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250A -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 - Google Patents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250A
KR20030026250A KR1020027017451A KR20027017451A KR20030026250A KR 20030026250 A KR20030026250 A KR 20030026250A KR 1020027017451 A KR1020027017451 A KR 1020027017451A KR 20027017451 A KR20027017451 A KR 20027017451A KR 20030026250 A KR20030026250 A KR 2003002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mill
tubular rotary
deflector
rotary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645B1 (ko
Inventor
호베르 슈네이더
Original Assignee
코미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0202178A external-priority patent/EP1166876A1/fr
Application filed by 코미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미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2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2Lining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분쇄기의 원통형 쉘링 커버를 형성하는 병령 배치된 개별 라이너 플레이트의 링을 구비하고 있는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라이너는 선택된 지점에 위치된 디플렉터(20, 30) 형태로 구성된 소정 개수의 라이닝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플렉터는, 쉘링에 고정된 베이직 플레이트(22, 32)의 에지에 배열되며, 상기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25°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핀(26, 3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TUBULAR ROTARY MILL LINER}
일반적으로, 종래의 분쇄기는 직경의 격벽에 의해 축방향으로 두 개의 연속적인 챔버로 구분된다. 물질을 조악하게 분쇄하는 제1 챔버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60 mm 내지 90 mm인 분쇄볼을 포함하고 있다. 물질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제2 챔버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5 mm 내지 60 mm인 분쇄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챔버로 구성된 분쇄기 이외에, 다른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직경에 따라 다른 개수로 이루어진 분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지 하나의 챔버(단일 챔버)로 이루어진 분쇄기도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분쇄기 중 상기 제 2챔버 또는 단일 챔버 분쇄기는 자동 분류 라이너가 필요하다. 자동 분류 라이너란 분쇄기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크기에 따라 분쇄체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라이너로써, 더 명확하게는 분쇄실 입구에는 큰 분쇄체를 분류하고 동일 챔버의 출구쪽으로 작은 분쇄체를 분류한다. 따라서, 분쇄 챔버를 진행하는 물질의 입자 크기가 감소하고 더 미세하게 됨에 따라, 분쇄 챔버를 진행하는 물질의 무게 및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쇄 챔버의 길이 보다는, 분세체의 크기가 분쇄될 물질의 입자 크기 및 미세도에 맞추어져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분쇄 물질의 톤 당 전력 소모를 10% 내지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여러 종류의 자동 분류 라이너들이 있다. 이들 중 하나는 분쇄기의 축방향으로 톱니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라이너는, 출구쪽으로 수렴하고 분쇄 챔버의 입구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분쇄기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원추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라이너를 형성하는 플레이트는 비교적 두꺼운 평균 두께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무겁다. 두꺼운 두께는 분쇄 챔버의 유효 체적의 손실을 야기시키며, 어떤 경우에는 모터의 모든 가용 동력을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라이너는 또한 입자(grain)에 매우 민감하다. 즉 작은 분쇄체들이 위치하는 영역에 매우 단단한 입자가 축적(약 6 mm 내지 12 mm) 되면, 상기 분류가 매우 혼란스럽게 되어, 역방향, 즉 입구쪽으로 작은 분쇄체를 보내고, 출구쪽으로 큰 분쇄체를 보내어 분쇄체를 분류하게 된다.
