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789A -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 Google Patents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789A
KR20030029789A KR10-2003-7000965A KR20037000965A KR20030029789A KR 20030029789 A KR20030029789 A KR 20030029789A KR 20037000965 A KR20037000965 A KR 20037000965A KR 20030029789 A KR20030029789 A KR 2003002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biped walking
arm
robot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276B1 (ko
Inventor
후루타다카유키
도미야마켄
기타노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가쿠 기쥬츠 신코 지교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가쿠 기쥬츠 신코 지교단 filed Critical 가가쿠 기쥬츠 신코 지교단
Publication of KR2003002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 B62D57/03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supporting base and legs; with alternately or sequentially lifted feet or sk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Abstract

전도 시 등에 각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전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으로, 이 로봇은 접촉 검지부(40)를 구비하고 있고, 각 접촉 검지부(40)가 각각 외장 표면을 구성하는 외장부(41), 이 외장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42), 및 이 외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재(43)로 구성되고, 로봇의 전도 시에 바닥면 등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접촉 검지부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지하고, 제어부가 로봇의 전도 상태를 파악하고, 현재의 전도 상태에 따라서 구동 수단을 구동 제어하고, 전도될 때에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거나, 기립 동작에 의해서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이행한다.

Description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TWO-LEG WALKING HUMANOID ROBOT}
종래, 소위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미리 설정된 보행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보행 패턴 데이터에 따라서 보행 제어를 하여, 소정의 보행 패턴으로 다리부를 동작시킴으로써 2각 보행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예를 들면 바닥면 상황, 로봇 자체의 물리적 파라미터의 오차 등에 의해 보행 때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도(轉倒)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될 수 있는 한 전도되지 않도록 설계는 되어 있지만, 전도 시에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거나 전도된 상태로부터 기립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다. 즉, 종래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전도 시에, 각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전도된 상태를 검출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다. 또, 종래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몸통부나 다리부, 팔부의 외장 표면이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 시에 기립 동작을 행하게 하려고 해도, 동적이면서 원활한 연속 동작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앞구르기 등의 바닥면 상에서의 운동을 행하게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전도 시 등에 각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전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특히, 로봇의 전도(轉倒) 시 등에 각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전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일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개략정면도, (B)는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접촉 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굴부 및 다리부의 각 관절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굴부 및 다리부의 각 관절부의 전방으로의 요동 한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다리부에서의 각 관절 구동용 모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직립시, (B)는 요동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방으로 전도될 때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전도 전, (B)은 전도 시, (C)는 도복(倒伏) 시에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후방으로 전도될 때의 (A)전도 전, (B)전도 시 및 (C)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몸통부, 몸통부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다리부,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팔부, 및 몸통부의 상단에 장착된 두부(頭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다리부는 몸통부에 대하여 3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대퇴부, 각 대퇴부의 하단에 대하여 각각 1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하퇴부, 및 각 하퇴부의 하단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발부(足部)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팔부는 몸통부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상완부, 각 상완부에 대하여 각각 1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완부, 및 각 하완부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손부(手部)를 포함하고 있고, 또한 상기 몸통부는 중간의 전굴부(前屈部)에서 전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대퇴부, 그리고 상기 팔부의 손, 하완부 및 상완부, 그리고 전굴부를 각각 요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각 구동 수단을 각각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에 있어서, 상기 각 팔부의 상완부 및 하완부 사이의 팔꿈치부 외측, 상기 각 팔부의하완부와 손부 사이의 손목부 외측과, 상기 발부의 발끝부 하측, 상기 발부의 발꿈치부 하측, 상기 발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 사이의 무릎부 외측, 및 상기 몸통부의 엉덩이부, 등부에 각각 접촉 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 접촉 검지부는 각각 외장 표면을 구성하는 외장부, 이 외장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 및 이 외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가 일체로 구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충격 흡수재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 팔부의 상완부와 하완부, 다리부의 대퇴부와 하퇴부가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부가 하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20도 내지 +2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하퇴부가 대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6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대퇴부가 몸통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45도 이상의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몸통부가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3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전굴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대퇴부를 각각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서로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도될 때, 또는 엎드리기 등의 바닥면 상에서의 운동을 하는 경우에, 바닥면 등에 충돌할 수 있는 부분, 즉 각 팔부의 상완부 및 하완부의 사이의 팔꿈치부 외측, 상기 각 팔부의 하완부와 손부의 사이의 손목부 외측, 상기 발부의 발끝부 하측, 상기 발부의 발꿈치부 하측, 상기 발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의 사이의 무릎부 외측, 및 상기 몸통부의 엉덩이부, 등부에 각각 접촉 검지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분이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접촉 검지부의 충격 흡수재에 의해서 충돌에 의한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전도 시 등에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각 부분에서의 내부 구조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고, 전도 시 등에 각 부분이 파손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시에, 상기 각 부분 중 바닥면 등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접촉 검지부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지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상태가 파악된다. 따라서, 제어부가 현재의 전도 상태로 따라서 구동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팔부 및 다리부를 적당히 동작시킴으로써, 전도될 때에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거나, 기립 동작에 의해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를 일체로 구성하면, 각 접촉 검지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시에 각 접촉 검지부가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외장부가 직접 바닥면 등과 접촉하고, 내측의 압력 센서, 충격 흡수재, 더 나아가 내부 구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시에, 각 접촉 검지부의 압력 센서가 바닥면 등에 직접 접촉하고, 압력 센서가 바닥면 등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의 충격 흡수재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시에 각 접촉 검지부가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충격 흡수재가 직접 바닥면 등과 접촉하여 충격이 확실하게 흡수되어, 내측의 외장부, 압력 센서 및 내부 구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 팔부의 상완부 및 하완부, 다리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가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도 상태로부터의 기립 동작을 할 때에, 이들 곡면 형상의 외장 표면이 바닥면 등에 접촉하여 기립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부가 하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20도 내지 +2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하퇴부가 대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6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대퇴부가 몸통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45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며, 또한 상기 몸통부가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3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전굴가능한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도 상태로부터의 기립 동작을 할 때에, 상술한 동작 범위에 의해 확실하게 기립 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를 각각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서로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도 상태로부터의 기립 동작을 할 때에,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요동가능하므로 확실하게 기립 동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특정 또는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본 발명의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몸통부(11), 몸통부(11)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다리부(12L, 12R),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팔부(13L, 13R), 및 몸통부의 상단에 장착된 두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11)는 상부(11a)와 하부(11b)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11a)가 전굴부(11c)에서 하부(11b)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특히 전방으로 전굴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1)에는 후술하는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다. 또, 상기 전굴부(11c)는 관절 구동용 모터(도 2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12L, 12R)는 각각 대퇴부(15L, 15R), 하퇴부(16L, 16R), 및 발부(17L, 17R)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리부(12L, 12R)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6개의 관절부, 즉 상방으로부터 순차로, 몸통부(11)에 대한 허리의 다리부 선회용 관절부(18L, 18R), 허리의 롤 방향(x축 주위) 관절부(19L, 19R), 허리의 피치 방향(y축 주위) 관절부(20L, 20R), 대퇴부(15L, 15R)와 하퇴부(16L, 16R)의 접속 부분인 무릎부(21L, 21R)의 피치 방향 관절부(22L, 22R), 발부(17L, 17R)에 대한 발목부의 피치 방향 관절부(23L, 23R), 및 발목부의 롤 방향 관절부(24L, 24R)를 구비하고 있다. 또, 각 관절부(18L, 18R 내지 24L, 24R)는 각각 관절 구동용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허리 관절은 상기 관절부(18L, 18R, 19L, 19R, 20L, 20R)로 구성되며, 또한 발 관절은 관절부(23L, 23R, 24L, 24R)로 구성되는 것이 된다.
이에 따라,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좌우 양측의 다리부(12L, 12R)에는 각각 6개의 자유도가 부여되어, 보행 중에 이들 12개의 관절부를 각각 구동 모터에 의해 적절한 각도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다리부(12L, 12R) 전체에 원하는 동작을 부여하여, 임의로 삼차원 공간을 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팔부(13L, 13R)는 각각 상완부(25L, 25R), 하완부(26L, 26R), 및손부(27L, 27R)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팔부(13L, 13R)의 상완부(25L, 25R), 하완부(26L, 26R), 및 손부(27L, 27R)는 상술한 다리부(12L, 12R)와 같이 하여, 각각 관절부에 의해 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 관절부는 각각 관절 구동용 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좌우 양측의 팔부(13L, 13R)에는 각각 적절한 자유도가 부여되어 각종 동작을 한다.
