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70B1 -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 Google Patents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70B1
KR101305270B1 KR1020110141094A KR20110141094A KR101305270B1 KR 101305270 B1 KR101305270 B1 KR 101305270B1 KR 1020110141094 A KR1020110141094 A KR 1020110141094A KR 20110141094 A KR20110141094 A KR 20110141094A KR 101305270 B1 KR101305270 B1 KR 101305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drive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316A (ko
Inventor
안경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두 개의 구동모터를 갖고, 두 개의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은 합성출력기를 통해 합성되어 변속기로 전달되고,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축이 합성출력기로부터 연장되고, 동력인출축은 두 개의 구동모터 중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레버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Dual motor type electric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본 발명은 험로주행, 화물 및 농작물 운반, 작업기 구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폭넓게 활용되는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두 개의 모터로서 움직이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통, 건설, 레져, 농용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목적 운반차량 Utility vehicle, UTV)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 다목적 운반차량은 험로주행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흙이나 작물을 싣고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요한 도구 등을 싣고 나르기 위한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
또한, 기계식 엔진을 장착하던 종래와는 달리 최근에는, 배기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고 소음이 극히 적은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기본적으로 구동모터 및 에너지원이 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구동모터가 차량을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서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출력동력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주행을 위한 동력으로 한정시켜 이용하고 있음에 따라, 종래 다목적 운반차량의 용도가 이동과 운반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대부분이 단일모터로서 구동이 이루어지는 단일모터 구동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일모터 구동식의 경우 출력이 떨어지는 단점과 함께, 구동모터 또는 이 구동모터로 전기를 공급하는 해당 배선계통에 문제가 생기면, 주행불가 상태가 되어 별도의 견인차량 등을 이용하여 정비소까지 견인 이동시켜야 하며, 그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1995-0702480 (공개일 1995.7.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가능한 구성의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나의 구동모터 또는 관련 배선계통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구동모터로서 비상주행이 가능한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제1, 제2 구동모터를 갖고, 상기 제1, 제2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은 합성출력기를 통해 합성되고 변속기로 전달되며,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축이 상기 합성출력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동력인출축은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구동모터는, 각 구동모터 출력축이 차량 폭 방향을 향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출력기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케이스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제1 구동모터 출력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입력축; 구동모터 간 이격 거리만큼 상기 제1 입력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위치의 케이스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제2 구동모터 출력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입력축; 제1 입력축과 제2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합성출력축; 및 제1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모터 출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동력인출축;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모터에 의한 출력이 제1 입력축을 통해 합성출력축에 전달되거나 또는 동력인출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레버조작에 따라 동력출력 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동력절환기가 상기 제1 입력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력절환기는 동기치합식(Synchro-Mesh Type) 변속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인출축은 제1, 제2 구동모터의 출력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제1, 제2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측방으로 인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에 의하면, 동력인출축을 구비함으로써,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예컨대, 전동펌프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주행 및 운반 외에 부가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목적 운반차량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두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듀얼모터타입으로서, 각 구동모터에 출력된 동력이 합성출력기에서 하나의 출력으로 합쳐져 변속기 측으로 출력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고출력을 내기 위해 고가이면서 부피가 큰 대형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고출력을 가지는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구동모터 또는 관련 배선계통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구동모터로서 비상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주행불가 상태가 되어 별도의 견인차량 등을 이용하여 정비소까지 견인 이동시켜야 하거나, 그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더욱이, 구동모터에 의한 출력이 직접 차륜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는 종래와는 달리, 모터 출력이 중간에 변속기를 거쳐 경사지 등판, 험로주행, 고속주행 등 주행대상지에 따라 최적의 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출력으로 변환되어 차륜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인 주행성능 및 동력효율이 보다 향상된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성하는 장치요소들의 전체적인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도.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도 2에 따른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주요부 내부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주요부 내부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주요부 동력을 동력인출축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의 동력전달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성하는 장치요소들의 전체적인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3, 4, 5, 6, 7은 도 2의 평면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의 좌, 우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저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은, 구동부(7), 전원 공급부(5), 제어부(8), 동력전달부(9)로 구성된다. 동력전달부(9)는 전륜 측 중앙의 전방차동장치(9a)와 후륜 측 중앙의 후방차동장치(9b)로 구성되며, 구동부(7)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전륜 및 후륜 구동축(10a)(10b)이 연장되며, 전륜 및 후륜 구동축(10a)(10b)은 전방차동장치(9a) 및 후방차동장치(9b)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차동장치(9a) 및 후방차동장치(9b)로부터 좌, 우로 연장된 축에는 좌, 우 한 쌍의 전륜(1a)과 후륜(1b)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며, 전륜(1a)과 후륜(1b) 사이의 차체 프레임 상에 운전자 및 동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 공간(2)이 마련된다. 또한 운전석 공간(2)에는 착석을 위한 시트부(3)가 구비되며, 운전석 공간(2) 전방 측 대쉬보드 패널 쪽에는 조향을 위한 스티어링(부호 생략)을 포함, 각종 조작장치가 배치된다.