BE09301481에 기재된 다른 유형의 라이너에 있어서, 플레이트들은 분쇄기의 직선모선(generatrix)에 대하여 15°내지 30°각도 만큼 기울어진 물결주름(corrugation)을 가지고 있다. 이 물결주름을 경사지게 하는 목적은, 분쇄 체 및 분쇄될 물질에 영향을 주는 나사 효과(screw effect)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분쇄기가 회전할 때, 일반적으로 큰 대부분의 분쇄체는 분쇄체의 외주면에 있고, 물결주름을 경사지게 하는 목적은 분쇄 챔버의 입구쪽으로 나사 효과에 의해 상기 분쇄체를 밀어내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방법에서 요구되는 분류는 매우 어렵고 종종 불확실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대적으로 무겁고, 분류 효과는 물결주름이 점진적으로 마모됨에 따라 감소한다. 상기 물결주름은 단속적인 픽업(pickup), 즉 분쇄체의 외부층들이 분쇄기의 상부까지 픽업되는 동안 과도한 픽업 및 분쇄체의 하단부로 하강하여 회전하는 대신 라이너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라이너는 실제로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분쇄될 물질과 분쇄체(grinding body)의 투입(charge)을 포함하는 원통형 쉘링(shell ring)을 구비하고 있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를 위한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라이너는 병렬 배치된 개별 라이너 플레이트의 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건조한 시멘트(클링커(clinker))를 분쇄하며, 건조 또는 습성의 석탄, 석회석 및 광석들을 분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쇄기는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분쇄체, 일반적으로 볼들로 이루어진 분쇄체의 투입을 포함하는 금속성 원통형 쉘링을 구비하며, 상기 분쇄체는 다양한 크기의 원통형 페블(pebble), 구형 페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물질은 분쇄기의 일측으로 주입되며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는 출구쪽으로 진행됨에 따라 분쇄체들 사이에서 파쇄되고 분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기술된 내용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II)에서의 도1의 디플렉터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쉘링의 내벽에서 디플렉터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플렉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VIII 절단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받침대를 가지고 있는 핀의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충진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충진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디플렉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라이너의 문제점들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튜브형 분쇄기용 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효과적이고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벼운 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된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소정 개수의 라이너 플레이트가 쉘링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25°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핀(fin)을 포함하는 디플렉터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튜브형 분쇄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도, 분쇄기가 회전하는 방향하는 방향에서 볼 때, 전면에 위치하고 있는 핀의 측면은 분쇄기의 입구쪽으로 향하는 면에 모따기(chamfered)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핀의 모따기된 측면은 물질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반대쪽 측면에 대하여 움푹 들어가 있다.
바람직하게 5°이상인 상기 핀의 기울기는 물질이 진행되도록 하며 분쇄체를 분류하는 나선 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핀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요소를 이루고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주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은 개별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홀을 구비하고 있는 받침대(plinth)에 부착시켜 분쇄기의 쉘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보적인 형태(complementing shape)의 개구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프루스토코니컬(frustoconical)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에 의한 상기 핀의 고정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쉘링에 동시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개수의 라이닝 플레이트가 디플렉터(20)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디플렉터(20)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분쇄기의 회전 방향을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II)에서의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각각의 디플렉터는 분쇄기의 쉘링의 내벽에 고정되는 중심홀(24)를 구비하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2) 상에 (주조에 의해) 플레이트의 구성요소로를 형성하는 핀(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26)은 플레이트(22) 상의 에지, 바람직하게는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핀(26)은 25 mm 내지 50 mm의두께 및 바람직하게는 100 mm 내지 350 mm 의 높이(분쇄기에 대하여 반경)를 가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핀(26)은 분쇄기의 동작 조건과 분쇄체 및 분쇄(ground)될 물질의 특성에 따라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25°미만의 각도(α)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로 경사져 있다.
도 1 및 도2에서, 분쇄기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정면에 위치하고 있는 핀(26)의 측면은 다소 뾰족한 모서리(28)를 형성하기 위해 분쇄기의 입구쪽으로 향하는 핀(26)의 면에 모따기(chamfered)가 되어 있다. 상기 모서리(28)는 분쇄체로의 관통(penetration)을 용이하게 하고 연속적인 픽업(pickup)의 역할, 즉 분쇄체가 라이너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90 mm인 분쇄볼(grinding ball)을 사용하는 경우, 만일 분쇄의 작업조건이 매우 힘들면, 상기 핀(26)을 매우 단단한 주철 또는 강철로 형성할 수 있다. 미세한 분쇄를 위하여, 보다 좋은 작업 조건하에서, 상기 디플렉터의 작업기준면 즉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향하는 면(도1에서 오른쪽) 및 모서리(28)는 패딩(즉 금속 및 세라믹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분쇄에 의한 마모에 보다 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매우 단단한 텅스텐 탄화물의 용접 비드(bead)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디플렉터의 배치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분쇄기의 쉘링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각각의 도면들에서, 화살표(R)은 분쇄기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D)는 분쇄될 물질의 변위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부호 A로 표시된 플레이트들은 통상의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B로 표시된 플레이트는 디플렉터로써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며, 각각의 디플렉터(B)는 쉘링의 내부를 중심으로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나선을 정의하기 위하여, 직경 방향으로 반대되는 두 모서리에 다른 디플렉터(B)가 위치하고 있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단지 차이점은 하나의 디플렉터(B)와 동일 나선의 두 개의 인접한 디플렉터 사이에, 디플렉터가 없는 플레이트(A)의 수직열이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유사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단지 차이점은 각각의 디플렉터(B)가 디플렉터 없는 플레이트의 수직열에 의해 동일 나선의 인접 디플렉터들과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인접한 두 개의 인접한 디플렉터 사이의 축 간격이 도 3 및 도 4의 구성에서 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완전한 라이너에서는, 디플렉터의 개수는 라이너 플레이트의 전체 개수의 5% 내지 15% 로 다양할 수 있다.
