020027016618A 2000-06-05 2001-06-04 올리고펩티드 KR100791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6903 2000-06-05
JPJP-P-2000-00166903 2000-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963A true KR20030032963A (ko) 2003-04-26
KR100791442B1 KR100791442B1 (ko) 2008-01-04

Family

ID=1867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618A KR100791442B1 (ko) 2000-06-05 2001-06-04 올리고펩티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288221A4 (ko)
KR (1) KR100791442B1 (ko)
CN (1) CN1433429A (ko)
AU (2) AU6268901A (ko)
CA (1) CA2411067A1 (ko)
NO (1) NO20025817L (ko)
NZ (1) NZ522679A (ko)
RU (1) RU2260597C2 (ko)
TW (1) TWI243829B (ko)
WO (1) WO2001094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1731B2 (en) 2000-06-05 2007-07-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ligopeptides for promoting hair growth
JP4254242B2 (ja) * 2003-01-08 2009-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育毛活性評価方法及び育毛活性評価キット
AU2002301607B2 (en) * 2001-11-13 2008-12-1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ligopeptides for promoting hair growth
FR2834209B1 (fr) * 2001-12-31 2004-04-2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un actif cosmetique et un systeme ligand-recepteur exogene du cheveu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utilisant ces compositions
FR2838640B1 (fr) * 2002-04-19 2006-02-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actif cosmetique et un systeme ligand-recepteur exogene fixe de facon covalente aux cheveux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cheveux utilisant cette composition
TW200505945A (en) 2003-05-16 2005-02-1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Oligopeptides
WO2005116053A1 (ja) * 2004-05-27 2005-12-08 Kyoto University 新規な育毛剤
EP2592088A4 (en) * 2010-07-08 2014-11-19 Kwansei Gakuin Educational Foundation CYCLIC PEPTIDE COMPOUND OR PHARMACOLOGICALLY ALLOWED 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4231048B (zh) * 2013-06-05 2017-05-2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生发胜肽及药物组合物
CN104667257B (zh) * 2013-11-27 2017-09-1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应用生发胜肽的方法及医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80275T1 (de) * 1991-10-16 1999-06-15 Biomaterial Res Inst Co Ltd Neuartige, physiologisch aktive substanz epimorphin, für sie kodierende gene und antikörper gegen epimorphin
DE69534958T2 (de) * 1994-06-21 2007-05-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odifiziertes Epimorphin
JPH107698A (ja) * 1996-04-24 1998-01-13 Sumitomo Electric Ind Ltd エピモルフィン・アンタゴニスト
JP3903503B2 (ja) * 1996-11-18 2007-04-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可溶性ポリペプチド
JP2001318096A (ja) * 2000-05-10 2001-11-16 Sumitomo Electric Ind Ltd 毛成長促進作用を有する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1067A1 (en) 2001-12-13
NO20025817D0 (no) 2002-12-04
EP1288221A4 (en) 2009-09-09
WO2001094382A1 (fr) 2001-12-13
KR100791442B1 (ko) 2008-01-04
NO20025817L (no) 2003-01-16
EP1288221A1 (en) 2003-03-05
AU6268901A (en) 2001-12-17
RU2260597C2 (ru) 2005-09-20
CN1433429A (zh) 2003-07-30
TWI243829B (en) 2005-11-21
AU2001262689B2 (en) 2006-07-06
NZ522679A (en) 200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610B2 (ja) 改善されたペプチド製剤
EP2409988B1 (en) Peptide fragments for inducing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EP3087999B1 (en) Modified osteopontin peptides having an inactivated rgd domain and uses thereof
EP3231438B1 (en) Wt1 immunotherapy for intraocular angiogenic disease
US20170166609A1 (en)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use thereof
JP2001072589A (ja) 制癌剤
KR100791442B1 (ko) 올리고펩티드
KR102007077B1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예방용 펜타펩타이드와 펜타펩타이드 다이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6425B1 (ko) 신경교란 진정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조성물
AU2021200731B2 (en) Pro-drug peptide with improved pharmaceutical properties
EP1840133A1 (en) New immunomodulating oligopeptides
WO2004101610A1 (ja) オリゴペプチド
US5037805A (en) Methods of contraception
WO2014040008A1 (en) Relaxin-like peptides and uses thereof
RU2119800C1 (ru) Аналог пептида фактора гормона роста (фгр),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секреции гормона роста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секреции
JP4168623B2 (ja) オリゴペプチド
JPH03218395A (ja) モチリン様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JP2003502343A (ja) インターロイキン−6から誘導されるレトロ−インベルソペプチド
JPH1121298A (ja) 知覚過敏抑制ペプチド
JP2003171398A (ja) オリゴペプチド
JPH05202095A (ja) 安定化生理活性ポリ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