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797A - 차량의 4륜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4륜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797A
KR20030031797A KR1020010063686A KR20010063686A KR20030031797A KR 20030031797 A KR20030031797 A KR 20030031797A KR 1020010063686 A KR1020010063686 A KR 1020010063686A KR 20010063686 A KR20010063686 A KR 20010063686A KR 20030031797 A KR20030031797 A KR 20030031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ower
drive
clutch
out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010B1 (ko
Inventor
하태환
Original Assignee
하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환 filed Critical 하태환
Priority to KR10-2001-0063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010B1/ko
Priority to EP01274666A priority patent/EP1441922A4/en
Priority to CNB018237355A priority patent/CN100351116C/zh
Priority to JP2003541966A priority patent/JP2005507818A/ja
Priority to PCT/KR2001/002168 priority patent/WO2003039901A1/en
Priority to US10/493,151 priority patent/US20100063700A1/en
Publication of KR2003003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4Combinations of toothed gearing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42Friction-type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4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10); 상기 엔진(1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도록 된 변속기(20); 상기 변속기(20)의 출력축(22) 일단에 설치되는 전방 클러치(32), 상기 전방 클러치(32)에 연결되는 전방 추진축(34), 상기 전방 추진축(34)의 끝단에 설치되는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로 이루어진 전방 동력전달부(30); 상기 변속기(20)의 출력축(22) 타단에 설치되는 후방 클러치(42), 상기 후방 클러치(42)에 연결되는 후방 추진축(44), 상기 후방 추진축(44)의 끝단에 설치되는 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46)로 이루어진 후방 동력전달부(40);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을 각각 별도로 단속하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4륜 제어부(50)로 구성되어 출력축(22)의 양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변속기(20)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22)의 양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각각 클러치(32,42)를 설치하여 엔진(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륜 또는 후륜 또는 전,후륜에 전달하여 구동하게 됨으로 전륜과 후륜을 각각 별도로 구동시키거나 전,후륜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고, 4륜 구동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4륜구동장치{all wheel drive device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4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이 출력축의 중간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이러한 출력축의 양단에 전륜(前輪) 및 후륜(後輪)과 연결된 전,후방 출력축에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동력 단속용 클러치를 각각 설치하고, 이 클러치를 각각 별도로 제어함으로서 동력을 전륜 또는 후륜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4륜을 구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4륜 구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1)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트랜스퍼 케이스(2)를 통하여 후륜(4) 또는 전,후륜(3,4)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4륜 구동장치는 평상시에는 후륜(4)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운행을 하게 되지만, 등판주행시 또는 험한 도로주행시에는 전륜(3) 및 후륜(4)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4륜 구동장치는 구성요소인 트랜스퍼 케이스(2)의 구조가 복잡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륜(3)과 후륜(4) 동시 또는 후륜(4)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트랜스퍼 케이스(2)를 조작하기 위하여 변속레버를 직접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출력축의 양단에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클러치를 각각 설치하여 엔진의 동력을 전륜 또는 후륜 그리고 전,후륜으로 선택하여 전달할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며, 조작이 간편한 4륜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주행시 급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자동으로 전륜과 후륜이 출력축과 연결되어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의 4륜 구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4륜 구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4륜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2 : 구동축
20 : 변속기 22 : 출력축
23 : 구동기어 24 : 캐리어
25 : 변속기어 27 : 변속제어부
30 : 전방 동력전달부 32 : 전방 클러치
34 : 전방 추진축 36 :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
40 : 후방 동력전달부 42 : 후방 클러치
