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072B1 -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 Google Patents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072B1
KR101241072B1 KR1020110141096A KR20110141096A KR101241072B1 KR 101241072 B1 KR101241072 B1 KR 101241072B1 KR 1020110141096 A KR1020110141096 A KR 1020110141096A KR 20110141096 A KR20110141096 A KR 20110141096A KR 101241072 B1 KR101241072 B1 KR 10124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
unit
power suppl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17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four-wheel-drive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21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구동부, 전원 공급부, 제어부,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동력전달부는 전륜 측 중앙의 전방차동장치와 후륜 측 중앙에 위치하는 후방차동장치로 구성되고, 후방차동장치에 근접하는 차체 중앙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되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변속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이 연장되고,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은 전방차동장치 및 후방차동장치와 각각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Electric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본 발명은 험로주행, 화물 및 농작물 운반, 작업기 구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폭넓게 활용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져, 농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UTV)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 다목적 운반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
또한, 기계식 엔진을 장착하던 종래와는 달리 최근에는, 배기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고 소음이 극히 적은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기본적으로 전기구동모터 및 에너지원이 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전기구동모터가 차량을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회전수에 관계 없이 일정한 출력을 내는 모터의 특성 때문에, 비포장 도로 주행이나 경사지 등판과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안정된 저속주행이 곤란하거나 고속주행에서 배터리 소모가 급증하는 단점이 있다. 즉, 험로주행을 위한 저RPM 고토크의 구현 또는 고속주행을 위한 저RPM 고속의 구현이 불가능해 전체적인 주행성능 및 동력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험로주행 및 경사지 등판을 위한 저RPM 고토크 구현 및 배터리 소모는 줄이면서 안정된 고속주행을 위한 저RPM 고속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다목적 운반차량이며, 구동부, 전원 공급부, 제어부,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전륜 측 중앙의 전방차동장치와 후륜 측 중앙에 위치하는 후방차동장치로 구성되고; 후방차동장치에 근접하는 차체 중앙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되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변속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이 연장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은 상기 전방차동장치 및 후방차동장치와 각각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의 차체 프레임 상에 운전석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 공간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 하부에 전원 공급부를 구성하는 배터리 팩 탑재를 위한 탑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 후방의 차체 프레임 상부에 데크가 장치되고, 데크 후방 측 하부에 후방차동장치가 배치되며, 이 후방차동장치와 상기 배터리 탑재공간 사이로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변속기는, 이들 사이에 조립되는 어댑터를 매개로 구동모터 출력축과 변속기 입력축이 상호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댑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며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차체 프레임 폭 방향에 일치하도록 횡(橫)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구동부 작동에 요구되는 교류전류로 변환시키는 구동 인버터; 페달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구동부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외부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로 승압 또는 다운시키는 DC/DC 컨버터; 및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차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모터에 의한 출력이 직접 차륜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는 종래와는 달리, 모터 출력이 중간에 변속기를 거쳐 경사지 등판, 험로주행, 고속주행 등 주행대상지에 따라 최적의 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출력으로 변환되어 차륜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회전수에 관계 없이 일정한 출력으로 구동되는 종래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과는 다르게, 변속기 장착으로 인하여 험로주행 및 경사지 등판에 유리한 저RPM 고토크가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소모는 줄이면서 안정된 고속주행을 위한 저RPM 고속을 구현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보다 향상된 주행성능 및 동력효율을 갖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성하는 장치요소들의 전체적인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성하는 장치요소들의 전체적인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 4, 5, 6, 7은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의 좌, 우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구동부(7), 전원 공급부(5), 제어부(8), 동력전달부(9)로 구성된다. 동력전달부(9)는 전륜 측 중앙의 전방차동장치(9a)와 후륜 측 중앙의 후방차동장치(9b)로 구성되며, 구동부(7)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전륜 및 후륜 구동축(10a)(10b)이 연장되며, 전륜 및 후륜 구동축(10a)(10b)은 전방차동장치(9a) 및 후방차동장치(9b)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차동장치(9a) 및 후방차동장치(9b)로부터 좌, 우로 연장된 축에는 좌, 우 한 쌍의 전륜과(1a)과 후륜(1b)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며, 전륜(1a)과 후륜(1b) 사이의 차체 프레임 상에 운전자 및 동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 공간(2)이 마련된다. 그리고 운전석 공간(2)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부(3)가 구비되며, 운전석 공간(2) 전방 측 대쉬보드 패널 쪽에는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부호 생략)을 포함, 각종 조작장치가 배치된다.