시트부(3) 아래 쪽에 위치한 차체 프레임에는 배터리 탑재공간(4)이 형성되고, 이 배터리 탑재공간(4) 내에 차량 구동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 구체적으로, 배터리 팩이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3) 후방에는 소화물 또는 작물 등을 탑재할 수 있는 데크(deck, 6)가 장치되며, 데크(6) 하부로 후륜(1b) 구동을 위한 상기 후방차동장치(9b)가 배치되고 이와 배터리 탑재공간(4) 사이로 상기 구동부(7)가 배치된다.
구동부(7)는 차량 구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와(도 8참조), 제1, 제2 구동모터(70a)(70b) 출력을 주행에 적합한 동력으로 변속시켜 출력하는 변속기(72)와, 이들(구동모터와 변속기)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구동모터(70a)(70b) 출력을 합성시켜 상기 변속기(72)로 전달하는 합성출력기(74)로 이루어지며, 합성출력기(74)는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축(76)을 구비한다.
변속기(72)로부터 차체 전·후방으로 상기 전륜 및 후륜 구동축(10a)(10b)이 연장되고, 상기 동력인출축(76)은 제1 구동모터(70a) 또는 제2 구동모터(70b)에서 출력된 동력을 제공받아 차량에 부가적으로 연결되는 작업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동력인출축을 구비하는 합성출력기(74)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구동부(7)를 이루는 구동모터(70a)(70b)와 변속기(72)는, 도 2 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차체 프레임 폭 방향을 따르는 횡(橫)방향 배치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구동부가 이처럼 차체 프레임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이루면, 변속기(72)를 통해 출력되는 동력이 전륜 및 후륜 구동축을 통해 전,후방차동장치(9a)(9b) 측으로 전달됨에 있어 유리하고, 또한 전체 레이아웃 상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함에 있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구동부(7)와 이 구동부, 구체적으로는 구동부를 이루는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에 동력원인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5)는 제어부(8)를 매개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운전석에 배치되는 모터 구동과 관련한 신호입력수단(12) 예컨대 페달 또는 핸드레버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8)는 구체적으로, 구동 인버터(80), 제어기(82), DC/DC 컨버터(84) 및, 릴레이(86)를 포함한다. 구동 인버터(80)는 전원 공급부(5)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구동부(7) 작동에 요구되는 교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어기(82)는 상기 신호입력수단(12) 예컨대, 페달 조작 시 상기 전원 공급부(5)에서 구동부(7)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7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차속을 제어한다.
DC/DC 컨버터(84)는 전원 공급부(5)에 제공되는 직류전류를 외부기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류로 승압 또는 다운시키는 기능을 하며, 릴레이(86)는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5)로부터의 전원공급을 단속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부(8)는 전원 공급부(5) 및 구동모터(70)로부터 복사열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5) 후방의 구동부(7)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의 차체 프레임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주요부 내부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8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제2 구동모터(70a)(70b)는 각 출력축(71a)(71b)이 차량 폭 방향을 향해 상호 평행을 이루는 병렬배치구조를 갖고, 합성출력기(74)는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와 변속기(72) 사이에 배치되어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제1, 제2 구동모터(70a)(70b) 측과 변속(72)기 측에 결합되도록 연결된다.