44 : 후방 추진축 46 : 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
50 : 4륜 제어부 52A,52B : 실린더
52C,52D : 작동로드 54A,54B : 엑츄에이터
56 : 선택부재 56A : 전륜 구동버튼
56B : 후륜 구동버튼 56C : 전,후륜 구동버튼
57 : 구동위치판 57A : 전륜 구동위치
57B : 후륜 구동위치 57C : 전,후륜 구동위치
58 : 구동레버 59A : 브레이크 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도록 된 변속기;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일단에 설치되는 전방 클러치, 상기 전방 클러치에 연결되는 전방 추진축, 상기 전방 추진축의 끝단에 설치되는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로 이루어진 전방 동력전달부; 상기 변속기의 출력축 타단에 설치되는 후방 클러치, 상기 후방 클러치에 연결되는 후방 추진축, 상기 후방 추진축의 끝단에 설치되는 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로 이루어진 후방 동력전달부;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 클러치가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4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변속기는 상기 엔진과 연결된 구동축에 설치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동기어; 상기 각 구동기어와 항시 맞물리도록 상기 출력축에 결합되고, 캐리어의 구속여부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동력을 출력축에 전달하도록 유성기어로 구성된 각각의 변속기어; 변속수단의 변속 신호에 의해 선택된 변속기어의 캐리어를 구속하여 구동축의 동력이 변속되어 출력축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변속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방 클러치는 상기 4륜 제어부에 의해 동력을 단속하는 마찰 클러치, 유체 클러치 또는 전자식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륜 제어부는 전,후방 클러치의 각 릴리스 포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된 각각의 실린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실린더에 결합된 작동로드를 각각 별도로 인장/수축시키기 위한 각각의 엑츄에이터; 상기 각 엑츄에이터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되, 전륜과 후륜을 각각 별도로 구동시킬 경우에는 각 엑츄에이터에 각각 별도로 전달하고, 전,후륜을 같이 구동시킬 경우에는 각 엑츄에이터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선택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선택부재는 전륜 구동버튼과, 후륜 구동버튼과, 전,후륜 구동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선택부재는 전륜 구동위치, 후륜 구동위치, 전,후륜 구동위치로 이루어진 구동위치판; 및 상기 전륜 구동위치, 후륜 구동위치, 전,후륜 구동위치의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점을 구비한 구동레버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4륜 구동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4륜 제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4륜 구동장치는 엔진(10)과 상기 엔진(10)의 동력을 출력축(22)의 양측으로 전달하도록 된 변속기(20)와, 상기 출력축(2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전,후방 동력전달부(30,40)와, 상기 전,후방 동력전달부(30,40)를 제어하는 4륜 제어부(5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10)은 일반적인 직립형, V형, 성형, 수평대향형, 도립V형, X형, 이중 V형 등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과 연결된 구동축(12)에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동기어(23)가 설치되고, 상기 각 구동기어(23)와 항시 맞물리는 각각의 변속기어(25)가 상기 출력축(22)에 결합되며, 상기 각 변속기어(25)는 변속제어부(27)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변속기어(25)는 유성기어로 구성되는데, 각 캐리어(24)를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작동으로 구동축(12)의 동력을 출력축(2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후진기어는 물론, 급 브레이크의 작동시 이를 감지하여 구동축(12)의 회전력이 출력축(22)에 역방향으로 전달되도록, 즉 출력축(22)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역전기어(59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변속제어부(27)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장치에 의해 선택된 변속기어(25)의 캐리어(24)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유압을 발생시키는 변속제어부(27)에 의해 캐리어(24)가 구속되면 변속기어(25)의 링기어로 전달된 동력이 각 유성기어를 통하여 출력축(22)에 결합된 선기어로 전달되는 것이고, 구속이 해제되면 각 유성기어가 공전을 하게 됨으로 동력이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변속기(20)는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 동력전달부(30)와 후방 동력전달부(40)는 상기 변속기(10)의 출력축(22) 전,후방부에 각각 설치되어 동력을 전,후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전방 동력전달장치(30)는 상기 출력축(22)의 일단, 즉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방 클러치(32)와 상기 전방 클러치(32)에 연결 설치되는 전방 추진축(34)과, 상기 전방 추진축(34)의 끝단에 설치되는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출력축(22)으로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전방 클러치(32)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전방 추진축(34)을 통하여 전방 종감속기어/전방 차동기어(36)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는 전륜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출력축(22)과 전방 클러치(32)의 결합구조, 전방 클러치(32)와전방 추진축(34)의 결합구조 또는 전방 추진축(34)과 전방 종감속기어(36) 등의 결합구조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 클러치(32)가 마찰클러치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출력축(22)의 