도 6은 직경 4미터 길이 10 m의 쉘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디플렉터들은 도 3의 구성에 따라 분쇄기에서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DIN 표준에 대한 천공 분쇄기에는, 원주를 따라 40개의 플레이트와 길이를 따라 40개의 플레이트가, 즉 1600개의 플레이트가 있다. 만약 10%의 디플렉터 즉 160 개의 디플렉터가 있다면, 분쇄기에서 각각 40개 플레이트가 4개의 나선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나선이 도 6에 1, 2, 3 및 4로 연속적으로 번호를 붙여 도시되어 있다.
또한, 분쇄기의 길이를 따라 두 개의 인접 나선들 간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상기 나선형을 끌어 당겨 놓을 수 있다. 즉 더 많은 디플렉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쇄기가 회전 때, 모든 디플렉터는 쟁기의 보습처럼 분쇄체에 끼어 넣어진다. 디플렉터들의 나선형 구조와 결합된 직경면에 대한 경사는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분쇄체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분쇄체는 분쇄기의 종축에 대하여 0.5° 내지 2°만큼 기울어 진다.
결과적으로, 분쇄기의 입구에서 측정된 충진도(degree of fill)는 분쇄 챔버의 출구에서 측정된 충진도 보다 약간 낮다.
따라서, 가장 큰 분쇄체는 분쇄체의 하부를 따라, 즉 분쇄기의 후방에서 입구쪽으로, 더 작은 분쇄체 보다 더 빨리 이동한다. 분쇄체의 이러한 분류 방식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충진도가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분쇄체 사이에 빈공간(41% 이상 혹은 이하)이 물질로 채워질 때 가장 좋은 분쇄효율을 얻을 수 있고, 분쇄될 물질이 분쇄기에서 진행시 "팽창(inflate)" (즉, 외관상 밀도가 감소)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분쇄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분쇄기의 출구에서 높은 충진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분쇄될 물질을 분쇄기를 통해 더 빨리 밀어 낼 수 있고, 이러한 디플렉터로 인하여, 분쇄체와 분쇄될 물질을 더 잘 혼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디플렉터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제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복합 디플렉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 참조번호 30으로 표시된 복합 디플렉터는 도 1 및 도 2의 핀(26)에 상응하며, 그의 베이스에 사각형 모양의 받침대(34)를 장착하고 있는 핀(36)을 포함한다. 받침대(34) 및 핀(36)은 주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32)와는 분리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는 받침대(34)와 상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프린스를 수용하는 주변부를 형성하는 개구부(40)를 가지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 처럼, 받침대(34) 및 플레이트 베이스(32)의 개구부(40)는 상보적인 프루스토코니컬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상기 받침대(34)가 베이스 플레이트(32)에서 하우징에 배열되며, 고정홀(38)을 통해 분쇄기의 쉘링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베이스(32)는 받침대(3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쉘링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진부재(4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충진부재(42)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받침대(34)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핀(36)은 가지고 있지 않는다. 이러한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32)의 개구부(40)가 원할 경우 충진질 수 있도록 하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디플렉터(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 필요한 것은, 상기 충진(34)가 핀(36)과 해제하고 제거하기만 하면 되며, 개구부가 충진부재(42)를 이용하여 재삽입하고, 충진부재가 중심홀(44)을 통해 쉘링에 볼트로 조이면 된다.
또한, 소정 개수의 베이직 플레이트에 충진부재(42)를 제공하여, 필요할 경우, 충진부재(42)를 핀(36)과 받침대(34)로 교체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를 디플렉터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할 경우, 디플렉터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플렉터의 위치에 대한 내부 구조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핀(26, 36)은 모따기된 모서리(28)로 인하여, 도 1 및 도 3 내지 5에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기에 적합하다.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쇄기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과 대칭적인 디플렉터가 제공되어야 한다.