시트부(3) 아래 쪽에 위치한 차체 프레임에는 배터리 탑재공간(4)이 형성되고, 이 배터리 탑재공간(4) 내에 차량 구동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이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3) 후방에는 소화물 또는 작물 등을 탑재할 수 있는 데크(deck, 6)가 장치되며, 데크(6) 하부로 후륜(1b) 구동을 위한 상기 후방차동장치(9b)가 배치되고 이와 배터리 탑재공간(4) 사이로 상기 구동부(7)가 배치된다.
구동부(7)는 차량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70)와, 구동모터(70) 출력을 주행에 적합한 동력으로 변속시켜 출력하는 변속기(72)로 이루어지며, 구동부(7)를 이루는 상기 변속기(72)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이 연장된다. 구동부(7)와 동력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5)는 제어부(8)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8)는 운전자 조작에 의거하여 시동 및 상기 구동부(7)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동모터(70) 출력축과 변속기(72) 입력축의 동심(同心)이 일치하는 동력전달 가능한 연결을 위해, 상기 구동모터(70)와 변속기(72) 사이에는 어댑터(74)가 설치되며, 어댑터(74)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며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74)는 연결대상인 구동모터(70)와 변속기(72) 사이즈 및 외형에 따라 그 사이즈 및 형상 역시 달라질 수 있어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부(7)를 이루는 구동모터(70)와 변속기(72)는, 도 2 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차체 프레임 폭 방향을 따르는 횡(橫)방향 배치를 이룬다. 이처럼 차체 프레임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이루면, 변속기(72)를 통해 출력되는 동력이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을 통해 전방차동장치(9a) 및 후방차동장치(9b) 측으로 전달됨에 있어 유리하고, 또한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고려했을 때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8)는 앞서도 설명했듯이 구동부(7)와 전원 공급부(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또한 운전석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과 관련한 신호입력수단(12) 예컨대 페달 또는 핸드레버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입력수단(12)으로부터 구동모터(70) 동작을 위한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신호입력수단(12)을 통해 입력 설정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8)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는 제어가 행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8)는 구체적으로, 구동 인버터(80), 제어기(82), DC/DC 컨버터(84) 및, 릴레이(86)를 포함한다. 구동 인버터(80)는 전원 공급부(5)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구동부(7) 작동에 요구되는 교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어기(82)는 상기 신호입력수단(12) 예컨대, 페달 조작 시 상기 전원 공급부(5)에서 구동부(7)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7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량주행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DC/DC 컨버터(84)는 전원 공급부(5)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외부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로 승압 또는 다운시키는 기능을 하며, 릴레이(86)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5)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단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제어부(8)는 전원 공급부(5) 및 구동모터(70)로부터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5) 후방으로 구동부(7)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차체 프레임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살펴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모터에 의한 출력이 직접 차륜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는 종래와는 달리, 모터 출력이 중간에 변속기를 거쳐 경사지 등판, 험로주행, 고속주행 등 주행대상지에 따라 최적의 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출력으로 변환되어 차륜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회전수에 관계 없이 일정한 출력으로 구동되는 종래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과는 다르게, 변속기 장착으로 인하여 험로주행 및 경사지 등판에 유리한 저RPM 고토크가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소모는 줄이면서 안정된 고속주행을 위한 저RPM 고속을 구현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보다 향상된 주행성능 및 동력효율을 갖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현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a, 1b : 전륜, 후륜 2 : 운전석 공간
3 : 시트부 4 : 배터리 탑재공간
5 : 배터리 팩 6 : 데크
7 : 구동부 8 : 제어부
9 : 동력전달부
9a, 9b : 전방 차동장치, 후방 차동장치
10a, 10b : 전륜 구동축, 후륜 구동축
12 : 신호입력수단 70 : 구동모터
72 : 변속기 74 : 어댑터
80 : 구동 인버터 82 : 제어기
84 : DC/DC 컨버터 86 : 릴레이

Claims (8)

  1.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구동부, 전원 공급부, 제어부,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전륜 측 중앙의 전방차동장치와 후륜 측 중앙에 위치하는 후방차동장치로 구성되고;