일단에는 플라이휘일 기능을 갖는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전방 추진축(34)의 일단에는 클러치 커버, 클러치 판, 압력판, 다이어프램 스프링, 릴리스 레버, 릴리스 베어링, 클러치 스프링, 릴리스 포크 등으로 이루어진 전방 클러치(32)가 상기 플라이휘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 동력을 단속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각 부재는 클러치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러치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즉 유체 클러치, 전자식 클러치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체 클러치 또는 전자식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전방 추진축(34)의 타단은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의 구동 피니언축과 결합되어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의 구조는 공지된 사항임으로 상세한 구조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후방 동력전달부(40)는 상기 출력축(22)의 타단, 즉 후방단에 설치되는 후방 클러치(42)와, 상기 후방 클러치(42)에 연결되는 후방 추진축(44)과, 상기 후방 추진축(44)의 타단에 결합되는 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46)으로 이루어진것으로, 그 구성요소나 동력전달구조는 전술한 전방 동력전달부(40)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전방 클러치(32) 및 후방 클러치(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는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클러치 또는 전자식 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4륜 제어부(50)는 상기 전방 클러치(32) 및 후방 클러치(42)를 제어하여 출력축(22)으로 전달된 동력을 전륜 또는 후륜, 전,후륜으로 선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가 유체 클러치로 구성된다면 유체 클러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자식 클러치로 구성된다면 전자식 클러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4륜 제어부(50)의 일실시예는 마찰클러치를 제어하도록 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클러치(32,42)의 각 릴리스 포크(32A,42A)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된 각각의 실린더(52A,52B)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실린더(52A,52B)에 결합된 작동로드(52C,52D)를 각각 별도로 인장/수축시키기 위한 각각의 엑츄에이터(54A,54B)와, 상기 엑츄에이터(54A,54B)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선택부재(56A,56B)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4륜 제어부(50)는 급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감지센서(59A)를 더 구비하여 상기 브레이크 감지센서(59A)로부터 급 브레이크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축(22)의 동력이 일정한 시간동안 전,후륜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즉,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때, 후술할 전,후륜 구동버튼(56C)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브레이크 감지센서(59A)가 급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변속기(20)의 변속제어부(27)가 변속을 행하는 변속기어(25)의 캐리어(24) 구속을 해제시켜 동력 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기어(59B)의 캐리어를 구속하여 출력축(22)의 회전방향이 역회전되도록, 즉 출력축(22)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작동은 차량의 속도가 일정한 속도 이상에서만 작동되도록 하고, 차량이 감속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이 계속 진행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츄에이터(54A,54B)는 솔레노이드, 스탭핑 모터, 유체 에너지를 이용한 유압 실린더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 하기로는 솔레노이드 또는 스탭핑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부재(56)는 상기 각 엑츄에이터(54A,54B)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구동버튼(56A)과 후륜 구동버튼(56B) 및 전,후륜 구동버튼(56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구동버튼(56A,56B,56C)의 조작에 의해 조작된 구동버튼에 해당되는 상기 엑츄에이터(54A,54B)가 작동하여 실린더(52A,52B)의 작동로드(52C,52D)를 작동시켜 전방 클러치(32)와 후방 클러치(42)가 별도 또는 전,후방 클러치(32,42)가 동시에 동력을 단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각 구동버튼(56A,56B,56C)의 작동으로 엑츄에이터(54A,54B)가 작동로드(52C,52D)를 인장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 실린더(52A,52B)의 내부에서는 유압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유압은 전방 클러치(32) 및 후방 클러치(42)의 릴리스 포크(32A,42A)를 작동시켜 상기 출력축(22) 측에 결합된 플라이휘일에 해당되는 부재에 밀착된 압력판을 이격시켜 동력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엑츄에이터(54A,54B)가 작동로드(52C,52D)를 수축 작동시키게 되면, 릴리스 포크(32A,32B)가 압력판이 플라이휘일에 해당되는 부재에 밀착되도록 하여 차단되었던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20)의 출력축(22) 양단에 전방 클러치(32)와 후방 클러치(42)가 각각 설치되고, 이 전,후방 클러치(32,42)에 전,후방 추진축(34,44)가 각각 설치된 상태는 변속기(20)의 동력이 전륜과 후륜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각각의 전,후방 클러치(32,42)이 연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륜만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4륜 제어부(50)의 선택부재(56)의 각 버튼 중에서 전륜 구동버튼(56A)를 조작한다.