소규모 파일럿 스테이션(pilot station)에서 수행되는 테스트는, DIN 표준(즉 원호 길이가 314,16 mm 이며 분쇄기의 축방향으로 길이가 250 mm인 플레이트)에 대한 천공 분쇄기에 대하여, 디플렉터로 변형된 플레이트의 만족할 만한 개수는 ±10% 인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기 개수는 분쇄기의 작동조건에 따라 변한다.
a) 분쇄기의 낮은 충진도(±20%)에 대하여, 디플렉터의 개수는 임계 속도의 퍼센트로 표시되는 속도가 낮을 경우 더 높다. 상기 임계 속도는 원심력이 발생되는 분쇄기의 회전속도이고, 이 속도는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수식은 분당 회전수로 표시되며, D는 분쇄기의 직경에 대한 미터로 표시된다. DIN 표준에 대한 천공 분쇄기 즉 가로 314.16 mm 세로 250 mm의 플레이트에서,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즉.
- 55% ~ 6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9%;
- 65% ~ 7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8%;
- 75% ~ 8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7%.
b) ±30%의 충진도에서,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즉,
- 55% ~ 6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11%;
- 65% ~ 7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10%;
- 75% ~ 8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9%.
c) ±40%의 충진도에서,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즉,
- 55% ~ 6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13%;
- 65% ~ 7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11%;
- 75% ~ 85% 임계속도: 디플렉터의 개수: 약 10%.
디플렉터의 높이는 특히 분쇄기의 직경에 의존한다. 즉 예를 들어,
- 1.5 m 내지 2.5 m의 직경: 높이 ±100mm,
- 2.6 m 내지 3.6 m의 직경: 높이 ±200mm,
- 3.7 m 내지 4.8 m의 직경: 높이 ±250mm,
- 4.9 m 내지 6.2 m의 직경: 높이 ±300mm.
디플렉터의 높이가 증가하면 디플렉터 개수는 감소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표준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평균 ±40 mm의 평균 두께 즉, DIN 표준 플레이트(314.16 ×250 mm)는 약 25 kg의 무게를 가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의 복합 디플렉터의 경우, 핀과 클린스 전체의 무게는 최대 25 kg이다. 결과적으로, 인간환경공학과 라이너 조립의 안전성 측면에서, 제안된 디플렉터는 단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곱미터(m2) 당 라이너의 무게 측면에서 상당한 감소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직경이 4.8미터 길이 10미터의 제2 분쇄 챔버는 다음과 같은 수치를 가진다. 즉,
- 설비 면적: 150.8 m2
- 표준 분류 라이너의 무게: 465 kg/m2, 즉 총 70.122 kg
- 10%의 디플렉터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너의 무게: 350 kg/m2, 즉 총 52.800 kg
상기 비교는 거의 25%의 무게 감소를 보여준다.
디플렉터로 설계된 플레이트의 15%를 제공할 경우, 제곱미터(m2) 당 무게는 총 ±55.200 kg에 해당되는 336 kg이며, 이는 약 20% 감소한다. 표준 분류 라이너의 경우, 분쇄기를 구동시키는 모터의 이용가능한 전력 전부를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라이너의 유용한 내부 체적을 감소하는 이러한 라이너의 평균 두께 때문이다.
제1 챔버에서 유효길이가 4.3 미터이며 제2 챔버에서 유효길이가 10 미터이며 분쇄체의 30%의 충진도로 분당 14.48로 회전하는 즉 임계 속도의 75%인 작업 길이 14.3 미터이고 직경이 4.8 미터 의 분쇄기의 경우,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을 수 있다.
- 표준 분류 라이너의 평균 두께: 87 mm
- 디플렉터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라이너의 평균 두께: 44 mm
- 제2 챔버에 대한 표준 분류 라이너가 흡수하는 전력은 3,256 kWh
- 제2 챔버에 대한 리플렉터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라이너가 흡수하는 전력은 3,451 kWh, 즉 6% 증가
종합적인 분쇄기 즉 상기 두 개의 챔버를 가지고 있는 분쇄기에 있어서, 제 2 챔버가 표준 분류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을 때, 총 전력은 4,754 kWh이다. 반대로, 제 2챔버가 새로운 라이너를 구비할 경우, 총 전력은 4,947 kWh wmr 4%의 유리한 차이를 내며, 4%의 유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의 쉘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플레이트(B)의 디플렉터는 이전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핀들은 여전히 직경면에 대하여 5°내지 25°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도 12 및 도 13의 경사는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즉, 회전 방향에서 볼 때, 모따기된 측면 전면은 반대면보다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더 가깝게 되어 있다. 또한, 이전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디플렉터는 반대면 보다 분쇄기의 출구쪽을 향하는 핀의 면에 모따기가 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디플렉터들(B)의 상호 배열은 나선 구조를 얻기 위한 것이며, 경사는 도 12 및 도 13간의 비교로 알 수 있듯이 다양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 따라 설계된 라이너를 가지고 있는 분쇄기에 대한 테스트에서, 분쇄체를 분류하는 효과는 이전의 실시예의 효과와 적어도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류 효과에 관하여, 분쇄기의 길이를 따라 나선 또는 꼬인형태(twisted)로 다양한 디플렉터를 구성하는 것은 적어도 중요하며, 개별 핀들이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방향 만큼 중요한 요인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디플렉터들(B)의 상호 배열은 도 3의 상호 배열과 동일하며, 제조된 나선 구조는 대체로 동일하다.