    후방차동장치에 근접하는 차체 중앙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되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변속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기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이 연장되고;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은 상기 전방차동장치 및 후방차동장치와 각각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륜과 후륜 사이의 차체 프레임 상에 운전석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운전석 공간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 하부에 전원 공급부를 구성하는 배터리 팩 탑재를 위한 탑재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후방의 차체 프레임 상부에 데크가 장치되고, 데크 후방 측 하부에 후방차동장치가 배치되며, 이 후방차동장치와 상기 배터리 탑재공간 사이로 구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와 변속기는, 이들 사이에 조립되는 어댑터를 매개로 구동모터 출력축과 변속기 입력축이 상호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며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차체 프레임 폭 방향에 일치하도록 횡(橫)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구동부 작동에 요구되는 교류전류로 변환시키는 구동 인버터;
    페달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구동부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
    전원 공급부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외부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로 승압 또는 다운시키는 DC/DC 컨버터; 및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20110141096A 2011-12-23 2011-12-23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124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96A KR101241072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96A KR101241072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072B1 true KR101241072B1 (ko) 2013-03-11

Family

ID=481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96A KR101241072B1 (ko) 2011-12-23 2011-12-23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847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그린오토테크 친환경 다목적 작업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906A (ja) 2000-10-19 2002-05-10 Sanyo Electric Co Ltd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20030031797A (ko) * 2001-10-16 2003-04-23 하태환 차량의 4륜구동장치
KR20100073978A (ko) * 2008-12-22 2010-07-01 김신길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KR20100079550A (ko) * 2008-12-31 2010-07-08 강명구 다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모터 변속장치, 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및 모터 변속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5906A (ja) 2000-10-19 2002-05-10 Sanyo Electric Co Ltd ハイブリッド自動車
KR20030031797A (ko) * 2001-10-16 2003-04-23 하태환 차량의 4륜구동장치
KR20100073978A (ko) * 2008-12-22 2010-07-01 김신길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KR20100079550A (ko) * 2008-12-31 2010-07-08 강명구 다수의 전동모터를 이용한 모터 변속장치, 이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 및 모터 변속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847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그린오토테크 친환경 다목적 작업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759B2 (en) Hybrid work vehicle
CN105142949B (zh) 用于混合动力驱动系统的扭矩叠加装置、混合动力驱动系统及运行混合动力驱动系统的方法
US8616310B2 (en)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CN101633305B (zh) 纯电动汽车动力总成系统
JP2011245906A (ja) トラクタ
JP2011046300A (ja) ハイブリッド駆動車両
KR101302404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101302407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101302405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구조
KR101241072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A2822587C (en) Crawler vehicle and relative control method
KR101305269B1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N106080163B (zh) 一种四轮驱动混合动力拖拉机
JP5848727B2 (ja) ハイブリッドホイールローダ
CN104827882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动力传动系统及其驱动控制方法
KR101315149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JP2011005905A (ja) ハイブリッド式コンバイン
Puhovoy Agricultural tractor with pure electromechanical drivetrain
KR101305270B1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N210745937U (zh) 多功能农用机履带底盘
KR101315144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회생전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9591660A (zh) 混合电动拖拉机及其传动方法
KR20140065730A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보조충전장치 및 보조충전을 위한 발전량 제어방법
CN206589651U (zh) 混合动力车辆
JP2007022378A (ja) 管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