상기 전륜 구동버튼(56A)를 조작하게 되면 그 전기적 신호가 후방부 측의 엑츄에이터(54B)에 전달되어 이 엑츄에이터(54B)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후방측 작동로드(52D)가 인장되면서 후방측 실린더(52B)의 작동로드를 밀어 유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유압은 후방 클러치(42)의 릴리스 포크(42A)를 작동시켜 압력판이 출력축(22)의 후방단에 결합되어 플라이휘일 역할을 하는 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 클러치(42)가 출력축(22)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변속기(20)의 동력은 출력축(22)을 통하여 전방 클러치(32) 및 전방 추진축(34)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를 통하여 전륜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엔진(1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변속기(20)를 통과하면서 운행에 필요한 동력으로 변속되는데, 그 변속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제어부(27)를 조작하여 선택된 변속기어(25)의 캐리어(24)를 구속하게 되면 선택된 변속기어(25)의 기어비에 의해 구동기어(23)의 동력은 출력축(2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캐리어(24)를 구속하게 되면 링기어로 입력된 동력은 각 유성기어를 통하여 선기어로 전달되고 이어서 출력축(2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륜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후륜만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후륜 구동버튼(56B)를 조작한다.
상기 후륜 구동버튼(56B)를 조작하게 되면, 그 전기적 신호가 전방부 측의 엑츄에이터(54A)에 전달되어 이 엑츄에이터(54A)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방측 작동로드(52C)가 인장되면서 전방측 실린더(52A)의 작동로드를 밀어 유압이 발생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유압은 전방 클러치(32)의 릴리스 포크(32A)를 작동시켜 압력판이 출력축(22)의 후방단에 결합되어 플라이휘일 역할을 하는 부재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방 클러치(32)가 출력축(22)과 전방 추진축(34)의 연결 끊게 됨으로 전륜으로의 동력전달은 차단되어, 결국 후륜만 구동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후륜 구동버튼(56C)을 조작하게 되면 전방측 엑츄에이터(54A)가 작동하여 전방 클러치(32)로 하여금 출력축(22)과 전방 추진축(34)을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엔진(10)의 동력은 변속기(20)를 통하여 출력축(22) 및 전,후방 동력전달부(30,40)을 통하여 전,후륜에 동시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4륜 제어부(50)는 조작되는 버튼에 따라서 다른 버튼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또는 회로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 구동버튼(56A)가 조작되어 전륜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후륜 구동버튼(56B)가 조작되면 전방 구동버튼(56A)을 리턴시키고 전방 클러치(32)가 동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며, 후방 구동버튼(56B)가 조작되어 후륜이 구동되는 상태에서 전륜 구동버튼(56A)가 조작되면 후륜 구동버튼(56B)을 리턴시키고 후방 클러치(42)가 동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며, 전방 구동버튼(56A) 또는 후방 구동버튼(56B)이 조작중인 상태에서 전,후방 구동버튼(56C)가 조작되면 동력을 차단하고 있는 전방 동력전달부(30) 또는 후방 동력전달부(40)의 각 클러치(32,42)가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급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상기 브레이크 감지센서(59A)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4륜 제어부(50)로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를 수신한 상기 4륜 제어부(50)는 상기 선택부재(56)의 전,후륜 구동버튼(56C)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가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급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출력축(22)의 회전이 억제됨과 동시에 전,후륜이 전,후방 클러치(32,42)에 의해 출력축(22)과 연결됨으로 엔진 브레이크(1차 제동효과)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속이 감속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이 리턴되면 상기와 같은 각 구성의 작동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4륜 제어부(50)는 차속 감지센서, 일련의 엔진 브레이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선택부재(56)는 전륜 구동위치(57A), 후륜 구동위치(57B), 전,후륜 구동위치(57C)로 이루어진 구동위치판(57)과, 상기 전륜 구동위치(57A), 후륜 구동위치(57B), 전,후륜 구동위치(57C)의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점을 구비한 구동레버(5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선택부재(56)의 작동은 전술한 버튼구조의 선택부재(56)와 동일하나, 그 구조가 구동레버(58)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다르다.