상기 두부(14)는 몸통부(11) 상부(11a)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고, 예를 들면 시각으로서의 카메라나 청각으로서의 마이크가 탑재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종래의 2각 보행식 인형 로봇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에서는 이하의 점에서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몸통부(11)의 상부(11a)와 하부(11b), 다리부(12L, 12R)의 대퇴부(15L, 15R)와 하퇴부(16L, 16R), 그리고 팔부(13L, 13R)의 상완부(25L, 25R)와 하완부(26L, 26R)가 각각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styrol) 등의 충격 내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전도 시에 바닥면 등에 충돌할 수 있는 부분, 즉 상기 각 팔부(13L, 13R)의 상완부(25L, 25R)와 하완부(26L, 26R) 사이의 팔꿈치부(28L, 28R) 외측, 상기 각 팔부(13L, 13R)의 하완부(26L, 26R)와 손부(27L, 27R) 사이의 손목부(29L, 29R) 외측, 상기 발부(17L, 17R)의 하면 중앙,발끝부(30L, 30R)의 하측, 발꿈치부(31L, 31R)의 하측 및 무릎부(21L, 21R)의 외측, 및 상기 몸통부(11)의 하부(11b) 후측인 엉덩이부(32) 및 상부(11a) 후측인 등부(33)에 각각 접촉 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촉 검지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표면을 구성하는 외장부(41), 외장부(41)의 내측에 배치된 압력 센서(42), 및 그 내측에 배치된 충격 흡수재(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부(41)는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 등의 충격 내성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술한 각 부분과 같이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력 센서(42)는 상기 접촉 검지부(40)가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 등에서 바닥면 등에 접촉하고 있을 때, 접촉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충격 흡수재(43)는 예를 들면 솔보세인(sorbothane)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 검지부(40)가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 등에 의하여 바닥면 등에 충돌했을 때,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 검지부(40)는 외측으로부터 순차로, 외장부(41), 압력 센서(42), 및 충격 흡수재(43)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순차로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외장부(41)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에, 각 접촉 검지부(40)가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외장부(41)가 직접 바닥면 등과 접촉하고, 내측의 압력 센서(42), 충격 흡수재(43), 더 나아가 내부 구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42)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에, 압력센서(42)가 바닥면 등과 직접 접촉하고, 바닥면 등과의 접촉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재(43)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에, 각 접촉 검지부(40)가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충격 흡수재(43)가 직접 바닥면 등과 접촉되어 충격이 확실하게 흡수된다.
또, 상기 접촉 검지부(40)는 외장부(41), 압력 센서(42), 및 충격 흡수재(43)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 센서(42) 및 충격 흡수재(43), 또는 외장부(41), 압력 센서(42), 및 충격 흡수재(43)가 서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에서는 몸통부(11)의 전굴부(11c)와, 다리부(12L, 12R)의 전후 방향의 관절부, 즉 허리 관절의 관절부(20L, 20R), 무릎부의 관절부(22L, 22R), 및 발목부의 관절부(23L, 23R)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발목부의 관절부(23L, 23R)는 그 요동 각도(θ1)가 -20도 내지 +2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다.
또, 무릎부의 관절부(22L, 22R)는 그 요동 각도(θ2)가 0도 내지 +6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다.
또한, 허리 관절의 관절부(20L, 20R)는 그 요동 각도(θ3)가 0도 내지 +45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다.
또, 몸통부(11)의 전굴부(11c)는 그 요동 각도(θ4)가 0도 내지 +3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다.