합성출력기(74)는 구체적으로 도면의 도시와 같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74c), 케이스(74c) 내에 배치되는 제1 입력축(74a) 및 제2 입력축(74b), 이들 입력축(74a)(74b) 사이로 배치되는 합성출력축(74d), 그리고 구동모터 동력을 외부로 출력시켜 부가 장착되는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동력인출축(76)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입력축(74a)과 제2 입력축(74b)은 제1, 제2 구동모터(70a)(70b) 간 이격 거리만큼의 거리를 두고 평행을 이루면서 케이스(74c)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이때 각각의 입력축(74a)(74b) 선단은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의 각 출력축(71a)(71b)과 결합하고, 케이스(74c) 내 상기 제1 입력축(71a)과 제2 입력축(71b) 사이에는 상기 합성출력축(74d)이 상기 제1, 제2 입력축(74a)(74b)과 전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력인출축(76)은 상기 제1 입력축(74a)에 선택적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구성을 갖고, 선택적 동력접속이 이루어지면 제1 구동모터(70a) 또는 제2 구동모터(70b)에 의한 출력을 제1 입력축(74a)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구동모터(70a)에 의한 출력이 합성출력축(74d) 또는 동력인출축(76)으로 선택적 전달시키기 위해, 레버조작에 따라 동력출력 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동력절환기(75)가 상기 제1 입력축(74a)에 마련된다.
동력절환기(75)는 제1 입력축(74a) 상에 스플라인 고정되어 이 입력축(74a)과 함께 회전하는 허브기어와, 허브기어 위에 물려 좌, 우로 슬라이딩 움직임을 갖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딩에 따라 허브기어와 선택적으로 동력접속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프트 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일반적인 동기치합식(Synchro-Mesh Type) 변속기일 수 있다. 하지만 선택적인 동력접속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상기 동력인출축(76)은, 도 8과 같이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의 출력축(71a)(72a)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측방으로 노출되는 구성이거나, 도 9와 같이 제1, 제2 구동모터(70a)(70b)의 출력축(71a)(71b)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 측방으로 노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B는 각 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가리킨다.
이상 합성출력기(74)를 설명함에 있어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제1 입력축(74a)에 동력절환기(75)가 장치되고 동력인출축(76)이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제2 입력축(74b)에 동력절환기(75)를 장치하고 여기에 동력인출축(76)이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변경 또한 가능하므로, 이러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인출축을 구비함으로써,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 예컨대, 전동펌프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주행 및 운반 외에 부가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목적 운반차량의 활용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두 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듀얼모터타입으로서, 각 구동모터에 출력된 동력이 합성출력기에서 하나의 출력으로 합쳐져 변속기 측으로 출력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고출력을 내기 위해 고가이면서 부피가 큰 대형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고출력을 가지는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구동모터 또는 관련 배선계통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구동모터로서 비상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주행불가 상태가 되어 별도의 견인차량 등을 이용하여 정비소까지 견인 이동시켜야 하거나, 그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수반되는 문제 또한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더욱이, 구동모터에 의한 출력이 직접 차륜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전달되는 종래와는 달리, 모터 출력이 중간에 변속기를 거쳐 경사지 등판, 험로주행, 고속주행 등 주행대상지에 따라 최적의 주행을 구현할 수 있는 출력으로 변환되어 차륜에 전달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전체적인 주행성능 및 동력효율이 보다 향상된 다목적 운반차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a, 1b : 전륜, 후륜 2 : 운전석 공간
3 : 시트부 4 : 배터리 탑재공간
5 : 배터리 팩 6 : 데크
7 : 구동부 8 : 제어부
9 : 동력전달부
9a, 9b : 전방 차동장치, 후방 차동장치
10a, 10b : 전륜 구동축, 후륜 구동축
12 : 신호입력수단 70a, 70b : 제1, 제2 구동모터
72 : 변속기 74 : 합성출력기
75 : 동력절환기 76 : 동력인출축
80 : 구동 인버터 82 : 제어기
84 : DC/DC 컨버터 86 : 릴레이

Claims (7)

  1.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움직이는 다목적 운반차량으로서,
    두 개의 제1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를 갖고,
    상기 제1, 제2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은 합성출력기를 통해 합성되고 변속기로 전달되며,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되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인출축이 상기 합성출력기로부터 연장되고,