즉, 구동레버(58)를 전륜 구동위치(57A)로 이동시키면 전륜 구동위치(57A)에 설치된 접점과 구동레버(58)의 접점이 접촉되어 전방부측 엑츄에이터(54A)가 작동되고, 후륜 구동위치(57B)로 이동시키면 후방부측 엑츄에이터(54B)가 작동되며, 전,후륜 구동위치(57C)로 이동시키면, 작동된 상태의 전방측 엑츄에이터(54A) 또는후방측 엑츄에이터(54B)가 전방 클러치(32) 또는 후방 클러치(42)로 하여금 동력을 전달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선택부재(56)와 동일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양측을 개방한 출력축(22)에 전륜 또는 후륜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후방 클러치(32,42)를 설치하게 됨으로, 차량의 4륜 구동을 보다 단순한 구조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4륜 구동장치는 출력축의 양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의 양단에 각각 개별적으로 각각 클러치를 설치하여 엔진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륜 또는 후륜 또는 전,후륜에 전달하여 구동하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륜과 후륜을 각각 별도로 구동시키거나 전,후륜을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고, 4륜 구동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제공되고, 고속 주행시에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10);
    상기 엔진(1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변속하도록 된 변속기(20);
    상기 변속기(20)의 출력축(22) 일단에 설치되는 전방 클러치(32), 상기 전방 클러치(32)에 연결되는 전방 추진축(34), 상기 전방 추진축(34)의 끝단에 설치되는 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36)로 이루어진 전방 동력전달부(30);
    상기 변속기(20)의 출력축(22) 타단에 설치되는 후방 클러치(42), 상기 후방 클러치(42)에 연결되는 후방 추진축(44), 상기 후방 추진축(44)의 끝단에 설치되는 후방 종감속기어/차동장치(46)로 이루어진 후방 동력전달부(40);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가 상기 출력축(34)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4륜 제어부(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는 상기 4륜 제어부(50)에 의해 동력을 단속하는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는 상기 4륜 제어부(50)에 의해 동력을 단속하는 유체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는 상기 4륜 제어부(50)에 의해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륜 제어부(50)는 전,후방 클러치(32,42)의 각 릴리스 포크(32A,42A)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된 각각의 실린더(52A,52B);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실린더(52A,52B)에 결합된 작동로드(52C,52D)를 각각 별도로 인장/수축시키기 위한 각각의 엑츄에이터(54A,54B);
    상기 각 엑츄에이터(54A,54B)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되, 전륜과 후륜을 각각 별도로 구동시킬 경우에는 각 엑츄에이터(54A,54B)에 각각 별도로 전달하고, 전,후륜을 같이 구동시킬 경우에는 각 엑츄에이터(54A,54B)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선택부재(5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재(56)는 전륜에 해당되는 엑츄에이터(54A)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륜 구동버튼(56A) 및 후륜에 해당되는 엑츄에이터(54B)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후륜구동버튼(56B)과, 상기 각 엑츄에이터(54A,54B)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후륜 구동버튼(56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재(56)는 전륜에 해당되는 엑츄에이터(54A)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륜 구동위치(57A) 및 후륜에 해당되는 엑츄에이터(54B)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후륜 구동위치(57B)과, 상기 각 엑츄에이터(54A,54B)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후륜 구동위치(57C)로 이루어진 구동위치판(57); 및
    상기 전륜 구동위치(57A), 후륜 구동위치(57B), 전,후륜 구동위치(57C)의 접점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점을 구비한 구동레버(5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4륜 제어부(50)는 급 브레이크 작동을 감지하도록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감지센서(59A)를 더 구비하여 상기 브레이크 감지센서(59A)로부터 급 브레이크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전,후방 클러치(32,42)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축(22)의 동력이 전,후륜에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 구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20)는 상기 엔진(10)과 연결된 구동축(12)에설치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구동기어(23);
    상기 각 구동기어(23)와 항시 맞물리도록 상기 출력축(22)에 결합되고, 캐리어(24)의 구속여부에 의해 상기 구동축(12)의 동력을 출력축(22)에 전달하도록 유성기어로 구성된 각각의 변속기어(25); 및
    변속수단의 변속 신호에 의해 선택된 변속기어(25)의 캐리어(24)를 구속하여 구동축(12)의 동력이 변속되어 출력축(22)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변속제어부(2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4륜구동장치.