상술한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20L, 20R, 22L, 22R, 23L, 23R)의 요동 각도 범위를 실현하기 위해,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20L, 20R, 22L, 22R, 23L, 23R)의 관절 구동용 모터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20L, 20R, 22L, 22R, 23L, 23R)의 관절 구동용 모터(M2, M3, M4)는 각각 모터의 구동축이 감속기(G2, G3, G4)를 통하여, 그 출력축(G2a, G3a, G4a)에 의해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20L, 20R, 22L, 22R, 23L, 23R)를 구동하고, 각각 몸통부(11)의 상부(11a), 대퇴부(15L, 15R), 하퇴부(16L, 16R) 그리고 발부(17L, 17R)를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속기(G2, G3, G4)를 포함하는 각 모터(M2, M3, M4)는 서로 전굴부(11c)와 각 관절부(20L, 20R, 22L, 22R)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굴부(11c)와 각 관절부(20L, 20R, 22L, 22R)가 요동했을 때,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모터(M2, M3, M4)는 전굴부(11c)와 각 관절부(20L.20R, 22L, 22R)의 요동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리부(12L, 12R)의 길이를 필요 이상 길게 하지 않고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20L, 20R, 22L, 22R)의 요동의 각도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모터(M1)는 관절부(24L, 24R)의 관절 구동용 모터이며, 또한 모터(M5)는 관절부(19L, 19R)용 관절 구동용 모터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구동 수단, 즉 상술한 전굴부(11c), 그리고 각 관절부, 즉 관절 구동용 모터(18L, 18R) 내지 (24L, 24R)를 구동 제어하는 보행 제어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행 제어부(50)는 제어부(51)와 모터 제어 유닛(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1)는 전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동작 패턴에 따라 각 관절 구동용 모터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터 제어 유닛(5)은 제어부(5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각 관절 구동용 모터를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1)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에는 그 전도 상태, 즉 각 접촉 검지부(40)의 압력 센서(4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전도 상태(전도 자세)를 판별하여, 이 전도 자세에 대한 동작 패턴에 따라 전도 시의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 전도 후의 기립 동작을 하도록, 전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동작 패턴에 따라 각 관절 구동용 모터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보통의 보행 동작은 보행 제어 장치(50)의 제어부(51)가 전과 마찬가지로 정해진 보행 동작 패턴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 제어 유닛(5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모터 제어 유닛(52)이 전굴부(11c) 및 각 관절부(18L, 18R) 내지 (24L, 24R)의 관절 구동용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보행 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예를 들면 보행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앞쪽으로 전도되는 경우,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보행에서는 발부(17L, 17R)의 하면 중앙 부근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1)는 안정된 보행 상태로 판단하여 보통의 보행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하여,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전도되면, 한 쪽의 팔부(13L) 또는 (13R)의 손목부(29L, 29R)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51)는 손목부(29L, 29R)의 압력 센서(4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전방으로 전도되고 있는 것을 판별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도록 모터 제어 유닛(52)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에 의해, 양 팔꿈치부(28L, 28R), 양 무릎부(21L.21R)를 바닥면에 붙인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양 팔꿈치부(28L, 28R), 양 무릎부(21L, 21R)에는 각각 접촉 검지부(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 팔꿈치부(28L, 28R), 양 무릎부(21L, 21R)가 바닥면에 충돌했다고 해도, 접촉 검지부(40)의 충격 흡수재(43)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또, 제어부(5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팔꿈치부(28L, 28R), 양 무릎부(21L, 21R) 그리고 한 쪽 발부(17L) 또는 (17R)의 발끝부(30L, 30R)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1)는 이 전도 상태로부터 기립 동작을 하도록 모터 제어 유닛(52)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기립 동작을 하여,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때, 각 부의 외장 표면이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립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예를 들면 보행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뒤쪽으로 전도되는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보행으로서는 발부(17L, 17R)의 하면 중앙 부근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1)는 안정된 보행 상태라고 판단하여 보통의 보행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반하여,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으로 전도되면, 한 쪽의 발부(17L) 또는 (17R)의 발꿈치부(31L, 31R)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의 압력 센서(42)가 압력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1)는 발꿈치부(31L, 31R)의 압력 센서(4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이 후방으로 전도되고 있는 것을 판별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도록 모터 제어 유닛(52)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에 의해, 엉덩이부(32), 등부(33), 및 양 팔꿈치부(28L, 28R)를 바닥면에 붙인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엉덩이부(33), 등부(33), 및 양 팔꿈치부(28L, 28R)에는 각각 접촉 검지부(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엉덩이부(32), 등부(33), 및 양 팔꿈치부(28L, 28R)가 바닥면에 충돌했다고 해도 접촉 검지부(40)의 충격 흡수재(43)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또, 제어부(5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부(32), 등부(33), 및 양 팔꿈치부(28L, 28R)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의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1)는이 전도 상태로부터 기립 동작을 하도록 모터 제어 유닛(52)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은 기립 동작을 하여,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때, 마찬가지로, 각 부의 외장 표면이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립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에 의하면, 양 팔꿈치부(28L, 28R), 손목부(29L, 29R), 양 무릎부(21L, 21R), 발부(17L, 17R)의 하면 중앙부, 팔꿈치부(31L, 31R) 및 발끝부(30L, 30R)에 설치된 접촉 검지부(40)에 의해 전도 자세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의 전도 시에는 그 전도 자세에 대응한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도 자세에 따른 기립 동작에 의해서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원활히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10)에 의하면, 전도 상태(전도 자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바닥면 상에서의 엎드리기, 뒤로눕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팔부(13L, 13R)가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 및 기립 동작 시에 어떻게 동작하는가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 및 기립 동작 시에 적당히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전도될 때, 또는 엎드리기 등의 바닥면 상에서의 운동을 하는 경우에, 바닥면 등에 충돌할 수 있는 부분, 즉 각 팔부의 상완부 및 하완부 사이의 팔꿈치부 외측, 상기 각 팔부의 하완부와 손부 사이의 손목부 외측, 상기 발부의 발끝부 하측, 상기 발부의 발꿈치부 하측, 상기 발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 사이의 무릎부 외측, 상기 몸통부의 엉덩이부와 등부에 각각 접촉 검지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분이 바닥면 등에 충돌했다고 해도 접촉 검지부의 충격 흡수재에 의해서 충돌에 의한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전도 시 등의 때에,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각 부분에서 내부 구조에 대한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각 부분이 파손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시에, 상기 각 부분 중 바닥면 등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접촉 검지부의 압력 센서가 압력을 검지하여, 제어부에 의해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의 전도 상태가 파악된다. 따라서, 제어부가 현재의 전도 상태에 따라서 구동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팔부 및 다리부를 적당히 동작시킴으로써, 전도될 때에 몸체를 지지하는 동작을 하거나, 기립 동작에 의해서 2각으로 직립한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 시 등에 각 부분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전도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매우 우수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이 제공된다.

Claims (9)

  1.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다리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팔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에 장착된 두부(頭部)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3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대퇴부, 상기 각 대퇴부의 하단에 대하여 각각 1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하퇴부, 및 상기 각 하퇴부의 하단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부는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상완부, 상기 각 상완부에 대하여 각각 1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하완부, 및 상기 각 하완부에 대하여 2축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 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중간의 전굴부(前屈部)에서 전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대퇴부, 그리고 상기 팔부의 손, 하완부, 상완부, 그리고 전굴부를 각각 요동시키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각 구동 수단을 각각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으로서,