    동력인출축은 제1 구동모터 또는 제2 구동모터에서 출력된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합성출력기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구성의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제2 구동모터는, 각 구동모터 출력축이 차량 폭 방향을 향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출력기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케이스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제1 구동모터 출력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입력축;
    구동모터 간 이격 거리만큼 상기 제1 입력축과 평행하게 이격된 위치의 케이스 내에 회전 자유롭게 장치되며 제2 구동모터 출력축에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입력축;
    제1 입력축과 제2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합성출력축; 및
    제1 입력축으로부터 구동모터 출력을 전달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동력인출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구동모터에 의한 출력이 제1 입력축을 통해 합성출력축에 전달되거나 동력인출축에 전달될 수 있도록, 레버조작에 따라 동력출력 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동력절환기가 상기 제1 입력축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절환기는 동기치합식(Synchro-Mesh Type) 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축은 구동모터의 출력축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인출축은 구동모터의 출력축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20110141094A 2011-12-23 2011-12-23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1305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94A KR101305270B1 (ko) 2011-12-23 2011-12-23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94A KR101305270B1 (ko) 2011-12-23 2011-12-23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16A KR20130073316A (ko) 2013-07-03
KR101305270B1 true KR101305270B1 (ko) 2013-09-06

Family

ID=4898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94A KR101305270B1 (ko) 2011-12-23 2011-12-23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29A (ko) * 2016-02-05 2017-08-16 대동공업주식회사 건설 및 제설 작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02A (ja) * 1992-07-17 1994-02-10 Fuji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用駆動装置
KR20020053700A (ko) * 2000-12-27 2002-07-05 미쯔이 고오헤이 작업기
KR20050064953A (ko) * 2003-12-24 200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이중 클러치 변속기 및 그모드별 작동방법
KR20110112132A (ko) * 2010-04-06 2011-10-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 모터와 유도 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02A (ja) * 1992-07-17 1994-02-10 Fuji Electric Co Ltd 電気自動車用駆動装置
KR20020053700A (ko) * 2000-12-27 2002-07-05 미쯔이 고오헤이 작업기
KR20050064953A (ko) * 2003-12-24 200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이중 클러치 변속기 및 그모드별 작동방법
KR20110112132A (ko) * 2010-04-06 2011-10-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기 모터와 유도 모터를 구비한 전기 자동차의 구동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29A (ko) * 2016-02-05 2017-08-16 대동공업주식회사 건설 및 제설 작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KR102449338B1 (ko) 2016-02-05 2022-10-04 주식회사 대동 건설 및 제설 작업용 다목적 운반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16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853B1 (ko)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WO2015165302A1 (zh) 一种用于车辆的整体式转向驱动桥和电动车辆
RU2010139747A (ru) Гибрид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WO2014057514A1 (ja) 電動車両
JP201708782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車軸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
JP6481193B2 (ja) 電動車両
CN204900045U (zh) 卡车
KR20120137291A (ko) 횡방향 배치된 내연기관을 가진 구동 트레인을 구비한 자동차
JP2015063237A (ja) 走行車両
CN102529673B (zh) 履带车辆的混合动力电传动装置
US20080210481A1 (en) Electric Drive System Comprising Differential Steering for a Vehicle, Drive Unit and Vehicle
KR101302404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20130040287A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101305270B1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1305269B1 (ko) 듀얼모터타입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JP5848727B2 (ja) ハイブリッドホイールローダ
KR101315149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US20230286369A1 (en) Work vehicle
KR20170058164A (ko) 경전용 전기 작업차
CN110001802A (zh) 一种节能环保型电驱动拖拉机
KR20230062395A (ko) 전동 트랙터
KR101241072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US10059188B2 (en) Hybrid vehicle
JP2005067606A (ja) 作業車
KR101370304B1 (ko)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의 전장품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