KR10-2001-0063686A 2001-10-16 2001-10-16 차량의 4륜구동장치 KR10051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86A KR100514010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의 4륜구동장치
EP01274666A EP1441922A4 (en) 2001-10-16 2001-12-14 APPARATUS FOR CONTROLLING FOUR WHEEL DRIVES FOR A VEHICLE
CNB018237355A CN100351116C (zh) 2001-10-16 2001-12-14 用于车辆的车轮驱动装置
JP2003541966A JP2005507818A (ja) 2001-10-16 2001-12-14 車両用4輪駆動装置
PCT/KR2001/002168 WO2003039901A1 (en) 2001-10-16 2001-12-14 Wheel drive apparatus for vehicle
US10/493,151 US20100063700A1 (en) 2001-10-16 2001-12-14 4-wheel drive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86A KR100514010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의 4륜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56U Division KR200264073Y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의 4륜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797A true KR20030031797A (ko) 2003-04-23
KR100514010B1 KR100514010B1 (ko) 2005-09-13

Family

ID=1971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686A KR100514010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의 4륜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63700A1 (ko)
EP (1) EP1441922A4 (ko)
JP (1) JP2005507818A (ko)
KR (1) KR100514010B1 (ko)
CN (1) CN100351116C (ko)
WO (1) WO20030399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06B1 (ko) * 2006-08-08 2007-06-07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4륜 구동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101241072B1 (ko) * 2011-12-23 2013-03-11 대동공업주식회사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WO2014171722A1 (ko) * 2013-04-17 2014-10-23 주식회사 칼라카나 자동 변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88130B1 (es) * 2006-06-07 2008-10-16 Proyectos Y Fabricacion Electronica, S.A Mecanismo de cambio de marchas.
ES2341824B1 (es) * 2008-02-01 2011-04-25 Proyectos Y Fabricacion Electronica, S.A. Sistema de traccion para automovil.
KR101158341B1 (ko) 2009-03-09 2012-06-25 하태환 유성기어를 이용한 동력 전달 장치
CA2762778A1 (en) * 2009-05-19 2010-11-25 Ut Global Co., Ltd. Multistage automatic transmission
KR101012469B1 (ko) * 2009-05-19 2011-02-08 (주)유티글로벌 다단 자동 변속기
KR101012470B1 (ko) * 2009-06-29 2011-02-08 (주)유티글로벌 다단 자동 변속기
KR101029868B1 (ko) * 2009-07-31 2011-04-15 (주)유티글로벌 기계식 다단 자동 변속기
EP2536963B1 (en) * 2010-02-15 2017-04-19 King Saud University Automatic transmission
GB2488529A (en) * 2011-02-18 2012-09-05 Land Rover Uk Ltd Vehicle with power transfer clutch actuator which reduces mode chattering
KR101344378B1 (ko) 2011-09-07 2013-12-23 서기철 다단 자동 변속기
AU2011378567B2 (en) * 2011-10-05 2015-09-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Vibration Reduction Apparatus
KR101267823B1 (ko) 2013-04-17 2013-05-27 이춘우 자동 변속기
WO2016067071A1 (en) * 2014-10-29 2016-05-06 Samano John Osita Traction differential motion control (tdmc)
CN104806714B (zh) * 2015-04-10 2017-06-20 华南理工大学 一种越野车dct/amt传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773267A (zh) * 2018-06-04 2018-11-09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单电机四轮驱动的电动汽车脱困控制方法
CN110171301B (zh) * 2019-07-02 2024-01-05 苏州市职业大学 一种精准归位的往返小车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6022A (en) * 1980-10-09 1982-04-22 Fuji Heavy Ind Ltd Four-wheel drive vehicle