    상기 각 팔부의 상완부 및 하완부 사이의 팔꿈치부 외측, 상기 각 팔부의 하완부와 손부 사이의 손목부 외측, 상기 발부의 발끝부 하측, 상기 발부의 발꿈치부 하측, 상기 발부의 대퇴부 및 하퇴부 사이의 무릎부 외측, 및 상기 몸통부의 엉덩이부와 등부에 각각 접촉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접촉 검지부는 각각 외장 표면을 구성하는 외장부, 상기 외장부에작용하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외장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재로 구성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 압력 센서 및 충격 흡수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외장부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압력 센서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촉 검지부에서 충격 흡수재가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상기 팔부의 상완부와 하완부, 및 상기 다리부의 대퇴부와 하퇴부가 돌출형의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표면을 가지고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부가 상기 하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20도 내지 +2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하퇴부가 상기 대퇴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6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대퇴부가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45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요동가능하고,
    상기 몸통부가 전후 방향으로 0도 내지 +30도 이상의 각도 범위로 전굴가능한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를 각각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상기 발부, 하퇴부, 및 대퇴부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KR10-2003-7000965A 2001-06-07 2002-06-03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KR100515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3263A JP3682525B2 (ja) 2001-06-07 2001-06-07 二脚歩行式人型ロボット
JPJP-P-2001-00173263 2001-06-07
PCT/JP2002/005423 WO2002100607A1 (en) 2001-06-07 2002-06-03 Two-leg walking humanoid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789A true KR20030029789A (ko) 2003-04-16
KR100515276B1 KR100515276B1 (ko) 2005-09-15

Family

ID=1901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965A KR100515276B1 (ko) 2001-06-07 2002-06-03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02015B2 (ko)
EP (1) EP1393867B1 (ko)
JP (1) JP3682525B2 (ko)
KR (1) KR100515276B1 (ko)
DE (1) DE60231300D1 (ko)
TW (1) TW544380B (ko)
WO (1) WO20021006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87B1 (ko) * 2008-01-10 2008-10-13 (주)다사로봇 지능형 로봇 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118B2 (ja) * 2002-02-18 2006-01-0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二脚歩行式人型ロボット
JP3938326B2 (ja) * 2002-05-10 2007-06-27 川田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用付加的支持構造
US7761184B2 (en) * 2003-03-23 2010-07-20 Sony Corporation Robo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603199B2 (en) 2003-11-27 2009-10-13 Honda Motor Co., Ltd. Control device for mobile body
KR100657530B1 (ko) * 2005-03-31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행 로봇의 들림감지장치
JP2006305642A (ja) * 2005-04-26 2006-11-09 Kawada Kogyo Kk 人型ロボットおよび着脱可能型臀部
KR100862190B1 (ko) * 2006-11-30 2008-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로봇의 자세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NO2190530T3 (ko) * 2007-09-13 2018-04-07
US8332068B2 (en) * 2008-12-19 2012-12-11 Honda Motor Co., Ltd. Intelligent stepping for humanoid fall direction change
US8369991B2 (en) * 2008-12-19 2013-02-05 Honda Motor Co., Ltd. Humanoid fall direction change among multiple objects
WO2012066678A1 (ja) * 2010-11-19 2012-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律移動体
US8880221B2 (en) 2011-03-21 2014-11-04 Honda Motor Co., Ltd. Damage reduction control for humanoid robot fall
US9193403B2 (en) 2013-03-20 2015-11-24 Honda Motor Co., Ltd Humanoid fall damage reduction
FR3021572B1 (fr) * 2014-06-03 2016-07-01 Aldebaran Robotics Securite d'un robot a caractere humanoide
US9499219B1 (en) * 2014-08-25 2016-11-22 Google Inc. Touch-down sensing for robotic devices
JP6228097B2 (ja) * 2014-10-06 2017-1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
US9555846B1 (en) * 2015-03-20 2017-01-31 Google Inc. Pelvis structure for humanoid robot
CN105346618B (zh) * 2015-11-20 2017-11-14 清华大学 基于串联弹性驱动器的带上身双足机器人平地行走方法
CN105583856B (zh) * 2016-01-28 2019-01-01 苏州大学 一种被试仿人机器人
EP3441197A4 (en) * 2016-04-05 2019-12-04 Hitachi, Ltd. HUMANOID ROBOT
JP6794800B2 (ja) 2016-11-29 2020-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
US10351189B2 (en) * 2016-12-13 2019-07-16 Boston Dynamics, Inc. Whole body manipulation on a legged robot using dynamic balance