도 13의 실시예에서, 나선형은 도 12에서 처럼 가파르지 않다. 이를 위하여, 디플렉터들(B)은 연속된 인접링으로 쌍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선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 링의 두 개의 인접한 디플렉터(B)의 핀들은 디플렉터의 입구에 하나가 배열되며 출구에 다른 하나가 배열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디플렉터는 도 1 및 2에 도시된 것 처럼 주조된 일체형 또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복합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 및 도 13에서, (분쇄기의 입구쪽으로 향하고 있는) 핀들의 작업면에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막(incrustation) 형성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분쇄될 물질 및 분쇄체의 투입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원통형 쉘링을 포함하며, 병렬배치된 개별 라이너 플레이트의 링들로 구성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에 있어서,
    선택된 지점에 위치된 소정 개수의 라이너 플레이트는, 쉘링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2, 32)의 에지에 배열되며, 상기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25°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핀(26,36)을 포함하는 디플렉터(20, 30)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플렉터(20, 30)의 위치는 전체 디플렉터가 나선 구조를 형성하도록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플렉터(20, 30)의 상기 핀(26, 26)은 분쇄기의 직경면에 대하여 5°내지 25°사이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의 회전 방향에서 볼 때 정면에 있는 상기 핀(26, 36)의 측면은 모따기가 되어 뾰족한 모서리(28)를 형성하고, 상기 모따기는 상기 분쇄기의 입구쪽을 향하여 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는 상기 분쇄기의 입구쪽을 향하는 핀의 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26, 36)의 모따기된 측면은 분쇄물질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반대측면에 대하여 움푹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는 분쇄기의 출구쪽으로 향하는 핀의 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26, 36)의 모따기된 측면은 분쇄될 물질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반대 측면의 정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26)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구성요소를 이루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와 함께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30)은, 베이스 플레이트(32)의 개구부(40)에 배열된 받침대(34)와 핀을 포함하는 복합체이며, 상기 개구부(40)는 상기 받침대(34)와 상보적인 형태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4)와 개구부(40)는 상보적인 프루스토코니컬(frustoconical)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분쇄기의 쉘링에 볼트로 고정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가 상기 받침대(3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받침대부재(42)가 핀(36)의 받침대(34)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32)에서 받침대(34)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26,36)의 작업면 및 모서리(28)는 연마저항을 높이기 위해 세라믹 외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용 라이너.
  13. 제1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를 포함하는 튜브형 회전 분쇄기.
KR1020027017451A 2000-06-23 2001-06-14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 KR100754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2178.0 2000-06-23
EP00202178A EP1166876A1 (fr) 2000-06-23 2000-06-23 Blindage pour broyeur tubulaire rotatif.