JPS57101151A (en) * 1980-12-15 1982-06-23 Toyota Motor Corp Planetary gear transmission
US4562897A (en) * 1983-10-25 1986-01-07 American Motors Corporation Vehicle drivetrain including viscous clutch
JPS6136550A (ja) * 1984-07-28 1986-02-21 Aisin Warner Ltd 変速機の制御装置
JP2536613B2 (ja) * 1989-02-28 1996-09-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リップ検出装置
JPH02234844A (ja) * 1989-03-07 1990-09-18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2626167B2 (ja) * 1990-05-18 1997-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ー装置
US5103690A (en) * 1990-05-30 1992-04-14 Roger Macpherson Part-time all wheel drive system
JPH0536040U (ja) * 1991-10-16 1993-05-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回転数切換機構
US5582263A (en) * 1993-03-10 1996-12-10 New Venture Gear, Inc. Full-time four wheel drive transfer case
US5409429A (en) * 1993-07-30 1995-04-25 Borg-Warner Automotive, Inc. Transfer case for four wheel drive vehicles
JPH10297313A (ja) * 1997-04-25 1998-11-10 Aisin Seiki Co Ltd 駆動力切換機構
KR100292325B1 (ko) * 1998-12-31 2001-11-22 하태환 자동차용반자동변속장치
JP2000346093A (ja) * 1999-06-07 2000-12-12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クラッチ駆動装置
JP3520228B2 (ja) * 1999-09-29 2004-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及び自動車用動力伝達装置
JP3892636B2 (ja) * 2000-02-09 2007-03-1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自動変速装置
JP2001234990A (ja) * 2000-02-24 2001-08-31 Hiroyuki Yokozawa 変速装置
JP3725004B2 (ja) * 2000-03-30 2005-12-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06B1 (ko) * 2006-08-08 2007-06-07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4륜 구동 제어 시스템 및 장치
KR101241072B1 (ko) * 2011-12-23 2013-03-11 대동공업주식회사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WO2014171722A1 (ko) * 2013-04-17 2014-10-23 주식회사 칼라카나 자동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3700A1 (en) 2010-03-11
CN100351116C (zh) 2007-11-28
CN1558840A (zh) 2004-12-29
KR100514010B1 (ko) 2005-09-13
WO2003039901A1 (en) 2003-05-15
JP2005507818A (ja) 2005-03-24
EP1441922A1 (en) 2004-08-04
EP1441922A4 (en)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010B1 (ko) 차량의 4륜구동장치
KR101014156B1 (ko) 차량 구동력 분배 장치
JP3843070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5833168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5426731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5081744B2 (ja) 車両の駆動装置
JP2006112489A (ja) 駆動装置
KR200264073Y1 (ko) 차량의 4륜구동장치
JP2007298050A (ja) 作業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07127145A (ja) 車両用駆動力配分装置
US7762921B2 (en) Powertrain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train
JP2006044348A (ja) ハイブリッド変速機のモータ過回転防止装置
JP5592539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201315126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2011051460A (ja) 車両駆動制御装置
JP5346456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4389047B2 (ja) 移動車両
JP4396468B2 (ja) 移動車両の変速制御装置
KR19980020767A (ko) 자동차 4륜 구동장치용 트랜스퍼의 버튼시프트시스템
JPH10250395A (ja) 4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装置
JPH11247894A (ja) 車両用オートクラッチ装置
JPH0617912A (ja) 車両の変速装置
JP4889600B2 (ja) 作業車両の変速装置
JPH0989101A (ja) 作業機の変速制御装置
JP4947091B2 (ja) 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