CN106737584A (zh) * 2016-12-29 2017-05-31 东莞市锝铼金机器人自动化有限公司 一种基于空心驱动器、微型驱动器的人形机器人
CN107685788B (zh) * 2017-09-06 2023-10-27 滨州学院 一种足球机器人
CN109866218B (zh) * 2017-12-01 2021-04-20 优必选教育(深圳)有限公司 机器人摔倒站立控制方法及装置
CN108890643A (zh) * 2018-06-25 2018-11-27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机器人的控制方法和装置
CN110653814B (zh) * 2018-06-29 2021-09-17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的控制方法、机器人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10653811B (zh) * 2018-06-29 2021-10-29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机器人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206840B (zh) * 2019-06-21 2020-07-14 重庆大学 一种仿股骨头减震结构及步行机器人
CN110450193A (zh) * 2019-09-06 2019-11-15 梁渤涛 双足行走型机器人的行走支撑机构
CN110695964A (zh) * 2019-09-27 2020-01-17 广州嘉欣电工科技有限公司 一种轮毂车标装配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3156926A (zh) * 2020-01-22 2021-07-23 深圳市优必选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的有限状态机的建立方法、有限状态机和机器人
CN112025698B (zh) * 2020-07-13 2021-11-23 北京大学 一种基于撞击预测和主动顺应的机器人跌倒保护方法及系统
CN112894749B (zh) * 2021-01-15 2022-05-17 南通科橙机器人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结构的人工智能机器人
CA3181763A1 (en) * 2021-11-12 2023-05-12 Sanctuary Cognitive Systems Corporation Robots and methods for protecting fragile componen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295A (ja) * 1983-08-03 1985-0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皮膚感覚センサ
JPS6133894A (ja) * 1984-07-25 1986-02-17 神鋼電機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の安全ア−ム及び安全ハンド
JP2520019B2 (ja) * 1989-06-29 1996-07-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の駆動制御装置
US5255753A (en) * 1989-12-14 1993-10-2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oot structure for legged walking robot
JP3278467B2 (ja) * 1992-08-18 2002-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8393B2 (ja) * 1993-03-26 1996-01-10 日本電気株式会社 衝突防止機能付ロボットアーム
JP3655056B2 (ja) * 1997-08-04 2005-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3528171B2 (ja) * 1999-11-12 2004-05-1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装置及び移動ロボット装置の転倒制御方法
JP3555107B2 (ja) * 1999-11-24 2004-08-18 ソニー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及び脚式移動ロボットの動作制御方法
JP2001239479A (ja) * 1999-12-24 2001-09-04 Sony Corp 脚式移動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のための外装モジュール
JP3511088B2 (ja) * 2000-04-10 2004-03-29 独立行政法人航空宇宙技術研究所 多関節介護ロボット制御用の圧力分布センサ
US6732015B2 (en) * 2002-03-14 2004-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Robot system
US6999851B2 (en) * 2002-08-30 2006-02-14 Sony Corporation Robot apparatus and motion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87B1 (ko) * 2008-01-10 2008-10-13 (주)다사로봇 지능형 로봇 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276B1 (ko) 2005-09-15
WO2002100607A1 (en) 2002-12-19
US6902015B2 (en) 2005-06-07
DE60231300D1 (de) 2009-04-09
EP1393867A1 (en) 2004-03-03
TW544380B (en) 2003-08-01
US20040060746A1 (en) 2004-04-01
JP3682525B2 (ja) 2005-08-10
JP2002361575A (ja) 2002-12-18
EP1393867A4 (en) 2008-04-02
EP1393867B1 (en)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276B1 (ko) 2각 보행식 인형 로봇
JP3603279B2 (ja) 二脚歩行式人型ロボット
JP5539040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
JP4274181B2 (ja) 脚式ロボット
TW583059B (en) Two-feet walking type moving apparatus, the control device theref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lking
JP2004141976A (ja) 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3148827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の歩行制御装置
JP2001150371A (ja) 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用の関節装置
WO2004020159A1 (ja) 脚式移動ロボット
JP5436300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
JP2007007798A (ja) 跳躍ロボット
JP2008200813A (ja) 二足歩行ロボット
JP2011224752A (ja) 脚式移動ロボット
JP2004344989A (ja) 脚式移動ロボット
KR100520264B1 (ko) 양팔 로봇의 양팔 어깨 관절기구 및 이족 보행 로봇의양족 엉덩이 관절기구
JP2005288561A (ja) ヒューマノイドロボット
JPH04122586A (ja) 脚式移動ロボット及びその歩行制御装置
JP3673869B2 (ja) 二脚歩行式人型ロボット及びその手先収納機構
JP3627057B2 (ja) 二脚歩行式人型ロボット
JP3569767B2 (ja) 歩行式ロボット
JP5450203B2 (ja) 脚式移動ロボット
JP2004188530A (ja) 歩行式移動装置並びにその動作制御装置及び動作制御方法
JP2018167382A (ja) ロボット
JP2010142926A (ja) 脚式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