LU90653 2000-10-18
LU90653 2000-10-18
PCT/EP2001/006867 WO2001097975A1 (fr) 2000-06-23 2001-06-14 Blindage pour broyeur tubulaire rota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250A true KR20030026250A (ko) 2003-03-31
KR100754645B1 KR100754645B1 (ko) 2007-09-05

Family

ID=2607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451A KR100754645B1 (ko) 2000-06-23 2001-06-14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951315B2 (ko)
EP (1) EP1292394B1 (ko)
JP (1) JP2003535690A (ko)
KR (1) KR100754645B1 (ko)
CN (1) CN1305575C (ko)
AT (1) ATE406958T1 (ko)
AU (2) AU6907901A (ko)
BR (1) BR0111794B1 (ko)
CA (1) CA2413342A1 (ko)
CZ (1) CZ298084B6 (ko)
DE (1) DE60135651D1 (ko)
ES (1) ES2312452T3 (ko)
HU (1) HU228663B1 (ko)
MX (1) MXPA02012720A (ko)
PL (1) PL198458B1 (ko)
PT (1) PT1292394E (ko)
RU (1) RU2266789C2 (ko)
WO (1) WO20010979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6B1 (ko) * 2008-04-28 2011-05-20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5286B1 (fr) * 2005-12-23 2008-05-09 Solvay Procede de broyage
CN105772172A (zh) * 2014-12-22 2016-07-20 佛山市宝航机械装备行业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均匀研磨的高效球磨机
US10370129B2 (en) * 2015-08-17 2019-08-06 Dash Llc Assemblies including plug devices, and related plug devices and methods
EP3932559B1 (en) * 2020-06-29 2024-02-21 Metso Finland Oy Hydraulic crusher concave retai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892C (de) 1947-11-18 1952-03-13 Fischer Ag Georg Panzerplatten-Auskleidung fuer Rohrmuehlen
US4211370A (en) * 1978-11-24 1980-07-08 Midland-Ross Corporation Lining for grinding mills
SE433930B (sv) * 1981-06-18 1984-06-25 Rigello Pak Ab Oppningsanordning for burkar eller behallare
US4515319A (en) * 1982-07-08 1985-05-07 Wei Yun Song Dual-inclined lifters for autogenous mills
SU1144719A1 (ru) * 1983-03-17 1985-03-15 Montvila Vintsas V Бронефутеровка трубной мельницы
CN2144023Y (zh) * 1992-01-22 1993-10-20 王大年 球磨机角锥形衬板
CN2186605Y (zh) * 1994-03-01 1995-01-04 张洪彬 双螺线分级沟槽衬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36B1 (ko) * 2008-04-28 2011-05-20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로스터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69079B2 (en) 2005-02-10
BR0111794B1 (pt) 2012-12-11
RU2266789C2 (ru) 2005-12-27
ES2312452T3 (es) 2009-03-01
WO2001097975A1 (fr) 2001-12-27
CZ20024234A3 (cs) 2003-04-16
CN1305575C (zh) 2007-03-21
HUP0301539A2 (en) 2003-08-28
CZ298084B6 (cs) 2007-06-13
ATE406958T1 (de) 2008-09-15
HU228663B1 (hu) 2013-05-28
CN1437509A (zh) 2003-08-20
PL198458B1 (pl) 2008-06-30
DE60135651D1 (de) 2008-10-16
BR0111794A (pt) 2003-05-27
JP2003535690A (ja) 2003-12-02
PL358740A1 (en) 2004-08-09
US6951315B2 (en) 2005-10-04
KR100754645B1 (ko) 2007-09-05
US20040113004A1 (en) 2004-06-17
AU6907901A (en) 2002-01-02
PT1292394E (pt) 2008-11-28
MXPA02012720A (es) 2004-09-10
EP1292394B1 (fr) 2008-09-03
CA2413342A1 (fr) 2001-12-27
EP1292394A1 (fr)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355B1 (ko) 로터리식 분쇄기
US5516051A (en) Lifting element for rotary mill and mill equipped with such elements
CN112638539A (zh) 单辊研磨机
KR20160117601A (ko) 교반기 볼 밀
KR100754645B1 (ko) 튜브형 회전 분쇄기 라이너
CN107921436B (zh) 研磨机的改进
JP6665547B2 (ja) 竪型粉砕機
JP6374742B2 (ja) 竪型ローラミル
JP3273394B2 (ja) 機械式粉砕装置
JP4947707B2 (ja) 粉砕装置
US2704636A (en) Weston
SU1011249A1 (ru) Мельниц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
ZA200300613B (en) Tubular rotary mill liner.
US2620987A (en) Air swept partitioned tube mill
RU2279923C1 (ru) Барабанная мельница
KR100490976B1 (ko) 수직타입의 습식 무기물질 분쇄기
SU1643080A1 (ru) Центробежна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 мельница
JP2001029821A (ja) チューブミル及びその運転方法
JPS62748Y2 (ko)
CA2221422A1 (en) Grinding mill
JPS62241561A (ja) 遠心流動粉砕装置
RU2343980C1 (ru) Способ измельч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Withington Ball, Rod, and Tube Mills
JPS62254850A (ja) 遠心流動粉砕装置
JPH0679674B2 (ja) 遠心流動粉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2